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467B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467B1 KR101972467B1 KR1020180021682A KR20180021682A KR101972467B1 KR 101972467 B1 KR101972467 B1 KR 101972467B1 KR 1020180021682 A KR1020180021682 A KR 1020180021682A KR 20180021682 A KR20180021682 A KR 20180021682A KR 101972467 B1 KR101972467 B1 KR 101972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body
- box
- articles
- transverse
- strip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20)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키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하여, 내부공간에 투입된 물품끼리 서로 구획 보관 및 운반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물품 보관 및 운반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포장박스끼리 서로 연결 적층시키기 위한 별도의 적층구조를 마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게 됨은 물론 적층된 상태의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이에 따른 물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포장박스 적층시에 별도의 지지띠 등으로 포장박스끼리 서로 체결하는 작업이 생략되면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본체 내에 물품을 구획시킨 상태로 투입하고 박스본체를 복수개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물품을 투입한 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상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된 사각박스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박스가 복수인 경우 상방으로 차곡차곡 적층시켜 다량의 물품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포장박스는 별다른 보호수단없이 물품들을 그냥 내부공간에 투입하여 운반 및 보관하였기 때문에 물품끼리 서로 부딪치면서 물품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적층시에도 이들 포장박스끼리 서로 연결 적층시키는 별도의 적층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외력 등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낙하되어 이 역시 물품 손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중량물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물품들이 내부공간에서 부딪히거나, 적층박스가 운송도중 낙하하는 문제)가 더욱 심하였다.
그래서, 종래 기술의 포장박스 적층시에는 별도의 지지띠 등으로 포장박스끼리 서로 묶어 지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키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하여, 내부공간에 투입된 물품끼리 서로 구획 보관 및 운반되도록 하고, 또한, 포장박스끼리 서로 연결 적층시키기 위한 별도의 적층구조를 마련하여 중량물이면서도, 다량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포장박스 적층시에 별도의 지지띠 등으로 포장박스끼리 서로 체결하는 작업이 생략되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켜 상층의 박스본체가 하층의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되며,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박스본체의 네 귀퉁이를 제외한 네변의 상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절취된 상변절취부와, 상기 상변절취부에 대응되는 상기 네변의 하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돌출된 하변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의 상변절취부에 상층 박스본체의 하변돌출부가 형합되고, 상기 네 귀퉁이의 상단부는 상기 상변절취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변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된 상향볼록부 구조로 되며, 상기 네 귀퉁이의 하단부는 상기 하변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향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상향오목부 구조로 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의 상향볼록부가 상층 박스본체의 상향오목부에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가 적층되고, 상기 물품보관부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홈을 갖는 복수의 가로띠와 세로띠가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가로띠와 세로띠의 연결홈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이들 복수의 가로띠와 세로띠 사이에 각각 상기 물품보관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가로띠와 세로띠의 연결홈들을 각각 가로띠와 세로띠의 전체 높이의 중간 정도만 절취되도록 하여 이들 연결홈들이 서로 견고히 맞물리도록 하며, 상기 가로띠와 세로띠는 복수의 연결홈의 서로 마주보는 상단 모서리가 사선 방향으로 절취되어 브이자를 이루는 경사면 구조로 하여 서로 간의 연결시 상단 모서리간에 간섭없이 경사면을 통해 용이하게 홈 내측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키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하여, 내부공간에 투입된 물품끼리 서로 구획 보관 및 운반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물품 보관 및 운반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포장박스끼리 서로 연결 적층시키기 위한 별도의 적층구조를 마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무거운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게 됨은 물론 적층된 상태의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이에 따른 물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포장박스 적층시에 별도의 지지띠 등으로 포장박스끼리 서로 체결하는 작업이 생략되면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물품보관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일부를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물품보관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일부를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장박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는 박스본체(10)와, 물품보관부(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본체(10)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되는 측면부(12) 및 상기 측면부(12)의 내측에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13)이 마련되는 사각박스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10)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10)끼리 다단 적층시켜 상층의 박스본체(10)가 하층의 박스본체(10)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박스본체(10)의 네 귀퉁이를 제외한 네변의 상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절취된 디귿자 형상의 상변절취부(14)와, 상기 상변절취부(14)에 대응되는 상기 네변의 하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돌출된 디귿자 형상의 하변돌출부(15)가 마련되어, 상기 박스본체(10)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10)의 상변절취부(14)에 상층 박스본체(10)의 하변돌출부(15)가 끼워져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10)가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최상단 박스본체(10)의 적층구조는, 기 네 귀퉁이를 제외한 상기 네변의 하단부만 일정길이 하향 돌출된 하변돌출부(14)가 마련되고, 상기 박스본체(10)의 네 귀퉁이와 네변의 상단부는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3)의 물품보관부(20)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하여서 상기 물품보관부(20)의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네 귀퉁이의 상단부는 상기 상변절취부(14)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변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된 상향볼록부(16) 구조로 되며, 상기 네 귀퉁이의 하단부는 상기 하변돌출부(15)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향볼록부(16)에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상향오목부(17) 구조로 되어, 상기 박스본체(10)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10)의 상향볼록부(16)가 상층 박스본체(10)의 상향오목부(17)에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가 적층된다.
상기 네 귀퉁이의 상단부는 상기 상변절취부(14)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변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된 상향볼록부(16) 구조로 되며, 상기 네 귀퉁이의 하단부는 상기 하변돌출부(15)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향볼록부(16)에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상향오목부(17) 구조로 되어, 상기 박스본체(10)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10)의 상향볼록부(16)가 상층 박스본체(10)의 상향오목부(17)에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가 적층된다.
상기 물품보관부(20)는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부공간(13)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21)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물품보관부(20)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홈을 갖는 복수의 가로띠(22)와 세로띠(23)가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가로띠(22)와 세로띠(23)의 연결홈(22a)(23a,23b)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이들 복수의 가로띠(22)와 세로띠(23) 사이에 각각 상기 물품보관공간(2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띠(22)와 세로띠(23)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연결홈(22a) 모두가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취된 하향절취홈 구조이거나 또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절취된 상향절취홈 구조로만 이루어진 일방절취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띠(22)와 세로띠(23)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연결홈(23a,23b) 중 일부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취된 하향절취홈(23a) 구조로 되고 나머지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절취된 상향절취홈(23b) 구조로 되어 이들이 조합을 이루는 양방절취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세로띠(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향절취홈 구조의 복수의 연결홈(23b)을 갖는 복수의 세로띠(23)가 가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 후 이들 각각의 연결홈(23b)에 가로띠(22)의 연결홈(22a)이 맞물려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균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띠(22)와 세로띠(23)의 연결홈(22a)(23a,23b)들을 각각 가로띠(22)와 세로띠(23)의 전체 높이의 중간 정도만 절취되도록 하여 이들 연결홈(22a)(23a,23b)들이 서로 견고히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특히,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가로띠(22)보다 세로띠(23)가 높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세로띠(23)가 내부공간(13)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면서 틈새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물품보관공간(21)끼리 서로 연통되어 통풍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띠(22)와 세로띠(23)는 복수의 연결홈(22a)(23a,23b)의 서로 마주보는 상단 모서리가 사선 방향으로 절취되어 브이자를 이루는 경사면(23c) 구조로 하여 서로 간의 연결시 상단 모서리간에 간섭없이 경사면(23c)을 통해 용이하게 홈 내측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물건을 상기 연결홈(23a)사이에 안착시킬 경우에도 상기 사면(23c)을 통해 용이하게 홈 내측부로 진입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이자 형상을 이루는 양 경사면(23c) 상에도 물건을 얹혀 놓을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박스본체(10)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하방으로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포장박스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세로띠(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향절취홈 구조의 복수의 연결홈(23b)을 갖는 복수의 세로띠(23)가 가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 후 이들 각각의 연결홈(23b)에 가로띠(22)의 연결홈(22a)이 맞물려 연결되게 하여 균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21)이 형성된 물품보관부(2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세로띠(23)가 가로띠(22)보다 높게 위치되어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들뜬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들뜬 하단부를 통해 서로 간의 통풍이 원활히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물품보관부(20)를 박스본체(10)의 내부공간(13)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들을 각각의 물품보관공간(21)으로 투입한다.
이때, 상기 세로띠(23)의 하향절취된 연결홈(23a)에도 길다란 형상의 물품을 끼우거나 거치하여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세로띠(23)들은 그 하나하나가 함께 일종의 쿠션역할을 하게된다.
이런 방식으로 하여, 물품이 보관된 각각의 박스본체(10)들을 차곡차곡 상향 적층시킨다.
여기서, 상기 박스본체(10)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10)의 상변절취부(14)에 상층 박스본체(10)의 하변돌출부(15)가 끼워져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10)가 적층된다.
그리고, 복수의 박스본체(10)의 적층이 완료되면 최상단의 박스본체(10)의 상방으로 커버(30)를 덮어씌워 최종적으로 물품이 투입된 박스본체(10)의 적층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포장박스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키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하여, 내부공간에 투입된 물품끼리 서로 구획 보관 및 운반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물품 보관 및 운반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포장박스끼리 서로 연결 적층시키기 위한 별도의 적층구조를 마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게 됨은 물론 적층된 상태의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이에 따른 물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박스 적층시에 별도의 지지띠 등으로 포장박스끼리 서로 체결하는 작업이 생략되면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박스본체 11 : 바닥부
12 : 측면부 13 : 내부공간
14 : 상변절취부 15 : 하변돌출부
20 : 물품보관부 21 물품보관공간
22 : 가로띠 22a : 연결홈
23 : 세로띠 23a,23b : 연결홈
23c : 경사면 30 : 커버
12 : 측면부 13 : 내부공간
14 : 상변절취부 15 : 하변돌출부
20 : 물품보관부 21 물품보관공간
22 : 가로띠 22a : 연결홈
23 : 세로띠 23a,23b : 연결홈
23c : 경사면 30 : 커버
Claims (5)
-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격자 구조로 연결되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물품보관공간을 갖는 물품보관부; 및
상기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는 일측에 동일 박스본체끼리 다단 적층시켜 상층의 박스본체가 하층의 박스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차폐시킬 수 있게 하는 소정의 적층구조가 마련되며,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박스본체의 네 귀퉁이를 제외한 네변의 상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절취된 상변절취부와, 상기 상변절취부에 대응되는 상기 네변의 하단부가 일정길이 하향 돌출된 하변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의 상변절취부에 상층 박스본체의 하변돌출부가 형합되고,
상기 네 귀퉁이의 상단부는 상기 상변절취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네변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돌출된 상향볼록부 구조로 되며,
상기 네 귀퉁이의 하단부는 상기 하변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향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상향오목부 구조로 되어, 상기 박스본체의 적층시 하층 박스본체의 상향볼록부가 상층 박스본체의 상향오목부에 형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박스본체가 적층되고,
상기 물품보관부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홈을 갖는 복수의 가로띠와 세로띠가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가로띠와 세로띠의 연결홈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이들 복수의 가로띠와 세로띠 사이에 각각 상기 물품보관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가로띠와 세로띠의 연결홈들을 각각 가로띠와 세로띠의 전체 높이의 중간 정도만 절취되도록 하여 이들 연결홈들이 서로 견고히 맞물리도록 하며,
상기 가로띠와 세로띠는 복수의 연결홈의 서로 마주보는 상단 모서리가 사선 방향으로 절취되어 브이자를 이루는 경사면 구조로 하여 서로 간의 연결시 상단 모서리간에 간섭없이 경사면을 통해 용이하게 홈 내측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682A KR101972467B1 (ko) | 2018-02-23 | 2018-02-23 | 포장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682A KR101972467B1 (ko) | 2018-02-23 | 2018-02-23 | 포장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2467B1 true KR101972467B1 (ko) | 2019-04-26 |
Family
ID=6628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1682A KR101972467B1 (ko) | 2018-02-23 | 2018-02-23 | 포장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246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6034A (ja) * | 1998-02-24 | 1999-08-31 | Sony Corp | 化粧箱の中仕切り |
KR200367545Y1 (ko) * | 2004-08-17 | 2004-11-12 | 서림하이팩 주식회사 |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
KR20050081063A (ko) * | 2004-02-12 | 2005-08-18 | 김태규 | 과일상자 |
KR200404794Y1 (ko) * | 2005-10-04 | 2005-12-28 | 서림하이팩 주식회사 | 골판지 포장박스 |
KR101023439B1 (ko) * | 2008-11-14 | 2011-03-24 | 주식회사 대유팩 |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
KR20140005970U (ko) | 2013-05-20 | 2014-11-28 | 고창욱 | 포장박스 |
-
2018
- 2018-02-23 KR KR1020180021682A patent/KR101972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6034A (ja) * | 1998-02-24 | 1999-08-31 | Sony Corp | 化粧箱の中仕切り |
KR20050081063A (ko) * | 2004-02-12 | 2005-08-18 | 김태규 | 과일상자 |
KR200367545Y1 (ko) * | 2004-08-17 | 2004-11-12 | 서림하이팩 주식회사 |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
KR200404794Y1 (ko) * | 2005-10-04 | 2005-12-28 | 서림하이팩 주식회사 | 골판지 포장박스 |
KR101023439B1 (ko) * | 2008-11-14 | 2011-03-24 | 주식회사 대유팩 |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
KR20140005970U (ko) | 2013-05-20 | 2014-11-28 | 고창욱 | 포장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772571B (zh) | 用于家用设备的伸展罩式包装的包装箱、方法及成套工具 | |
CN1984824B (zh) | 保护性包装 | |
CN102826290A (zh) | 一种护角装置 | |
JPS62287874A (ja) | 包装組立体 | |
CN202107186U (zh) | 一种护角装置 | |
US11319134B2 (en) | Product packaging system | |
JP2012245989A (ja) | 包装箱 | |
KR101972467B1 (ko) | 포장박스 | |
JP2684022B2 (ja) | 苺の包装容器 | |
CN205661769U (zh) | 一种带分区功能包装盒 | |
KR200469485Y1 (ko) |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 |
CN101134517B (zh) | 包装小植物托盘的系统和方法 | |
JP2018104063A (ja) | 果菜類輸送容器 | |
JP2014162492A (ja) | 果実緩衝積み重ね容器 | |
KR100949184B1 (ko) | 포장용 상자 | |
KR102089211B1 (ko) |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 |
KR100885680B1 (ko) |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 |
CN107758038A (zh) | 一种包装箱及其包装方法 | |
JP6119675B2 (ja) | 梱包材 | |
KR102139686B1 (ko) | 사각 딸기 포장용기 | |
CN211167771U (zh) | 包装结构 | |
CN213443626U (zh) | 一种高效果蔬周转箱 | |
US20240021739A1 (en) | Interlockable and slidable module clip piece for module packaging | |
CN217261955U (zh) | 一种储能电箱的打包结构 | |
CN217146882U (zh) | 一种封装管壳运输包装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