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536U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Google Patents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1536U KR20130001536U KR2020120012350U KR20120012350U KR20130001536U KR 20130001536 U KR20130001536 U KR 20130001536U KR 2020120012350 U KR2020120012350 U KR 2020120012350U KR 20120012350 U KR20120012350 U KR 20120012350U KR 20130001536 U KR20130001536 U KR 2013000153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surface
- paper box
- vertical
- cover portion
- vertical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 B65D5/204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trapezoidal, e.g. to form a body with diverging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6—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9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 바닥면과, 바닥면에 상향 절곡되는 벽면들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벽면들은 바닥면에 연결되는 밑변보다 윗변이 길게 형성되어 바닥면에서 상향할수록 수용공간의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적재의 효율성이 증가하게 되며, 생산제품의 손실이 줄어들게 되며, 바닥면과 덮개에 테이핑 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작업량 및 작업 시간, 작업 비용이 절감되어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종이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과일, 야채 등의 농산물을 포장하면서,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종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및 야채 등의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촌의 생산현장에는 농산물을 저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포장용 종이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조립 전의 종래의 종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된 후의 도 1의 종이박스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종이박스(100)는 제 1 가로벽면(101)과 제 2가로벽면(103), 제 1세로벽면(105), 제 2세로벽면(107)이 사각 형태로 연결되어 몸체를 이루며, 몸체의 상단에는 덮개를 이루는 덮개 플랜지판(113), (115)이 절곡 가능하게 이어지며, 몸체의 하단에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면 플랜지판(109), (111)들이 절곡 가능하게 이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종이박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농산물이 지지되도록 하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면 플랜지판(109), (111)들을 절곡하여 바닥부들이 맞닿는 부분에 접착테이프(117)를 이용하여 밀봉시켜 사용한다.
또한 바닥면이 밀봉되면, 내부 공간으로 농산물을 수용한 후 바닥면과 동일한 과정으로 덮개 플랜지판(113), (115)들이 맞닿는 부분에 접착테이프(117)를 이용하여 밀봉시키며, 밀봉된 종이박스(100)들은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에 적재되어 시장 및 도매상, 소매상 등으로 이동하여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종이박스(100)는 무게가 가볍고, 조립이 복잡하지 않은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작업현장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종이박스(100)는 농산물 생산(작업) 현장으로 운반 시 제1가로벽면(101)과 제2가로벽면(103)을 밀착시켜 납작하게 눌려진 상태로 운반되어지고, 작업인부가 현장에서 일일이 도 1과 같은 형태로 형성한 후 밑면에 테이프 작업을 한 후에라야 농산물을 종이박스(100) 내부에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또한 밑면의 플랜지들을 테이프 작업을 하여야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별도의 테이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포장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시장 및 소매상, 도매상 등으로 운송된 종이박스는 접착 테이프(117)가 접착된 부분을 다시 뜯어야만 내용물이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요자에게 내부에 수용된 과일 및 야채를 판매하려고 할 경우 이미 한 번 개봉되었던 종이박스는 그 포장 상태가 훼손되어 재활용이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바닥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테이핑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작업량 및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절감되며, 테이프 구입 비용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비용이 절감되고, 바닥면의 각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각 벽면들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용공간이 넓어져 박스에 적재되는 농산물의 양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농산물 현장으로 종이박스 운송 시 일측 종이박스의 수용공간으로 다른 종이박스의 하부가 삽입됨으로써 동일공간 대비 많은 양의 박스가 탑재되도록 하는 농산물 종이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로와 상기 가로보다 작은 세로를 갖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가로벽면과 제 2가로벽면, 상기 바닥면의 상기 세로 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세로벽면과, 제 2세로벽면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종이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 상기 제 1세로벽면, 상기 제 2세로벽면들의 상단부로부터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평행하게 돌출되는 덮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들의 돌출길이는 대향되는 덮개부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이박스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들은 상기 덮개부들에 연결되는 윗변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밑변 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재 시 일측 종이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타측 종이박스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4cm 이상이며, 6cm 이하로 길고, 상기 제 1세로벽면과 상기 제 2세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2.5cm 이상이며, 3.5cm 이하로 긴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가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1가로 덮개부와, 상기 제 2가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2가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가로 덮개부와 상기 제 2가로 덮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의 7분의 1 이상이며, 4분의 1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세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1세로 덮개부와, 상기 제 2세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2세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세로 덮개부와 상기 제 2세로 덮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의 5분의 1 이상이며, 4분의 1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세로벽면 및 상기 제 2세로벽면의 높이는 상기 제 1가로벽면 및 상기 제 2가로벽면의 높이에서 상기 제 1세로 덮개부 및 제 2세로 덮개부의 두께를 차감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형상을 이루는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종이박스 사용 시 분리된 바닥면 플랜지들이 연결되도록 테이핑하여 밀봉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이 절감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닥면의 각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각 벽면들의 윗변이 밑변 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상향될수록 수용공간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박스 당 적재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이 넓어짐으로써 농산물 생산현장으로 종이박스 운송 시 많은 양의 조립된 종이박스를 농산물 생산현장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핑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시장 및 도, 소매상 등에 농산물이 적재된 종이박스가 운송되면, 판매 상인이 밀봉된 접착 테이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포장 상태가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보완된다.
또한 각 벽면들에 돌출 연장되는 각 덮개부들의 돌출 길이가 대칭하는 돌출부들이 접촉되지 않게 형성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며, 수요자들은 개구부를 통해 종이박스에 적재된 농산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조립 전의 종래의 종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된 후의 도 1의 종이박스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 1가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 1세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수용공간으로 농산물의 내용물 저장 후 덮개부들이 절곡되어 테이핑 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조립된 도 1의 종래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3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된 후의 도 1의 종이박스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 1가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 1세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수용공간으로 농산물의 내용물 저장 후 덮개부들이 절곡되어 테이핑 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조립된 도 1의 종래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3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종이박스(1)는 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바닥면(3)과, 바닥면(3)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제1가로벽면(11), 제2가로벽면(13), 제1세로벽면(15), 제2세로벽면(17)들과, 각 벽면(11), (13), (15), (17)들의 상단에 돌출 연장되는 덮개부(21), (23), (25), (27)들로 이루어진다.
도 4의 바닥면(3)은 가로(X)와 가로(X)보다 작은 세로(Y)를 갖는 사각형상의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며, 바닥면(3)의 각 테에는 바닥면(3)으로부터 연결되는 제 1 가로벽면(11)과, 제 2가로벽면(13), 제 1 세로벽면(15), 제 2세로벽면(17)들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제 1가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제 1세로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제 1가로벽면(11)은 바닥면(3)의 가로방향(X)의 테의 일측에 연결되며, 바닥면(3)에 연결되는 밑변(31)의 길이가 윗변(33)의 길이보다 짧으며, 높이 H인 사다리꼴 형상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가로벽면(11)의 윗변(33)의 연장된 길이(a+b)는 3.0cm 이상, 5.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윗변(33)이 밑변(31)보다 연장된 길이(a+b)가 3.0cm 이하이면, 제 1가로벽면(11)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도 8에서 후술되는 적재율이 증가하지 않게 되고, 5.0cm 이상이면 도 8에서 후술되는 적재 시 종이박스(1)의 수용공간으로 다른 종이박스(1')가 삽입되는 경우 종이박스(1)의 제 1세로벽면(15)과 제 2세로벽면(17)의 내주면에 종이박스(1')의 제 1세로벽면(15')과 제 2세로벽면(17')의 외주면이 밀착되지 않아 작업현장으로 종이박스 운송 시 종이박스들이 흔들리게 된다.
또한 제 2가로벽면(13)은 바닥면(3)의 가로방향 테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 1가로벽면(11)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5의 제 1세로벽면(15)은 바닥면(3)의 세로방향 테의 일측에 연결되며, 바닥면(3)에 연결되는 밑변(41)의 길이가 윗변(43)의 길이보다 짧으며, 높이 H'인 사다리꼴 형상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세로벽면(15)은 높이(H')가 도 4의 제 1가로벽면(11)의 높이(H)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이때 제 1세로벽면(15)의 높이(H')는 제 1가로벽면(11)의 높이(H)에서 제 1세로 덮개부(25)의 두께(T)를 차감하여 산출한다.
또한 제 1세로벽면(15)의 윗변(43)의 연장된 길이(c+d)는 2.5cm 이상, 3.5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윗변(43)이 밑변(41)보다 연장된 길이(c+d)가 2.5cm 이하이면, 제 1세로벽면(15)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도 8에서 후술되는 적재율이 증가하지 않게 되고, 3.5cm 이상이면 도 8에서 후술되는 적재 시 종이박스(1)의 수용공간으로 다른 종이박스(1')가 삽입되는 경우 종이박스(1)의 제 1가로벽면(11)과 제 2가로벽면(13)의 내주면에 종이박스(1')의 제 1가로벽면(11')과 제 2가로벽면(13')의 외주면이 밀착되지 않아 작업현장으로 종이박스 운송 시 종이박스들이 흔들리게 된다.
또한 제 2세로벽면(17)은 바닥면(3)의 세로방향 테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 1세로벽면(15)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벽면(11), (13), (15), (17)들은 후술되는 각 덮개부(21), (23), (25), (27)들에 연결되는 윗변(33), (43),들이 바닥면(3)에 연결되는 아랫변(31), (41)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벽면들(11), (13), (15), (17)은 바닥면(3)의 테로부터 수직보다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연결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1)는 바닥면(3)과 각 벽면(11), (13), (15), (17)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바닥면(3)에서 상부로 상향할수록 수용공간의 넓이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크기와 형상이 다양한 농산물의 특성상 종래의 종이박스(100)에 비교하여 박스 당 적재되는 농산물의 양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제 1가로벽면(11)과, 제 2가로벽면(13), 제 1세로벽면(15), 제 2세로벽면(17)들의 상단에는 제 1가로 덮개부(21)와, 제 2가로 덮개부(23), 제 1세로 덮개부(25), 제 2세로 덮개부(27)들이 돌출 연장된다.
또한 각 덮개부(21), (23), (25), (27)들은 각 벽면(11), (13), (15), (17)들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가로벽면(11)과 제 2가로벽면(13)에 돌출 연장되는 제 1가로 덮개부(21)와 제 2가로 덮개부(23)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 길이(S)는 제 1가로 덮개부(21)와 제 2가로 덮개부(23)가 바닥면에 평행하게 내측으로 절곡되는 경우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길이,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닥면(3)의 세로길이(Y)의 5분의 1 이상, 4분의 1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길이(S)가 바닥면(3)의 세로길이(Y)의 5분의 1 이하이면 내부에 수용된 농산물의 외부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며, 4분의 1 이상이면 도 7에서 후술되는 개구부(2)의 크기가 줄어들어 수요자가 내용물 상태 확인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제 1세로벽면(15)과 제 2세로벽면(17)에 돌출 연장되는 제 1세로 덮개부(25)와 제 2세로 덮개부(27)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덮개부(21),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 길이(S')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길이,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닥면(3)의 가로길이(X)의 7분의 1 이상, 4분의 1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길이(S')가 바닥면(3)의 가로길이(X)의 7분의 1 이하이면 내부에 수용된 농산물의 외부로 쉽게 이탈하게 되며, 4분의 1 이상이면 도 7에서 후술되는 개구부(2)의 크기가 줄어들어 수요자가 내용물 상태 확인이 어려워지게 된다.
도 7은 도 3의 수용공간으로 농산물의 내용물 저장 후 덮개부들이 절곡되어 테이핑 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박스(1)에 농산물(50)이 수용되어 시장 및 도, 소매상 등으로 이동되면, 각 덮개부(21), (23), (25), (27)들은 바닥면(3)에 평행하게 내측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태에서 제 1가로 덮개부(11)와 제 2가로 덮개부(13)는 접착 테이프(117)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각 덮개부(21), (23), (25), (27)들이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종이박스(1)의 상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며, 수용자들은 개구부(2)를 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농산물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각 덮개부(21), (23), (25), (27)들은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종이박스(1)의 이동 시 내부에 수용된 농산물(5)의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8a는 도 1의 조립된 종래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3의 종이박스들이 운송수단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종이박스(100)는 도 1과 같이 조립되기 전 상태로 다량이 묶어져 농산물 생산(작업) 현장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작업인부가 부족한 작업 현장에는 작업인부 1명이 조립되기 전의 종이박스(100)를 조립하며, 조립된 종이박스(100)의 바닥면을 접착 테이프로 밀봉시킬 뿐만 아니라 농산물이 적재된 종이박스(100)의 덮개 또한 접착 테이프로 밀봉시키는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인부 1명이 종이박스(100)의 조립, 테이핑 작업을 전담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이박스 생산현장에서 종이박스(100)를 조립한 후 농산물 생산(작업) 현장으로 공급하는 경우 농산물 생산 현장의 작업률은 매우 증가하게 된다.
도 8a와 같이 종래의 종이박스(100)가 조립되어 바닥면이 미리 테이핑 된 상태로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을 통해 농산물 생산(공급) 현장으로 공급되는 경우 종이박스(100)의 탑재는 테이핑 된 종이박스(100)의 덮개 상부에 다른 종이박스(100')를 쌓고, 종이박스(100')의 덮개 상부에는 또 다른 종이박스(100'')를 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8b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1)가 적재되는 경우 종이박스(1)는 벽면(11), (13), (15), (17)들이 마름모 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이박스(1)의 탑재는 종이박스(1)의 내주면에 다른 종이박스(1')의 외주면이 접촉될 때까지 종이박스(1)의 수용공간으로 다른 종이박스(1')가 삽입되며, 종이박스(1')의 수용공간에는 또 다른 종이박스(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1)는 탑재 시 종래의 종이박스(100)를 적재하는 경우보다 동일 공간 대비 많은 양의 박스를 탑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된 종이박스(1)를 공급받은 농산물 생산 현장은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1)는 바닥면(3)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종이박스(100)에서 분리된 바닥면을 테이핑 하는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작업량과 작업 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이는 작업인부가 부족하여 작업인부를 구하기 매우 어려우며,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마쳐야 하는 농촌 실정을 생각해 봤을 때 작업의 효율성 증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테이핑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테이프 구입 비용이 생략되어 박스당 100원에서 70원까지의 작업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벽면(11), (13), (15), (17)들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서 상향될수록 수용공간이 증가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생산되는 생산물(50)의 제품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생산되는 농산물 특성상 종래에 비교하여 종이박스(1) 당 적재율이 매우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종이박스(1)는 각 덮개부(21), (23), (25), (27)들의 돌출길이(S), (S')가 대칭되는 덮개부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2)가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종이박스(100) 사용 시 판매 상인이 밀봉된 테이프를 분리하는 작업으로 인해 포장상태가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해결되며, 판매 상인이 수요자가 생산물의 상태확인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개구부를 일일이 만드는 작업이 생략되게 된다.
1:종이박스 2:개구부 3:바닥면
11:제 1가로벽면 13:제 2가로벽면 15:제 1세로벽면
17:제 2세로벽면 21:제 1가로덮개부 23:제 2가로덮개부
25:제 1세로덮개부 27:제 2세로덮개부 50:생산물
100:종래의 종이박스
11:제 1가로벽면 13:제 2가로벽면 15:제 1세로벽면
17:제 2세로벽면 21:제 1가로덮개부 23:제 2가로덮개부
25:제 1세로덮개부 27:제 2세로덮개부 50:생산물
100:종래의 종이박스
Claims (4)
- 가로와 상기 가로보다 작은 세로를 갖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가로벽면과 제 2가로벽면, 상기 바닥면의 상기 세로 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세로벽면과, 제 2세로벽면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종이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 상기 제 1세로벽면, 상기 제 2세로벽면들의 상단부로부터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평행하게 돌출되는 덮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들의 돌출길이는 대향되는 덮개부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이박스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들은 상기 덮개부들에 연결되는 윗변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밑변 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재 시 일측 종이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타측 종이박스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4cm 이상이며, 6cm 이하로 길고, 상기 제 1세로벽면과 상기 제 2세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2.5cm 이상이며, 3.5cm 이하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박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가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1가로 덮개부와, 상기 제 2가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2가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가로 덮개부와 상기 제 2가로 덮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의 7분의 1 이상이며, 4분의 1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박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세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1세로 덮개부와, 상기 제 2세로벽면에 연장되는 제 2세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세로 덮개부와 상기 제 2세로 덮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의 5분의 1 이상이며, 4분의 1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박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세로벽면 및 상기 제 2세로벽면의 높이는 상기 제 1가로벽면 및 상기 제 2가로벽면의 높이에서 상기 제 1세로 덮개부 및 제 2세로 덮개부의 두께를 차감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350U KR20130001536U (ko) | 2012-12-28 | 2012-12-28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350U KR20130001536U (ko) | 2012-12-28 | 2012-12-28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3665A Division KR20120003045A (ko) | 2010-07-02 | 2010-07-02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536U true KR20130001536U (ko) | 2013-03-06 |
Family
ID=5242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2350U KR20130001536U (ko) | 2012-12-28 | 2012-12-28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153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14226A1 (en) * | 2021-08-05 | 2023-02-09 | Hovelsrud gård | Foodstuff packaging |
KR20230053826A (ko) | 2021-10-15 | 2023-04-24 | 김욱영 | 포장용 박스 |
-
2012
- 2012-12-28 KR KR2020120012350U patent/KR2013000153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14226A1 (en) * | 2021-08-05 | 2023-02-09 | Hovelsrud gård | Foodstuff packaging |
KR20230053826A (ko) | 2021-10-15 | 2023-04-24 | 김욱영 | 포장용 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185511A1 (en) | Packaging assembly | |
US9096349B2 (en) | Divider boxes and their assembly | |
US20170137212A1 (en) |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 |
JP2014524393A (ja) | 折り畳み式ダンボール箱 | |
KR101211934B1 (ko) |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 |
US20180215500A1 (en) | Displayable shipping container | |
KR20130001536U (ko)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
KR100553960B1 (ko) |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 | |
CN211568539U (zh) | 一种高强度包装纸箱 | |
KR200469485Y1 (ko) |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 |
KR20060089589A (ko) | 포도를 매달아 포장하는 포도포장상자 및 포도송이 상하부줄기 만드는 방법 , 포도를 매달아 포장하거나 포도송이의 상하부 줄기를 고정하는 방법 | |
KR20120003045A (ko) | 농산물 포장용 종이박스 | |
KR100976392B1 (ko) | 포장 박스 및 그의 제조방법 | |
CN210235620U (zh) | 纸质运输包装箱 | |
KR100806169B1 (ko) |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 |
KR200468026Y1 (ko) | 모서리가 보강된 트레이 박스 | |
KR100888759B1 (ko) | 포장용 박스 및 박스제조용 블랭크 | |
KR101691003B1 (ko) | 포장용 상자 | |
KR101476706B1 (ko) | 비접착방식의 포장용 상자 | |
KR101476636B1 (ko) |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 |
KR101558300B1 (ko) | 포장용 박스 | |
CN214414329U (zh) | 一种食品包装盒 | |
KR20120007250U (ko) |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 |
KR200374148Y1 (ko) |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 | |
KR101164088B1 (ko) | 포장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