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246A -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246A
KR20200101246A KR1020190052783A KR20190052783A KR20200101246A KR 20200101246 A KR20200101246 A KR 20200101246A KR 1020190052783 A KR1020190052783 A KR 1020190052783A KR 20190052783 A KR20190052783 A KR 20190052783A KR 20200101246 A KR20200101246 A KR 2020010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x
corrugated cardboard
wing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식
Original Assignee
(주)예인디자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인디자인팩 filed Critical (주)예인디자인팩
Publication of KR2020010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4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exclusive use of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84Auxiliary operations
    • B31F2201/0787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개면에 형성된 접이선(120)을 따라 접으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가 되고, 일측에 날개(110)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전개면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는 접착영역(A1)으로 정의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접착영역(A2)으로 정의되는 골판지(100); 상기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접착제(200); 상기 접착제(200)를 매개로 상기 날개(110)를 제외한 골판지(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능성 시트(300); 및 상기 날개(110)의 표면에 도포되는 추가 접착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A corrugated board box with aluminum foil for easy recycl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시트를 통해 차폐/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되면서, 폐기 시에 기능성 시트와 골판지를 서로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는 원판지(liner)에 파형의 골심지(corrugating medium)를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로서, 편면골판지(single faced corrugated fiberboard), 양면골판지(double faced, single wall), 이중양면골판지(double wall), 삼중양면골판지(triple wall)로 나누어지며, 골판지 중 원판지는 기계적 충격이나 기후 조건으로부터 저항성을 부여하며 뒷면 원판지는 인쇄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원판지 사이에 구비되는 골심지는 골판지에 두께를 부여하고 견고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충격시 압축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을 제공한다.
골판지는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외장용과 내장용으로 나누어지는데, 완충 기능을 기본으로 하는 골판지에 다양한 기능을 더 부여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90525호는 장식용 골판지 상자로서, 골판지에 은박층을 형성하여 상품을 고품위로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부재로 기능성을 갖는 골판지로서 등록특허 제10-1653397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골판지"는 골판지의 전면에 기능성 시트를 접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서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아 재활용에 애로사항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골판지"는 접어진 골판지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 부분이 타카핀으로 골판지의 타측에 고정됨으로 인해, 날개 부분을 뜯는 과정에서 힘이 많이 들고, 재활용을 위해 금속의 타카핀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90525호(2002.9.28. 공고) 등록특허 제10-1653397호(2016.9.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사용 후, 골판지에 접착된 기능성 시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별도의 타카핀 없이 날개 부분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외관이 우수한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는, 전개면에 형성된 접이선(120)을 따라 접으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가 되고, 일측에 날개(110)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전개면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는 접착영역(A1)으로 정의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접착영역(A2)으로 정의되는 골판지(100); 상기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접착제(200); 상기 접착제(200)를 매개로 상기 날개(110)를 제외한 골판지(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능성 시트(300); 및 상기 날개(110)의 내면에 도포되어 상기 날개를 상기 박스(B)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추가 접착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접착영역(A1) 중, 상기 날개(110)와 인접한 제1 접착영역(A1')의 중간구간은, 상기 접착제(200)가 도포되지 않는 공백구간(A0)으로 정의되고, 상기 기능성 시트(300)에는, 상기 공백구간(A0)에 대응되는 영역이 절삭되어 손가락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추가 접착제(400)를 매개로 상기 박스(B)의 외측에 붙여지는 날개(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날개(110)를 덮는 형태로 상기 박스(B)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커버테이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00)는, 점 단위로 도포되고, 상기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는, 프레스기(30)의 엠보돌기(31)에 의해 함몰되는 방식으로 요홈(1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200)는, 상기 요홈(101)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방법은, 골판지(100)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로 정의되는 접착영역(A1)에 접착제(200)를 선형으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 상기 접착제(200)가 도포된 골판지(100)의 표면에 기능성 시트(300)를 부착하여 원단지(50)를 제작하는 합지단계(S2); 상기 원단지(50)를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가상의 재단라인(L)을 따라 재단하고, 상기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접이선(120)을 따라 프레싱하는 1차 재단단계(S3); 상기 원단지(50)를 구성하는 기능성 시트(300)의 전체영역 중, 상기 골판지(100)의 날개(110)에 해당하는 돌출영역(201)을 재단·제거하는 2차 재단단계(S4); 상기 2차 재단단계(S4)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날개(110)의 표면에 추가 접착제(400)를 도포하는 날개부 추가 도포단계(S5); 및 상기 원단지(50)를 상기 접이선(120)을 따라 접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를 1차 조립하고, 돌출된 상기 날개(110)를 상기 박스(B)의 외측에 붙여 박스(B)를 완성하는 박스 완성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전부 접착되지 않고, 접착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만 접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 폐기 시에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박스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영역의 사이 공간이 공기로 채워짐으로써, 박스의 차폐/보온/보냉 기능이 더 보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의 날개 부분이 기능성 시트로 가려지지 않고 박스의 외측면에 종이 대 종이로 부착됨으로써, 기능성 시트 대 종이보다 더 견고하게 박스를 접착·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타카핀 대신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에 날개 부분을 뜯어 쉽게 박스를 해체할 수 있고, 타카핀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홈을 통해 손가락을 쉽게 넣을 수 있고,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공백구간이 접착되지 않고 들 뜬 상태이므로,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테이프에 의해 날개가 가려지고 커버테이프가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재활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외관이 우수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의 일면에 점 단위로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기능성 시트가 골판지에 간헐적으로 접착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넓어진 요홈의 함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적이 확대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포함된 골판지 및 기능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전개도.
도 3은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포함된 날개 부분을 전방에서 찍은 사진.
도 4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5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7은 도 6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추가·변형된 제조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9는 도 8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추가·변형된 제조 과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포함된 골판지 및 기능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에 포함된 날개 부분을 전방에서 찍은 사진이고, 도 4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는 기능성 시트를 통해 차폐/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되면서, 폐기 시에 기능성 시트와 골판지를 서로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골판지 박스로서, 골판지(100), 접착제(200), 기능성 시트(300)와 추가 접착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판지(100)는 원판지(liner)에 파형의 골심지(corrugating medium)가 결합된 판재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면에 형성된 접이선(120)을 따라 접으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B)는 가장 일반적인 슬롯형 박스 스타일(A형 박스라고도 함)로 구성되나, 상부의 덮개가 제외되는 하프 슬롯 컨테이너(HSC) 스타일, 상부의 덮개가 일부 겹치는 겹침 슬롯 컨테이너(OSC), 상부의 덮개가 완전히 겹치는 전체 오버레이 슬롯 컨테이너(FOSC) 등의 타입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골판지(100)는 일측에 날개(110)가 별도로 구비되며, 전개면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는 접착영역(A1)으로 정의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접착영역(A2)으로 정의된다.
접착제(200)는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접착 성분이다.
기능성 시트(300)는 접착제(200)를 매개로 날개(110)를 제외한 골판지(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합성부지 보온지와 알루미늄 호일 재질의 박막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지이다. 기능성 시트(300)는 골판지(100)의 차폐/보온/보냉 기능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추가 접착제(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100)의 날개(110)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 성분이다. 날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접착제(400)를 매개로 재질이 동일한 골판지(100)의 겉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판지 박스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판지 박스는 접착제 도포단계(S1), 합지단계(S2), 1차 재단단계(S3), 2차 재단단계(S4), 날개부 추가 도포단계(S5)와 박스 완성단계(S6)를 거쳐 제작된다.
접착제 도포단계(S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100)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로 정의되는 접착영역(A1)에 접착제(200)를 선형으로 도포하는 단계이다.
합지단계(S2)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200)가 도포된 골판지(100)의 표면에 기능성 시트(300)를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부착하여 원단지(5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1차 재단단계(S3)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지(50)를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가상의 재단라인(L)을 따라 재단롤(60)을 이용한 로터리 방식으로 재단하고,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접이선(120)을 따라 프레싱하는 단계이다.
로터리 방식 외에, 목형 틀을 만들고 틀에 박힌 칼로 골판지를 찍어 모양을 내는 톰슨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2차 재단단계(S4)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지(50)를 구성하는 기능성 시트(300)의 전체영역 중, 골판지(100)의 날개(110)에 해당하는 돌출영역(201)을 재단·제거하는 단계이다.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 모두 가능하다.
날개부 추가 도포단계(S5)는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재단단계(S4)를 통해 노출되는 날개(110)의 표면에 추가 접착제(4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박스 완성단계(S6)는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지(50)를 접이선(120)을 따라 접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를 1차 조립하고, 돌출된 날개(110)를 접고 박스(B)의 외측에 붙여 박스(B)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판지 박스는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완전히 접착되지 않고, 접착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만 접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 폐기 시에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박스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영역의 사이 공간이 공기로 채워짐으로써, 박스의 차폐/보온/보냉 기능이 더 보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골판지의 날개 부분이 기능성 시트로 가려지지 않고 박스의 외측면에 종이 대 종이로 부착됨으로써, 기능성 시트 대 종이보다 더 견고하게 박스를 접착·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타카핀 대신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에 날개 부분을 뜯어 쉽게 박스를 해체할 수 있고, 타카핀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추가·변형된 제조 과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방법은 앞의 제1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진행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단계(S1') 및 2차 재단단계(S4')가 변형 적용되고, 종이테이프 부착단계(S7)가 더 포함된다.
접착제 도포단계(S1')는 도 7의 (a)에 도시된 와 같이, 골판지(100)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로 정의되는 접착영역(A1)에 접착제(200)를 선형으로 도포하되, 접착영역(A1) 중, 날개(110)와 인접한 제1 접착영역(A1')의 중간구간은 접착제(200)를 도포하지 않는 단계이다.
도포되지 않는 구간은 공백구간(A0)으로 정의된다.
2차 재단단계(S4')는 2-1차 재단단계와 2-2차 재단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2-1차 재단단계는 도 7의 (b)에 도시된 와 같이, 기능성 시트(300)의 전체영역 중, 골판지(100)의 날개(110)에 해당하는 돌출영역(201)을 재단·제거하는 단계이다.
2-2차 재단단계는 기능성 시트(300)에서 상기 공백구간(A0)에 대응되는 영역을 절삭하여 손가락홈(3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반원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홈을 통해 손가락을 쉽게 넣을 수 있고,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공백구간이 접착되지 않고 들 뜬 상태이므로,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이테이프 부착단계(S7)는 도 7의 (c)에 도시된 와 같이, 추가 접착제(400)를 매개로 박스(B)의 외측에 붙여지는 날개(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날개(110)를 덮는 형태로 종이 재질의 커버테이프(500)를 박스(B)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커버테이프(500)는 박스(B)의 색깔과 유사한 황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테이프(500)에 박스(B)의 로트번호나 바코드, 혹은 포장될 내용물의 제품정보 등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테이프에 의해 날개가 가려지고 커버테이프가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재활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외관이 우수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공정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추가·변형된 제조 과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방법은 앞의 제1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진행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단계(S1'')가 변형 적용되고, 접착부 엠보싱 가공단계(S0)가 더 포함된다.
접착부 엠보싱 가공단계(S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단계(S1'') 전에 수행되며, 프레스기(30)의 엠보돌기(31)을 연속적으로 승강시켜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을 함몰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 일정간격으로 요홈(101)이 엠보돌기(31)의 역상으로 형성된다.
접착제 도포단계(S1'')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100)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로 정의되는 접착영역(A1)에 접착제(200)를 선형으로 도포하되, 접착제(200)가 요홈(101)에 점 단위로 도포되는 단계이다.
이렇게 골판지의 일면에 점 단위로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기능성 시트가 골판지에 간헐적으로 접착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넓어진 요홈의 함몰면에 더 많은 양의 접착제가 집중적으로 도포되어 부분 접착력이 강화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은,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전부 접착되지 않고, 접착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만 접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 폐기 시에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박스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가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영역의 사이 공간이 공기로 채워짐으로써, 박스의 차폐/보온/보냉 기능이 더 보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의 날개 부분이 기능성 시트로 가려지지 않고 박스의 외측면에 종이 대 종이로 부착됨으로써, 기능성 시트 대 종이보다 더 견고하게 박스를 접착·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타카핀 대신 일반적인 종이용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됨으로써, 박스 사용 후에 날개 부분을 뜯어 쉽게 박스를 해체할 수 있고, 타카핀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홈을 통해 손가락을 쉽게 넣을 수 있고,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공백구간이 접착되지 않고 들 뜬 상태이므로,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신속하게 뜯어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테이프에 의해 날개가 가려지고 커버테이프가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재활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외관이 우수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판지의 일면에 점 단위로 도포된 접착제를 매개로 기능성 시트가 골판지에 간헐적으로 접착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넓어진 요홈의 함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적이 확대됨으로써,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 사이의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골판지
200 : 접착제
300 : 기능성 시트
400 : 추가 접착제

Claims (4)

  1. 전개면에 형성된 접이선(120)을 따라 접으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가 되고, 일측에 날개(110)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전개면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는 접착영역(A1)으로 정의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접착영역(A2)으로 정의되는 골판지(100);
    상기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접착제(200);
    상기 접착제(200)를 매개로 상기 날개(110)를 제외한 골판지(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능성 시트(300); 및
    상기 날개(110)의 내면에 도포되어 상기 날개를 상기 박스(B)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추가 접착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영역(A1) 중, 상기 날개(110)와 인접한 제1 접착영역(A1')의 중간구간은, 상기 접착제(200)가 도포되지 않는 공백구간(A0)으로 정의되고,
    상기 기능성 시트(300)에는, 상기 공백구간(A0)에 대응되는 영역이 절삭되어 손가락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추가 접착제(400)를 매개로 상기 박스(B)의 외측에 붙여지는 날개(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날개(110)를 덮는 형태로 상기 박스(B)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커버테이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00)는, 점 단위로 도포되고,
    상기 골판지(100)의 접착영역(A1)에는, 프레스기(30)의 엠보돌기(31)에 의해 함몰되는 방식으로 요홈(1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200)는, 상기 요홈(101)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4. 골판지(100)의 전체영역 중 양측 단부 및 세로 접이선(121)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로 정의되는 접착영역(A1)에 접착제(200)를 선형으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
    상기 접착제(200)가 도포된 골판지(100)의 표면에 기능성 시트(300)를 부착하여 원단지(50)를 제작하는 합지단계(S2);
    상기 원단지(50)를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가상의 재단라인(L)을 따라 재단하고, 상기 박스 전개도에 대응되는 접이선(120)을 따라 프레싱하는 1차 재단단계(S3);
    상기 원단지(50)를 구성하는 기능성 시트(300)의 전체영역 중, 상기 골판지(100)의 날개(110)에 해당하는 돌출영역(201)을 재단·제거하는 2차 재단단계(S4);
    상기 2차 재단단계(S4)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날개(110)의 표면에 추가 접착제(400)를 도포하는 날개부 추가 도포단계(S5); 및
    상기 원단지(50)를 상기 접이선(120)을 따라 접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를 1차 조립하고, 돌출된 상기 날개(110)를 상기 박스(B)의 외측에 붙여 박스(B)를 완성하는 박스 완성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의 제조방법.
KR1020190052783A 2019-02-19 2019-05-07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1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17 2019-02-19
KR20190018917 2019-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246A true KR20200101246A (ko) 2020-08-27

Family

ID=7223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83A KR20200101246A (ko) 2019-02-19 2019-05-07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12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50B1 (ko) 2020-09-28 2021-04-21 주식회사 에다포스코리아 조립 후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는 골판지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25Y1 (ko) 1999-06-29 2002-09-28 주식회사 신우 장식용 골판지 상자
KR101653397B1 (ko) 2015-10-28 2016-09-02 양성욱 기능성 골판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25Y1 (ko) 1999-06-29 2002-09-28 주식회사 신우 장식용 골판지 상자
KR101653397B1 (ko) 2015-10-28 2016-09-02 양성욱 기능성 골판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50B1 (ko) 2020-09-28 2021-04-21 주식회사 에다포스코리아 조립 후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는 골판지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3777B2 (ja) フラットシートで構成される複合体、複合体を得る方法、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品物を包装する方法
CA1050507A (en) Reinforced single-face corrugated containers
RU2001131415A (ru) Картонные коробки с присоединенными наслоением усиливающими лентами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US5454141A (en) Casket structure, laminate covering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095226B1 (ko) 골판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포장박스
KR20200101246A (ko) 재활용이 용이한 기능성 골판지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4039806B2 (ja) 縁部をシールされた包装容器ブランクの製造方法
CN211002304U (zh) 单盒盖方形纸盒
CN210971877U (zh) 双层盒盖方形纸盒
CN211002303U (zh) 双盒盖方形纸盒
JP7447441B2 (ja) 包装箱
CN214085238U (zh) 一种特种盒身结构
CN113998259B (zh) 一种特种盒身结构
JP2022063516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8412B2 (ja) トレー容器
CN219008388U (zh) 一种无铆钉牢固型纸箱
US5667467A (en) Method for forming an effective seal for a carton
JPH0643113B2 (ja) 箱包装用プラスチック基材
JP3057761U (ja) 包装用容器
JPS6158298B2 (ko)
JP7218099B2 (ja) 内面不織布の箱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113313U (zh) 轻质礼品包装盒
KR200316642Y1 (ko) 종이상자
KR20230139209A (ko) 포장용 상자 제조방법
JPH07361B2 (ja) クツシヨン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