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908B1 -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908B1
KR102212908B1 KR1020190101598A KR20190101598A KR102212908B1 KR 102212908 B1 KR102212908 B1 KR 102212908B1 KR 1020190101598 A KR1020190101598 A KR 1020190101598A KR 20190101598 A KR20190101598 A KR 20190101598A KR 102212908 B1 KR102212908 B1 KR 10221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ide wall
packaging box
cover
tabl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익
Original Assignee
신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익 filed Critical 신재익
Priority to KR102019010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908B1/ko
Priority to PCT/KR2020/008372 priority patent/WO20210339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65D5/461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ither the handle elements being formed with lugs which engage with the other side walls or closure flaps, or the other closure flaps folding over a part of the handle to maintain the hand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접어서 박스로 조립하는 종이 판재로 이루어진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로서, 상기 종이판재는, 중앙에 제1 내지 제4접이선으로 형성된 사각지지판; 상기 사각지지판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3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3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5 및 제8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2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4측벽결합부; 상기 제3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6 및 제7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4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측벽결합부; 및 상기 사각지지판의 제2 및 제4접이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감싸고 상기 포장박스의 개방영역을 감싸는 제1 및 제2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이 결합되어 제2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결합홈이 결합되어 제4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Folded packing box capable of changing multipurpose transformation}
본 발명은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판재를 접고 결합하여 사각박스 형태로 만드는 제1용도, 휴대용 포장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제2용도, 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제3용도로 쉽게 변신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배달음식에 대한 수요와 식품, 음료 등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 포장 박스에 대한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위생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식품 포장 용기의 소재가 점차 고급화되면서, 1회용품 이상의 품질을 갖게 되어 그대로 쓰레기로 처리하기엔 자원이 낭비된다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6169호(발명의 명칭: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에는 골판지 원단을 재단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종이박스에 있어서, 포장되어질 제품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일체형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밑면(110)과; 직각형의 종이 앵글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키고, 4개의 앵글측면벽(122)(124)(126)(128)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밑면(110)의 위에 놓여지는 앵글측면부재(120)와; 상기 밑면(11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면벽 중의 적어도 2개와 맞닿으면서 이중벽을 형성하는 외측벽(132)(134)과; 상기 외측벽(132)(134)에서 더욱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면(1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포장용 종이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 종이박스는 전자부품을 포장하여 운반하기 위한 단일 용도의 박스를 구현하고 있어 다른 용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다른 구조를 가지는 포장박스 또는 용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도 포장박스를 운반이 가능하거나 테이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견고하지 못하여 실용성이 떨어지거나 구조가 불편하여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6169호(발명의 명칭: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이 판재를 접고 결합하여 사각박스 형태로 만드는 제1용도, 휴대용 포장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제2용도, 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제3용도로 쉽게 변신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접어서 박스로 조립하는 종이 판재로 이루어진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로서, 상기 종이판재는, 중앙에 제1 내지 제4접이선으로 형성된 사각지지판; 상기 사각지지판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3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3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5 및 제8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2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4측벽결합부; 상기 제3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6 및 제7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4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측벽결합부; 및 상기 사각지지판의 제2 및 제4접이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감싸고 상기 포장박스의 개방영역을 감싸는 제1 및 제2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이 결합되어 제2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결합홈이 결합되어 제4측벽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4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의 상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의 하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상기 제2 및 제3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에는 제9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에는 제10접이선 이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부의 제9접이선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9접이선이 접혀서 상기 제1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이 감싸지고, 상기 제10접이선이 접혀서 상기 제2덮개부로 상기 제1덮개부 상부가 감싸지고, 상기 제2덮개부의 결합돌출부가 상기 제1덮개부의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에는 제9접이선 및 제11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에는 제10접이선 및 제12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 사이에 제13 및 제14접이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 각각에 제1 및 제2결합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 각각의 말단영역의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공에 삽입되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4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접이선 및 상기 제11접이선이 순차적으로 접혀서 상기 제1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면서 상기 제1덮개부의 말단영역이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제10접이선 및 상기 제12접이선이 순차적으로 접혀서 상기 제2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면서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이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제1 및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걸이부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공에 삽입되어 휴대용 박스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9 및 제11접이선의 사이에 상기 제9 및 제11접이선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다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0 및 제12접이선의 사이에 상기 제10 및 제12접이선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3 및 제4다리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종이판재와 별도로 제작된 제1 및 제2테이블용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는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는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의 말단영역에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테이블 다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중앙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에 서로 이격된 제3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중앙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중앙결합홈이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2중앙결합홈이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3 및 제14접이선에 의해 접혀서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가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중앙결합홈이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2중앙결합홈이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된 후에, 상기 제1기립상태 유지부 일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1덮개부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1기립상태 유지부 타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2덮개부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기립상태 유지부 일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1덮개부 영역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기립상태 유지부 타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2덮개부 영역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 판재를 접고 결합하여 포장박스의 적층이 용이하고 냉장고 선반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접어서 사각박스 형태로 만드는 제1용도, 사용자가 포장박스를 손으로 잡고 이동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휴대용 포장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제2용도, 포장박스로 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제3용도로 쉽게 변신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운반 과정에서도 파손이나 변형이 거의 없고 테이블로 사용할 때에도 포장된 음식물을 놓고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종이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1용도를 위하여 사각박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2용도를 위하여 휴대용 포장박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3용도를 위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접어서 박스로 조립하는 종이 판재로 이루어지고, 접고 결합하여 제1 내지 제3용도로 변신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 측면에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포장박스의 적층이 용이하고 냉장고 선반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접어서 사각박스 형태로 만드는 제1용도, 사용자가 포장박스를 손으로 잡고 이동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휴대용 포장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제2용도, 포장박스로 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제3용도로 쉽게 변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종이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어서 박스로 조립하는 종이 판재로 이루어진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며, 종이판재는, 중앙에 제1 내지 제4접이선(111,112,113,114)으로 형성된 사각지지판(100); 상기 사각지지판(100)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3접이선(111,113)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상기 제1측벽부(121)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5 및 제8접이선(131,134)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2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4측벽결합부(135,138); 상기 제3측벽부(123)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6 및 제7접이선(132,133)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4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측벽결합부(136,137); 및 상기 사각지지판(100)의 제2 및 제4접이선(112,114)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감싸고 상기 포장박스의 개방영역을 감싸는 제1 및 제2덮개부(140,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135,136,137,138) 각각의 말단에 제1 내지 제4결합홈(135a,136a,137a,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135a,136a)이 결합되어 제2측벽(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결합홈(137a,138a)이 결합되어 제4측벽(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사각지지판(100)은 포장박스의 바닥 지지판이며, 제1 및 제3접이선(111,113)을 접어서 포장박스의 제1 및 제3측벽부(121,123)를 구성하고, 제1 및 제2측벽결합부(135,136)를 접고 결합하여 포장박스의 제2측벽을 형성하고, 제3 및 제4측벽결합부(137,138)를 접고 결합하여 포장박스의 제4측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사각지지판(100)과 제1 내지 제4측벽이 만들어진 포장박스에 캔들을 내장하고, 후술된 접이 구성, 결합 구성으로 제1 내지 제3용도로 변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포장박스는 캔들을 눕혀 1열 또는 2열로 배치할 수 있고, 캔의 사이즈에 따라 포장박스에 내장되는 캔의 개수는 정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박스에 8개를 2열로 눕혀서 배치하여 내장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여름철 포장박스가 냉장된 상태에서 냉장고 외부로 노출된 경우 온도차로 인하여 포장박스에 이슬이 맺혀 종이재질의 포장박스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포장박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캔이 접촉되는 사각지지판,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제1 및 제4측벽결합부(135,138), 및 제2 및 제3측벽결합부(136,137)에 수분차단막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수분차단막은 금속성 재질의 박판이거나, 수지의 코팅막일 수 있다.
이때, 수분차단막은 사각지지판,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제1 및 제4측벽결합부(135,138), 및 제2 및 제3측벽결합부(136,137)의 내부에 있거나 또는 접하는 접이선에는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든 접이선을 종이판재를 가압툴로 눌러서 형성한다.
그러므로, 접이선은 종이판재의 다른면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조립할 시 접기가 용이하다.
즉, 종이판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접이선은 종이판재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오목 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고 결합하여 다양한 용도로 변신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4측벽결합부(135,138) 각각의 말단의 상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제1 및 제4결합홈(135a,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및 제3측벽결합부(136,137) 각각의 말단의 하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제2 및 제3결합홈(136a,13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각각에는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 각각에는 제1 및 제2결합장공(161,1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덮개부(140)에는 제9접이선(141) 및 제11접이선(142)이 형성되고, 제2덮개부(150)에는 제10접이선(151) 및 제12접이선(152)이 형성되며, 제1덮개부(140)의 제9접이선(141)에 결합홀(148)이 구비되고, 제2덮개부(150)의 말단에 결합홀(148)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158)가 구비된다.
또, 제9접이선(141)을 접어서 제1덮개부(140)로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135,136,137,138)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을 감싸고, 제10접이선(151)을 접어서 제2덮개부(150)로 제1덮개부(140) 상부를 감싸고, 제2덮개부(150)의 결합돌출부(158)를 제1덮개부(140)의 결합홀(148)에 삽입한다.
그러므로, 다수의 포장박스를 적층하여 이동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단일의 포장박스를 냉장고의 좁은 선반에 밀어넣어 냉장보관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1접이선(142)을 접어서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을 수직하게 세우고, 제12접이선(152)은 접어서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을 수직하게 세워서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과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을 밀착시킨다.
제1 및 제2덮개부(140,150) 각각의 말단영역의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및 제2결합장공(161,166)에 삽입되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4걸이부(149a,149b,159a,159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된 제1 및 제2덮개부(140,150)의 말단영역의 제1 내지 제4걸이부(149a,149b,159a,159b)를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의 제1 및 제2결합장공(161,166)에 삽입시키면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과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은 밀착되어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덮개부(140,150)의 말단영역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손잡이용 홀(147,157)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제1 및 제2손잡이용 홀(147,157)에 손을 넣어 간편하게 포장박스를 들을 수 있다.
또,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가 더 구비되고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각각과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 사이에는 제13 및 제14접이선(162,1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 각각에는 제1 및 제2결합장공(161,1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9 및 제11접이선(141,142)의 사이에 제9 및 제11접이선(141,142)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다리삽입홀(143,144)이 형성되고, 제10 및 제12접이선(151,152)의 사이에 제10 및 제12접이선(151,152)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3 및 제4다리삽입홀(153,154)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종이판재와 별도로 제작된 제1 및 제2테이블용 다리(180)를 더 포함한다.
즉, 제1테이블용 다리(170)는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가 형성되고, 제2테이블용 다리(180)는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46)이 형성되고,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46)에 결합되는 제1중앙결합홈(173)이 형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에는 서로 이격된 제3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55,156)이 형성되고,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의 사이에는 제3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55,156)에 결합되는 제2중앙결합홈(183)이 형성된다.
<사각박스를 위한 제1용도로 변신>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종이 판재를 접고 결합하여 적층이 용이하고 냉장고의 선반에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사각박스를 구현하는 제1용도로 변신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1용도를 위하여 사각박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1과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판재의 제1 및 제3접이선(111,113)을 접어서 제1 및 제3측벽부(121,123)를 형성한다. 그후, 제7접이선(133)을 접어 제3측벽결합부(137)를 제3측벽부(123)로부터 수직하게 배치하고, 제8접이선(134)을 접어 제4측벽결합부(138)를 제1측벽부(121)로부터 수직하게 배치한다.
그다음, 제3 및 제4측벽결합부(137,138)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제3 및 제4결합홈(137a,138a)을 결합하여 제4측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3측벽결합부(137)의 말단의 하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에 제3결합홈(1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4측벽결합부(138)의 말단의 상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에 제4결합홈(138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결합홈(137a)과 제4결합홈(138a)은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후에 사용자가 물리적인 외력을 인가하여 결합을 풀지 않는 한 결합해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3 및 제4결합홈(137a,138a)이 결합으로 제4측벽이 완성되며, 제4측벽의 크기는 제1 및 제3측벽부(121,123)와 동일한 크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4측벽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제2측벽을 형성한다.
즉, 제5접이선(131)을 접어 제1측벽결합부(135)를 제1측벽부(121)로부터 수직하게 배치하고, 제6접이선(132)을 접어 제2측벽결합부(136)를 제3측벽부(123)로부터 수직하게 배치한 후, 제1 및 제2측벽결합부(135,136)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홈(135a,136a)을 결합하여 제2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각지지판(100)과 제1 내지 제4측벽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포장박스가 완성되며, 사용자(또는 소비자, 작업자 등)는 포장박스 내부에 캔들을 배치하여 내장시킨다.
제1-2과정으로, 도 3과 같이, 제9접이선(141)을 접어 제1덮개부(140)를 제2측벽을 감싸면서 포장박스 상부의 개방영역을 감싼다.
이때,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각각과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 사이에 형성된 제13 및 제14접이선(162,167)을 접어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를 포장박스 상부의 개방영역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3과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접이선(151)을 접어 제2덮개부(150)를 제4측벽을 감싸면서 제1덮개부(140)의 상부를 감싼다.
이어, 제1-4과정은 도 5와 같이, 제2덮개부(150)의 말단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58)를 제1덮개부(140)의 제9접이선(141)에 형성된 결합홀(148)에 삽입 결합하는 것으로, 제1-4과정을 수행하면 사각박스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동 및 휴대하기 위한 제2용도로 변신>
제2용도는 사용자가 포장박스를 손으로 잡고 이동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립(Grip) 가능한 휴대용 포장박스로 변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2용도를 위하여 휴대용 포장박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제2-1과정은 제1 내지 제4측벽을 형성하는 제1-1과정을 수행한 후, 제9접이선(141) 및 제11접이선(142)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제1덮개부(140)로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135,136,137,138)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을 감싸면서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을 수직하게 세우고, 제10접이선(151) 및 제12접이선(152)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제2덮개부(150)로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135,136,137,138)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을 감싸면서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을 수직하게 세운다.
그다음, 제2-2과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진 제1 및 제2덮개부(140,150)의 말단영역을 밀착하고 제1 및 제2덮개부(140,150)의 말단영역의 제1 내지 제4걸이부(149a,149b,159a,159b)를 제1 및 제3측벽부(121,123)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의 제1 및 제2결합장공(161,166)에 삽입한다.
여기서, 제1 및 제4걸이부(149a,159b)가 밀착되어 제1결합장공(161)에 삽입되고, 제2 및 제3걸이부(149b,159a)가 밀착되어 제2결합장공(166)에 삽입된다.
이로써, 제2-2과정에서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과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이 밀착되고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휴대용 포장박스의 조립이 완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제1 및 제2덮개부(140,150)의 말단영역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용 홀에 손을 넣어 간편하게 포장박스를 들어서 이동 및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테이블을 형성하기 위한 제3용도로 변신>
제3용도는 조립하여 캔을 올려놓거나 피자와 같은 음식물을 올려놓아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테이블로 변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제3용도를 위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제9 및 제11접이선(141,142)의 사이에 제9 및 제11접이선(141,142)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다리삽입홀(143,144)이 형성되어 있고, 제10 및 제12접이선(151,152)의 사이에 제10 및 제12접이선(151,152)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3 및 제4다리삽입홀(153,1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4다리삽입홀(143,154)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가 형성되어 있는 제1테이블용 다리(170), 및 제2 및 제3다리삽입홀(144,154)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테이블용 다리(180)를 활용한다.
그러므로, 도 7과 같이 제2-2과정에서 조립된 휴대용 포장박스의 상태에서, 제13 및 제14접이선으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를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시킨 다음, 테이블로 조립하는 제1 및 제2테이블용 다리(170,180)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도 8과 같이 제3-1과정으로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를 제2 및 제3다리삽입홀(144,154)에 삽입한다.
연이어, 제3-2과정으로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를 제1 및 제4다리삽입홀(143,154)에 삽입한다(도 9).
여기서, 제1덮개부(140)의 말단영역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46)이 형성되어 있고,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의 사이에는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56)에 결합되는 제1중앙결합홈(1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덮개부(150)의 말단영역에는 서로 이격된 제3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55,156)이 형성되어 있고,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의 사이에는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146,155)에 결합되는 제2중앙결합홈(18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3-1과정에서,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가 제1 및 제4다리삽입홀(143,154)에 삽입될 때,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중앙결합홈(173)은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56)과 결합되고, 제3-2과정에서,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가 제2 및 제3다리삽입홀(144,154)에 삽입될 때,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2중앙결합홈(183)은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146,155)과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테이블용 다리(180)는 포장박스와 이중 결합되어 테이블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과 같이, 제3-3과정으로 제3-2과정의 조립이 종료된 조립품을 뒤집으면 테이블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포장박스의 사각지지판(100)의 외측면이 테이블면이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3 및 제14접이선(162,167)으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를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시켜 테이블을 조립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조립된 테이블에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가 포장박스의 받침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테이블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 및 제2결합돌기(171,172)를 제2 및 제3다리삽입홀(144,154)에 삽입하고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3 및 제4결합돌기(181,182)를 제1 및 제4다리삽입홀(143,154)에 삽입하는 테이블 조립 전에,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를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160,165)를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시키는 과정에 의하여, 제1테이블용 다리(170)의 제1중앙결합홈(173)을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145,156)과 결합하고, 제2테이블용 다리(180)의 제2중앙결합홈(183)을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146,155)과 결합하는 테이블의 조립 후에, 제1기립상태 유지부(160) 일측이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제1덮개부(140)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1기립상태 유지부(160) 타측이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제2덮개부(150)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2기립상태 유지부(165) 일측이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제1덮개부(140) 영역의 타측을 지지하고 제2기립상태 유지부(165) 타측이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제2덮개부(150) 영역의 타측을 지지하는 구조가 구현됨으로써, 견고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테이블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사각지지판 111,112,113,114:제1 내지 제4접이선
121,123:제1 및 제3측벽부 131,132,133,134:제5 내지 제8접이선
135,136,137,138:측벽결합부 135a,136a,137a,138a:결합홈
140,150:덮개부 141,142,151,152: 제9 내지 제11접이선
143,144:다리삽입홀 147,157:제1 및 제2손잡이용 홀
148:결합홀 149a,149b,159a,159b:걸이부
158:결합돌출부 160,165:기립상태 유지부
162,167:제13 및 제14접이선 170,180:테이블용 다리
171,172,181,182:결합돌기 173,183:제1 내지 제2중앙결합홈

Claims (8)

  1. 접어서 박스로 조립하는 종이 판재로 이루어진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로서,
    상기 종이판재는,
    중앙에 제1 내지 제4접이선으로 형성된 사각지지판;
    상기 사각지지판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3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3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5 및 제8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2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4측벽결합부;
    상기 제3측벽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6 및 제7접이선으로 접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제4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측벽결합부, 및
    상기 사각지지판의 상기 제2 및 제4접이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측벽을 감싸고 상기 포장박스의 개방영역을 감싸는 제1 및 제2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이 결합되어 상기 제2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결합홈이 결합되어 상기 제4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부에는 제9접이선 및 제11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에는 제10접이선 및 제12접이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측벽부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 사이에 제13 및 제14접이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 각각에 제1 및 제2결합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 각각의 말단영역의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공에 삽입되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4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9접이선 및 상기 제11접이선이 순차적으로 접혀서 상기 제1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면서 상기 제1덮개부의 말단영역이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제10접이선 및 상기 제12접이선이 순차적으로 접혀서 상기 제2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면서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이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제1 및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걸이부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공에 삽입되어 휴대용 박스로 조립되며,
    상기 제9 및 제11접이선의 사이에 상기 제9 및 제11접이선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다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0 및 제12접이선의 사이에 상기 제10 및 제12접이선에 수직하게 이격 배치된 제3 및 제4다리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종이판재와 별도로 제작된 제1 및 제2테이블용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는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는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의 상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측벽결합부 각각의 말단의 하측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그 일부분 각각에 상기 제2 및 제3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부의 상기 제9접이선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에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9접이선이 접혀서 상기 제1덮개부로 상기 제1 내지 제4측벽결합부가 결합된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이 감싸지고, 상기 제10접이선이 접혀서 상기 제2덮개부로 상기 제1덮개부 상부가 감싸지고, 상기 제2덮개부의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제1덮개부의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부의 말단영역에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테이블 다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중앙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의 말단영역에 서로 이격된 제3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의 사이에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중앙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중앙결합홈이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2중앙결합홈이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 및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2 및 제3다리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3 및 제4결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4다리삽입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3 및 제14접이선에 의해 접혀서 상기 제1 및 제2기립상태 유지부가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1테이블용 다리의 제1중앙결합홈이 상기 제1 및 제4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2테이블용 다리의 제2중앙결합홈이 상기 제2 및 제3테이블 다리 결합홈과 결합된 후에,
    상기 제1기립상태 유지부 일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1덮개부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1기립상태 유지부 타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2덮개부 영역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기립상태 유지부 일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1덮개부 영역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기립상태 유지부 타측이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 개방영역의 나머지 1/2영역이 감싸는 상기 제2덮개부 영역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KR1020190101598A 2019-08-20 2019-08-20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KR10221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98A KR102212908B1 (ko) 2019-08-20 2019-08-20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PCT/KR2020/008372 WO2021033908A1 (ko) 2019-08-20 2020-06-26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98A KR102212908B1 (ko) 2019-08-20 2019-08-20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908B1 true KR102212908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598A KR102212908B1 (ko) 2019-08-20 2019-08-20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2908B1 (ko)
WO (1) WO20210339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23Y1 (ko) * 2006-03-09 2006-05-25 강영순 음식물 포장용상자
KR100806169B1 (ko) 2006-05-17 2008-02-27 팩앤팩 주식회사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101629508B1 (ko) * 2014-12-08 2016-06-13 코박스 주식회사 식품 포장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1A (ja) * 1994-06-17 1996-01-09 Sakura Packs Kk 供物の包装にも使用できる組立式三方
US20050204968A1 (en) * 2004-01-05 2005-09-22 Butkus Patricia M Collapsible table
CN205410241U (zh) * 2015-11-25 2016-08-03 张宁 便携式组合桌
CN207467149U (zh) * 2017-11-27 2018-06-08 四川成都建华食品有限公司 一种可组装方便桌的包装盒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23Y1 (ko) * 2006-03-09 2006-05-25 강영순 음식물 포장용상자
KR100806169B1 (ko) 2006-05-17 2008-02-27 팩앤팩 주식회사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101629508B1 (ko) * 2014-12-08 2016-06-13 코박스 주식회사 식품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908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3812B1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e
JP2001225830A (ja) ブランク材料で形成された可搬で積重ね可能な漏れ防止容器
US10562661B2 (en) Display tray with support column and apertures
KR102212908B1 (ko) 다용도 변신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JP3042969U (ja) トレー兼用弁当容器
KR102035460B1 (ko) 포장용 종이 박스
US20060169756A1 (en) Convertible box
JP3201728U (ja) 保冷剤収容部付包装箱
JP3088253U (ja) 紙製トレイ及び紙製トレイの組立台
KR200381438Y1 (ko) 식품포장용 종이상자
JP2000229622A (ja) 折畳式トレー
TWI542519B (zh) A cup with a handle
US20050193535A1 (en) Nestable caskets and containers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JP4402261B2 (ja) 提手付き紙箱
JPS5816525Y2 (ja) 包装装置
JP3028226U (ja) 紙 器
JP3028198U (ja) 弁当容器
JP2528367Y2 (ja) 組合せ容器
JPS6119060Y2 (ko)
KR200185429Y1 (ko) 포도 포장용 상자
JPH0326104Y2 (ko)
KR200364721Y1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JPH08282Y2 (ja) 小分け可能な包装用容器
JPH03261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