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686B1 - 사각 딸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사각 딸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686B1
KR102139686B1 KR1020190034284A KR20190034284A KR102139686B1 KR 102139686 B1 KR102139686 B1 KR 102139686B1 KR 1020190034284 A KR1020190034284 A KR 1020190034284A KR 20190034284 A KR20190034284 A KR 20190034284A KR 102139686 B1 KR102139686 B1 KR 10213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ackaging container
supporting
strawber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9003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시 포갤 수 있으면서도 딸기 포장 상태에서도 다단으로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포장된 딸기를 안전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사출성형으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회수 후 쉽게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예방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또한 테이핑 작업 없이도 다단으로 포장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와; 플랜지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성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딸기를 수납하는 사각형상의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한 제1받침부 및 제1받침부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1지지다리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으로 형성한 제2지지다리 및 제2지지다리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각 딸기 포장용기{Square strawberry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각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관 시 포갤 수 있으면서도 딸기 포장 상태에서도 다단으로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포장된 딸기를 안전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사출성형으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회수 후 쉽게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예방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또한 테이핑 작업 없이도 다단으로 포장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딸기나 방울토마토 등을 담아 포장하는 포장용기는 종이상자, 플라스틱 용기, 스티로폼 용기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특히 딸기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신선도를 제공하기 위해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티로폼 용기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는 대량으로 생산 후 농가로 보급함에 있어, 용기를 포갠 상태로 제공함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라스틱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38500호(2004.01.16.)의 딸기 포장용기,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82514호(2017.02.08.)의 결속형 딸기 포장용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포장용기와 포장용기 사이에 공극이 많아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2개의 용기를 대향으로 결합하여 제공하므로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티로폼 용기는 생산 후 농가로 보급함에 있어, 용기를 단순 적층식으로 제공함으로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스티로폼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38192호(2008.01.28.)의 과일 포장용기등이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 용기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포장용기와 포장용기 사이에 공극이 없어 상품 이송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라스틱 용기와 스티로폼 용기를 환경적 측면에서 보면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사용 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스티로폼 용기의 경우 수거 및 재활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일반 쓰레기와 함께 배출하는 경우가 많고, 수거한 상태에서도 외부에 묻어 있는 경우 재활용이 어려워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 구성의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있었으나, 대부분 딸기를 담은 상태에서 적층이 어려워 생산되지 못하고 있었다.
KR 200338500 Y1 2004.01.16. KR 200482514 Y1 2017.02.08. KR 200438192 Y1 2008.01.28.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사각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티로폼 딸기 포장용기의 물류에 따른 문제점과, 환경오염에 따른 문제점을 동시에 일소하면서 제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적층이 가능한 합성수지 딸기 포장용기를 사각으로 제공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납부 양측에 내외측으로 제1받침부와 제1지지다리 및 제2지지다리와 제2받침부를 각각 형성하여 사출 성형한 후 보관시 여러개를 쉽게 포갤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시 수납부에 딸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180도 회동시켜 제1,2지지다리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포장용기의 제1,2받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딸기를 포장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회수 후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예방에서 일조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이고, 기존 원형 포장용기 또는 스티로폼 사각 포장용기에 비해 포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받침부에 제1,2지지다리를 안치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 해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적층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수납부를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공하여 포장용기가 적층상태일 때 수납가 상기 제1,2다리와 함께 지지기능을 제공하여 포장용기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토록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와; 플랜지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성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딸기를 수납하는 사각형상의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한 제1받침부 및 제1받침부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1지지다리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으로 형성한 제2지지다리 및 제2지지다리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부에는 안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2지지다리의 하단이 안치홈에 내입되도록 수납부 보다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부의 바닥 또는 안치홈의 바닥에는 이격된 걸림편을 형성하고, 제1,2지지다리의 하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제1,2지지다리를 제1,2받침부에 안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밀어 걸림편이 걸림홈에 내입상태로 걸림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는 투명커버가 안치되며, 투명커버에는 제1받침부 및 제2지지다리와의 경계부분에 형성한 지지홈에 내입되는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수납부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에는 수납부와 연통되는 통기홈을 형성하고, 수납부의 바닥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수납부 내에 공기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성으로 형성하여 180도 회동 상태로 포장용기를 적층할 때 수납부의 짧은 변의 상측에 수납부의 넓은 변이 걸쳐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부와 직각인 수납부의 세로방향 상하측변에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수납부와 제1,2지지다리의 내부가 상광하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 후 포개어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 스티로폼 제품 등에 비해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사용시 수납부에 딸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180도 회동시켜 제1,2지지다리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포장용기의 제1,2받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딸기를 포장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제1,2받침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제1,2지지다리에 걸림홈이 형성되므로, 적층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에 의해 상하측 포장용기가 결속되므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도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납부를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공하여 포장용기가 적층상태일 때 수납부가 상기 제1,2다리와 함께 지지기능을 제공하여 포장용기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어 수납된 딸기를 손상없이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포장용기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 후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한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조한 상태에서 포갠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수납부의 적층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의 제1,2받침부에 형성한 걸림편이 제1,2지지다리에 형성한 걸림홈에 내입 걸림되는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로 운반시 상태도
도 14는 도 11의 측단면도로 딸기 포장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 4는 도 1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한 사각 딸기 포장용기를 제조한 상태에서 포갠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수납부의 적층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듣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1)는 주로 딸기나 방울토마토 등을 수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 사각 스티로폼 포장용기와 같이 제공하면서도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사용 후 폐기시에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생산성 향상과 재활용성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1)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혹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1)의 바람직한 예로는 사각 형상으로 플랜지(2)를 형성하고, 플랜지(2)의 내측으로 중앙에 수납부(3)를 배치하고, 수납부(3)의 좌측으로 제1받침부(4)와 제1지지다리(5)를 배치하며, 수납부(3)의 우측으로 제2지지다리(5')와 제2받침부(4')를 배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3)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하여 딸기가 수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한다. 또한 수납부(3)는 수납되는 량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1,2받침부(4)(4')는 플랜지(2)에서 함몰된 구성으로 안치홈(4a)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1,2지지다리(5)(5')는 상기 수납부(3)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치홈(4a)이 형성된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안치홈(4a) 없는 구성으로 제1,2받침부(4)(4')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제1,2지지다리(5)(5')를 수납부(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면 된다.
이때 제1,2지지다리(5)(5')는 내부에 공간부(5a)가 형성된 비어 있는 구성이며, 이 공간부(5a)는 상기 수납부(3)와 같이 수납부(3)처럼 상광하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포장용기(1)를 사출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다리(5)(5')의 높이(h2)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납부(3)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플랜지(2)에서 함몰된 안치홈(4a)의 깊이(p)만큼 높게 형성하여 수납부(3) 상측으로 적층되는 수납부(3)가 플랜지(2)를 경계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도 6참조)
안치홈(4a)의 깊이(p)는 개략 3~10mm 내외로 형성한다. 3mm이하로 형성하는 경우 안치 상태에서 외력에 가해질 때 제1,2지지다리(5)(5')가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10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이 안치홈(4a) 끼여 분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부는 제1,2안치홈(4a)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을 제공하여 적층상태에서 포장용기(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포장용기(1)를 적층한 상태에서 테이핑 작업을 하면 포장용기(1)를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3)의 상측으로는 투명 재질인 PET등으로 투명커버(6)를 씌워 수납부(3)에 수납되어 있는 딸기가 외부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명커버(6)는 수납부(3)의 평면 형상에 부합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커버(6)에는 좌우측으로 지지돌기(6a)를 형성하고, 수납부(3)와 제1받침부(4) 및 제2지지다리(5')와의 경계부분에는 지지홈(7)을 형성하여 지지돌기(6a)를 지지홈(7)에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투명커버(6)를 결합하면 수납부(3)의 상부를 완전하게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장용기(1)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지지홈(7)에 지지돌기(6a)가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투명커버(6)가 수납부(3)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 투명커버(6)를 통해서 수납부(3)에 수납되어 있는 딸기(또는 방울토마토)등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으므로 딸기 등의 신선도 유지와 전시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1)는 딸기를 수납부(3)에 수납한 상태에서 투명커버(6)로 상부를 밀폐하더라도 수납부(3)에 공기 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랜지(2)에는 수납부(3)와 연통되는 통기홈(3a)을 형성하고, 수납부(3)의 바닥에는 복수의 통기구멍(3b)을 형성하여 수납부(3) 내에 공기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납부(3)의 경우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수납부(3)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공하는 경우 포장용기(1)를 적층한 상태에서 포장용기(1)의 일측을 지지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어 포장용기(1)를 다단으로 적층할 때 포장용기(1)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즉, 수납부(3)의 평면을 사다리꼴로 형성한 상태에서 포장용기(1) 위에 다른 포장용기를 180도 회동상태로 적층하면,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짧은 변 위로 적층되는 사다리꼴의 넓은 변이 올려지는 형상이 되므로 포장용기(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2지지다리(5)(5')와 수납부(3)가 제3의 지지다리 역할을 하여 수납부(3)에 수납된 딸기의 중량을 분산시키게 되는바, 포장용기(1)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의 평면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로 방향에 경사진 변이 위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세로방향으로 경사진 변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에서의 제1,2받침부에 형성한 걸림편이 제1,2지지다리에 형성한 걸림홈에 내입 걸림되는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이 사각 딸기 포장용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2받침부(4)(4')와 제1,2지지다리(5)(5')의 구성을 개선하여 사각 딸기 포장용기(1)를 적층한 상태에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2받침부(4)(4')의 안치홈(4a) 바닥에는 이격된 걸림편(4b)을 형성하고,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에는 걸림편(4b)이 내입되는 걸림홈(5b)을 형성한다.
제1,2지지다리(5)(5')는 제1,2받침부(4)(4')에 내입된 상태에서 전후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작게 형성하며, 이격되는 공간은 걸림편(4b)이 걸림홈(5b)에 내입될 수 있는 정도의 작동공간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받침부(4)(4')에 안치홈(4a)을 형성하기 않은 상태에서의 바닥에는 이격된 걸림편(4b)을 형성하고,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에는 걸림편(4b)이 내입되는 걸림홈(5b)을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편(4b) 또는 걸림홈(5b)에는 상대측이 내입된 상태에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턱(5c)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걸림홈(5b)의 입구 쪽에 턱(5c)을 형성하여 걸림편(4b)이 내입된 상태일 때 걸림편(4b)의 측방에 위치되어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2받침부(4)(4')의 안치홈(4a)에 걸림편(4b)을 형성하고, 제1,2지지다리(5)95')에 걸림홈(5b)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경우 테이핑 작업 없이도 적층되는 포장용기(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로 운반시 상태도, 도 14는 도 11의 측단면도로 딸기 포장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사각 딸기 포장용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2받침부(4)(4')와 직각인 수납부(3)의 세로방향 상하측변에는 복수의 지지부(8)를 더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지지부(8)는 수납부(3)에서 외형으로 돌출된 구성되며, 수납부(3)와 연결된 공간을 가지도록 하여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딸기의 선선도 유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운반시에는 도 12와 같은 적층상태를 제공하며, 딸기 포장용기(1)를 180도 회동시킨 상태로 적층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에 지지부(8)가 올려진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여 수납부(3)에 딸기를 담은 상태일 때 지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사각 딸기) 포장용기 2:플랜지
3:수납부 3a:통기홈
3b:통기구멍 4,4':제1,2받침부
4a:안치홈 4b:걸림편
5,5':제1,2지지다리 5a:공간부
5b:걸림홈 5c:턱
6:투명커버 6a:지지돌기
7:지지홈 8:지지부

Claims (7)

  1.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2)와;
    플랜지(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성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딸기를 수납하는 사각형상의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3)의 좌측에 형성한 제1받침부(4) 및 제1받침부(4)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1지지다리(5)와;
    상기 수납부(3)의 우측으로 형성한 제2지지다리(5') 및 제2지지다리(5')의 바깥쪽으로 형성한 제2받침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받침부(4)(4')에는 안치홈(4a)을 형성하고;
    상기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이 안치홈(4a)에 내입되도록 수납부(3) 보다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받침부(4)(4')의 바닥 또는 안치홈(4a)의 바닥에는 이격된 걸림편(4b)을 형성하고, 제1,2지지다리(5)(5')의 하단에는 걸림홈(5b)을 형성하여 제1,2지지다리(5)(5')를 제1,2받침부(4)(4')에 안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밀어 걸림편(4b)이 걸림홈(5b)에 내입상태로 걸림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의 상측에는 투명커버(6)가 안치되며, 투명커버(6)에는 제1받침부(4) 및 제2지지다리(5')와의 경계부분에 형성한 지지홈(7)에 내입되는 지지돌기(6a)를 형성하여 수납부(3)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에는 수납부(3)와 연통되는 통기홈(3a)을 형성하고, 수납부(3)의 바닥에는 복수의 통기구멍(3b)을 형성하여 수납부(3) 내에 공기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는,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성으로 형성하여 180도 회동 상태로 포장용기(1)를 적층할 때 수납부(3)의 짧은 변의 상측에 수납부(3)의 넓은 변이 걸쳐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받침부(4)(4')와 직각인 수납부(3)의 세로방향 상하측변에는 복수의 지지부(8)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딸기 포장용기.
KR1020190034284A 2019-03-26 2019-03-26 사각 딸기 포장용기 KR10213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84A KR102139686B1 (ko) 2019-03-26 2019-03-26 사각 딸기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84A KR102139686B1 (ko) 2019-03-26 2019-03-26 사각 딸기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686B1 true KR102139686B1 (ko) 2020-07-30

Family

ID=7183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84A KR102139686B1 (ko) 2019-03-26 2019-03-26 사각 딸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6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282A (ja) * 1998-02-05 1999-08-17 Hidenori Morita 苺の包装容器
KR200338500Y1 (ko) 2003-10-11 2004-01-16 김지태 딸기 포장용기
JP2004314982A (ja) * 2003-04-11 2004-11-11 Taiyo Kogyo Co Ltd 苺ケース
JP2006182428A (ja) * 2004-12-28 2006-07-13 Akuta:Kk 食品包装用容器
KR200438192Y1 (ko) 2007-02-15 2008-01-28 이병일 과일 포장상자
WO2014065088A1 (ja) * 2012-10-23 2014-05-01 Saito Kotaro いちご収納トレー
KR200482514Y1 (ko) 2015-05-06 2017-02-08 박윤희 결속형 딸기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282A (ja) * 1998-02-05 1999-08-17 Hidenori Morita 苺の包装容器
JP2004314982A (ja) * 2003-04-11 2004-11-11 Taiyo Kogyo Co Ltd 苺ケース
KR200338500Y1 (ko) 2003-10-11 2004-01-16 김지태 딸기 포장용기
JP2006182428A (ja) * 2004-12-28 2006-07-13 Akuta:Kk 食品包装用容器
KR200438192Y1 (ko) 2007-02-15 2008-01-28 이병일 과일 포장상자
WO2014065088A1 (ja) * 2012-10-23 2014-05-01 Saito Kotaro いちご収納トレー
KR200482514Y1 (ko) 2015-05-06 2017-02-08 박윤희 결속형 딸기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911B1 (en) Fragility package
US8999415B2 (en) Tri-fold egg carton for jumbo eggs
US8607981B2 (en) Grocery transport reusable container
US8875885B2 (en) Package for shipping hazardous material bottl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467714B2 (en) Container stack and separating element therefor
CA2569237A1 (en) Pallet base packaging system
TW201206776A (en) Article storage case
US20170073105A1 (en) An Edge Fitting to Support and Protect a Cargo Casing
US10227157B2 (en) Egg carton with diagonal lid panel
KR101125775B1 (ko) 저 비용 웨이퍼 박스 개선
US4778056A (en) Container adapter
KR102139686B1 (ko) 사각 딸기 포장용기
JP5679965B2 (ja) 部分的に重なり合う隣接する容器
KR102087236B1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WO2012058676A2 (en) Substrate shipper
KR101972467B1 (ko) 포장박스
KR102389485B1 (ko) 포장 용기
MX2013013317A (es) Configuracion de paquete para contenedores vacios de forma de hoja.
JP5504185B2 (ja) 梱包材、これにより梱包された梱包体
KR102283525B1 (ko) 사용 편의성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
KR20180109008A (ko) 프레임을 이용한 포장 상자
CN201313664Y (zh) 货物周转箱
JP2011037469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KR20110000034U (ko) 포장박스
JP2012153378A (ja) 梱包用トレイ、梱包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