KR101769901B1 - 조립식 박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9901B1 KR101769901B1 KR1020150164165A KR20150164165A KR101769901B1 KR 101769901 B1 KR101769901 B1 KR 101769901B1 KR 1020150164165 A KR1020150164165 A KR 1020150164165A KR 20150164165 A KR20150164165 A KR 20150164165A KR 101769901 B1 KR101769901 B1 KR 101769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fixing
- wall
- prefabricated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6—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32—Details of wooden walls;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9/34—Joints; Local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박스 바닥면에 해당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 중 상기 바닥부재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 사이에 고정 결합되어 박스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기둥형태로 마련되는 기둥몸체부;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일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1끼움홈이 형성되는 제1측벽가이드부; 및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타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제2측벽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제품의 물류 현장에 사용되는 포장용 박스의 경우 담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제작되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렇게 제품에 크기, 무게, 경도 등의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진 박스들은 물류 시스템 상 최종 운반 목적지에 도달하면 빈 박스의 비효율적 부피 특성 상 회수되지 못하고 쓰레기 처리되어지곤 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이와 같은 포장용 박스의 사용이 완료된 시점에서 박스의 폐기 처리를 위해 많은 환경 규제 비용을 지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포장용 박스의 지속적 생산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물류 시스템 내 일회용으로 소비되는 포장용 박스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박스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지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포장용 박스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포장용 박스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842호의 "분해 조립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조립식 박스들의 경우,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 개선만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다양한 중량 및 강도 수준에 맞는 내구성을 제공하지 못해 빈번한 파손 및 교체가 요구되고 사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용량으로의 구조 변형 수준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이와 같은 조립식 박스의 다층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물류 시스템 내 운반 작업 공정의 효율이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다수의 조립식 박스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파레트 상에 적층시키기 위한 조립식 박스의 구조적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을 갖춤과 동시에 조립식 박스의 내구성을 개선시키고,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다층 적재구조를 갖출 수 있는 기술을 구비한 조립식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박스는, 박스 바닥면에 해당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 중 상기 바닥부재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 사이에 고정 결합되어 박스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기둥형태로 마련되는 기둥몸체부;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일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1끼움홈이 형성되는 제1측벽가이드부; 및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타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제2측벽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벽가이드부는, 상기 벽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일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분; 및 상기 기둥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어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벽부재의 내측면을 지지 또는 지지 해제할 수 있는 내측 가변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분 및 상기 외측 지지부분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회전된 상기 내측 가변부분은 사이에 상기 제1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홈에 상기 벽부재가 끼움 고정되도록 벽부재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각각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다수의 기둥부재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박스 복수개가 다층으로 적재되도록 일 조립식 박스와 타 조립식 박스를 상하로 상호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둥몸체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삽입공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둥몸체부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시 기둥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체결부분이 노출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상측에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노출된 제1체결부분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는 제1소켓부; 및 상기 볼트부의 하측에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노출된 제2체결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제2소켓부; 및 상기 제2소켓부 하측으로 상기 제2체결부분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 조립식 박스의 볼트부 상 제2체결부분 중 상기 받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관통한 제2체결부분은 상기 타 조립식 박스의 소켓부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일 조립식 박스 및 타 조립식 박스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일 조립식 박스의 받침부는 상호 연결된 상기 타 조립식 박스의 기둥부재 또는 벽부재의 상측면 일부분에 접하여 상기 타 조립식 박스와 연결된 일 조립식 박스를 지지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바닥부재의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 외측 상부 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 사이에 고정 결합된 벽부재의 상부 외측을 보강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재는, 바닥시트; 상기 바닥시트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상기 바닥시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저면 측을 보강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보강프레임;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의 저면 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기 바닥시트 상의 끼움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 일측에는 상기 바닥부재를 상기 기둥부재 하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바닥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 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시트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4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측면 중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다수의 벽부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부재에 장착되어 양측면이 한 쌍의 해당 벽 부재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박스의 내부 공간을 분획하는 칸막이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수단은, 칸막이시트; 상기 칸막이 시트가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상기 칸막이 시트의 양 측면부가 각각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및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부재 각각의 상측면에 대향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기 벽부재 상측면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5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각각이 전개 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제6끼움홈이 박스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박스를 통해 물류 시스템 상에서의 최종 운반 공정 완료 후 회수 및 회수를 통한 재사용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 조립식 박스의 생산비 절감과 더불어 폐기 시 발생하는 환경 규제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조립식 박스의 일부분이 파손되더라도 해당 부분을 구성하는 조립 부품만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교체하여 조립식 박스의 형태를 원상 복구 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조립식 박스 내부에 적재되는 다양한 제품들에 의한 외측으로의 변형 및 파손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벽부재의 외측 상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박스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넷째, 조립식 박스 내부에 적재되는 다양한 제품들에 의한 가장 많은 외력을 받는 바닥부재의 구조를 다양한 보강부재를 통해 마련함에 따라 박스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다섯째, 다수의 조립식 박스를 상하를 기준으로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통해, 조립식 박스들의 다층 적재가 가능해지고 하나의 파레트 상에 더 많은 양의 조립식 박스를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경비 등의 운반 작업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체결수단의 구조 및 체결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들의 적재를 위한 상호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분해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고정수단의 삽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덮개수단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체결수단의 구조 및 체결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들의 적재를 위한 상호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분해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고정수단의 삽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바닥부재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 내 덮개수단의 구조 및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조립식 박스의 구성요소 및 조립, 적재 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 도5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1000)은 바닥부재(100); 다수의 기둥부재(200); 다수의 벽부재(300); 및 체결수단(400); 다수의 보강부재(50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박스(1000)는 바닥부재(100)에 의해 바닥면을 이루고, 다수의 벽부재(300)를 통해 측벽을 이루며, 바닥부재(100)와 직교하게 세워지는 벽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부재(100)의 모서리 각각에 바닥면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부재(200)를 통해 기둥을 이룬다.
먼저, 바닥부재(100)와 바닥부재(100)의 모서리 각각에 바닥면과 직교하도록 설치된 기둥부재(200)의 조립 형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00)는 모서리 부분 외측면이 기둥부재(200)의 내측 면에 접하게 되고, 이 둘은 장볼트 및 체결용 너트 등으로 실시될 수 있는 별도의 바닥고정수단(105)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아울러, 바닥부재(100)는 기둥부재(200)의 하부 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둥부재(200)의 최하단 높이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올라간 위치에 도1과 같이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닥부재(100)는 단순히 바닥시트(110)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시트의 외력에 대한 변형 및 파손의 정도를 줄이고 내구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나머지 조립 구성과의 연결 및 고정력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바닥부재(100)는 바닥시트(110); 고정 브라켓(120); 제1보강프레임(140); 및 제2보강프레임(150)을 포함하며, 우선 고정 브라켓(120)은 바닥시트(11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바닥시트(110)의 일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부재로써 바닥부재(100)를 고정하고 기둥부재(200)에 바닥부재(100)가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고정 브라켓(1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시트(110)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3끼움홈(120H)이 형성된 'ㄷ'자형 브라켓으로, 브라켓 몸체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고정수단(105)의 삽입을 위한 제2삽입공(125H)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1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바닥시트(11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양측에 하나씩 고정 브라켓(120)이 끼워진 바닥시트(110)는 기둥부재(200) 하부에서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게 되고, 해당 위치의 안정적 고정 결합을 위해 바닥고정수단(105)이 양측에서 균형적으로 각각의 제2삽입공(125H)에 삽입되어진다.
여기서, 양측에 하나씩 고정 브라켓(120)이 끼워진 바닥시트(110)에는 고정 브라켓(120)이 끼워지지 않은 측면의 구조적 안정성 보강 및 보호를 위해 부가적으로 보강 브라켓(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브라켓(13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시트(110)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4끼움홈(130H)이 형성된 'ㄷ'자형 브라켓으로, 바닥시트(110)의 측면 중 고정 브라켓(120)이 끼움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측면에 끼움 결합되어 해당 측면을 보호 및 보강하는 부재로써, 끼움 결합되는 해당 측면을 전부 감싸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고정 브라켓(120)에 형성된 제2삽입공(125H)의 공간을 막아 바닥고정수단(105)의 이동 삽입을 저해하지 않도록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바닥시트(110)의 저면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박스(100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의 대응하여 바닥시트(110)의 저면측을 보강 지지하는 각파이프 형태의 제1보강프레임(1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아울러, 바닥시트(110)의 저면에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140)의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고정 브라켓(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 브라켓(120)의 하부 지지부분 저면에 타단부 고정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120)과 바닥시트(110)의 저면 간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바닥시트(110)에 끼움 고정된 고정 브라켓(12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는 각파이프 형태의 제2보강프레임(150) 역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00) 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바닥시트(110)에 끼움 고정된 보강 브라켓(130) 및 이에 접한 벽 부재(30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부재(100)는 바닥시트(110)의 저면에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140)의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보강 브라켓(130)에 접하는 벽 부재(300)의 하단 외측에 타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형태로 보강 브라켓(130)에 접하는 벽 부재(300)의 측면과 제1보강프레임(140)의 저면 간에 걸쳐 설치되는 'ㄴ'자형 제3보강프레임(145)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바닥시트(110)에 끼움 고정된 고정 브라켓(120) 및 이에 접한 벽 부재(30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부재(100)는 바닥시트(110)의 저면에 설치된 제2보강프레임(150)의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고정 브라켓(120)에 접하는 벽 부재(300)의 하단 외측에 타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 브라켓(120)에 접하는 벽 부재(300)의 측면과 제2보강프레임(150)의 저면 간에 걸쳐 설치되는 'ㄴ'자형 제3보강프레임(145)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강프레임(140), 제2보강프레임(150), 제3보강프레임(145) 및 제4보강프레임(155)의 설치는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140S, 150S)을 통해 볼트-너트 고정 결합이 이루어져 조립 형태 및 위치가 고정된다.
즉, 제2보강프레임(150)은 바닥시트(110)의 저면에 보강을 위해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140)과 고정 브라켓(120)이 고정 결합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3보강프레임(145)은 제1보강프레임(140)과 보강 브라켓(130)이 고정 결합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바닥부재(1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00)의 이동, 더 나아가서는 조립식 박스(1000)의 이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160)을 저면 측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160)는 제1보강프레임(140)의 저면에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160S)을 통해 볼트-너트 고정 결합이 이루어져 조립 형태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기둥부재(200) 및 기둥부재(200)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벽부재(300)의 조립 형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200) 중 바닥부재(100)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200) 사이에 벽부재(300)는 고정 결합되어 박스의 측벽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벽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벽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한 수준의 고정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둥부재(200)는 기둥몸체부(210); 제1측벽가이드부(220) 및 제2측벽가이드(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둥부재(200)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태의 몸통을 이루며, 중앙에 추후 설명되어질 체결수단(400) 내 볼트부(410)가 나사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제1삽입공(210H)이 형성된 기둥몸체부(210)를 기준으로 해당 기둥부재(200)가 설치된 바닥부재(100)의 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는 일면과 타면 중 일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진 부분이 제1측벽가이드부(220)에 해당하며, 타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진 부분이 제2측벽가이드부(230)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측벽가이드부(220)는 해당 기둥부재(200)가 설치된 바닥부재(100)의 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는 일면과 타면 중 일면 외측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써, 해당 일면에 접하도록 세워지는 벽부재(300)를 끼움 고정하기 위한 제1끼움홈(220H)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끼움홈(220H)은 'ㄷ'자형 제1측벽가이드부(220)에서 벽부재(30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방되어진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고, 이와 같은 개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1측벽가이드부(220)는 끼워진 벽부재(300)의 외측면이 접하도록 기둥몸체부(210)로부터 해당 기둥부재(200)가 설치된 바닥부재(100)의 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는 일면과 타면 중 일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분(221)과 기둥몸체부(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어 회전 상태에 따라 끼워진 벽부재(300)의 내측면을 지지 또는 지지 해제 할 수 있는 내측 가변부분(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 가변부분(222)은 외측 지지부분(221)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회전되어 제1측벽가이드부(220) 전체를 'ㄷ'자형 구조로 만들 경우 둘 사이 이격되어진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은 제1끼움홈(220H)으로써 기능하고, 이를 통해 끼워진 벽부재(300)는 외측 지지부분(221)을 통해 외측면을, 내측 가변부분(222)을 통해 내측면을 지지 받아 끼움 고정된다.
다시 말해, 벽부재(300)의 설치 후 고정 시 내측 가변부분(222)은 외측 지지부분(221)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벽부재(300)의 끼움 고정을 위한 결합공간을 마련하고, 벽부재(300)의 조립 또는 분리 시 내측 가변부분(222)은 외측 지지부분(221)과 직교하게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벽부재(300)의 설치 또는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즉, 이로 인해 사용자는 벽부재(300)의 조립 또는 해체를 위해 벽부재(300)를 박스의 높이 방향으로 끌어올려 끼움홈에 끼우거나 끼워진 부분에서 이탈 또는 벽부재(900)의 일부에 파손을 유도하여 해체할 필요성이 없어짐으로써, 포장 시 발생하는 쓰레기를 줄이고, 벽부재(300)의 재활용을 통해 비용 절감 및 환경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닥고정수단(105)은 외측 지지부분(221)-벽부재(300)-내측 가변부분(222) 순으로 기둥부재(200)를 지나 바닥부재(100)에 기둥부재(200)를 연결되고, 바닥부재(100)를 지나서는 내측 가변부분(222)-벽부재(300)-외측 지지부분(221) 순으로 마주보는 기둥부재(200)를 지나 해당 기둥부재(200)를 바닥부재(100)에 연결함으로써 고정 상태를 조금 더 단단히 만든다.
한편, 제2측벽가이드부(230)는 기둥부재(200)가 설치된 바닥부재(100)의 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는 일면과 타면 중 타면 외측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써, 해당 타면에 접하도록 세워지는 벽부재(300)를 끼움 고정하기 위한 제2끼움홈(230H)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끼움홈(230H)은 'ㄷ'자형 제2측벽가이드부(230)에서 벽부재(30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방되어진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고, 고정된 일정 형태의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제1측벽가이드부(220)와 같이 외측 지지부분은 고정형으로, 내측 지지부분은 가변형으로 마련되도록 설계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둥부재(200) 중 바닥부재(100)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200)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벽부재(300)는 박스 내부에 적재된 물품으로부터 외측으로 지속적인 외력을 받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벽부재(300)의 외측 상부는 가장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낮아 쉽게 변형 혹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1000)는 각파이프 형태의 보강부재(500)를 다수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보강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부재(300)의 외측 상부를 보강 지지 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보강부재(500)는 바닥부재(100)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200) 중 일 기둥부재(200)의 외측 상부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타 기둥부재(200)의 외측 상부에 타 단부가 일 단부의 결합 위치와 평행하게 고정 결합되어 보강부재(500)는 바닥부재(100)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200) 간에 걸쳐 설치된다.
여기서, 보강부재(500)의 설치는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550)을 통해 볼트-너트 고정 결합이 이루어져 조립 형태 및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10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박스(1000) 복수개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다층 적재되도록 상대적 상측에 위치한 일 조립식 박스(1000')와 상대적 하측에 위치한 타 조립식 박스(1000'')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다수의 기둥부재(200) 각각에 형성되는 별도의 체결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수단(400)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410); 소켓부(420); 받침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볼트부(410)는 장볼트 형태의 전산볼트로써, 앞 서 설명된 기둥몸체부(210)에 형성된 제1삽입공(210H)에 나사 결합되어지며 기둥몸체부(210)의 길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둥몸체부(210)에 형성된 제1삽입공(210H)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볼트부(410)가 제1삽입공(210H)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이 전부 이루어지고 나면 기둥몸체부(2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소정의 체결부분이 노출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410)는 기둥몸체부(210)에 형성된 제1삽입공(210H)에 삽입되어지면 기둥몸체부(210)의 상측으로 제1체결부분(410T)이 노출됨과 동시에 기둥몸체부(210)의 하측으로 제2체결부분(410B)이 노출되어진다.
이와 같이 기둥몸체부(210)로부터 노출되어진 볼트부(410)의 제1체결부분(410T)에는 육각소켓과 같이 양측으로부터의 나사 결합이 가능한 제1소켓부(420) 일측이 나사 결합되고, 기둥몸체부(210)로부터 노출되어진 볼트부(410)의 제2체결부분(410B)에는 육각소켓과 같이 양측으로부터의 나사 결합이 가능한 제2소켓부(425)와 제2소켓부(425) 하측으로 제2체결부분(410B)을 관통하는 엎어진 컵 형태의 받침부(430)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부(430)가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분(410B)은 받침부(430)를 관통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4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이와 같이 받침부(4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제2체결부분(410B)은 제1소켓부(420) 타측에 나사 결합되어져 복수의 조립식 박스(1000)가 상하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조립식 박스(1000) 중 상대적 상측에 위치한 일 조립식 박스(1000')와 상대적 하측에 위치한 타 조립식 박스(1000'')를 상호 연결 형태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조립식 박스(1000')의 체결수단(400')에 포함되는 받침부(430')를 관통하여 받침부(4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볼트부(410')의 제2체결부분(410B)은 타 조립식 박스(1000'')의 체결수단(400'')에 포함되는 제1소켓부(42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고, 해당 제1소켓부(420'')의 일측에는 타 조립식 박스(1000'')의 체결수단(400'')에 포함되는 볼트부(410'')의 제1체결부분(410T)이 나사 결합되어 일 조립식 박스(1000') 및 타 조립식 박스(1000'')는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일 조립식 박스(1000')의 볼트부(410'), 제2체결부분(410B)과 타 조립식 박스(1000'')의 볼트부(410'')의 제1체결부분(410T) 모두와 결합하여 둘을 연결하고 있는 해당 제1소켓부(42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고 있는 일 조립식 박스(1000')의 받침부(430')는 상호 연결된 타 조립식 박스(1000'')의 기둥부재(200'') 또는 벽부재(300'')의 상측면 일부분에 접하여 일정 수준의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타 조립식 박스(1000'')에 대한 일 조립식 박스(1000')의 적층 상태를 지지 안착시키고 안정적인 다층 적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체결 수단(400)은 기둥부재(200)의 제1측벽가이드부(220) 및 제2측벽가이드부(230)에 고정 결합된 벽부재(300)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측벽가이드부(220) 및 제2측벽가이드부(230)에 벽부재(300)가 끼워진 기둥부재(200)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기둥부재 커버(440)를 더 포함하며, 이와 같은 기둥부재 커버(440)는 기둥부재(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삽입된 후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440S)을 통해 볼트-너트 고정 결합이 이루어져 조립 형태 및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립식 박스(1000)는 내부에 적재되어진 물품의 보호 및 안정적인 다수의 박스 적층을 위해 박스의 내부 적재 공간을 분획하는 별도의 칸막이 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칸막이수단(6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의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300)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벽부재(300)에 장착되어 나머지 한 쌍의 벽부재(300)와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공간을 분획시킨다.
이를 위해 칸막이수단(600)은 공간을 분획시키기 위한 격벽으로써 기능하는 칸막이시트(600P)와 칸막이시트가 바닥부재(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칸막이시트(600P)의 양 측면부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610) 및 이와 같은 고정부재(610)가 일정 방향을 진퇴 가능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마주보는 한 쌍의 벽부재(300)에 고정부재를 조립 장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부재(620)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부재(620)는 덮개수단(600)의 설치 대상이 되는 벽부재(300)의 상측면이 끼움 고정되기 위한 제5끼움홈(620H)이 형성되고, 제5끼움홈(620H)을 통해 벽부재(300)에 장착된 가이드부재(620)의 박스 내부 공간 측으로는 한쌍의 고정부재 각각이 전개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경로로써 기능하는 제6끼움홈(625H)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610)에 형성된 고정홈은 'ㄷ'자형 고정부재(610)에서 칸막이시트(600P)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방되어진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고, 칸막이시트(600P)일 측면부가 끼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부재(610)의 고정홈이 형성된 일측 상면에는 똑딱단추의 볼 원반(630) 또는 소켓 원반(630)이 형성되어 하면에 똑딱단추의 소켓 원반 또는 볼 원박이 형성된 덮개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박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을 덮을 수 도 있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10)는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제6끼움홈(625H)에 수용되어 제6끼움홈(625H) 내부 가이드 공간을 따라 진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6끼움홈(625H)이 고정부재(610)가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는 방향은 박스 내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조립식 박스
100 : 바닥부재
110 : 바닥시트 120 : 고정 브라켓
130 : 보강 브라켓 140 : 제1보강프레임
150 : 제2보강프레임 160 : 이동수단
200 : 기둥부재
210 : 기둥몸체부 220 : 제1측벽가이드부
230 : 제2측벽가이드부
300 : 벽부재
400 : 체결수단
410 : 볼트부 420 : 제1소켓부
425 : 제2소켓부 430 : 받침부
500 : 보강부재
600 : 칸막이수단
610 : 고정부재 620 : 가이드 부재
600P : 칸막이시트
100 : 바닥부재
110 : 바닥시트 120 : 고정 브라켓
130 : 보강 브라켓 140 : 제1보강프레임
150 : 제2보강프레임 160 : 이동수단
200 : 기둥부재
210 : 기둥몸체부 220 : 제1측벽가이드부
230 : 제2측벽가이드부
300 : 벽부재
400 : 체결수단
410 : 볼트부 420 : 제1소켓부
425 : 제2소켓부 430 : 받침부
500 : 보강부재
600 : 칸막이수단
610 : 고정부재 620 : 가이드 부재
600P : 칸막이시트
Claims (10)
- 조립식 박스로서,
박스 바닥면에 해당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 중 상기 바닥부재의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 사이에 고정 결합되어 박스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기둥형태로 마련되는 기둥몸체부;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일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1끼움홈이 형성되는 제1측벽가이드부; 및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타면 측을 향해 상기 기둥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제2측벽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가이드부는,
상기 벽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상기 기둥부재가 설치된 상기 바닥부재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면 측과 타면 측 중 일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분; 및
상기 기둥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어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벽부재의 내측면을 지지 또는 지지 해제할 수 있는 내측 가변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분 및 상기 외측 지지부분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회전된 상기 내측 가변부분은 사이에 상기 제1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홈에 상기 벽부재가 끼움 고정되도록 벽부재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다수의 기둥부재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박스 복수개가 다층으로 적재되도록 일 조립식 박스와 타 조립식 박스를 상하로 상호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둥몸체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삽입공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둥몸체부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시 기둥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체결부분이 노출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상측에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노출된 제1체결부분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는 제1소켓부;
상기 볼트부의 하측에 상기 기둥몸체부로부터 노출된 제2체결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제2소켓부; 및
상기 제2소켓부 하측으로 상기 제2체결부분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 조립식 박스의 볼트부 상 제2체결부분 중 상기 받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관통한 제2체결부분은 상기 타 조립식 박스의 소켓부 타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일 조립식 박스 및 타 조립식 박스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일 조립식 박스의 받침부는 상호 연결된 상기 타 조립식 박스의 기둥부재 또는 벽부재의 상측면 일부분에 접하여 상기 타 조립식 박스와 연결된 일 조립식 박스를 지지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바닥부재의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기둥부재 외측 상부 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 사이에 고정 결합된 벽부재의 상부 외측을 보강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바닥시트;
상기 바닥시트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상기 바닥시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저면 측을 보강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보강프레임;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의 저면 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기 바닥시트 상의 끼움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 일측에는 상기 바닥부재를 상기 기둥부재 하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바닥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 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시트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4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시트의 측면 중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박스는,
상기 다수의 벽부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부재에 장착되어 양측면이 한 쌍의 해당 벽 부재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박스의 내부 공간을 분획하는 칸막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수단은,
칸막이시트;
상기 칸막이시트가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상기 칸막이시트의 양 측면부가 각각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및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부재 각각의 상측면에 대향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기 벽부재 상측면의 끼움 고정을 위한 제5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 각각이 전개 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제6끼움홈이 박스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165A KR101769901B1 (ko) | 2015-11-23 | 2015-11-23 | 조립식 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165A KR101769901B1 (ko) | 2015-11-23 | 2015-11-23 | 조립식 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775A KR20170059775A (ko) | 2017-05-31 |
KR101769901B1 true KR101769901B1 (ko) | 2017-08-22 |
Family
ID=5905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165A KR101769901B1 (ko) | 2015-11-23 | 2015-11-23 | 조립식 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99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76451A (zh) * | 2020-08-04 | 2020-10-16 | 王秋兰 | 一种拆卸式包装盒防护装置 |
US11284718B1 (en) * | 2021-06-28 | 2022-03-29 | Eric Michael Schneider | Coupled bookcase arrangement with peripheral frame |
KR102617492B1 (ko) * | 2023-07-13 | 2023-12-22 | 정삼규 | 생콘크리트 수거장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7848Y1 (ko) | 1999-10-26 | 2000-04-15 | 한용근 |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
JP3294556B2 (ja) * | 1998-09-01 | 2002-06-24 |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 組立式コンテナ |
KR100786194B1 (ko) | 2006-04-24 | 2007-12-21 | 박교훈 |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조립구조 |
KR101212322B1 (ko) | 2012-04-13 | 2012-12-13 | 지한상 |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4165A patent/KR101769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4556B2 (ja) * | 1998-09-01 | 2002-06-24 |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 組立式コンテナ |
KR200177848Y1 (ko) | 1999-10-26 | 2000-04-15 | 한용근 |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
KR100786194B1 (ko) | 2006-04-24 | 2007-12-21 | 박교훈 |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조립구조 |
KR101212322B1 (ko) | 2012-04-13 | 2012-12-13 | 지한상 |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775A (ko) | 2017-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4952B2 (en) | Truncated pyramid shaped shipping base | |
RU2524902C2 (ru) | Поддон на полозьях, в особенност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ей | |
KR101769901B1 (ko) | 조립식 박스 | |
US20080237419A1 (en) | Load distributing apparatus for corner posts | |
US8316780B2 (en) | Support device for materials handling | |
WO2017205352A1 (en) |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 |
KR101023439B1 (ko) |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 |
KR101018337B1 (ko) | 팔레트 시스템 | |
KR20080020118A (ko) | 조립식 종이 컨테이너 박스 | |
KR200469485Y1 (ko) |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 |
WO2008072531A1 (ja) | 緩衝部材 | |
KR20200144784A (ko)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
JP2011051648A (ja) |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 |
KR101852520B1 (ko) | 고정편을 구비한 조립식 파렛트 | |
KR20220085039A (ko)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
CN214139400U (zh) | 电芯塑料托盘周转箱 | |
JP2022074436A (ja) |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 |
US20120261463A1 (en) | Strengthening insert for a box | |
RU108021U1 (ru) | Поддон | |
CN101654161A (zh) | 包装结构 | |
KR20200145696A (ko)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
KR20170004363A (ko) | 다단적재 조립 박스 | |
KR200421857Y1 (ko) | 조립 밀폐형 박스 | |
JP5292203B2 (ja) | 搬送用パレット | |
JP5577203B2 (ja) | 梱包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