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85B1 -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9485B1 KR102389485B1 KR1020200055185A KR20200055185A KR102389485B1 KR 102389485 B1 KR102389485 B1 KR 102389485B1 KR 1020200055185 A KR1020200055185 A KR 1020200055185A KR 20200055185 A KR20200055185 A KR 20200055185A KR 102389485 B1 KR102389485 B1 KR 102389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container
- accommodating
- concave portion
- receiving
- fasten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 용기가 개시된다. 포장 용기는,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와,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수용 공간에는,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가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의류 또는 기타 물건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제작하여 출고할 때에, 통상적으로 비닐이나 종이 등의 포장재로 의류를 포장하여 출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판매 시에는 포장재를 뜯거나 비닐 포장에 그대로 담아 의류를 전시하고, 고객이 선택한 의류는, 포장재를 뜯어 별도의 포장 용기에 담아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의류가 포장재에 담긴채로 고객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비닐 포장채로 전시하는 것은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포장재를 뜯어 안의 내용물만 따로 전시했다가 나중에 별도의 포장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것에는 자원 낭비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고객이 포장재채로 의류 제품을 구매한 경우에도, 어차피 포장재는 나중에 재활용이 될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의류의 유통 과정에서의 자원 낭비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의류뿐만 아니라 다른 소비재 내지 물건을 포장하는 용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개선된 의류 포장 용기(도 8)를 개시하고 있다. 의류 포장 용기(80)는, 내부에 의류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출입 개구(86)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81)와, 출입 개구(86)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뚜껑(82)으로 구성되며, 출입 개구(86)를 통해 의류(87)를 넣거나 뺄 수 있도룩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의류 포장 용기나 포장재 자체가 모두 디자인 소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의류의 유통 과정에서 종이나 비닐 등이 포장 용도로만 사용된 후에 폐기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류 포장 용기를 다수개 활용하여 의류 및 다른 소품을 보관하는 용기로 활용할 경우, 다수의 포장 용기를 서로 나란히 진열하여 보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밖에 없어 그만큼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883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다수의 의류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가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변의 오목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각각 포함하며, 마주보는 변의 일측에서부터 제1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마주보는 변의 타측에서부터 상기 제2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같지 않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변에는 서로 대칭이거나 서로 비대칭인 위치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마주보는 2개의 장변에 각각 형성된 장변 돌출부와, 상기 장변 돌출부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 형성되는 단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분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다수의 의류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의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의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포장 용기(1)는 의류 등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0)와 수용부(10)로부터 연장하고 수용부(1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부(20)를 포함한다.
수용부(10)는 의류 등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11)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2)를 구비하며, 연장부(12)의 한 변에는 제1 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11)은 의류 등의 소망하는 물건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수직 방향(도 2의 지면 방향)의 깊이를 갖는다. 수용 공간(1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0)에는, 수용 공간(11)으로부터 연장부(12)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파여있는 오목부(112)가 사각형의 각 변마다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마주보는 두 변에 위치한 오목부(112a, 112b, 112c, 112d)는 서로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변의 일측(도 2의 상측)에서부터 오목부(112a)까지의 거리(Da)는 장변의 타측(도 2의 하측)에서부터 마주보는 오목부(112b)까지의 거리(Db)와 같지 않게, 서로 마주보는 장변의 오목부(112a, 112b)가 형성된다. 또한, 단변의 일측(도 2의 좌측)에서부터 오목부(112c)까지의 거리(Dc)는 단변의 타측(도 2의 우측)에서부터 마주보는 오목부(112d)까지의 거리(Dd)와 같지 않게, 서로 마주보는 단변의 오목부(112c, 112d)가 형성된다. 요컨대, 다음의 수식을 만족한다.
[수식 1] Da≠Db, Dc≠Dd
이와 같이 형성하면, 수용부(11)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와 상하로 적층될 때, 적층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 용기의 수용부(A)와 제2 포장 용기의 수용부(B)를, 예를 들어 서로 180도 회전시켜 수직 방향으로 적층시키면, 상하 방향의 오목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수용부(B)가 수용부(A)의 수용 공간 내로 들어가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변의 오목부 중 상측의 오목부(112d)는 변의 중심 근방에 형성되어 있지만, 하측의 오목부(112c)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요컨대, 마주보는 변의 오목부들은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를 180도 회전시켜 수용부(11)에 적층할 때, 더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해진다.
덮개부(20)는 수용부(10)의 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수용부(1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덮개부(20)의 한 변에는 수용부(10)의 제1 체결부(121)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221)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21)는 세로로 긴 형태의 돌출편으로 구성되며, 제2 체결부(221)는 세로로 긴 형태의 구멍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가 서로 체결됨으로서, 수용부(10)와 덮개부(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의 개수는, 수용부(10)와 덮개부(2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면, 반드시 2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덮개부(2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수용 공간(11)에 대응하는 부분은, 수용부(10) 내의 물건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와 수용부(10)의 연결 부분에는, 수용부(10)를 덮개부(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덮개부(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덮개부(2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 용기(1)를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2개의 포장 용기로부터 얻어진 2개의 수용부(A, B)가 적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포장 용기의 덮개부를 제거하고, 수용부만을 이용하여 거기에 의류를 보관하고 싶은 경우, 수용부(A)에 의류를 보관하고, 다른 포장 용기에서 얻어진 수용부(B)를 수용부(A)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적층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이면서도 공간을 최소화하는 상태로 의류 보관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10)의 수용 공간(11)의 각 변에 형성된 오목부(112a-112d)는, 대향하는 변의 오목부(112a-112d)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수용부(10)를 도 3에서와 같이 180도 회전한 상태로 적층하면 안정적으로 2개의 수용부(10)를 적층할 수 있다. 다른 수용부를 더 적층할 때에도 180도씩 회전하여 수용부를 적층하면 하나의 수용부(10)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에 높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수용부를 적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 복수 개의 포장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버려졌던 포장 용기의 재활용이 극대화되고 자원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장 용기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적인 효과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개방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상방으로 막혀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의 배치 관계가 [수식 1]을 만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상방으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오목부(112)의 내부가 소정의 재료로 채워져 있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는, 포장 용기(1)의 수용 공간(11)에 오목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 공간(11)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114a, 114b, 116)가 형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면 부호 114a, 114b는 장변 돌출부라 하고, 도면 부호 116은 단변 돌출부라 한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11)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114a, 114b, 116)를 형성하면, 제1 실시형태서처럼, 서로 마주보는 변에 있는 오목부들이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서로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 돌출부(114a, 114b)는 사각형의 수용 공간(11)의 장변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변 돌출부(116)는 장변 돌출부(114a, 114b)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만 1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부가 3개만 구비된 이유는, 3개의 돌출부만 있으면 수용부(10)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와 상하로 적층될 때 무게중심을 적절히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서처럼 제1 포장 용기의 수용부(A) 위에 제2 포장 용기의 수용부(B)를 적층할 때, 서로 180도 회전시킬 필요 없이 서로 상하로 적층해도 돌출부(114) 때문에 수용부(B)가 수용부(A) 안으로 들어갈 염려가 없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114)가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일 경우, 돌출부(114)는 변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변의 중심에 대칭인 2개의 돌출부가 위치할 경우, 적층 시에 무게중심이 제대로 잡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3개든 4개든 돌출부(114)를 형성할 때에는, 수용부(A)와 수용부(B)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무게중심이 잡힐 수 있도록 돌출부(114)의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에 2개의 돌출부(114)가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단변에 형성되는 1개의 돌출부(114)는 장변의 2개의 돌출부(114)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수용 공간의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덮개부도 수용부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덮개부도 수용부처럼 적층에 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는 수용부(10)와 마찬가지로 수용 공간(21), 연장부(22) 및 오목부(212)를 갖는다. 이때, 수용부(10) 및 덮개부(20)는 본 발명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대응하고,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21)은 본 발명의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수용 공간에 대응하며, 연장부(12) 및 연장부(22)는 본 발명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대응하고, 오목부(112) 및 오목부(212)는 본 발명의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 대응한다.
한편,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수용 공간에는, 오목부 대신에 제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돌출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포장 용기의 수용부 뿐만 아니라 덮개부도 의류 보관 용기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낭비의 저감 효과가 배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근본적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를 본 발명은 포괄한다. 예컨대, 다른 포장 용기와의 안정적인 적층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오목부 또는 돌출부의 개수와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Claims (13)
-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덮개부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덮개부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덮개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바깥쪽을 향해 각 변마다 수평 방향으로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수용부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가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마주보는 변들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각각 포함하며, 마주보는 변의 일측에서부터 제1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마주보는 변의 타측에서부터 상기 제2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같지 않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치되는, 포장 용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쪽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ko) | 2020-05-08 | 2020-05-08 | 포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ko) | 2020-05-08 | 2020-05-08 | 포장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648A KR20210136648A (ko) | 2021-11-17 |
KR102389485B1 true KR102389485B1 (ko) | 2022-04-25 |
Family
ID=7870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ko) | 2020-05-08 | 2020-05-08 | 포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948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55315A (ja) | 1999-06-11 | 2000-12-26 | Fuji Seal Inc | 包装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838U (ja) * | 1992-06-25 | 1994-01-1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運搬用容器 |
JPH11100036A (ja) * | 1997-09-24 | 1999-04-13 | Chugoku Pearl Hanbai Kk | 積重ね可能な出前用容器 |
KR100917385B1 (ko) * | 2007-08-09 | 2009-09-17 | 강갑선 | 적재 상자 적재구조 |
KR200455968Y1 (ko) * | 2010-01-22 | 2011-10-06 | 오영숙 | 식품 보관 용기 |
KR20170002459U (ko) * | 2016-08-19 | 2017-07-07 | 이호열 |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185A patent/KR1023894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55315A (ja) | 1999-06-11 | 2000-12-26 | Fuji Seal Inc | 包装容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648A (ko) | 202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34291A (en) |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 |
US7243815B2 (en) | Thermoformed package | |
US9505523B2 (en) | Food package | |
KR102389485B1 (ko) | 포장 용기 | |
KR101393207B1 (ko) |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 |
JPH02504501A (ja) | 容器アダプタ | |
CA2678564C (en) | Nestable crate | |
KR20210139008A (ko) | 음식물 저장용기 | |
US20140263384A1 (en) | Food package | |
JPH11105855A (ja) | ダンボール箱 | |
KR200495498Y1 (ko) | 상하 8각형 과일포장 종이용기 | |
JP2003246383A (ja) | 卵座を収納するための物流用卵箱 | |
KR102139686B1 (ko) | 사각 딸기 포장용기 | |
TW201609504A (zh) | 蓋體及儲存系統 | |
JP3342682B2 (ja) | 主に業務用のプラスチック製卵容器 | |
KR200495568Y1 (ko) | 포장상자 | |
RU148047U1 (ru) | Формован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и товаров, подобных яйцу, и крышка для нее | |
CN217295324U (zh) | 新型包装盒 | |
JP2017214097A (ja) | 包装用外枠体 | |
KR20190015676A (ko) | 농수산물 운반용 포장상자 | |
KR200408227Y1 (ko) | 국수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 |
JP2005153934A (ja) | 苺容器 | |
JP2001146287A (ja) | 鶏卵用包装容器 | |
KR200224127Y1 (ko) | 절첩가능한 사물용 보관함 | |
JP2024121229A (ja) | 包装用成形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