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51U -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 Google Patents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51U
KR20230002151U KR2020220001091U KR20220001091U KR20230002151U KR 20230002151 U KR20230002151 U KR 20230002151U KR 2020220001091 U KR2020220001091 U KR 2020220001091U KR 20220001091 U KR20220001091 U KR 20220001091U KR 20230002151 U KR20230002151 U KR 202300021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dge
folded
folding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조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수 filed Critical 조민수
Priority to KR202022000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151U/ko
Publication of KR20230002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 모서리의 결합(접합) 구조를 수직 하중 및 전,후,좌,우의 외력에 최대로 견딜 수 있도록 쐐기결합 및 접착 이중의 결합구조로 제공되는 보강판을 구비한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방수코팅된 골판지로 재단되어 다수의 물빠짐구멍(11)을 구비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좌우로 연결된 단 측면판(20,20)과, 상기 단 측면판(20)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보강판(30)과 상기 바닥판(10)의 전후로 연결되고 양측단에 쐐기돌기편(41)을 구비한 장 측면판(40,40))을 포함하고,상기 보강판(30)은 접힘부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3 접힘판(31)(32)(33), 상기 제2 접힘판(32)와 제3 접힘판(33)의 접힘부분에 쐐기결합구멍(34)이 관통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은 상기 단 측면판(20)에서 접힘되고 상기 제2 접힘판(32)과 제3 접힘판(33)은 상기 제1 접힘판(31) 및 단 측면판(20)의 내측에 재접힘의 2중으로 중첩되되, 상기 장 측면판(40)의 쐐기돌기편(41)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과 제2 접힘판(32)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장 측면판(40)의 외측에 90도 절곡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과 쐐기돌기편(41)이 쐐기박음으로 결속된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Fish box with double wedge joint structure at the corner}
본 고안은 어류, 오징어 등 수산물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어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 모서리부의 접합구조가 수직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전,후,좌,우에서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외력(압력)에 대해 최대로 견딜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에 관한 것이다.
어류의 보관, 운반할 수 있는 어상자는 종래에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어상자 중에 나무재질로 제작된 어상자는 습기에 취약하여 세균번식의 단점 및 중량이 많이 나가는 단점, 원자재 수급문제로 최근에는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단열성이 보장되고 습기에 강한 합성수지재의 스티로폼 상자가 대체품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스티로폼 상자는 재활용 가치가 떨어짐으로 폐기시에 환경 오염의 문제점 및 원자재 가격의 상승시에 제조원가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 와서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해소되는 골판지를 이용한 종이재질의 어상자가 다수의 기술로 개시되고 있고, 일례로 특허문헌 1의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저면과 측벽과 가로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위에 덮개로 덮혀지는 6면체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측벽과 가로벽 사이에 보강편을 구성하되, 상기한 보강 측벽을 연장하여 제1,2,3 접힘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1,2 접힘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은 가로벽과 접착되는 제1접합부를 형성하고, 제3접힘부와 그 끝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부는 측벽과 접착되게 구성하여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구조는 적층에 따른 수직하중에 대해서는 네모서리의 내측부분에 구비된 보강편에 의해 강화되었으나, 전,후,좌,우에서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세워진 측벽과 가로벽 간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보강편의 제1 접힘판, 제2 접힘판, 제3 접힘판이 대응하여 반발력이 없이 접혀짐으로 해서 강화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보강편이 포장박스의 네 모서리부에 일정공간을 차지하는 상태로 제공됨으로서, 물품 수납에 따른 간섭문제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1. 한국 공개실용 제20-2012-0007250호(2012.10.22.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네 모서리의 결합(접합) 구조를 수직 하중 및 전,후,좌,우의 외력에 최대로 견딜 수 있도록 쐐기결합 및 접착 이중의 결합구조로 제공되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네모서리의 외측에서 절곡접합되어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네 모서리에 구축된 보강판이 장 측면판을 바깥에서 내측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수납된 물건(어류)이 수납 이동시에 상자가 벌어짐을 억제하고, 단 측면판의 손잡이 구멍 상단부에 잉여 부산물인 덧댐판을 접합으로 덧대어 강도를 보강하여 벌어짐에 대한 버팀강도와 무게(하중)에 대한 파손강도 등이 보강되어 상자의 이동·보관상의 내구성으로 높일 수 있는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는,
방수코팅된 골판지로 재단되어 다수의 물빠짐구멍을 구비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로 연결된 단 측면판;
상기 단 측면판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보강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로 연결되고 양측단에 쐐기돌기편을 구비한 장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접힘부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3 접힘판, 상기 제2 접힘판와 제3 접힘판의 접힘부분에 쐐기결합구멍이 관통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은 상기 단 측면판에서 접힘되고 상기 제2 접힘판과 제3 접힘판은 상기 제1 접힘판 및 단 측면판의 내측에 재접힘의 2중으로 중첩되되, 상기 장 측면판의 쐐기돌기편에 상기 쐐기결합구멍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과 제2 접힘판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장 측면판의 외측에 90도 절곡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결합구멍과 쐐기돌기편이 쐐기박음으로 결속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쐐기돌기편은 외광내협의 돌기구조로서 상기 쐐기결합구멍에 끼움 후에 빠짐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좌우의 상기 단 측면판은 손잡이구멍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구멍의 상부측에 상기 단 측면판의 상단면까지의 폭을 갖고 재단된 잉여의 덧댐판을 덧대어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방수코팅된 골판지를 이용하여 포장상자의 네모서리에 수직방향의 하중이나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해 강도가 제공되어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품으로 재단된 상태에서 접힘에 의해 어상자의 장 측면을 바깥에서 안으로 지지하는 쐐기결합구조로서 견고한 결속이 제공됨은 물론 내부에 수납된 어류의 수납이동시에 벌어지는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네 모서리의 외측에 접힘 접합되는 보강판 구조에 의해 어상자를 구축함으로서, 신속한 어상자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상자의 사시도 및 실제품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상자를 펼쳐 놓은 상태의 전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어상자 구축을 보여주는 접음 단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판의 접음 결합단계를 보여주는 발췌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댐판의 접합상태의 발췌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제품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상자를 펼쳐 놓은 상태의 전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어상자는, 골판지를 도 3과 같이 재단한 상태에서 방수코팅하고 접음 및 접합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포장상자를 구축한다.
즉, 본 고안은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의 좌우에 연결되어 접음되는 단 측면판(20,20), 상기 바닥판(10)의 전후에 연결되어 접음되는 장 측면판(40). 상기 단 측면판(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보강판(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은 다수의 물빠짐구멍(11)이 관통된 상태에서 좌우 및 전후에 접힘부분인 접힘선(파선)에 의해 상기 단측면판(20,20)과 장 측면판(40,4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단 측면판(20)의 양측단에는 다단의 접힘구조를 갖는 보강판(30)이 연결되고, 상기 장 측면판(40)은 양측단에 쐐기돌피편(41)이 각각 돌출된다.
상기 보강판(30)은 접힘부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3 접힘판(31)(32)(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힘판(32)와 제3 접힘판(33)의 접힘부분에 쐐기결합구멍(34)이 관통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판(30)은 상기 제1 접힘판(31)은 상기 단 측면판(20)에서 접힘되고 상기 제2 접힘판(32)과 제3 접힘판(33)은 상기 제1 접힘판(31) 및 단 측면판(20)의 내측에 재접힘의 2중으로 중첩된다.
이때, 상기 장 측면판(40)의 쐐기돌기편(41)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과 제2 접힘판(32)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장 측면판(40)의 외측에 90도 절곡 접합된다.
그 결과, 상기 쐐기결합구멍(34)과 쐐기돌기편(41)이 쐐기박음으로 결속된다.
상기 쐐기돌기편(41)은 외광내협의 돌기구조로서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 후에 빠짐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제2 접힘판(32)와 제3 접힘판(33)의 접힘부분에 관통된 쐐기결합구멍(34)에 상기 쐐기돌기편(41)이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힘판(31)과 제2 접힘판(32)이 중첩된 상태로 접힘되면서 상기 쐐기결합구멍(34)의 구멍 폭이 축소되면서 상기 쐐기돌기편(41)의 네크부분을 꽉 물고 접힘으로서 견고한 쐐기박음식으로 결속된다.
그리고 좌우의 상기 단 측면판(20,20)은 손잡이 구멍(21)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구멍(21)의 상부측에 상기 단 측면판(20)의 상단면까지의 폭을 갖고 재단된 잉여의 덧댐판(25)을 덧대어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구멍(21)을 통해 어상자의 파지이동시에 강도가 보장되어 변형이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어상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판(10)의 일측의 단 측면판(20)을 90도 접힘선(파선)으로 세워 접는다.
물론, 상기 단 측면판(20)에는 상기 덧댐판(25)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접혀짐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 측면판(20)의 보강판(30)의 제2 접힘판(32)과 제3 접힘판(33)을 접어 상기 제1 접힘판(31)과 단 측면판(20)의 내측에 중첩상태로 접고,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의 장 측면판(40)을 접힘선(파선)으로 접는다.
이렇게 일측의 장 측면판(40)을 접으면서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 측면판(40)의 쐐기돌기편(41)을 상기 제2 접힘판(32)과 제3 접힘판(33)의 접힘부분에 관통된 쐐기결합구멍(34)에 맞추고 밀어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 측면판(40)의 쐐기돌기편(41)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과 제2 접힘판(32)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장 측면판(40)의 외측에 90도 절곡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접합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 나머지 모서리부분이니 3곳을 조립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어상자를 구축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개방의 구조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어상자를 구축하되, 네모서리부분이 보강편(30)의 구조에 의해 수직하중과 수평의 외력에 최대한 변형이 없이 강도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구멍(21)이 관통된 단 측면판(20)에 잉여 부산물 골판지의 덧댐판(25)을 활용해서 강도보강이 가능하여 골판지의 재단시에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 : 바닥판 11 : 물빠짐구멍
20 : 단 측면판 21 : 손잡이구멍
25 : 덧댐판 30 : 보강판
31 : 제1 접힘판 32 : 제2 접힘판
33 : 제3 접힘판 34 : 쐐기결합구멍
40 : 장 측면판 41 : 쐐기돌기편

Claims (3)

  1. 방수코팅된 골판지로 재단되어 다수의 물빠짐구멍(11)을 구비한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의 좌우로 연결된 단 측면판(20,20);
    상기 단 측면판(20)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보강판(30);
    상기 바닥판(10)의 전후로 연결되고 양측단에 쐐기돌기편(41)을 구비한 장 측면판(40,40));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30)은 접힘부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3 접힘판(31)(32)(33), 상기 제2 접힘판(32)와 제3 접힘판(33)의 접힘부분에 쐐기결합구멍(34)이 관통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은 상기 단 측면판(20)에서 접힘되고 상기 제2 접힘판(32)과 제3 접힘판(33)은 상기 제1 접힘판(31) 및 단 측면판(20)의 내측에 재접힘의 2중으로 중첩되되, 상기 장 측면판(40)의 쐐기돌기편(41)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판(31)과 제2 접힘판(32)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장 측면판(40)의 외측에 90도 절곡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결합구멍(34)과 쐐기돌기편(41)이 쐐기박음으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돌기편(41)은 외광내협의 돌기구조로서 상기 쐐기결합구멍(34)에 끼움 후에 빠짐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 측면판(20,20)은 손잡이 구멍(21)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구멍(21)의 상부측에 상기 단 측면판(20)의 상단면까지의 폭을 갖고 재단된 잉여의 덧댐판(25)을 덧대어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KR2020220001091U 2022-05-03 2022-05-03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KR202300021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91U KR20230002151U (ko) 2022-05-03 2022-05-03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91U KR20230002151U (ko) 2022-05-03 2022-05-03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51U true KR20230002151U (ko) 2023-11-10

Family

ID=8874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91U KR20230002151U (ko) 2022-05-03 2022-05-03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15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250U (ko) 2011-04-12 2012-10-22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250U (ko) 2011-04-12 2012-10-22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82A (en) High stacking strength automatic corrugated box
AU2005254543B2 (en) Paperboard container with bottom support
US3072313A (en) Figure 4 corner post
US4529091A (en) Corner protector
US8011565B2 (en) Multi-sided tray bliss container
KR100781612B1 (ko) 종이 포장상자
KR20210008765A (ko)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US10954025B2 (en) Container with multipiece body
KR20080006523U (ko) 조립식 포장상자
KR20230002151U (ko) 모서리부에 이중 쐐기결합구조를 갖는 어상자
EP0731032B1 (en) Box and blank for a box
KR20220001348U (ko) 골판지의 누출방지 및 액밀 포장 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200447690Y1 (ko)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KR102333733B1 (ko) 친환경 식품포장 상자
KR20100003116U (ko) 종이 상자
AU2010100467A4 (en) A Receptacle
CN214452651U (zh) 一种可折叠收纳的瓦楞纸箱
JP2005239225A (ja) 電子レンジ等の家電機器の梱包材
US20230015782A1 (en) Folding box
US20190039778A1 (en) Paperboard Carton
US20230128021A1 (en) A box casing, a kit for creating such a box casing, and use thereof
KR200404762Y1 (ko) 부직포 다용도 보관함
KR20220006789A (ko) 컷팅된 경사면을 이용한 패널 배출용 개방형 포장박스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