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601B1 - 반조립형 과일상자 - Google Patents

반조립형 과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601B1
KR101170601B1 KR1020090070823A KR20090070823A KR101170601B1 KR 101170601 B1 KR101170601 B1 KR 101170601B1 KR 1020090070823 A KR1020090070823 A KR 1020090070823A KR 20090070823 A KR20090070823 A KR 20090070823A KR 101170601 B1 KR101170601 B1 KR 10117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uit box
pair
semi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913A (ko
Inventor
장일완
이영애
Original Assignee
이영애
장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애, 장일완 filed Critical 이영애
Priority to KR102009007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6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9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 part of the folded-up portions defining an inwardly folded ledge at the edges of the central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반조립형 과일상자는, 정면판이 접착판에 접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이 절곡부에 의해 각각 접혀져 평면구조를 갖거나 펼쳐져 입체구조를 갖는 반조립 형태를 갖기 때문에, 과일상자의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과일상자를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 발명은 조립방식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일부분만을 조립하여 사용되면 되므로, 고령의 노인들을 비롯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하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과일상자를 접혀진 평면구조 형태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제조공장이나 농장에서의 적재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고, 또한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도 효율적이다. 또한, 이 발명은 외부 하중을 담당하는 측면판을 보강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사용되던 재료 대신에,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에 보강판을 끼워 측면판을 보강해 기존의 과일상자와 동일 유사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절감해 경제적으로 과일상자의 원가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조립형 과일상자{Box for fruits}
이 발명은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비와 생산비 및 재료비를 낮추어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반조립형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상자는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일상자는 과일 특성을 고려하여 공기가 통하는 조립식 종이 골판지로 대부분 제작되고,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과일상자는 공장에서 2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처인 농장 등에 공급되고 있는데, 첫 번째는 조립식 구조의 반제품 형태이고, 두 번째는 접착식 구조의 완제품 형태이다.
반제품 형태의 과일상자는 차량에 적재가 용이하여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고, 농장에서도 작은 공간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중량물의 과일을 담는 과일상자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크고 종이의 두께가 두꺼워 완제품으로 조립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현재 농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대부분 고령의 노인들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또한, 많은 양의 과일을 출하할 경우에는 과일을 크기별로 분리하고, 상자를 완제품 형태로 조립하면서 그 곳에 과일을 담고 포장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그로 인해, 농장에서는 완제품 형태의 과일박스를 선호하고 있다.
완제품 형태의 과일상자는 그 곳에 과일을 담고 포장만 하면 된다. 따라서, 농장 등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완제품의 경우에는 상자 형태로 일정 부피를 갖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적재공간이 요구된다. 즉, 제조공장의 경우에는 완성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또한 사용처인 농장 등으로의 운반을 위해 차량에 적재함에 있어 그 적재가 용이하지 못해 한번에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없어 다수회 운반해야 함에 따른 운반비의 부담이 크다. 또한, 농장에서도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없어 공간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즉, 완제품 형태의 과일상자는 사용은 편리하지만 제조공장 및 농장 모두에서 부피가 증가함에 따른 적재공간의 부담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에는 대부분 조립식 구조의 반제품 형태로 제조공장에서 제조하여 농장 등으로 공급하고 있고, 농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겪으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래에서는 조립식 구조의 과일상자에 대해 설명한 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구조의 과일상자(A)는 바닥판(1)의 사방에서 절곡부(1a, 1b, 1c)를 통해 상부로 수직 절곡되는 정면판(2), 배면판(3), 측면판(4)과; 정면판(2), 배면판(3)의 상부에서 절곡부(2a, 3a)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판(5, 6)과; 정면판(2), 배면판(3), 보강판(5, 6)의 양측에서 절곡부(2b, 3b, 5a, 6a)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보강판(7, 8)과; 측면판(4)의 상부에서 절곡부(4a)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측상판(9)과; 절곡부(2a, 3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구멍(10)과; 측상판(9)의 전후방에서 절곡부(9a)를 통해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고정구멍(10)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11)와; 바닥판(1)의 전후 중앙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2)과; 보강판(5, 6)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결합구멍(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3); 및 측면보강판(8)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홈(1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구조의 과일상자(A)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재가 용이해 공간 활용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 반면에, 사용처인 농장 등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과일상자(A)는 보강판(5, 6)과 측면보강판(7, 8)을 갖기 때문에 제작 시 재료가 불필요하게 많이 낭비되어 재료비와 운송비 및 인건비와 가공비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일상자(A)의 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과일상자(A)는 결합돌기(13)를 결합구멍(12)에 끼우고 또한 측면보강판(8)의 결합홈(14)을 서로 결합시킨 다음 여러 단계로 접어 조립해야 하므 로 구조적으로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상승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과일상자의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과일상자를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기존의 과일상자와 동일 유사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낮추어 경제적으로 과일상자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반조립형 과일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반조립형 과일상자는, 바닥판의 사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접착판,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과, 한 쌍의 측면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보강 측상판과, 배면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개방구를 갖는 상판과, 상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접착판에 겹쳐져 접착되는 정면판과, 정면판 및 배면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과,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한 쌍의 측면판의 내측면에 각각 접착되어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에 끼워져 한 쌍의 측면판을 각각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은 상판 중에서 개방구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상판에 겹쳐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발명의 다수의 고정돌기는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이 측상판의 상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 발명의 다수의 고정돌기는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이 측면공간에 끼워져 측상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 발명은 보강판이 측면공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강판의 상단이 상판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보강판의 하단이 바닥판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면판과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접착판의 높이를 정면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고, 개방구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부재(종이 골판지)의 일부분을 배면판과 동일한 높이의 제1 지지판으로 구성해, 한 쌍의 보강판, 접착판 및 제1 지지판이 상판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발명은 개방구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부재(종이 골판지)의 일부분을 배면판과 동일한 높이의 제2, 제3 지지판으로 구성해, 한 쌍의 보강판 및 제2, 제3 지지판이 상판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발명은 정면판이 접착판에 접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이 절곡부에 의해 각각 접혀져 평면구조를 갖거나 펼쳐져 입체구조를 갖는 반조립 형태를 갖기 때문에, 과일상자의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과일상자를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 발명은 조립방식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일부분만을 조립하여 사용되면 되므로, 고령의 노인들을 비롯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과일상자를 접혀진 평면구조 형태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제조공장이나 농장에서의 적재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고, 또한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도 효율적이다.
또한, 이 발명은 외부 하중을 담당하는 측면판을 보강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사용되던 재료 대신에,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에 보강판을 끼워 측면판을 보강해 기존의 과일상자와 동일 유사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절감해 경제적으로 과일상자의 원가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배면판과 동일한 높이의 접착판 및/또는 지지판들을 이용해 상판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6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일상자의 반조립 형태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B)는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일상자(B)의 상부는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과일상자(B)를 구성하는 바닥판(20)의 전후좌우에는 절곡부(20a, 20b, 20c)가 각각 형성되고, 바닥판(20)의 사방으로는 접착판(21)과 배면판(22) 및 한 쌍의 측면판(23)이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부(20a, 20b, 20c)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다.
한 쌍의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절곡부(23a)가 각각 형성되고, 측면판(23)의 상부에는 한 쌍의 보강 측상판(24)이 절곡부(23a)를 통해 내측으로 각각 수평 절곡된다.
배면판(22)의 상부에는 절곡부(22a)가 형성되고, 배면판(22)의 상부에는 상판(25)이 절곡부(22a)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다. 상판(25)은 과일상자(B) 안에 과일을 넣거나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 된 개방구(26)를 그 중앙에 갖는다. 따라서, 상판(25)은 개방구(26)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전상판(25a), 후상판(25b) 및 측상판(25c)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이 실시예의 과일상자(B)는 상판(25)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판(25)에 가해지는 하중의 효율적인 분담이 가능하다.
상판(25)의 상부에는 절곡부(25d)가 형성되고, 상판(25)의 상부에는 정면판(27)이 절곡부(25d)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다. 따라서, 정면판(27)은 그 일부분이 접착판(21)의 높이만큼 겹쳐지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정면판(27)은 그 내측면이 접착판(21)의 외측면에 수성풀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렇게 정면판(27)이 접착판(21)에 접착됨에 따라, 이 실시예의 과일상자(B)는 반조립 형태를 갖게 된다.
정면판(27) 및 배면판(22)의 상부 양측에는 다수의 고정구멍(2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보강 측상판(24)의 전후방(양측)에는 절곡부(24a)가 각각 형성되고, 보강 측상판(24)의 전후방(양측)에는 일체로 연장되어 다수의 고정구멍(28)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돌기(29)가 절곡부(24a)를 통해 하부로 수직 절곡된다. 따라서, 다수의 고정돌기(29)가 다수의 고정구멍(28)에 각각 끼워지면, 보강 측상판(24)이 측상판(25c)의 상면에 각각 겹쳐진다. 따라서, 보강 측상판(24)이 측상판(25c)의 상면에 정합 형태(완전히)로 겹쳐지도록, 보강 측상판(24)을 측상판(25c)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강 측상판(24)은 상판(25)에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하는 역할 등을 한다.
한 쌍의 측면판(23)의 내측면에는 과일상자(B)를 일정 높이만큼 적재하여 창 고보관하거나 운반함에 따라 과일상자(B)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도록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판(30)이 수성풀 등의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다. 즉, 보강판(30)은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의해 측면판(23)이 무너지지 않도록 측면판(23)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강판(30)은 바닥판(20), 정면판(27), 상판(25) 및 배면판(22)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의 측면판(23)에 접착된다. 즉, 보강판(30)은 측면판(23)의 테두리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되, 보강판(30)이 상기의 측면공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판(25)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판(25)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보강판(30)의 하단이 바닥판(20)의 내측면에 더 밀착되어 상판(25)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면판(23)과 함께 보강판(30)이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강판(30)은 과일상자(B)의 형태를 갖도록 종이 골판지를 재단 성형할 때에 잔여부분을 활용해 함께 재단 성형한 판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보강판(30)은 과일상자(B)와 동일한 재질이면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보강판(30)은 과일상자(B)와 다른 재질 또는 두께를 갖는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량물의 과일을 담음에 따라 고하중이 가해지는 과일상자(B)의 경우에는 보강판(30)을 단단한 재질을 이용하거나 그 두께를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B)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조공장에서의 작업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과일상자(B)의 형태를 갖도록 도 6과 같은 전개형태로 종이 골판지를 재단 성형한다. 그런 다음, 접착판(21)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각각의 판(21, 22, 25, 27)을 절곡부(20a, 20b, 22a, 25d)를 따라 접은 후,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판(21)에 정면판(27)의 내측면을 접착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판(23)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한 쌍의 보강판(30)을 각각 접착한다. 그러면, 도 7과 같은 반조립형 과일상자(B)가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반조립형 과일상자(B)는 정면판(27)이 접착판(21)에 접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판(21, 22, 25, 27)이 절곡부(20a, 20b, 22a, 25d)에 의해 각각 접혀져 평면구조를 갖거나 펼쳐져 입체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반조립형 과일상자(B)가 제조되면, 제조공장에서는 과일상자(B)를 접혀진 평면구조로 적재공간에 적재하였다가 사용처인 농장 등으로 차량 운반한다.
다음으로 사용처인 농장에서의 작업과정을 살펴본다. 과일상자(B)가 접혀진 평면구조 형태로 차량 운반되면, 그대로 농장의 적재공간에 적재하였다가, 과일을 출하하기 위해 과일상자(B)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과 같은 조립과정으로 조립한다.
먼저, 평면구조로 접혀져 있던 판(21, 22, 25, 27)을 절곡부(20a, 20b, 22a, 25d)를 따라 펼쳐 입체구조를 갖도록 한다. 그러면, 양측면에는 바닥판(20), 정면판(27), 상판(25) 및 배면판(22)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판(23)을 각각의 절곡부(20c)를 따라 내측으로 수직 절곡하여, 측면판(23)에 각각 접착된 보강판(30)을 측면공간 내에 끼운다. 그러면, 보강판(30)의 적어도 상하단이 상판(25) 및 바닥판(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측면판(23)을 보강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보강 측상판(24)을 절곡부(23a)를 따라 절곡하고, 고정돌기(29)를 절곡부(24a)를 따라 절곡한 다음, 고정돌기(29)를 고정구멍(28)에 끼움으로써, 보강 측상판(24)이 측상판(25c)의 상면을 덮는 보강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과일을 상판(25)의 중앙에 형성된 개방구(26)를 통해 과일상자(B) 내에 순차적으로 넣으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B)는, 과일상자(B)를 접혀진 평면구조 형태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제조공장이나 농장에서의 적재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이고, 또한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에도 효율적이다. 또한, 농장에서는 접혀진 과일상자(B)를 단순히 펼친 후에 측면판(23), 보강 측상판(24) 및 고정돌기(29)를 절곡한 후 고정돌기(29)를 고정구멍(28)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이 실시예의 과일상자(B)는 한 쌍의 보강 측상판(24)의 테두리 중앙부에서 각각 절취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적층돌기(도시안됨)와, 상기 적층돌기에 대응하는 바닥판(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적층구멍(도시안됨)을 더 구비함으로써, 여러 개의 과일상자(B)들을 쌓아올릴 때, 하부에 놓여지는 과일상자(B)의 양측 적층돌기가 상부에 올려지는 다른 과일상자(B)의 양측 적층구멍에 각각 끼워져 적층 시 유동이 방지되어 과일상자(B)를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과일상자(B)는 정면판(27)과 배면판(22)의 하부 양측에 공기공(도시안됨)을 각각 형성하고, 이러한 통기공을 통해 과일상자(B)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게 함으로써, 보관이나 운반 시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최 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과일상자의 반조립 형태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C)는 보강 측상판(241)을 상기의 측면공간 내에 끼워, 측상판(251c)을 내측에서 보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B)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성 및 조립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의 보강 측상판(241)에는 보강 측상판(241)이 상기의 측면공간 내에 끼워져 측상판(251c)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구멍(281)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9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291)는 절곡부 없이 보강 측상판(241)에서 약간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제3 실시예>
도 12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D)는 상판(252)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접착판(212)의 높이를 배면 판(222) 및 정면판(27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H1)로 하고, 개방구(262)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일부 종이 골판지를 배면판(222)과 동일한 높이(H1)의 제1 지지판(31)으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B)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성 및 조립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D)는 도 6의 한 쌍의 보강판(30)과 접착판(212) 및 제1 지지판(31)이 상판(252)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기 때문에 매우 견조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지지판(31)은 그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1a)가 바닥판(202)에 형성된 고정구멍(202a)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4 실시예>
도 13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E)는 상판(253)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개방구(263)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종이 골판지를 배면판(223)과 동일한 높이(H2)의 제2, 제3 지지판(32, 33)으로 각각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B)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성 및 조립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 실시예의 반조립형 과일상자(E)는 도 6의 한 쌍의 보강판(30)과 제2, 제3 지지판(32, 33)이 상판(253)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기 때문에 매우 견조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 제3 지지판(32, 33)은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32a, 33a)가 바닥판(203)에 형성된 고정구멍(203a)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도 14는 동일 크기의 과일상자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를 비교하는 전개도로서, (a)는 접착식 구조의 완제품 제조용 전개도이고, (b)는 조립식 구조의 반제품 제조용 전개도이며, (c)는 이 발명의 반조립형 제조용 전개도이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 크기의 3개의 과일상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를 비교해 본 바, 이 발명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가 제일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잔여부분을 보강판 재료로 활용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는 종래의 과일상자에 비해 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어 과일상자의 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반조립형 과일상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과일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3은 종래 과일상자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과일상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일상자의 반조립 형태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과일상자의 반조립 형태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13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조립형 과일상자의 전개도이며,
도 14는 동일 크기의 과일상자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를 비교하는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바닥판 21 : 접착판
22 : 배면판 23 : 측면판
24 : 보강 측상판 25 : 상판
26 : 개방구 27 : 정면판
28 : 고정구멍 29 : 고정돌기
30 : 보강판 31 : 제1 지지판
32 : 제2 지지판 33 : 제3 지지판

Claims (7)

  1. 삭제
  2. 바닥판의 사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접착판,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보강 측상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개방구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접착판에 겹쳐져 접착되는 정면판과,
    상기 정면판 및 배면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과,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내측면에 각각 접착되어 상기 바닥판, 정면판, 상판 및 배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공간에 끼워져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을 각각 보강하는 한 쌍의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은 상기 상판 중에서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상판에 겹쳐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절곡 가능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이 상기 측상판의 상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 측상판이 상기 측면공간에 끼워져 상기 측상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이 상기 측면공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의 상단이 상기 상판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강판의 하단이 상기 바닥판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측면판과 함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판의 높이를 상기 정면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고, 상기 개방 구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배면판과 동일한 높이의 제1 지지판으로 구성해, 상기 한 쌍의 보강판, 접착판 및 제1 지지판이 상기 상판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질 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배면판과 동일한 높이의 제2, 제3 지지판으로 구성해, 상기 한 쌍의 보강판 및 제2, 제3 지지판이 상기 상판을 4곳에서 각각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조립형 과일상자.
KR1020090070823A 2009-07-31 2009-07-31 반조립형 과일상자 KR10117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3A KR101170601B1 (ko) 2009-07-31 2009-07-31 반조립형 과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3A KR101170601B1 (ko) 2009-07-31 2009-07-31 반조립형 과일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13A KR20110012913A (ko) 2011-02-09
KR101170601B1 true KR101170601B1 (ko) 2012-08-02

Family

ID=4377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823A KR101170601B1 (ko) 2009-07-31 2009-07-31 반조립형 과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5005B (zh) * 2018-02-27 2023-07-04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便携式快递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137Y1 (ko) * 2004-05-25 2004-08-05 주식회사 삼일칼라팩 과일상자
KR200419049Y1 (ko) 2006-03-17 2006-06-16 김성창 접철식 후지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137Y1 (ko) * 2004-05-25 2004-08-05 주식회사 삼일칼라팩 과일상자
KR200419049Y1 (ko) 2006-03-17 2006-06-16 김성창 접철식 후지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13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619B1 (en) Produc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992735A (en) Broadsheet from cardboard for constructing a stackable box and thus obtained box
WO2007031805A1 (en) Double-wall container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1170601B1 (ko) 반조립형 과일상자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JP2012106761A (ja) 折りたたみ可能な組立式箱
KR101552707B1 (ko) 엘씨디 필름용 포장상자
JP5312106B2 (ja) パネル梱包体
KR20050081063A (ko) 과일상자
EP2799358B1 (en) Assemblable container
JP5590184B1 (ja) 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箱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方法
JP5514937B1 (ja) 梱包箱
KR20120007250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KR20240057025A (ko) 포장용 상자
KR20070106350A (ko)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20110028060A (ko) 덮개 일체형 과일상자
KR200348824Y1 (ko) 과일상자
KR20110028059A (ko) 조립식 과일상자
KR20130071330A (ko) 포장용 박스
KR200322733Y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351939Y1 (ko) 과일상자
JP2011143935A (ja) パレット、スリーブ及び梱包部材
JP3215086U (ja) 果物の輸送及び貯蔵のための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