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50U -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50U
KR20120007250U KR2020110003092U KR20110003092U KR20120007250U KR 20120007250 U KR20120007250 U KR 20120007250U KR 2020110003092 U KR2020110003092 U KR 2020110003092U KR 20110003092 U KR20110003092 U KR 20110003092U KR 20120007250 U KR20120007250 U KR 201200072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all
side wall
packaging box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문
Original Assignee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250U/ko
Publication of KR20120007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저면과 측벽과 가로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위에 덮개로 덮혀지는 6면체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측벽(2)과 가로벽(10) 사이에 보강편(1)을 구성하되, 상기한 보강 측벽(2)을 연장하여 제1,2,3접힘부(21,22,23)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1,2접힘부(21,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은 가로벽(10)과 접착되는 제1접합부(5)를 형성하고, 제3접힘부(23)와 그 끝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부(4)는 측벽(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측벽(2)에는 그 상부에 돌기(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부홈(15)을 형성하며, 상기한 가로벽(10)의 상부에는 가로돌기(13)가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가로홈(16)을 형성하여, 포장 박스를 적층시 포장 박스들이 상하로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packing box having reinforced corner}
본 고안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더욱 강화한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 갖춘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 박스는 대체로 적층하여 쌓아 두는데 이 경우 가장 집중 하중을 받는 부분이 박스의 모서리 부분이다
따라서 적층 하중이 매우 클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이 찌그러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모서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한 구조의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되는 재료의 손실이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저면과 측벽과 가로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위에 덮개로 덮혀지는 6면체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측벽(2)과 가로벽(10) 사이에 보강편(1)을 구성하되, 상기한 보강 측벽(2)을 연장하여 제1,2,3접힘부(21,22,23)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1,2접힘부(21,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은 가로벽(10)과 접착되는 제1접합부(5)를 형성하고, 제3접힘부(23)와 그 끝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부(4)는 측벽(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측벽(2)에는 그 상부에 돌기(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부홈(15)을 형성하며, 상기한 가로벽(10)의 상부에는 가로돌기(13)가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가로홈(16)을 형성하여, 포장 박스를 적층시 포장 박스들이 상하로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어 상부로 부터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여 포장박스가 모서리 부분에서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 의 구성의 경우, 포장박스로 사용되는 재료의 손실이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각각의 포장박스들이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인해, 포장박스들의 적층이 안정적이고 운반 및 보관시 유리하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한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 의 전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서리 부분에 보강편(1)을 형성하였다
보강편(1)을 상부에서 보면 삼각 형상이 된다. 보강편(1)은 측벽(2)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측벽(2)의 구성을 이룬 뒤 그 연장된 길이 부재를 3번 절곡하여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최종 단부(4)는 측벽(2) 내측에 부착(접착)이 된다. 한번 절곡되어 가로벽(10)과 부착되는 제1접착부(5)와 2번 절곡되어 측벽(2)과 접착되는 제2접착부(6)로 이루어진다
또한 양 측벽(2)에는 돌기(11)를 형성하고, 양 가로벽(10)에는 가로돌기(13) 2 개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들 돌기는 그 위에 적층되는 박스에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박스의 측벽(2)저부에는 저부홈(15)이 형성되고, 가로벽(10)의 저부에도 가로홈(16)을 형성한다. 이들 홈들은 돌기들의 돌출되는 길이 보다 조금 큰 홈으로 구성하되 홈의 형성 높이는 돌기들의 돌출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여 돌기들이 끼워져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한번 끼워져 들어가면 쉽게게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그리하여 박스들을 높이로 적층시킬 때 상호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박스에 형성한 홈들은 공기 소통에도 유리하다
박스 내로 공기소통이 원활하여 내부에 수분의 누적되어 종이재질의 박스가 누글누글하여 지는 것을 방지하고 야채나 과일을 수용할 경우 제품의 신선도 유지에 유리하다.
참고로 도 2 는 도 1 의 전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이 연장되게 구성되어 제1,2,3접힘부(21,22,23)가 구성되게 하고 그 끝에는 단부(4)가 구성되게 한다
가로홈(16)은 원형상으로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원형상 통공의 반쪽은 바닥면(25)에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은 가로벽(10)에 형성되게 한다. 가로벽(10)에 형성한 가로홈(16)이 반원 형상이면 그에 맞게 도 1 에 도시한 가로돌기(13)의 형상도 반원으로 구성하면 된다
상기 도 2 의 구성의 또 다른 장점은 사용되는 포장박스의 원재료를 최소한 으로 하여 제조 가능한 정점도 있다. 즉, 육면체로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가 거의 사각 형상으로 나오므로 불필요하게 절단되어 버려지는 재료 부분이 거의 없어 재료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예이다
본 구성에서는 덮개(40)에 끼움구(42)가 구성되고 이 끼움구(42)는 가로벽(10)의 내측면(38) 쪽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본 구성은 도 1 의 구성과 달리 덮개가 2 개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된 예이다. 그외 덮개의 구성이 다른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보강편 2 측벽
5 제1접착부 6 제2접착부
10 가로벽 11 돌기
13 가로돌기 15 저부홈
16 가로홈 21 제1접힘부
22 제2접힘부 23 제3접힘부
25 바닥면 30, 40 덮개
42 끼움구

Claims (2)

  1. 저면과 측벽과 가로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위에 덮개로 덮혀지는 6면체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측벽(2)과 가로벽(10) 사이에 보강편(1)을 구성하되, 상기한 보강 측벽(2)을 연장하여 제1,2,3접힘부(21,22,23)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1,2접힘부(21,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은 가로벽(10)과 접착되는 제1접합부(5)를 형성하고, 제3접힘부(23)와 그 끝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부(4)는 측벽(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측벽(2)에는 그 상부에 돌기(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부홈(15)을 형성하며,
    상기한 가로벽(10)의 상부에는 가로돌기(13)가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가로홈(16)을 형성하여, 포장 박스를 적층시 포장 박스들이 상하로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2020110003092U 2011-04-12 2011-04-12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201200072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92U KR20120007250U (ko) 2011-04-12 2011-04-12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92U KR20120007250U (ko) 2011-04-12 2011-04-12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50U true KR20120007250U (ko) 2012-10-22

Family

ID=4751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092U KR20120007250U (ko) 2011-04-12 2011-04-12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2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7Y1 (ko) 2015-07-31 2017-01-03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수액백용 포장박스
KR20230002151U (ko) 2022-05-03 2023-11-10 조민수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7Y1 (ko) 2015-07-31 2017-01-03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수액백용 포장박스
KR20230002151U (ko) 2022-05-03 2023-11-10 조민수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EP3356241B1 (en) Packaging box blank and packaging box
KR20120007250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20130002501U (ko) 과일 포장박스
KR20200044865A (ko) 골판지의 누출방지 및 액밀 포장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8026Y1 (ko) 모서리가 보강된 트레이 박스
KR100976392B1 (ko) 포장 박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47690Y1 (ko)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KR102089211B1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KR100971310B1 (ko) 포장상자
KR20130005729U (ko) 수직 압축강도를 강화시킨 골판지 포장박스
KR20120007251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20120082597A (ko) 과일 포장용 상자
JP2015067294A (ja) 梱包体の緩衝構造
KR101170601B1 (ko) 반조립형 과일상자
JP2011143935A (ja) パレット、スリーブ及び梱包部材
KR101505565B1 (ko) 포장용 상자
KR20130001487U (ko) 포장박스
JP3182614U (ja) 組合せ式収納箪笥
JP3169194U (ja) 青果物包装箱の中仕切り構造
KR20130003527U (ko) 포장재료 절감형 포장박스
JP3215086U (ja) 果物の輸送及び貯蔵のための箱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