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063A - 과일상자 - Google Patents

과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063A
KR20050081063A KR1020040009307A KR20040009307A KR20050081063A KR 20050081063 A KR20050081063 A KR 20050081063A KR 1020040009307 A KR1020040009307 A KR 1020040009307A KR 20040009307 A KR20040009307 A KR 20040009307A KR 20050081063 A KR20050081063 A KR 2005008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uit box
sides
reinforcing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손원호
Original Assignee
김태규
손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규, 손원호 filed Critical 김태규
Priority to KR102004000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063A/ko
Publication of KR2005008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4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both integral corner posts and 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낮추어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다단으로 용이하게 적층함과 동시에 적층 시 유동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판(20)의 사방으로 정면판(21),배면판(22),측면판(23)이 형성되고,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측상판(24)이 형성되며, 정면판(21),배면판(22)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구멍(25)이 형성되고, 측상판(24)에는 고정구멍(25)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26)가 형성된 과일상자(B)에 있어서,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상판(27)(28);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통기공(29);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보강판(30); 제1보강판(30)에서 연장되어 접혀지는 제2보강판(31); 제2보강판(31)에서 절곡되어 정면판(21),배면판(22)에 접착되는 접착판(32); 측상판(24)의 테두리 중앙부에서 절취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적층돌기(33); 바닥판(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적층구멍(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일상자{box for fruits}
본 발명은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조립식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낮추어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다단으로 용이하게 적층함과 동시에 적층 시 유동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상자는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일상자는 대부분이 과일 특성을 고려하여 공기가 통하는 조립식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고,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과일상자의 상부는 개방된다.
종래의 과일상자(A)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의 사방에서 절곡부(1a)(1b)(1c)를 통해 상부로 수직 절곡되는 정면판(2),배면판(3),측면판(4); 상기 정면판(2),배면판(3)의 상부에서 절곡부(2a)(3a)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판(5)(6); 상기 정면판(2),배면판(3),보강판(5)(6)의 양측에서 절곡부(2b)(3b)(5a)(6a)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측면보강판(7)(8); 상기 측면판(4)의 상부에서 절곡부(4a)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측상판(9); 상기 절곡부(2a)(3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구멍(10); 상기 측상판(9)의 전후방에서 절곡부(9a)를 통해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고정구멍(10)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11); 상기 바닥판(1)의 전후 중앙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2); 상기 보강판(5)(6)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결합구멍(12)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13); 상기 측면보강판(8)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홈(1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과일상자(A)는 보강판(5)(6)과 측면보강판(7)(8)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작 시 재료가 불필요하게 많이 낭비되어 재료비와 운송비 및 인건비와 가공비가 상승하고, 또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일상자(A)의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부분으로 인해 과일상자(A)의 전개도 전체 폭(L1)이 커지기 때문에 금형으로 골판지를 성형할 때 1개 밖에 찍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과일상자(A)는 결합돌기(13)를 결합구멍(12)에 끼우고 또한 측면보강판(8)의 결합홈(14)을 서로 결합시킨 다음 여러 단계로 접어 조립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상승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과일상자(A)는 상자 위에 또 다른 상자를 쌓아올릴 때 상자 고유의 미끄러움 때문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많은 양의 과일상자(A)들을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일상자(A)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과일상자(A)는 단순히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과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잔류물이 그대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과일상자(A)는 보강구조가 취약하여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를 낮추어 경제적으로 과일상자의 원가를 절감하고, 과일상자의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과일상자를 편리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과일상자를 다단으로 용이하게 적층함과 동시에 적층 시 과일상자의 유동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과일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함과 동시에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잔류물을 제거하고, 또한 과일상자의 강도를 한층 더 보강하여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과일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면판과 배면판의 상부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전상판 및 후상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정면판과 배면판의 하부 양측에 통기공을 각각 천공하며, 상기 정면판과 배면판의 양측에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1보강판을 각각 연장하고, 상기 제1보강판에 반대로 접혀져 마주보는 제2보강판을 연장하며, 상기 제2보강판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정면판,배면판의 내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판을 연장하고, 측상판의 테두리 중앙부를 절취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적층돌기를 형성하며, 바닥판의 양측으로 적층돌기에 대응하는 적층구멍을 천공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과일상자는 도 6 내지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판(20)의 사방으로 정면판(21),배면판(22),측면판(23)이 형성되고,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측상판(24)이 형성되며, 정면판(21),배면판(22)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구멍(25)이 형성되고, 측상판(24)에는 고정구멍(25)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26)가 형성된 과일상자(B)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상판(27)(28);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통기공(29);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보강판(30); 상기 제1보강판(30)에서 연장되어 접혀지는 제2보강판(31); 상기 제2보강판(31)에서 절곡되어 정면판(21),배면판(22)에 접착되는 접착판(32); 상기 측상판(24)의 테두리 중앙부에서 절취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적층돌기(33); 상기 바닥판(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적층구멍(3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과일상자(B)는 과일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종이 골판지로 제작되어 규격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일상자(B)의 상부는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에서와 같이 상기 과일상자(B)의 내면에는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잔류물을 없애고 또한 과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키는 원적외선방사물질(40)이 도포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방사물질(40)은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숯,황토,제올라이트 또는 맥반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20)의 전후좌우에는 절곡부(20a)(20b)(20c)가 각각 형성되고, 바닥판(20)의 사방으로는 정면판(21)과 배면판(22) 및 양측 측면판(23)이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부(20a)(20b)(20c)를 통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다.
상기 양측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절곡부(23a)가 각각 형성되고,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측상판(24)이 절곡부(23a)를 통해 내측으로 각각 수평 절곡된다.
상기 정면판(21),배면판(22)의 상부에는 절곡부(21a)(2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a)(22a)의 양측에는 고정구멍(2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양측 측상판(24)의 전후방에는 절곡부(24a)가 각각 형성되고, 측상판(24)의 전후방에는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구멍(25)으로 각각 끼워지는 고정돌기(26)가 절곡부(24a)를 통해 하부로 수직 절곡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멍(25)의 외측은 고정돌기(26)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상판(27)과 후상판(28)은 정면판(21),배면판(22)의 상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부(21a)(22a)를 통해 각각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상판(27),후상판(28)의 폭은 도 7에서와 같이 정면판(21),배면판(22)의 폭 보다 대략 ⅓정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일상자(B)의 전개도 전체 폭(L2)은 종래 과일상자(A)의 전개도 전체 폭(L1)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작시 종이 골판지의 크기가 작아져 재료비가 절감되고, 또한 본 발명의 과일상자(B)는 폭(L2)이 작기 때문에 금형으로 골판지를 성형할 때 한번의 공정으로 2개를 동시에 찍어낼 수 있다.
상기 통기공(29)은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기공(29)을 통해 과일상자(B)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 시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상기 제1보강판(30)은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양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각각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보강판(30)은 양측 측면판(23)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제2보강판(31)은 제1보강판(3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마주보도록 접혀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2보강판(31)의 단부에는 접착판(32)이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부(31a)를 통해 절곡되고, 상기 접착판(32)은 접착제를 통해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양측에 각각 접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판(32)은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정면판(21)과 배면판(22)에 접착되고,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과일상자(B)의 강도가 보강된다.
도 8c와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2단 절곡부(30a)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a,11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절곡부(30b)를 통해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a,12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서로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a,13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은 곡선으로 절곡되는 3단 절곡부(30c)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돌기(33)는 양측 측상판(24)의 테두리 중앙부에서 각각 절취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적층돌기(33)는 도 10a,10b에서와 같이 과일상자(B)의 적층 시 상부에 올려지는 또 다른 과일상자(B)의 적층구멍(34)으로 끼워지면서 과일상자(B)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적층구멍(34)은 바닥판(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적층구멍(34)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놓여지는 또 다른 과일상자(B)의 적층돌기(33)가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과일상자(B)들을 쌓아올릴 때, 도 10a,10b에서와 같이 하부에 놓여지는 과일상자(B)의 양측 적층돌기(33)가 상부에 올려지는 또 다른 과일상자(B)의 양측 적층구멍(34)으로 각각 끼워지므로 적층 시 유동이 방지되어 과일상자(B)를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과일상자(B)는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 삭제되어 전개도의 전체 폭(L2)이 종래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제작시 종이 골판지의 크기가 작아지고, 또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재료비와 운송비 및 인건비와 가공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과일상자(B)의 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부분이 삭제되어 구조적으로 과일상자(B)의 전개도 전체 폭(L2)이 작기 때문에 금형으로 골판지를 성형할 때 2개를 동시에 찍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일상자(B)는 접착판(32)이 공장에서 미리 정면판(21),배면판(22)에 접착되기 때문에 조립 시 전,후상판(27)(28)과 측상판(24)을 접은 상태에서 고정돌기(26)를 고정구멍(25)에 끼우면 과일상자(B)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되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절감되고 경제적으로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상자(B)는 상자 위에 또 다른 상자를 쌓아올릴 때 양측 적층돌기(33)가 적층구멍(34)으로 끼워지면서 적층되기 때문에 적층 시 유동이 방지되어 많은 양의 과일상자(B)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과일상자(B)를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일상자(B)는 내면으로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숯,황토,제올라이트 또는 맥반석 등의 원적외선방사물질(40)이 도포되기 때문에 과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방사물질(40)에 의해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잔류물이 없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제1,2보강판(30)(31)에 의해 과일상자(B)의 강도가 보강되므로 포장된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일상자의 재료비와 운송비 및 생산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과일상자의 조립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과일상자가 편리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과일상자를 다단으로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는 동시에 적층 시 과일상자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과일상자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일상자는 포장된 과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과일상자의 강도가 보강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과일상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과일상자의 전개도.
도 3은 종래 과일상자의 정단면도.
도 4는 종래 과일상자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과일상자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개도.
도 8a,8b,8c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측단면도,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의 적층상태를 보인 사시도,단면도.
도 11a,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a,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3a,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바닥판 21 : 정면판
22 : 배면판 23 : 측면판
24 : 측상판 25 : 고정구멍
26 : 고정돌기 27 : 전상판
28 : 후상판 29 : 통기공
30 : 제1보강판 31 : 제2보강판
32 : 접착판 33 : 적층돌기
34 : 적층구멍 B : 과일상자

Claims (7)

  1. 바닥판(20)의 사방으로 정면판(21),배면판(22),측면판(23)이 형성되고, 측면판(23)의 상부에는 측상판(24)이 형성되며, 정면판(21),배면판(22)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구멍(25)이 형성되고, 측상판(24)에는 고정구멍(25)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26)가 형성된 과일상자(B)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상판(27)(28);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통기공(29); 상기 정면판(21)과 배면판(22)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보강판(30); 상기 제1보강판(30)에서 연장되어 접혀지는 제2보강판(31); 상기 제2보강판(31)에서 절곡되어 정면판(21),배면판(22)에 접착되는 접착판(32); 상기 측상판(24)의 테두리 중앙부에서 절취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적층돌기(33); 상기 바닥판(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적층구멍(34)을 포함하는 과일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2단 절곡부(30a)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절곡부(30b)를 통해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1)은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30)과 제2보강판(3)은 곡선으로 절곡되는 3단 절곡부(30c)를 통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상자(B)의 내면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40)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멍(25)의 외측은 고정돌기(26)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과일상자.
KR1020040009307A 2004-02-12 2004-02-12 과일상자 KR20050081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07A KR20050081063A (ko) 2004-02-12 2004-02-12 과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07A KR20050081063A (ko) 2004-02-12 2004-02-12 과일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063A true KR20050081063A (ko) 2005-08-18

Family

ID=3726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307A KR20050081063A (ko) 2004-02-12 2004-02-12 과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06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58A2 (ko) * 2009-08-19 2011-02-24 (주)제일산업포장 포장용 박스
KR101270842B1 (ko) * 2011-04-14 2013-06-05 (주)리노컴즈 포장용 상자
KR101414244B1 (ko) * 2012-08-14 2014-07-02 (주) 이노팩 포장용 박스
KR101476636B1 (ko) * 2012-11-05 2014-12-26 (주) 이노팩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KR101972467B1 (ko) * 2018-02-23 2019-04-26 동남수출포장 주식회사 포장박스
KR102020736B1 (ko) 2018-09-21 2019-11-04 김재웅 디자인 과일 포장박스
KR20240038392A (ko) 2022-09-16 2024-03-25 이아윤 상품 포장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58A2 (ko) * 2009-08-19 2011-02-24 (주)제일산업포장 포장용 박스
WO2011021858A3 (ko) * 2009-08-19 2011-04-28 (주)제일산업포장 포장용 박스
KR101270842B1 (ko) * 2011-04-14 2013-06-05 (주)리노컴즈 포장용 상자
KR101414244B1 (ko) * 2012-08-14 2014-07-02 (주) 이노팩 포장용 박스
KR101476636B1 (ko) * 2012-11-05 2014-12-26 (주) 이노팩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KR101972467B1 (ko) * 2018-02-23 2019-04-26 동남수출포장 주식회사 포장박스
KR102020736B1 (ko) 2018-09-21 2019-11-04 김재웅 디자인 과일 포장박스
KR20240038392A (ko) 2022-09-16 2024-03-25 이아윤 상품 포장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844A (en) Fruit and produce container
US5390847A (en) Fruit and produce container
US4976374A (en) Packing container
ES2219541T3 (es) Placa precortada permitiendo la obtencion de un volumen, especialmente un embalaje,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tal placa, y embalaje asi obtenido.
KR20050081063A (ko) 과일상자
KR200348824Y1 (ko) 과일상자
EP2275352B1 (en) Container for fresh fish and similar goods
KR20110012742A (ko)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KR200351939Y1 (ko) 과일상자
KR101170601B1 (ko) 반조립형 과일상자
KR101802702B1 (ko) 상품 고정용 적층 포장체
KR100647230B1 (ko) 포장용상자
JP2008184215A (ja) 折り畳み可能な液漏れ防止カートン
KR20240057025A (ko) 포장용 상자
KR20110028060A (ko) 덮개 일체형 과일상자
KR200149159Y1 (ko) 딸기 포장용 상자
KR200264621Y1 (ko) 포장용 상자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JPH08175530A (ja) カートン
KR200322733Y1 (ko) 과일 포장상자
KR102020736B1 (ko) 디자인 과일 포장박스
KR102241365B1 (ko) 다단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0404762Y1 (ko) 부직포 다용도 보관함
KR20120007250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KR101673460B1 (ko) 칸막이와 손잡이가 구비된 개방형 소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