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65Y1 - 접지형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접지형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65Y1
KR200460565Y1 KR2020120002196U KR20120002196U KR200460565Y1 KR 200460565 Y1 KR200460565 Y1 KR 200460565Y1 KR 2020120002196 U KR2020120002196 U KR 2020120002196U KR 20120002196 U KR20120002196 U KR 20120002196U KR 200460565 Y1 KR200460565 Y1 KR 20046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side cover
bottom plate
packaging box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연
Original Assignee
이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연 filed Critical 이대연
Priority to KR202012000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 B65D5/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with inset en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접지형 포장상자가 제공된다. 제공된 포장상자는 외벽프레임의 상단에서 연장된 내벽프레임과 외벽프레임의 하단에서 연장된 보강벽프레임이 서로 포개져 띠형상으로 접히며, 구부림 가공을 통해 내측에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벽프레임의 하부에 유입홈이 마련된 측면커버; 상기 유입홈 내에 끼움연결되어 상기 측면커버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판; 상기 내벽프레임과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며, 테두리부에 상기 측면커버와 바닥판 측으로 개방되는 면취홈이 형성된 속받침판 및 상기 면취홈에 주입되어 상기 측면커버에 바닥판과 속받침판을 접착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품의 내구성 향상 및 그 내부에 내재된 상품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접지형 포장상자{Folding type packing box}
본 고안은 접지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상자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 개선을 통해 포장상자의 내구성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포장상자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재질의 종이로 형성되어 포장되는 내용물(상품)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그 내측에 포장될 상품을 내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보통 다면체로 형성되며, 그 평면 모양에 따라 원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포장상자의 과거 사용목적을 살펴보면 단순히 포장되는 내용물(상품)을 이동과정에서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상품의 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내부에 담기는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포장상자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부림이 가능하며 상기 받침대(20)가 하단부 내주면에 지지되는 측면커버(10)와 상기 측면커버(10)의 양단부를 맞접시키는 접착수단과, 상기 측면커버(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뚜껑체(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품을 내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측면커버가 약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져 상품 보호와 같은 포장상자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품이 안착되는 받침대와 측면커버 간의 결속력이 미약하여 외부 충격에 손쉽게 상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포장상자는 상기 받침대가 측면커버에 대해 하방으로는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서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이 상품에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등록실용 20-0319571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포장상자에서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상자를 이루는 측면커버의 구조개선을 통해 측면커버의 굽힘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해 포장상자에 개재된 상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접지형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측면커버와 상품이 안착되는 바닥판 및 속받침판의 접착부위 개선을 통해 이들이 상호 긴밀한 접착관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포장상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형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의 접지형 포장상자는 외벽프레임의 상단에서 연장된 내벽프레임과 외벽프레임의 하단에서 연장된 보강벽프레임이 서로 포개져 띠형상으로 접히며, 내측에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벽프레임의 하부에 유입홈이 마련된 측면커버; 상기 유입홈 내에 끼움연결되어 상기 측면커버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판; 상기 내벽프레임과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며, 테두리부에 상기 측면커버와 바닥판 측으로 개방되는 면취홈이 형성된 속받침판; 및 상기 면취홈에 주입되어 상기 측면커버에 바닥판과 속받침판을 접착하는 접착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내벽프레임의 하단에서 강화벽프레임이 더 연장되어 상기 보강벽프레임과 내벽프레임 사이로 접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면취홈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구부림 가공하여 양단부가 포개어져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품이 내재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커버를 다수겹으로 형성하여 그 굽힘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해 상품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측면커버와 상품이 안착되는 바닥판 및 속받침판의 접착부위 개선을 통해 이들이 상호 긴밀한 접착관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포장상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속이 빈 통형상으로 구부림 가공되는 측면커버(110)와, 상기 측면커버(110)의 하부를 마감하기 위한 바닥판(120)과,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에 접착된 속받침판(130) 및 상기 속받침판(130)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접착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측면커버(110)는 상품을 내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측면커버(110)는 띠 형상의 외벽프레임(111) 상단에 내벽프레임(113)이 접혀져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프레임(111)의 하단에 보강벽프레임(115)이 접혀져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벽프레임(111)에 연장형성된 내벽프레임(113)과 보강벽프레임(115)은 서로 포개지도록 접혀 띠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접힌 외벽프레임(111)과 내벽프레임(113) 및 보강벽프레임(115)은 구부림 가공을 통해 내측에 상품(미도시)이 위치되는 수용공간(1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벽프레임(113)은 그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117)과 연통을 이루는 유입홈(119)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측면커버(110)는 구부림 가공 방법에 따라 원통, 다각형통 및 하트형통 등 다양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120)은 상기 수용공간(117)을 갖는 측면커버(110)의 하부를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120)은 상기 측면커버(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유입홈(119) 내에 끼움연결된다.
한편, 상기 속받침판(130)은 상기 바닥판(120)의 굽힘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속받침판(130)은 상기 내벽프레임(113)과 접하면서 하부가 상기 바닥판(120)에 접착되며, 그 테두리부에 상기 측면커버(110)와 바닥판(120) 측으로 개방되는 면취홈(13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착수단(140)은 상기 측면커버(110)에 바닥판(120)과 속받침판(130)을 접착하기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140)은 상기 면취홈(131)에 주입되며, 이렇게 상기 면취홈(131)에 주입된 접착수단(140)의 외면은 측면커버(110)와 바닥판(120) 및 속받침판(130)이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140)은 풀, 아교 및 본드와 같이 두 물체를 접착할 때 쓰이는 물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포장상자는 동일한 형태이나 크기를 달리하여 한 쌍을 제작함으로써, 하나는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다른 하나는 수납된 상품의 외부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의 용도로 사용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조립과정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띠 형상의 종이를 적어도 두 번 포개어서 띠 형상의 하단에 유입홈이 형성된 측면커버 띠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커버 띠를 제작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 양단부를 포개어 접어서 통형상의 측면커버(110)를 형성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상으로 가공한다.
이어서, 상기 측면커버(110)의 유입홈 내주면에 대응되는 바닥판(120)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위치하며 그 외부 가장자리가 상기 측면커버의 내주면과 접하며 그 하부에 면취면을 갖는 속받침판(130)을 형성한다.
이어서, 바닥판(120)을 측면커버(110)의 유입홈 하단부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상기 바닥판(120)의 가장자리 상부에 접착수단(140)을 주입한다.
이어서, 상기 바닥판(120) 상에 속받침판(130)을 위치시키되, 속받침판(130)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측면커버(110)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120)과 속받침판(130)의 면취면은 접착수단(140)을 통해 측면커버(110)의 내벽에 접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을 통해 제작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의 바닥판(120)과 속받침판(130)은 측면커버(110)에 끼워져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측면커버에 견고하게 접착됨으로써, 포장상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지형 포장상자는 측면커버가 여러겹이 포개진 형태로 이루어져 그 굽힘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100)의 측면커버(110)는 띠 형상의 외벽프레임(111)의 상단에 내벽프레임(113)이 접혀져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벽프레임(111)이 하단에 보강벽프레임(115)이 접혀져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내벽프레임(113)의 하단에 강화벽프레임(216)이 내측으로 접혀져서 더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강화벽프레임(216)은 상기 보강벽프레임(115)과 내벽프레임(113) 사이로 접혀져서 서로 붙게된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100)는 보강벽프레임(115)과 내벽프레임(113) 사이에 강화벽프레임(216)을 더 형성하여 측면커버(110)의 굽힘강도를 더욱 강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형 포장상자의 면취홈의 형상은 상기 속받침판이 측면커버에 연결시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오각 및 육각등과 같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110 : 측면커버 111 : 외벽프레임 113 : 내벽프레임
115 : 보강벽프레임 117 : 수용공간 119 : 유입홈
120 : 바닥판 130 : 속받침판 131 : 면취홈
140 : 접착수단 216 : 강화벽프레임

Claims (4)

  1. 외벽프레임의 상단에서 연장된 내벽프레임과 외벽프레임의 하단에서 연장된 보강벽프레임이 서로 포개져 띠형상으로 접히며, 상기 띠형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내측에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에 유입홈이 마련된 측면커버;
    상기 유입홈 내에 끼움연결되어 상기 측면커버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착되며, 테두리부에 상기 측면커버와 바닥판 측으로 개방되는 면취홈이 형성된 속받침판; 및
    상기 면취홈에 주입되어 상기 측면커버에 바닥판과 속받침판을 접착하는 접착수단를 포함하는 접지형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내벽프레임의 하단에서 강화벽프레임이 더 연장되어 상기 보강벽프레임과 내벽프레임 사이로 접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취홈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포장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구부림 가공하여 다각형을 이루며 양단부가 포개어져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포장상자.
KR2020120002196U 2012-03-20 2012-03-20 접지형 포장상자 KR20046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96U KR200460565Y1 (ko) 2012-03-20 2012-03-20 접지형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96U KR200460565Y1 (ko) 2012-03-20 2012-03-20 접지형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565Y1 true KR200460565Y1 (ko) 2012-06-11

Family

ID=4660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96U KR200460565Y1 (ko) 2012-03-20 2012-03-20 접지형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6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96B1 (ko) * 2014-10-21 2015-03-09 (주)다함씨엔피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17358B1 (ko) * 2014-06-20 2015-05-04 ㈜에스에이피 견고한 접착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
KR20150077886A (ko) * 2013-12-30 2015-07-08 이재석 다각형 포장상자
KR101653498B1 (ko) * 2015-07-03 2016-09-01 이지현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20200048770A (ko) * 2018-10-30 2020-05-08 김혁규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2040U (ko) * 2020-03-05 2021-09-15 노승연 포장박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86A (ko) * 2013-12-30 2015-07-08 이재석 다각형 포장상자
KR101600145B1 (ko) * 2013-12-30 2016-03-04 이재석 다각형 포장상자
KR101517358B1 (ko) * 2014-06-20 2015-05-04 ㈜에스에이피 견고한 접착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
KR101500596B1 (ko) * 2014-10-21 2015-03-09 (주)다함씨엔피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53498B1 (ko) * 2015-07-03 2016-09-01 이지현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20200048770A (ko) * 2018-10-30 2020-05-08 김혁규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99839B1 (ko) * 2018-10-30 2021-01-07 김혁규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2040U (ko) * 2020-03-05 2021-09-15 노승연 포장박스
KR200494587Y1 (ko) * 2020-03-05 2021-11-08 노승연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565Y1 (ko) 접지형 포장상자
US9511920B2 (en) Edge protector
US8783459B1 (en) Product suspension packaging
US10124948B2 (en) Angle edge protector
KR20110132831A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0445759Y1 (ko) 완성형 포장상자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CN105793171A (zh) 轴的捆包体
JP6532226B2 (ja) 胴枠体及び梱包箱
KR101552707B1 (ko) 엘씨디 필름용 포장상자
KR100976392B1 (ko) 포장 박스 및 그의 제조방법
JP6090677B1 (ja) 弁当箱
KR102087236B1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KR200482479Y1 (ko) 날개걸이 없는 손잡이 강화형 종이 포장 상자
KR100942227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101574610B1 (ko) 포장상자용 덮개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0462032Y1 (ko) 파레트 다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파레트
KR101320411B1 (ko) 포장용 상자
US20160096669A1 (en) Box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200475128Y1 (ko) 패널 운반용 수납박스
KR20180001386U (ko) 포장용 박스
KR20130109279A (ko)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