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68Y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68Y1
KR200495568Y1 KR2020200001896U KR20200001896U KR200495568Y1 KR 200495568 Y1 KR200495568 Y1 KR 200495568Y1 KR 2020200001896 U KR2020200001896 U KR 2020200001896U KR 20200001896 U KR20200001896 U KR 20200001896U KR 200495568 Y1 KR200495568 Y1 KR 200495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ray
products
accommodatin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740U (ko
Inventor
김봉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00001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6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3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제품들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품들이 일부 겹쳐져 2단으로 배열 수납되는 제1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품들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아랫단에 수납되는 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가드부와 윗단에 수납되는 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상자{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에 크기가 서로 다른 제품을 수납 시 크기가 작은 제품들이 일부 겹쳐지게 2단 또는 계단식으로 배열하여 포장공간비율의 최적화 및 진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물세트용 포장상자는 주로 뚜껑에 해당하는 상판과 제품을 담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하부의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소정 공간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외각은 하판과의 장착성을 위해 테두리가 형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 형성되는 테두리는 외관상으로는 표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입체감이 있고, 트레이와 제품, 상판, 하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선물세트용 포장상자는 상자 그대로가 진열되기 보다 상판을 열고 상기 트레이가 장착된 하판까지만 판매대에 진열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제품을 고정시켜주는 역할 이상으로 제품의 정보를 잘 전달시킬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과대포장을 방지하고자 환경부에서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9조 3항의 규정에 의한 제품의 포장재질 및 포장방법에 대한 간이측정방법 고시를 일부 개정하고자 예고(2019. 01. 28) 및 시행(2020. 07. 01) 예정이다. 간략히 말해서 기존의 포장공간비율 산출 방법에 있어 고정완충재(트레이)를 사용하는 종합세트에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가 기존 10mm에서 5mm로 축소되어 포장용적에 대한 비율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종합세트로 제품을 구성 시, 제품의 다양성이 저하되어, 기존의 1단 평면의 배치가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사유로 트레이에 1단 배열이 불가한 제품을 배제하여 한정적으로 종합세트를 구현하거나, 포장형태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에 크기가 서로 다른 제품을 수납 시 크기가 작은 제품들이 일부 겹쳐지게 2단 또는 계단식으로 배열하여 포장공간비율의 최적화 및 진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상자는, 다양한 제품들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품들이 일부 겹쳐져 2단으로 배열 수납되는 제1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품들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아랫단에 수납되는 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가드부와 윗단에 수납되는 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트레이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제1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제1,2가드부와, 제1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1수납홈; 및 제2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폐회로 형태의 제3가드부와, 제2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2수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납홈은, 일부가 상기 제1수납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2제품이 겹쳐지는 2단 중첩영역에서 제1수납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단 중첩영역에서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가드부는,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2제품의 측면을 잡아주고, 제1제품과 제2제품이 맞닿지 않도록 제2수납홈에 수납되는 제2제품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2수납홈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1수납홈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가드부 각각은, 적어도 상기 2단 중첩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 연장되는 제1,2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수납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수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품이 1단으로 배열되는 제2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는,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에 대형제품, 중형제품, 소형제품 등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제품을 수납 시 중소형제품은 일부가 겹쳐지게 2단 또는 계단식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트레이를 구성함으로써, 포장공간비율의 최적화 및 진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일률적인 방향 및 형태의 구조로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제품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트레이에서 2단 배열 구조를 갖는 수납부의 아랫단에 제품이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트레이에서 2단 배열 구조를 갖는 수납부의 아랫단 및 윗단에 제품이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트레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트레이에서 2단 배열 구조를 갖는 수납부의 아랫단에 제품이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트레이에서 2단 배열 구조를 갖는 수납부의 아랫단 및 윗단에 제품이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는, 뚜껑에 해당하는 상판(10)과,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담는 트레이(30)와, 트레이(30)를 수용하는 하부의 하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상자는 다양한 제품을 수납하고 수납된 제품을 진열할 수 있는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크기의 제품(LG, MG, SG)은,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사진 도면에 표기된 대형제품(LG), 중형제품(MG), 소형제품(SG)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트레이(30)는, 다양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다. 트레이(30)는, 하판(20)에 수용되는 크기, 즉 하판(20)의 높이와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트레이(30)는, 하판(2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하판(20)의 상단과 평행한 상면을 가지는 테두리(31)와, 다양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32, 33)가 테두리(31)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제품은 설명의 편의상 길이와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가장 길고 높이가 가장 높은 제품을 대형제품이라 하고, 길이가 가장 짧고 높이가 가장 낮은 제품을 소형제품이라 하고, 중간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제품을 중형제품이라 정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수납부(32, 33)는 설명의 편의상 중소형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1수납부(32)라 하고, 대형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2수납부(33)라 정의하며, 이때 제1수납부(32) 그리고 제2수납부(33)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트레이(30)가 2개의 제1수납부(32) 및 2개의 제2수납부(33)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수납부(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고, 제1수납부(3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2수납부(33)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수납부(32)는, 중형제품과 소형제품이 일정 부분 겹쳐져 2단 또는 계단식으로 배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1수납부(32)는 후술하기로 하고, 제2수납부(33)를 먼저 설명한다.
제2수납부(33)는, 대형제품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30)의 세로 길이는 대형제품의 길이에 최적화되도록, 예를 들어,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인 5mm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수납부(33)는, 대형제품만 수납하는 제3수납홈(3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수납부(33)에는 대형제품이 1단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수납부(33)는 일반적인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는 제품일 경우, 트레이(30)에 제2수납부(33)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복수 개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선물세트용 포장상자(1)를 제작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대형제품, 중형제품, 소형제품 등 다양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제품들을 하나의 포장상자(1)에 수납할 때, 중형제품의 길이와 소형제품이 길이를 합한 총 길이가 대형제품의 길이보다 길 경우,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인 5mm를 고려하면 중형제품 및/또는 소형제품을 1단으로 배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1단 배열이 불가한 제품을 배제하고, 1단 배열이 가능한 제품들을 선정하여 한정된 종합세트를 구현하거나, 아니면 포장 형태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1단으로 배열이 불가한 다양한 크기의 제품들을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인 5mm를 만족하면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수납부(32)를 제공하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수납부(32)는, 트레이(30)의 세로 길이가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인 5mm를 고려하여 대형제품의 길이에 최적화되도록 정해진 경우, 1단으로 배열이 불가한 다양한 크기의 제품인 중형제품과 소형제품이 일정 부분 겹쳐져 2단 또는 계단식으로 배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중형제품과 소형제품이 겹쳐지는 부분은, 중형제품의 길이와 소형제품의 길이를 합한 제1길이가 대형제품의 제2길이보다 길 경우, 제1길이에서 제2길이를 뺀 제3길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중형제품 및/또는 소형제품 등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트레이(30) 크기를 한정하는 대형제품과 함께 하나의 포장상자(1)에 수납하더라도 제품용적 산출시 허용공간수치인 5mm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제1수납부(32)는, 중형제품을 수납하는 제1수납홈(321)과, 제1수납홈(321)의 내부에 마련되되, 일부 겹쳐지며 소형제품을 수납하는 제2수납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납홈(321)은, 트레이(30)의 테두리(31)와 연결되어 중형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제1,2가드부(3211, 3212)와, 중형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2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가드부(3211, 3212)는, 중형제품의 폭만큼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3213)가 경사를 가지에 되므로 적어도 하판(20)의 높이보다 낮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제2수납홈(322)은, 소형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폐회로 형태의 제3가드부(3221)와, 소형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가드부(3221)는 소형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판(20)의 높이보다 낮거나 동일할 수 있고, 제1지지부(3213)가 경사를 가지에 되므로 적어도 제1,2가드부(3211, 321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1수납홈(321)과 제2수납홈(322)은 일부가 겹쳐지는데, 겹쳐지는 부분을 2단 중첩영역(34)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2단 중첩영역(3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형제품 및 소형제품이 2단으로 겹쳐져 있어 다른 부분 대비 무게가 무거울 수 있으므로, 금형으로 제작 시 2단 중첩영역(34)에서의 시트 두께가 다른 부분의 시트 두께보다 두껍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수납홈(322)은, 일부가 제1수납홈(321)의 내부에 마련되되, 중형제품 및 소형제품이 겹쳐지는 2단 중첩영역(34)에서 제1수납홈(321)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2단 중첩영역(34)에서, 아랫단에 수납되는 소형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제3가드부(3221)와 윗단에 수납되는 중형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213)는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2단 중첩영역(34)에서의 제1지지부(3213)와 제3가드부(3221)는, 중형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소형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줄 수 있다.
또한, 2단 중첩영역(34)에서의 제1지지부(3213)와 제3가드부(3221)는, 중형제품과 소형제품이 맞닿지 않도록 제2수납홈(322)에 수납되는 소형제품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보기에는 중형제품이 소형제품 위에 얹혀져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측면에서 보게 되면 중형제품이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영역으로 사용되는 제1지지부(3213) 또는 제3가드부(3221)에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소형제품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중형제품이 소형제품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2,3가드부(3211, 3212, 3221)는, 중형제품 및/또는 소형제품이 제1,2수납홈(321, 322)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품들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10도 이상 90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가드부(3211, 3212)는 상면이 트레이(30)의 테두리(31) 상면과 동일한 레벨일 수 있고, 제3가드부(3221)는 상면이 트레이(30)의 테두리(31) 상면보다 아래 레벨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2단 중첩영역(34)에서 중형제품과 소형제품의 일부가 2단으로 겹치지게 되므로, 윗단에 위치되는 중형제품이 쉽게 탈리될 수 있어 측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잡아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1,2가드부(3211, 3212) 각각은, 적어도 2단 중첩영역(34)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예를 들어 적어도 1mm 이상의 높이로 돌출 연장되는 제1,2돌출부(3211a, 3212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2돌출부(3211a, 3212a)의 돌출 높이는 하판(20)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또는 중형제품의 높이와 같은 높이 정도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지지부(3213)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일측 테두리(31)로부터 제2수납홈(322)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3213)가 경사를 이루는 것은 제2수납홈(322)에 수납되는 소형제품의 수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지지부(3213)는 중형제품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지지부(3222)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타측 테두리(31)로부터 제1수납홈(321)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지지부(3222)가 경사를 이루는 것은 제1수납홈(321)에 수납되는 중형제품의 수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지지부(3222)는 소형제품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대형제품, 중형제품, 소형제품 등 크기가 다양한 제품들에서 1단 배열이 불가한 제품을 별도로 제작한 트레이에 수납하지 않고 제1수납부(3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트레이(30)로 수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트레이(30) 수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의 원인 중 하나인 포장재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법규상의 포장공간비율에 적정하면서도 하나의 트레이(30)에 다양한 크기의 관련 제품들을 적절하게 배열하여 제품을 돋보이게 하는 차별화된 외관미를 줌으로써 선물세트의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본 실시예의 트레이(30)는 중형제품의 일부와 소형제품의 일부가 2단으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례로 적용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품 역시 2단으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의 트레이(30)는, 2단 중첩영역(34)을 가지는 제1수납부(32)에서 제1수납홈(321)과 제2수납홈(322)의 크기 및 형상을 수납될 제품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크기 및 형상과 무관하게 제품의 일부가 2단으로 겹쳐지도록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포장상자 10: 상판
20: 하판 30: 트레이
31: 테두리 32: 제1수납부
321: 제1수납홈 3211: 제1가드부
3211a: 제1돌출부 3212: 제2가드부
3212a: 제2돌출부 3213: 제1지지부
322: 제2수납홈 3221: 제3가드부
3222: 제2지지부 33: 제2수납부
331: 제3수납홈 34: 2단 중첩영역

Claims (7)

  1. 다양한 제품들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포장상자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품들이 일부 겹쳐져 2단으로 배열 수납되는 제1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품들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아랫단에 수납되는 제2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제3가드부와 윗단에 수납되는 제1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가 같이 사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2단 중첩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제품 및 상기 제1제품은,
    상기 2단 중첩영역에서는 일부가 겹쳐지고,
    상기 2단 중첩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2제품 및 상기 제1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트레이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상기 제1,2가드부와, 상기 제1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1수납홈; 및
    상기 제2제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폐회로 형태의 상기 제3가드부와, 상기 제2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제2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홈은,
    일부가 상기 제1수납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2제품이 겹쳐지는 상기 2단 중첩영역에서 상기 제1수납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중첩영역에서의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제품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2제품의 측면을 잡아주고,
    상기 제1제품과 상기 제2제품이 맞닿지 않도록 상기 제2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2제품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2수납홈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1수납홈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가드부 각각은,
    적어도 상기 2단 중첩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 연장되는 제1,2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수납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수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품이 1단으로 배열되는 제2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2020200001896U 2020-06-01 2020-06-01 포장상자 KR200495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96U KR200495568Y1 (ko) 2020-06-01 2020-06-01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96U KR200495568Y1 (ko) 2020-06-01 2020-06-01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40U KR20210002740U (ko) 2021-12-08
KR200495568Y1 true KR200495568Y1 (ko) 2022-06-27

Family

ID=7894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896U KR200495568Y1 (ko) 2020-06-01 2020-06-01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6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59Y1 (ko) * 2002-10-16 2003-03-03 (주)신명 종이상자를 포함하는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584A (ja) * 1992-05-21 1993-12-14 Hitachi Ltd 半導体装置用トレイ
KR200460276Y1 (ko) * 2006-12-07 2012-05-16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상자 물품 고정대
KR20090002969U (ko) * 2007-09-20 2009-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포장 트레이
KR20130097023A (ko) * 2012-02-23 2013-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선물 세트 포장체 및 포장 방법
KR102195724B1 (ko) * 2013-11-07 2020-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포장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59Y1 (ko) * 2002-10-16 2003-03-03 (주)신명 종이상자를 포함하는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40U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911B1 (en) Fragility package
CA2569237A1 (en) Pallet base packaging system
US7472792B2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JP2013014370A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KR200495568Y1 (ko) 포장상자
US20070095695A1 (en) Card file
JP2018167904A (ja) 包装用容器の蓋体
RU97714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варианты)
JP4786951B2 (ja) 収容箱
JP3661928B2 (ja) 紙製仕切り
KR101299173B1 (ko) 엘씨디 필름용 포장상자
KR20210002636U (ko) 상하 8각형 과일포장 종이용기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JP2007230585A (ja) トレー
JP5676211B2 (ja) 包装用ケース及びケース組み立て用プラスチックシート
CN212373874U (zh) 口罩包装组件
JP3184397U (ja) 梱包用ト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体
KR20150001115U (ko)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KR102371782B1 (ko) 제품 탈락 방지용 종이패드 및 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KR101550382B1 (ko) 부품 포장 및 운반용 트레이장치
JP3342682B2 (ja) 主に業務用のプラスチック製卵容器
JP7475681B2 (ja) 包装用容器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JP4460997B2 (ja) 包装容器
JP6652100B2 (ja) 果菜類輸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