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742A -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742A
KR20110012742A KR1020090070590A KR20090070590A KR20110012742A KR 20110012742 A KR20110012742 A KR 20110012742A KR 1020090070590 A KR1020090070590 A KR 1020090070590A KR 20090070590 A KR20090070590 A KR 20090070590A KR 20110012742 A KR20110012742 A KR 2011001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box
storage
buff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웅선
Original Assignee
세종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742A/ko
Publication of KR2011001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4Applications of resilient shock-absorbing materials, e.g. foamed plastics material, honeycom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완충기능과, 고정기능이 부여된 견고한 가변 적층식 수납구조에 의해, 수용되는 물품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형태로 포장되도록 하여, 일련의 수납효율을 상승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안정적인 포장구조에 따라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하여, 판매, 운반, 적재 등 일련의 취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포장물품의 손상 및 파손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 덮개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내측면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조로 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납공간부에 완충파레트와, 물품수납함으로 이루어진, 완충 포장부재를 2단 이상의 가변 적층구조로 더 결합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GOODS FROMPACKING BOX HAVING IMPROVED RECEIVING STRUCTURE}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의 보관 및 운반 수단으로 이용되는 포장용 상자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성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 내구성을 증대되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가변 적층식 수납방식에 의해 물품의 수납효율 또한 극대화 되도록 하여, 일련의 취급과정에 있어, 포장된 물품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방지되도록 한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 거래되는 대다수의 물품들이 그러하지만, 특히, 취급상에 있어, 주의를 요하는 물품, 예컨데, 변형이 발생될수 있는 각종 식품류, 또는,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있는 각종 내구성 취약제품들은, 그 물품 특성상,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재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품들은 일련의 유통(판매,운반,적재 등) 과정에 있어, 취급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외부 접촉 및 충격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유통제품의 외형적 심미감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일정한 형태의 포장용 상자에 수납된 형태로 취급되어짐이 일반적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 포장용 상자의 일예 구성을, 도 1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이는, 수납공간부(101)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0)와;
상기 수납공간부(101)를 개폐 단속하는 상부덮개(20);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부(101)를 필요한 형태로 구획하여, 그 구획된 공간에, 물품을 분리, 수용토록 하는, 격자구조의 보조트레이(30)를 선택적으로, 더 결합시켜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단순히, 수용되는 물품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정도에 불과할 뿐, 별도의 기능적 구조, 예컨데, 완충수단 내지 충격흡수 수단 등은, 전혀 구비하지 못한 것인바;
이에, 일련의 유통 과정에 있어, 취급 등의 부주의(낙하 또는 심한 흔들림 등)로 인해, 운반 및 적재 충격이 일부 높은 강도로 작용될 경우, 그러한, 충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체, 수용된 물품을 손상되게 하거나, 심지어 파손에 이르기 까지 하는 등, 상당한 구조적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수납공간부를 구획되게 하는 보조트레이의 구성이,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단순한 격자형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보조트레이 설치를 위해 수납공간부내로 별도의 트레이 설치수단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특히, 그 보조트레이는 얇은 판체 의 격자형 구조로서, 휨변형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미약함은 물론, 그 결합부위가 매끄럽게 마감되지 못하고 들뜬 형태를 취함에 따라, 물품이 분리 수용된 상태하에, 외부로 부터, 강한 흔들림 충격이 가해질 경우, 분리수용된 물품이 분산, 섞어지게 되는 등, 수납의 효율성을 저하되게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 또한 항상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기능과, 고정기능이 부여된 견고한 가변 적층식 수납구조에 의해, 수용되는 물품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형태로 포장되도록 하여, 일련의 수납효율을 상승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안정적인 포장구조에 따라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하여, 판매, 운반, 적재 등 일련의 취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포장물품의 손상 및 파손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자본체 내로 결합되는 물품수납함을, 편리하고, 간소화된 접철식 조립관계에 의해 성형, 제작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러한, 조립 성형과정에 있어, 그 물품수납함의 외측면 테두리에 완충공간부를 일체로 더 형성되게 하여, 불필요한 생산비용 및 재료의 낭비를 예방되게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 덮개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내측면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조로 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납공간부에 완충파레트와, 물품수납함으로 이루어진, 완충 포장부재를 2단 이상의 가변 적층구조로 더 결합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는, 완충기능과, 고정기능을 갖는 완충 포장부재의 가변 적층식 결합구조에 따라, 수용되는 물품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포장되게 하여, 판매, 운반, 적재 등, 일련의 취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포장물품의 손상 및 파손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편리하고, 간소화된 접철식 조립관계에 의해, 포장용 상자의 제조 효율을 상승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제조효율 상승기능에 따라, 불필요한 생산비용 및 재료의 낭비를 예방되게 하여, 보다 경제적인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품수납함의 부분 전개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품수납함의 코칭처리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상자본체(1)와, 완충 포장부재(2)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상자본체(1)는, 각종 물품을 수용,포장되게하는, 공지의 일반적 구성으로서, 이는 통상, 직사각 구조를 이루는 하부케이스(11)와,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상부면을 개폐단속하는 상부덮개(12)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상자본체(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의 내측면에 소정 깊이의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 상자본체(1)의 전체구성, 즉, 하부케이스(11)와, 상부덮개(12)의 외관을 장식무늬가 표현된 한지(종이)에 의해 코팅처리(도시생략)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완충 포장부재(2)는, 완충파레트(3)와, 물품수납함(4)으로 조합,형성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인바;
이에, 상기 완충 포장부재(2)에 있어, 먼저, 완충파레트(3)의 구성을 살펴보 면, 이는, 트러스 내지 벌집 단면구조를 취하는, 골판지를 그 소재로 하여, 일련의 접철 성형과정을 통해, 도 2 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이, 직사각 케이스 구조로 접철 성형되는, 완충파레트(3)는, 그 성형과정에 있어,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조립공간부(31)를 자연스럽게 더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 포장부재(2)에 있어, 물품수납함(4)은, 포장되는 물품이 수용되는 메인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물품수납함(4)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방향 테투리에, 소정길이로 연장된 성형 전개편(41)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 전개편(41)을,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접철구조로 조립하여, 상기 물품수납함(4)의 사방향 테두리에,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공간부(P)가 구비된 고정마감테(411)를 성형되게 하며, 재차, 상기 접철 조립 관계에 의해 고정마감테(411)를 성형되게 한 성형 전개편(41)을,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수납함(4)의 바닥면으로, 더 접철, 연장하여, 그 물품수납함(4) 바닥면을,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적층구조를 이루는, 충격흡수판넬(412)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철 조립구조로 성형되는 물품수납함(4)은, 그 접철, 조립부위에, 별도의 중첩된 체결수단 내지 접착수단을 구비시키지 않고, 단순히, 그 조립 부위를 맞대기식 구조로 접철 연결되게 한 것인바;
이에, 물품수납함(4)의 접철부위를 견고히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장식적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하 마감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물품수납함(4)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5)에 의해 코팅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코팅처리되는 마감재(5)는, 전통 종이소재인 한지, 또는,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필름지, 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문양이 인쇄처리된 장식필름지 등의 소재를, 소비자의 요구 및 기능적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상호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파레트(3)의 조립공간부(31)에, 물품수납함(4)을 결합시켜, 조합된 하나의 완충 포장부재(2)를 형성토록 한 상태하에, 상기 형성된 완충 포장부재(2)를, 하부케이스(11)의 수납공간부(111)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구조로 결합시키고, 재차, 상기 완충 포장부재(2)가 결합된 하부케이스(11)의 상부면에 상부덮개(12)를 결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수납공간부(111)로 결합되는 완충 포장부재(2)는,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2단 이상의 복수층 구성, 예컨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변 적층 구조로 결합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된 완충 포장부재(2)의 물품수납함(4)에,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용시켜,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 및 사용관계를 갖음에 있어, 상기 완충파레트(3)는, 물품수납함(4)을,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외부로 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 완충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물품수납함(4), 또한, 완충공간부(P)가 형성된 고정마감테(411)에 의해 외부 충격을 흡수되게 함과 동시에, 가변적인 적층, 수납구조에 따라, 수납효율을 증대시키며, 포장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호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 및 사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은, 그 구성요소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분리, 배제시킨 형태로 하여, 또 다른 사용관계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혹은, 그 물품의 특성상 보다 넓은 포장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 먼저, 완충파레트(3)와, 물품수납함(4)의 조합구조로 이루어진 완충 포장부재(2)에 있어, 상기 물품수납함(4)을, 완충파레트(3)로 부터 분리하여 배제시키고, 이와 같이, 물품수납함(4)이 분리, 배제된 상태로서, 상기 완충파레트(3)의 구성만을, 직접적인 물품 수용공간부로 하여, 그 완충파레트에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용도변경에 불과 할 뿐,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또 다르게,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이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완충파레트(3)와, 물품수납함(4)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로서의 완충 포장부재(2) 구성에 있어, 상기 완충파레트(3)를,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함(4')으로 대체, 구성하고, 상기 대체 구성된 보조수납함(4')의 내측면에, 상기 물품수납함(4)을 결합시켜,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형태의 완충 포장부재(2)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실시예로 구비되는 보조수납함(4')은, 물품수납함(4)과 전혀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이는, 단지, 물품수납함(4)이, 보조수납함(4')의 내측면에 중첩구조로,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보조수납함(4')의 외형적인 규격, 즉, 크기만을 달리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그 사용관계에 있어서, 또한, 전술한 일실시예서와 같이,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혹은, 그 물품의 특성상 보다 넓은 포장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 이실시예 구성인 완충 포장부재(2)에 있어, 상기 물품수납함(4)을, 보조수납함(4')으로 부터 분리하여 배제시키고, 이와 같이, 물품수납함(4)이 분리, 배제된 상태로서, 상기 보조수납함(4') 구성만을, 물품 수용공간부로 하여, 그 보조수납함(4')에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삼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로 구성되는 상자본체(1)와, 그 상자본체(1)로 결합되는 완충 포장부재(2)의 외관적 구성을, 단순히 그 도면(도2 ~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구조에 한정하여 구성시키는 것이 것이 아니라, 사용상 필요에 따라, 오각, 육각, 칠각, 팔각 등, 기타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가변, 형성시킬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형상적 변형에 불과할 뿐,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품수납함의 부분 전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품수납함의 코칭처리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이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이실시예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의 삼실시예도
< 도면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자본체 2 : 완충 포장부재 3 : 완충파레트
3' : 보조수납합 4 : 물품수납함 5 : 마감재 11 : 하부케이스 12 : 상부덮개 31 : 조립공간부 41 : 성형 전개편 411 : 고정마감테 412 : 충격흡수판넬 P : 완충공간부

Claims (6)

  1. 하부케이스(11)와, 상부덮개(12)로 이루어진 상자본체(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는, 내측면에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그 수납공간부(111)에, 완충파레트(3)가 구비된, 완충 포장부재(2)를 더 결합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부(111)로 결합되는 완충 포장부재(2)는, 2단 이상의 복수층으로, 가변 적층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포장부재(2)는, 그 완충 포장부재(2)로 구비된 완충파레트(3)에, 물품수납함(4)을 더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포장부재(2)는, 물품수납함(4)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수납함(4)과 동일 구성을 취하되, 그 크기를 달리하여, 상기 물품수납함(4)을 수용, 결합되게 하는 보조수납함(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납함(4)은, 사방향 테두리에, 성형 전개편(41)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 전개편(41)에 의한 접철 조립구조에 따라, 그 물품수납함(2)의 사방향 테두리에 완충공간부(P)가 구비된 고정마감테(411)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마감테(411)를 형성한 성형 전개편(41)을, 물품수납함(4)의 바닥면으로, 더 접철, 연장시켜, 그 물품수납함(4) 바닥면에, 2단 적층구조를 이루는, 충격흡수판넬(412)을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조립구조로 형성되는 물품수납함(4)은, 그 외관이 한지, 방수필름지, 장식필름지 중, 어느 하나의 마감재(5)에 의해 코팅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1)와, 그 상자본체(1)로 결합되는 완충 포장부재(2)는, 그 외관형상이 다각형 구조로, 가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KR1020090070590A 2009-07-31 2009-07-31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KR20110012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90A KR20110012742A (ko) 2009-07-31 2009-07-31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90A KR20110012742A (ko) 2009-07-31 2009-07-31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742A true KR20110012742A (ko) 2011-02-09

Family

ID=4377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590A KR20110012742A (ko) 2009-07-31 2009-07-31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7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77B1 (ko) * 2011-04-29 2013-04-17 주식회사 동진판지 전시용 포장박스의 포장방법
KR20160001629U (ko) * 2014-11-07 2016-05-17 차민경 포장용 박스
CN110641804A (zh) * 2019-10-09 2020-01-03 陈浩能 包装箱
KR20220000632A (ko) 2020-06-26 2022-01-04 서상준 묶음 포장 박스용 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77B1 (ko) * 2011-04-29 2013-04-17 주식회사 동진판지 전시용 포장박스의 포장방법
KR20160001629U (ko) * 2014-11-07 2016-05-17 차민경 포장용 박스
CN110641804A (zh) * 2019-10-09 2020-01-03 陈浩能 包装箱
KR20220000632A (ko) 2020-06-26 2022-01-04 서상준 묶음 포장 박스용 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0172A1 (en) Vegetable and fruit packaging box
KR20110012742A (ko)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US9090379B2 (en) Pallet device with support ribs
SG195459A1 (en) Frame element for packaging flat items and wrapper made from such elements
KR200460565Y1 (ko) 접지형 포장상자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KR100949184B1 (ko) 포장용 상자
SE1451055A1 (sv)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KR101447279B1 (ko) 삼단 포장 상자
KR200427816Y1 (ko) 과일포장박스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200475128Y1 (ko) 패널 운반용 수납박스
RU2483994C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JP2005239225A (ja) 電子レンジ等の家電機器の梱包材
JP3164316U (ja) 緩衝材、包装物及び包装体
KR200481084Y1 (ko)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CN109843733B (zh) 加固纸板箱
KR200246167Y1 (ko) 운반용 상자
AU2009217459A1 (en) Stacking unit
JP3108844U (ja) 折り畳み式の可撓性運搬収納容器
KR200482221Y1 (ko) 접이식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