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905A - 접이식 관 - Google Patents

접이식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905A
KR20160008905A KR1020140089309A KR20140089309A KR20160008905A KR 20160008905 A KR20160008905 A KR 20160008905A KR 1020140089309 A KR1020140089309 A KR 1020140089309A KR 20140089309 A KR20140089309 A KR 20140089309A KR 20160008905 A KR20160008905 A KR 201600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be
cover
coffi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의성
Original Assignee
심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의성 filed Critical 심의성
Priority to KR102014008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905A/ko
Publication of KR2016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접이식 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 그리고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바닥판과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측판 각각이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관 본체의 바닥판과 상, 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덮개판, 그리고 덮개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판을 포함하며, 덮개판과 벽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벽판 각각이 덮개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덮개; 및 관 본체의 외면 및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로 구성된다. 또한, 바닥판, 그리고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바닥판과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측판 각각이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관 본체를 개폐하는 관 덮개; 및 관 본체의 외면 및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판지와 같은 지류를 사용하여 관을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접이식 관으로 사용되는 골판지의 표면에 보강부를 적층시키고, 관 본체 및 관 덮개 일부에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되어 접는 과정에서의 파손은 물론, 인양끈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관{Folding coffin}
본 발명은 골판지 등의 비교적 두꺼운 지류(紙類)를 사용하여 관을 접이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접이식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관 본체에 관 덮개가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관은 대부분 목재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분적으로 금속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관은 대부분 박스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 이후 운송시 공간 소모율이 크고,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양의 운송은 물론,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물류비용의 상승은 결국 제품의 단가 상승이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8736호 2000. 7. 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8529호 2013. 12. 30.
본 발명은, 목재 관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는 골판지를 포함한 지류를 사용함으로써, 관을 접이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접이식 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 본체 및 관 덮개로 사용되는 골판지를 포함한 지류의 표면에 보강부재를 적층시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접는과정에서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이 구조의 관 본체의 상면과 관 덮개의 저면에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인양끈을 관에 둘렀을 때 인양끈에 의한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바닥판, 그리고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바닥판과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측판 각각이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관 본체의 바닥판과 상, 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덮개판, 그리고 덮개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판을 포함하며, 덮개판과 벽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벽판 각각이 덮개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덮개; 및 관 본체의 외면 및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바닥판, 그리고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바닥판과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측판 각각이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관 본체를 개폐하는 관 덮개; 및 관 본체의 외면 및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관 본체의 바닥판 상면, 바닥판 저면, 측판 내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관 덮개의 덮개판 저면, 덮개판 상면, 벽판 내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관 덮개의 상면,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 덮개의 벽판이 관 본체의 측판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 본체 및 관 덮개는 골판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는 부직포, 실크, 면을 포함한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는 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일부분 및 관 덮개의 덮개판과 벽판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는 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일부분 및 관 덮개의 상면과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관에 따르면, 목재 관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는 골판지를 사용하여 접이식의 관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전에는 평판 형태로 유지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이나 보관시 적층 상태로 쌓을 수 있어 많은 양의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 본체 및 관 덮개로 사용되는 골판지의 표면 일부 또는 전체에 보강부재를 적층시켜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두꺼운 골판지의 사용이 가능하여 관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접는과정에서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이 찢어지는 현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 본체 및 관 덮개를 접이 구조로 구현할 때 관 본체의 상면과 관 덮개의 저면에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기 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인양끈에 의해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이 눌려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접기 이전의 평판형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시 보강부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 이후 인양끈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관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접기 이전의 평판형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시 보강부(300)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제작 이후 인양끈(6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은, 관 본체(100), 관 덮개(200), 보강부(300), 제1지지부(400), 제2지지부(500), 인양끈(600) 등으로 구성된다.
관 본체(100)는 시신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부의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120)을 포함한다. 관의 제작 이전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바닥판(110)과 각 측판(120)이 평평한 판재 형태를 이루게 되며, 관 제작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바닥판(110)과 측판(120)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측판(120) 각각이 바닥판(110)과 상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접어 사용한다.
관 덮개(200)는 관 본체(100)의 개폐와 시신의 밀봉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상, 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덮개판(210)과, 덮개판(210)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판(220)을 포함한다. 관의 제작 이전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관 본체(100)와 같이 덮개판(210)과 각 벽판(220)이 평평한 판재 형태를 이루게 되며, 관 제작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덮개판(210)과 벽판(220)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벽판(220) 각각이 덮개판(210)과 하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접어 사용한다.
이때 접이식 관을 구성하는 관 본체(100) 및 관 덮개(200)는 골판지 등의 두꺼운 지류로 형성된다.
또한, 관 덮개(200)의 각 벽판(220)이 관 본체(100)의 각 측판(120)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보강부(300)는 관 본체(100)의 외면 및 관 덮개(200)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어, 접이식 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관 본체(100)의 각 측판(120)과 관 덮개(200)의 각 벽판(220)을 접는 과정에서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이나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과의 경계지점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보강부(300)는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각 측판(120)의 하부면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과 각 벽판(220)의 상부면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 상태에서 관 본체(100)의 각 측판(120)과 관 덮개(200)의 각 벽판(220)을 접을 때 보강부(300)도 함께 접혀지기 때문에 관 본체(100) 및 관 덮개(200)를 두껍게 제작하더라도 접는 과정에서 경계지점이나 모서리 등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부(300)는 부직포, 실크, 면 등의 각종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300)는 전술한 설명의 관 본체(100)의 외면 및 관 덮개(200)의 외면 전체에 각각 부착되는 것 이외에, 도 4에서와 같이 바닥판(110)과 측판(120)의 일부분, 덮개판(210)과 벽판(220)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보강부(300)는 표면에 문양이나 글자 등의 인쇄처리를 통해 별도의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제1지지부(400)는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 상면에 형성되며, 관 본체(100)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바닥판(110)의 휨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관 제작시 각 측판(120)의 각도 유지 기능 및 관 제작 이후 인양끈(600)을 감았을 때 인양끈(600)에 의해 바닥판(110)과 각 측판(120) 사이의 경계지점이나 모서리가 찌그러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제1지지부(400)는 바닥판(110)과 동일한 면적의 목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골판지, 합판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닥판(110)의 상부면에 적층 형태로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각 측판(120)을 바닥판(110)과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접어 수직방향으로 세우면 각 측판(120)의 내측면 중 하단부는 제1지지부(400)의 테두리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바닥판(110) 상에 제1지지부(4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각 측판(120)을 접으면 바닥판(110)의 강도가 보강됨은 물론 각 측판(120)이 정확한 각을 이루며 수직 상태로 접혀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400)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바닥판(110)의 저면, 각각의 측판(120) 내벽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500)는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 저면에 형성되며, 관 덮개(200)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제1지지부(400)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덮개판(210)의 휨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관 제작시 각 벽판(220)의 각도 유지 기능 및 관 제작 이후 인양끈(600)을 감았을 때 인양끈(600)에 의해 덮개판(210)과 각 벽판(220) 사이의 경계지점이나 모서리가 찌그러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제2지지부(500)는 덮개판(210)과 동일한 면적의 목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골판지, 합판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덮개판(210)의 저면에 밀착되어 적층 형태로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각 벽판(220)을 덮개판(210)과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접어 아래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접으면 각 벽판(220)의 내측면 중 상단부는 제2지지부(500)의 테두리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덮개판(210)에 제2지지부(500)가 중첩된 상태에서 각 벽판(220)을 접으면 덮개판(210)의 강도가 보강됨은 물론 각 벽판(220)이 정확한 각을 이루며 수직 상태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500)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 저면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덮개판(210)의 상면, 각각의 벽판(220) 내벽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500)는 벽판(2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6의 경우 관 덮개(200)의 저면 이외에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인양끈(600)은 관 본체(100) 내에 시신이 안치되고, 도 5와 같이 관 본체(100) 상에 관 덮개(200)가 덮여진 상태에서 관 둘레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감겨져 관을 이송할 때 관 본체(100)와 관 덮개(200)가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 및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인양끈(600)은 기다란 띠 형태이고 관 본체(100)와 관 덮개(200) 둘레를 동시에 휘감는 형태로 둘러싸고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각 측판(120)의 경계지점이나 모서리, 그리고 관 덮개(200)의 덮개판(210)과 각 벽판(220)의 경계지점이나 모서리가 인양끈(600)에 의해 눌려지는데, 관 본체(100)와 관 덮개(200)의 내부에는 각각 제1지지부(400)와 제2지지부(500)가 위치하고 있고 제1지지부(400)와 제2지지부(500)의 테두리면이 경계지점이나 모서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계지점이나 모서리가 인양끈(600)에 의해 과도하게 눌려져 찌그러지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관 덮개(200a)의 형상, 보강부(300a)의 일부 구성, 제2지지부(500a)의 크기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때 관 본체(100), 제1지지부(40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 덮개(200a)는 관 본체(100)의 개폐와 시신의 밀봉 역할을 수행한다. 즉 관 덮개(200a)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의 관 덮개(200)와 달리 벽판(220)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뚜껑 형태로 되어 있다.
보강부(300a)는 관 본체(100)의 외면 및 관 덮개(200)의 외면 전체에 각각 부착되는 것 이외에, 도 6에서와 같이 관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측판(120)의 일부분, 그리고 관 덮개(200a)의 상면과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2지지부(500a)는 관 덮개(200a)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관 덮개(200a)의 저면에 형성되며, 관 덮개(200a)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관 덮개(200a)의 휨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접이식 관 제작 이후 인양끈(600)을 감았을 때 인양끈(600)에 의해 관 덮개(200a)의 모서리가 찌그러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제2지지부(500a)는 관 본체(100)에 관 덮개(200a)를 덮을 때 관 본체(100)의 양측 측판(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한다. 즉 제2지지부(500a)의 형상을 관 본체(100)의 양측 측판(120) 사이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관 덮개(200a)를 관 본체(100)에 덮을 때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골판지와 같은 지류를 사용하여 관을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접이식 관으로 사용되는 골판지의 표면 일부 또는 전체에 보강부를 적층시키고, 관 본체 및 관 덮개에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되어 접는 과정에서의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이 찢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인양끈 사용과정에서 모서리나 접히는 부분이 눌려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관 본체 110 : 바닥판
120 : 측판 200, 200a : 관 덮개
210 : 덮개판 220 : 벽판
300 : 보강부 400 : 제1지지부
500, 500a : 제2지지부 600 : 인양끈

Claims (10)

  1. 바닥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측판 각각이 상기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상기 관 본체의 바닥판과 상, 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덮개판, 그리고 상기 덮개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판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과 상기 벽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벽판 각각이 상기 덮개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덮개, 그리고
    상기 관 본체의 외면 및 상기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관.
  2. 바닥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측판 각각이 상기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는 관 본체,
    상기 관 본체를 개폐하는 관 덮개, 그리고
    상기 관 본체의 외면 및 상기 관 덮개의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의 바닥판 상면, 바닥판 저면, 측판 내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덮개의 덮개판 저면, 덮개판 상면, 벽판 내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덮개의 상면,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덮개의 벽판이 상기 관 본체의 측판 외면을 감싸는 접이식 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 및 상기 관 덮개는,
    골판지로 형성되는 접이식 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부직포, 실크, 면을 포함한 직물로 형성되는 접이식 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일부분, 그리고 상기 관 덮개의 덮개판과 벽판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접이식 관.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관 본체의 바닥판과 측판의 일부분, 그리고 상기 관 덮개의 상면과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접이식 관.
KR1020140089309A 2014-07-15 2014-07-15 접이식 관 KR20160008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09A KR20160008905A (ko) 2014-07-15 2014-07-15 접이식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09A KR20160008905A (ko) 2014-07-15 2014-07-15 접이식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05A true KR20160008905A (ko) 2016-01-25

Family

ID=5530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309A KR20160008905A (ko) 2014-07-15 2014-07-15 접이식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9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01B1 (ko) 2019-03-27 2020-05-18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접이식 관
KR102132683B1 (ko) 2020-05-18 2020-07-10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접이식 관
KR20210112505A (ko) 2020-03-05 2021-09-15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조립식 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60Y1 (ko) * 1999-08-02 2000-02-15 김광수
KR200188583Y1 (ko) * 2000-02-08 2000-07-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KR200198736Y1 (ko) 2000-05-23 2000-10-02 대영포장주식회사 골판지를 이용한 지관
KR200209496Y1 (ko) * 2000-06-19 2001-01-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CN2456679Y (zh) * 2000-11-28 2001-10-31 彦冠实业有限公司 纸寿器
KR101348529B1 (ko) 2011-11-02 2014-01-07 임창빈 영정카드부가 구비된 입체형 종이박스 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60Y1 (ko) * 1999-08-02 2000-02-15 김광수
KR200188583Y1 (ko) * 2000-02-08 2000-07-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KR200198736Y1 (ko) 2000-05-23 2000-10-02 대영포장주식회사 골판지를 이용한 지관
KR200209496Y1 (ko) * 2000-06-19 2001-01-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CN2456679Y (zh) * 2000-11-28 2001-10-31 彦冠实业有限公司 纸寿器
KR101348529B1 (ko) 2011-11-02 2014-01-07 임창빈 영정카드부가 구비된 입체형 종이박스 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01B1 (ko) 2019-03-27 2020-05-18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접이식 관
KR20210112505A (ko) 2020-03-05 2021-09-15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조립식 관
KR102132683B1 (ko) 2020-05-18 2020-07-10 최영선 사용성이 우수한 접이식 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850A1 (en)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KR20160008905A (ko) 접이식 관
CN106564674A (zh) 一种基于包装单元的机电产品重型纸质包装箱及其包装方法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101552707B1 (ko) 엘씨디 필름용 포장상자
JP6090677B1 (ja) 弁当箱
KR100806169B1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JP5590184B1 (ja) 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箱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方法
JP3237996U (ja) 梱包箱及び梱包箱用のブランクシート
KR101574610B1 (ko) 포장상자용 덮개
KR102545936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포장박스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120007251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101329848B1 (ko) 박스 모서리 보강구
KR20110028060A (ko) 덮개 일체형 과일상자
KR101124669B1 (ko) 손잡이를 갖는 포장용 상자
JP2016124561A (ja) ロール製品用ケース
CN211076716U (zh) 一种适用于冷链运输的包装盒结构
CN208439566U (zh) 一种蜂窝包装箱
KR101656329B1 (ko) 아치형 손잡이를 갖는 포장 박스
KR20150102199A (ko) 포장용 박스
ITPD990050U1 (it) Cassetta di contenimento per prodotti di commercio
JP2009046168A (ja) 梱包構造体
CN104192399B (zh) 一种高强度瓦楞纸箱
JP2016068954A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製の梱包用緩衝支持枠及び梱包品の梱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