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169B1 -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169B1
KR100806169B1 KR1020060044495A KR20060044495A KR100806169B1 KR 100806169 B1 KR100806169 B1 KR 100806169B1 KR 1020060044495 A KR1020060044495 A KR 1020060044495A KR 20060044495 A KR20060044495 A KR 20060044495A KR 100806169 B1 KR100806169 B1 KR 10080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ngle side
angle
packaging
pap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290A (ko
Inventor
정찬광
이원강
Original Assignee
팩앤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팩앤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팩앤팩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of a single blank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two fold lines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는 포장되어질 제품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일체형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밑면과; 종이 앵글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키고, 4개의 앵글측면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밑면의 위에 놓여지는 앵글측면부재와; 상기 밑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면벽 중의 적어도 2개와 맞닿으면서 이중벽을 형성하는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에서 더욱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는 간단히 종이 앵글을 절곡하여 제조하므로, 대형 포장용 종이박스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포장, 종이박스, 골판지, 환경오염방지, 종이 앵글, 대형 종이박스

Description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Paper Box with Angle Pap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종이박스(100)의 A-A' 선을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종이박스(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장용 종이박스, 110 : 밑면,
120 : 앵글측면부재, 140 : 덮개면
본 발명은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 등을 포장하여 이를 운반하는데 적합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상기 포장용 종이박스를 조립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포장하여 운반하기 위하여 두꺼운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를 이용한 종이박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포장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목재 또는 프라스틱 재질의 포장용기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포장용기들을 이용할 경우 포장용기의 중량으로 인한 물류비용이 증가되어지고, 또한 제조원가의 부담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더구나 목재의 사용으로 인한 산림훼손 및 프라스틱 재질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 등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산업현장에서 제조되어지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그 포장 및 운반을 위하여,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꺼운 골판지를 원단으로 한 종이제 박스를 포장용기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이박스는 골판지 원단을 재단하여 그 중앙부위에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좌,우측 벽면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형성하며, 상기 전,후측 벽면 또는 상기 좌,우측 벽면에서 연장된 뚜껑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입방체의 포장용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에 각종의 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종이박스는 상기의 벽면을 이루고 있는 재질이 두꺼운 골판지로 구성된 종이원단이므로 어느 정도 외부의 작은 충격에 견딜 수 있지만, 여러 장의 골판지를 재단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효 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단지 1장의 골판지 원단을 이용하여 모든 조립공정을 하나의 골판지 원단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는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을 새롭게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0039112 호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명칭으로 특허출원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0039112 호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은 단지 1장의 골판지 원단을 이용하여 모든 조립공정을 하나의 골판지 원단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개발 기술임에는 틀림없지만, 오늘날 대형 골판지 원단을 1회의 공정으로 재단할 수 있는 톰슨장비가 국내에 거의 보급되어 있지 못하므로, 그 재단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급속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0039112 호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은 기술적으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바람직한 기술이지만, 현실적으로 주변 기술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아직은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한 비실용적인 제품으로 남아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제품의 포장에 적합한 대형 종이박스로서, 대형 톰슨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제품의 포장에 적합한 대형 종이박스의 제조방법으로서, 대형 톰슨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를 간단히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는 포장되어질 제품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일체형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밑면과; 직각형의 종이 앵글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키고, 4개의 앵글측면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밑면의 위에 놓여지는 앵글측면부재와; 상기 밑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면벽 중의 적어도 2개와 맞닿으면서 이중벽을 형성하는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에서 더욱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밑면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앵글측면부재의 내부에 꼭 끼워져 맞추어지게 되는 위치보조용 밑면안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에는 상기의 앵글측면부재에 맞닿아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 앵글측면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분리되어 있고 최종 포장시에 서로 맞닿아 존재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앵글측면부재의 바깥쪽으로 끼워지게 되는 상부 앵글측면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외측벽에는 종이 앵글이 상기 상부 앵글측면부재를 향하여 결합되어 있고, 최종 포장시에는 3중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의 제조방법은, 종이 앵글을 포장되어질 제품의 크기에 맞추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하되, 양측단에서는 45도 각도로 절단하고, 안쪽에서는 90 도 각도로 절단하여, 상기 종이 앵글을 절곡시켜 형성된 앵글측면부재를 제조하고, 또한 일체형 골판지 원단으로 되어 있고 절곡될 부분을 미리 재단하여 형성된 원단의 기본부재를 제조하며, 이들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기본부재의 밑면에 상기의 앵글측면부재를 위치시켜 기본적인 박스의 형상을 제조하는 기본형상의 제조단계와; 상기 기본부재의 외측벽 또는 덮개면에 별도의 상부 앵글측면부재를 부착시키거나 종이앵글을 부착시켜서 구체적인 형상을 만들어가는 구체형상의 제조단계와; 상기 기본부재의 외측벽 또는 덮개면을 절곡시켜 최종적인 포장용 박스로 제조하는 포장박스 완성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종이박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종이박스(100)의 A-A' 선을 절단한 상태에서의 각양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포장용 종이박스(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포장되어질 제품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일체형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밑면(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밑면(110)은 일체형 골판지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위에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직각으로 구성된 종이 앵글(121)을 소정의 부위에서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킨 앵글측면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는 양측단에서 45도 각도로 절단하고, 안쪽에서는 90 도 각도로 절단한 다음, 이들을 안쪽으로 절곡시켜서 4개의 앵글측면벽(122)(124)(126)(128)을 형성한 것이며, 필요할 경우 이들을 바깥쪽으로 절곡시켜서 4개의 앵글측면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는 상기의 밑면(110)의 위쪽에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상기 밑면(11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측벽(132)(13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외측벽(132)(134)은 상기의 밑면(110)에서 연장되어 있지만,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면벽 중의 적어도 2개와 맞닿으면서 이중벽 또는 3중벽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상기 외측벽(132)(134)에서 더욱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면(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덮개면(140)은 상기 외측벽(132)(134)과 연결된 일체형의 종이 골판지로서 이를 절곡시켜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상기 밑면(110)의 중앙부위에 위치보조용 밑면안내부(112)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면안내 부(112)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를 집어들어서 간단히 상기의 밑면(110)에 위치시키면,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내부에 꼭 끼워져 맞추어지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무거운 중량제품을 포장할 경우, 그로 인하여 위에서 내리누르는 무거운 하중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상기의 덮개면(140)에 상부 앵글측면부재(150)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바로 위쪽에 맞닿아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는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2개의 측면벽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최종 포장시에 서로 맞닿아 존재하게 되는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140)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앵글측면벽(122)(124)(126)(128)의 바깥쪽으로 끼워지게 되는 상부 앵글측면부재(160)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60)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140)을 덮어가는 도중에, 별도의 덮개판(142)을 추가로 넣어둘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역시 무거운 중량제품을 포장할 경우에, 그 보조 수단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상기의 외측벽(132)(134)에 종이 앵글(138)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종이 앵글(138)은 상기 앵글측면부재(120)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어지고(도 4 참조), 조립되어 최종적인 포장시에는 상기의 외측벽과 종이 앵글 및 앵글측면부재에 의하여 3중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3중의 벽면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의 외측벽(132)(134)과 상기의 종이 앵글 및 상기의 앵글측면벽으로 되어 있거나, 상기의 외측벽(132)(134)과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벽 및 상기의 앵글측면벽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앵글측면부재(120)를 형성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앵글측면부재(12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본형상을 제조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작업을 행하게 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포장용 종이박스의 제조를 위한 준비 단계 :
본 발명에 의한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먼저 앵글측면부재(120)를 준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종이박스(100)는 직각으로 길게 형성된 종이 앵글(121)을 절곡시켜 형성되어진다(도 3 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의 종이 앵글(121)을 포장되어질 제품의 크기에 맞추어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하되, 양측단에서는 45도 각도로 절단하고, 안쪽에서는 90 도 각도로 절단한다. 이러한 작업은 톰슨장비에 의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어지면,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는 4개의 앵글측면벽(122)(124)(126)(128)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를 안쪽으로 절곡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바깥쪽으로 절곡시켜서 4개의 앵글측면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골판지 원단으로 되어 있고 절곡될 부분을 톰슨장비로 미리 재단하여 원단의 기본부재(101)를 준비한다. 상기의 기본부재(101)는 그 중앙부위가 밑면(110)을 형성하도록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의 편의 및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밑면안내부(112)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포장용 종이박스에 관한 기본형상의 제조 단계 :
본 발명은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가 완성되어지면, 이것을 상기 기본부재(101)의 밑면(110)으로 가져와서, 이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밑면안내부(112)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를 더욱 쉽게 정위치에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단계를 마치게 되면, 상기 기본부재(101)의 중앙 위쪽에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4 참조).
3). 포장용 종이박스에 관한 구체형상의 제조 단계 :
본 발명은 포장용 종이박스에 관한 기본형상이 완성되어지면, 이어서 최종적인 포장물의 종류 및 포장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최종적인 형상의 종이박스를 제조하는 단계로 진행되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본부재(101)의 외측벽(132)(134) 또는 덮개면(140)에 별도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160)를 부착시키거나(도 5A 내지 도 5C), 종이앵글(138)을 부착시킴으로써(도 5D), 구체적인 형상을 만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160)를 덮개면(140)에 부착시키되, 그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와 상기 앵글측면부재(120)가 서로 맞닿게 되거나,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60)가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바깥쪽으로 끼워지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당연히 상기 상부 앵글측면부재(160)의 크기가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4). 포장용 종이박스에 대한 완성 단계 :
본 발명은 상기 기본부재(101)의 외측벽(132)(134) 또는 덮개면(140)을 절곡시키면, 최종적인 포장용 종이박스(100)로 완성되어진다(도 1 참조).
이때, 상기의 덮개면(140)은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 및/또는 상기의 상부 앵글측면부재(150)(160)를 서로 바깥쪽에서 덮고 있으며 그 중앙부위에서 서로 맞닿게 되어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맞닿은 곳에 접착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핑 작업을 하게 되면, 일련의 포장작업은 완성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포장용 박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이후, 포장되어야 할 제품을 그 내부에 집어넣어서 포장할 수도 있지만, 그 조립과정에서 포장되어야 할 물품을 직접 집어넣은 다음, 나머지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단일의 골판지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단순히 직각형의 종이 앵글를 절곡시켜서 대형 포장용 종이박스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대형의 톰슨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대형 포장용 종이박스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작업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작업 공수가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종래의 스티로폼과 같은 충진재를 넣지 않고 이를 대체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환경오염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특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골판지 원단을 재단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종이박스에 있어서,
    포장되어질 제품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일체형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밑면(110)과;
    직각형의 종이 앵글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키고, 4개의 앵글측면벽(122)(124)(126)(128)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밑면(110)의 위에 놓여지는 앵글측면부재(120)와;
    상기 밑면(11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면벽 중의 적어도 2개와 맞닿으면서 이중벽을 형성하는 외측벽(132)(134)과;
    상기 외측벽(132)(134)에서 더욱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면(14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장용 종이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110)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내부에 끼워져 맞추어지게 되는 위치보조용 밑면안내부(112)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장용 종이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140)에는 상기 앵글측면부재(120)의 위에 놓여지는 상부 앵글측면부재(150)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장용 종이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덮개면(140)에는 상기의 앵글측면부재(120)의 바깥쪽으로 끼워지게 되는 상부 앵글측면부재(160)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장용 종이박스.
  5. 삭제
  6. 삭제
KR1020060044495A 2006-05-17 2006-05-18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100806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4322 2006-05-17
KR1020060044322 2006-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290A KR20070111290A (ko) 2007-11-21
KR100806169B1 true KR100806169B1 (ko) 2008-02-27

Family

ID=3909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95A KR100806169B1 (ko) 2006-05-17 2006-05-18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9Y1 (ko) 2008-03-26 2010-09-24 류제원 포장상자의 봉인구조
KR102212908B1 (ko) 2019-08-20 2021-02-05 신재익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580U (ko) 1979-09-20 1981-04-25
JPH09272524A (ja) * 1996-04-04 1997-10-21 Nakabayashi Kk たとう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3428A (ja) * 2000-03-09 2001-09-18 Tamotsu Shiko:Kk 紙製の箱体
JP2002087421A (ja) * 2000-09-18 2002-03-27 Takayuki Tachibana 組立式包装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580U (ko) 1979-09-20 1981-04-25
JPH09272524A (ja) * 1996-04-04 1997-10-21 Nakabayashi Kk たとう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3428A (ja) * 2000-03-09 2001-09-18 Tamotsu Shiko:Kk 紙製の箱体
JP2002087421A (ja) * 2000-09-18 2002-03-27 Takayuki Tachibana 組立式包装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9Y1 (ko) 2008-03-26 2010-09-24 류제원 포장상자의 봉인구조
KR102212908B1 (ko) 2019-08-20 2021-02-05 신재익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290A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14617A (es) Recipiente de carton con soporte del fondo.
PT1631499T (pt) Sistema de recipiente de transporte para mercadorias, em particular para fruta e vegetais
JP5600495B2 (ja) 包装部材
KR100806169B1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US6311842B1 (en) Packaging methods and products
EP2341006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100553960B1 (ko)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
KR101026959B1 (ko) 택배용 포장박스
KR20120127110A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KR20070106350A (ko)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100774587B1 (ko)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JP2017507857A5 (ko)
KR20160008905A (ko) 접이식 관
EP0522654A2 (en) Sectional box with corner forming and locking elements
KR20130001536U (ko)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KR200177848Y1 (ko)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KR101802702B1 (ko) 상품 고정용 적층 포장체
CN205150506U (zh) 一种框架式包装箱
JP3006889U (ja) 角形紙製包装容器
EP0449062B1 (en) Support structure for cardboard containers to be handled by fork lift trucks
KR200199538Y1 (ko) 지관을 이용한 팔레트
KR200432059Y1 (ko) 제품 포장용 하부박스
CN213832447U (zh) 一种四只装的产品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