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230B1 - 포장용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230B1
KR100647230B1 KR1020030002797A KR20030002797A KR100647230B1 KR 100647230 B1 KR100647230 B1 KR 100647230B1 KR 1020030002797 A KR1020030002797 A KR 1020030002797A KR 20030002797 A KR20030002797 A KR 20030002797A KR 100647230 B1 KR100647230 B1 KR 10064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rfaces
main body
cover
adhesi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118A (ko
Inventor
남미영
이인화
Original Assignee
남미영
이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미영, 이인화 filed Critical 남미영
Priority to KR102003000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2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20Small textile objects e.g., labels, belt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장용상자(10)는 본체(12)와 덮개(14)를 포함하며, 본체(12)는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측면(12a)과 바닥면(12b)을 가지고 측면(12a)과 바닥면(12b)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며, 덮개(14)는 측면(14a)과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상면(14b)을 가지고 측면(14a)과 상면(14b)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며, 측면(12a)와 바닥면(12b)의 연결부위와 측면(14a)과(14b)의 연결부위에는 장식띠(16)가 부착되며, 측면(12a)과 상면(14b)은 소정 위치에 창틀홀(13)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창틀홀(13)을 봉하도록 투명플라스틱판재(18)가 게재된다.
포장, 상자, 골판지, 투명플라스틱, 창틀홀, 접착제

Description

포장용상자{Box for package}
도 1은 종래 포장용상자를 구성하는 본체와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용상자의 본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포장용상자의 본체 평면에서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본체와 덮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포장용상자의 본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포장용상자의 본체에 보강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종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본체와 덮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장용상자 12: 본체
14: 덮개 16: 장식 띠
18: 플라스틱 판재 G: 접착제
본 발명은 포장용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비를 절감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포장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류에 따른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용상자는 다양하다. 포장용상자로서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품이 있거나, 나무재질의 목재를 이용하거나, 박판의 프로필렌(PP) 등으로 제작된 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삭제
통상 이와 같은 프로필렌소재의 박판으로 제작되는 상자 형태는 내부에 담긴 물품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골판지소재로 제작되는 상자에 있어서도, 소정 크기의 투시창을 갖도록 하여 내부물품의 유부마 포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골판지는 물결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중심지라고도 한다)에 라이너지(紙)라고 하는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를 한 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완충도를 높인 것으로, 골판지원지라고도 한다. 완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이중으로 만든 것도 있으며, 주로 골판지 상자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골판지상자의 장점은 무게가 가벼워서 겹쳐 쌓기가 쉽고, 운반 및 저장에 편리하며, 접을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을 입지 않는다는 데 있다. 용도로는 식품·전기제품·기계부품·잡화·청과물·육어류 등 매우 광범위하나, 초중량 화물의 포장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도 있다.
한편, 골판지의 구조를 살펴 보면, 물결모양은 새로운 디자인 형태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에 맞게 그 외측면이 일자형태, 웨이브형태, 직각형태를 갖도록 디자인 된 제품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 외측면은 민자형태이고 내측면은 물결형상의 주름모양의 속지가 부착된 제품이 대부분이지만 디자인 형태에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제품이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골판지로 골판지상자를 만드는 과정은, 포장될 내용물에 따라서 먼저 일정한 상자 양식을 결정한 다음, 골판지 표면에 필요한 것들을 인쇄하고, 그것을 슬로터에서 전개도를 따라 재단하거나 꺾을 곳에 선을 넣고 평철사나 풀 또는 접착 테이프로 접합하게 된다. 이때 반드시 주의해야 할 것은 골판지에 굽힘이 생겨서는 안 되며, 조립시에는 꺾이는 부위가 직각이 되도록 해야 한다.
포장용상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모서리가 꺽이는 부분은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그렇치 못한 예가 대부분이다. 대부분 외측면에 무늬가 형성되는 골판지소재의 경우가 그러하다.
종래의 포장용상자(1)를 살펴 보면,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본체(2)와, 그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4)가 구비된 구조로서, 본체 및 이에 맞도록 설계된 덮개(4)측의 각 모서리부분은 제반되는 기계장치를 통해 절단과정을 거친 다음 절곡되고, 그 절곡된 일측에는 부착면(2a)을 두어 상자형태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 처리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는 종래의 포장용상자(1)의 단면은 첨부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겹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체(2)에 마련되는 투시창(5)은 상자의 전개도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 제작과정에서 본체(2)의 측면부분에 일률적으로 펀칭된 창틀홀(3)의 뒷면에서 부착 처리되어 포장용상자를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작되는 종래의 포장용상자(10)는 그 절곡되는 모서리 부분이 깔끔하게 절곡되어야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정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며, 불량률정도가 이점에서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지 형식을 갖는 골판지소재에 있어,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전개도를 얻기 위해 설계된 가장자리를 프레스로 찍어 절단되기 때문에, 전지로부터는 나머지 자투리 여백이 발생되어 소재가 낭비되는 문제와 자투리를 별도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거운 물품을 포장하는 경우, 단면이 한 겹이기 때문에 상자의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체(2)의 측벽에 형성되는 창틀홀(3)에 대해 그 내부에서 부착되는 투명프로필렌소재인 박판형태의 투시창(5)을 부착하게 되는 데, 이때 부착되는 접착부분은 3~4군데에 스포트 형식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부착되는 예가 대부분이다. 이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투시창(5)을 간단하게 붙이는 이유는, 도시된 도면과는 달리 체적이 적은 상자를 제작함에 있어 작업성을 보다 간편히 할 수 있으나, 상자의 덮개(4)를 본체(2)로부터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그 내부적으로 처리가 깔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투시창(5)의 미부착 정도는 창틀홀(3)과 투시창(5)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외부로부터 좋지 않은 먼지가 다량 투입될 소지가 있어 물품을 오염시키거나, 변질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골판지 또는 프로필렌수지를 절단하고 접착하는 방식으로 상자의 본체와 덮개를 제작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하고 상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포장용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12a)과 하나의 바닥면(12b)을 가지며 다수의 측면(12a) 사이 및 다수의 측면(12a)과 바닥면(12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본체(12)와, 다수의 측면(14a)과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상면(14b)을 가지며 다수의 측면(14a) 사이 및 다수의 측면(14a)과 상면(14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덮개(14)와, 각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장식띠(16)를 포함하며, 측면(12a)과 상면(14b)은 소정 위치에 창틀홀(13)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창틀홀(13)을 봉하도록 투명플라스틱판재(18)가 삽입/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상자(10)는 본체(12)의 측면(12a)과 바닥면(12b) 및 덮개(14)의 측면(14a)과 상면(14b)을 골무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22a)과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바닥면(22b)을 가지며 다수의 측면(22a) 사이 및 다수의 측면(22a)과 바닥면(22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본체(22)와,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24a)과 투명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상면(24b)를 가지며 다수의 측면(24a) 사이 및 다수의 측면(24a)과 상면(24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덮개(24)와, 각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장식띠(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20)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10)에 대하여 상세히게 설명한다.
포장용상자(10)는 골판지소재의 본체(12)와 덮개(14)를 포함한다.
본체(12)의 측면(12a)과 바닥면(12b) 및 덮개(14)의 상면(14b)은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부착된 골판지전지를 절단하여 만든다. 이때, 골판지전지는 양면 모두 골판무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12)의 측면(12a)과 바닥면(12b)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접착하며, 덮개(14)의 측면(14a)과 상면(14b) 또한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접착한다. 이때, 각 연결부위에는 장식띠(16)를 부착한다.
삭제
본체(12)의 측면(12a) 및 덮개(14)의 상면(14b)은 소정 위치에 창틀홀(13)을 형성하며, 두 겹으로 형성되는 본체(12)의 측면(12a)와 덮개(14)의 상면(14b)에는 각각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박판형태의 투명플라스틱판재(18)를 삽입/게재하여 창틀홀(13)을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첨부한 도 7은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장용상자(20)는 본체(22)와 덮개(24)를 포함한다.
본체(22)는 측면(22a)을 투명플라스틱소재로, 바닥면(22b)을 골판지소재로 각각 형성하며, 덮개(24)는 측면(24a)을 골판지소재로, 상면(24b)을 투명플라스틱소재로 각각 형성한다.
본체(22)의 측면(22a)과 덮개(24)의 상면(24b)을 투명플라스틱소재로 만듦으로써 상자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2)의 바닥면(12b)과 덮개(14)의 측면(14a)은 골판무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양면 모두에 골판무늬가 형성된 골판소재를 사용한다.
본체(22)의 측면(22a)과 바닥면(22b)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접착하며, 덮개(24)의 측면(24a)과 상면(24b) 또한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접착한다. 이때, 각 연결부위에는 장식띠(26)를 부착한다. 장식띠(26)는 천 소재인 일자형, 레이스형 또는 리본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띠(2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의 장식띠(26)를 부착하였다.
삭제
삭제
다음,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포장용상자(10,2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1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골무늬가 양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골판지를 두 겹으로 맞대어 부착하여 골판지전지를 준비한다.
다음, 준비된 골판지전지를 절단하여 포장용상자(10)의 본체(12), 구체적으로 다수의 측면(12a)과 하나의 바닥면(12b) 및 덮개(14), 구체적으로 다수의 측면(14a)과 하나의 상면(14b)을 각각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판지전지를 절단하는 작업은 기설정된 치수에 맞게 직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골판지전지 위에 전개도를 도시하였던 종래기술에 비해 자투리가 거의 없어 원자재인 골판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다음, 절단된 본체(12)의 다수의 측면(12a)의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1차접착하고 접착된 측면(12a)과 바닥면(12b)의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2차접착하여 소정의 체적을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본체를 만든다.
이때, 측면(12a)과 바닥면(12b)을 접착할 때, 바닥면(12b)을 측면(12a)의 하부와 직각으로 일치시켜 접착할 수 있지만, 바닥면(12b)을 측면(12a)의 내부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켜 접착할 수도 있다. 이는 포장용상자(10)가 놓이는 상품 진열대로부터 바닥의 오염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덮개(14)의 다수 측면(14a)을 접착제(G)로 1차접착하고, 접착된 측면(14a)과 상면(14b)을 접착제로 2차접착하여 본체(12)를 덮는 덮개(14)를 만든다.
이때, 본체(12) 및 덮개(14)는 양면 모두가 골무늬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덮개(14)를 열었을 때 내부가 외부와 동일한 미감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해당 연결부위에 장식띠(16)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10)는 골판지를 맞대어 부착하기에 앞서 본체(12)의 측면(12a) 또는 덮개(14)의 상면(14b)에 내부 물품을 확인할 목적으로 창틀홀(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골판지를 두 겹으로 맞붙이는 작업에서 골판지 사이에 투명플라스틱판재(18)를 삽입/게재하여 창틀홀(13)에 대한 투시창 역할을 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20)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먼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겹으로 된 골판지전지를 절단하여 본체(22)의 하나의 바닥면(22b)와 덮개(24)의 다수의 측면(24a)을 만들고, 투명플라스틱소재를 절단하여 본체(22)의 다수의 측면(22a)와 덮개(24)의 하나의 상면(24b)을 각각 만든다.
다음, 본체(22)의 다수의 측면(22a)의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1차접착하고 접착된 측면(22a)과 바닥면(22b)의 연결부위를 접착제(G)로 2차접착하여 소정의 체적을 갖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본체(20)를 만든다.
다음,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덮개(24)의 다수 측면(24a)을 접착제(G)로 1차접착하고 접착된 측면(24a)과 상면(24b)을 접착제로 2차접착하여 본체(22)를 덮는 덮개(24)를 만든다.
삭제
마지막으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해당 연결부위에 장식띠(26)를 부착하여 각 연결부위의 접착부분을 가리고 포장용상자(20)에 외관미를 더한다.
본 실시에와 같이, 투명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하여 본체(22)의 측면(22a) 및 덮개(24)의 상면(24b)을 만듦으로써 포장용상자(20)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상자(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방체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타원체형, 원체형, 그 외 다각체형 등 다양한 형태로 포장용상자(20)를 만들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상자는 각각 접착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의 모서리부분을 절곡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및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치 않는 점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상자에 따르면, 본체의 다수의 측면과 바닥면 및 덮개의 다수의 측면과 상면을 골판지 또는 투명플라스틱재를 절단하고 각각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기 때문에, 원자재인 골판지 또는 투명플라스틱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골판지는 두 겹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골판지소재의 본체의 측면 또는 덮개의 상면에 투명플라스틱판재를 삽입/게재하기 때문에, 상자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골판지의 양면 모두에 골무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자의 외관미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의 내외부가 일치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측면 및 덮개의 상면에 투시창을 형성하거나 이를 투명플라스틱소재로 형성하기 때문에, 덮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자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12a)과 하나의 바닥면(12b)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측면(12a) 사이 및 상기 다수의 측면(12a)과 바닥면(12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본체(12);
    두 겹의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14a)과 하나의 상면(14b)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측면(14a) 사이 및 상기 다수의 측면(14a)과 상면(14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덮개(14); 및
    상기 각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장식띠(16)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12a)과 상기 상면(14b)은 소정 위치에 창틀홀(13)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창틀홀(13)을 봉하도록 투명플라스틱판재(18)가 삽입/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의 측면(12a)과 바닥면(12b) 및 상기 덮개(14)의 측면(14a)과 상면(14b)은 바깥쪽과 안쪽으로 모두 골무늬가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10).
  4. 투명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22a)과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바닥면(22b)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측면(22a) 사이 및 상기 다수의 측면(22a)과 바닥면(22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본체(22);
    골판지소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24a)과 투명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상면(24b)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측면(24a) 사이 및 상기 다수의 측면(24a)과 상면(24b) 사이의 연결부위는 접착제(G)로 서로 접착되는 덮개(24); 및
    상기 각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장식띠(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20).
KR1020030002797A 2003-01-15 2003-01-15 포장용상자 KR10064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797A KR100647230B1 (ko) 2003-01-15 2003-01-15 포장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797A KR100647230B1 (ko) 2003-01-15 2003-01-15 포장용상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65U Division KR200316541Y1 (ko) 2003-01-15 2003-01-15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118A KR20040065118A (ko) 2004-07-21
KR100647230B1 true KR100647230B1 (ko) 2006-11-23

Family

ID=3735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797A KR100647230B1 (ko) 2003-01-15 2003-01-15 포장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1B1 (ko) 2017-04-17 2017-08-25 손승범 장식 및 포장기능을 동시에 갖는 포장용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27B1 (ko) * 2007-02-09 2007-11-27 (주)동성특수포장 골판지와 마감틀체를 이용한 포장용 상자
CN103274101A (zh) * 2013-06-14 2013-09-04 昆山三达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瓦楞纸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1B1 (ko) 2017-04-17 2017-08-25 손승범 장식 및 포장기능을 동시에 갖는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118A (ko)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3777B2 (ja) フラットシートで構成される複合体、複合体を得る方法、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品物を包装する方法
US5069334A (en) Container
JP2004501798A (ja) 容積体特に包装箱を形成するために予め裁断された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形成された包装箱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KR101322459B1 (ko) 골판지와 허니컴 보강 판지를 이용한 엘이디 필름 포장용 상자와 그의 제조방법
AU714217B2 (en) Pop-up box for pop-up greeting cards and blank therefor
KR100647230B1 (ko) 포장용상자
EP1568614B1 (en) Paper container
CN212980752U (zh) 一种新型书皮盒
KR200316541Y1 (ko) 포장용 상자
JP4060933B2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
JP3208566U (ja) 木製容器
KR20200101246A (ko)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011918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상품의 포장박스
RU212144U1 (ru) Герметич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RU212537U1 (ru) Герметич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2567943Y2 (ja) ティクアウト用の紙箱
JP2537821Y2 (ja) 密封紙カートン
JPS60134870A (ja) 積載可能で柔らかい頂部を有する容器
JP2000024060A (ja) 紙製容器及び紙製容器の組立方法
CA3187933A1 (en) Container with independent reinforcement frame
WO2024091141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фиксируемая картонная крышка
JP3084222U (ja) パック容器の包装形態
US20190389627A1 (en) Bag With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3074147U (ja) 折 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