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39B1 -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39B1
KR102199839B1 KR1020180131219A KR20180131219A KR102199839B1 KR 102199839 B1 KR102199839 B1 KR 102199839B1 KR 1020180131219 A KR1020180131219 A KR 1020180131219A KR 20180131219 A KR20180131219 A KR 20180131219A KR 102199839 B1 KR102199839 B1 KR 10219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fitting grooves
curved
plat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770A (ko
Inventor
김혁규
김미연
Original Assignee
김혁규
김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규, 김미연 filed Critical 김혁규
Priority to KR102018013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1Applying strips, strings, laces or ornamental edgings to forme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트 모양 등과 같이, 둘레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포장상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는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밑판(바닥판)의 둘레 외측단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하트 모양 등과 같이, 둘레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포장 상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CURVED PACKAGING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트 모양 등과 같이, 둘레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포장상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는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박스)는 상품의 진열 및 보관뿐만 아니라 상품을 일정 단위로 포장하여 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포장 상자는 그 자체로 소비자에게 배송됨에 따라 상자를 일정한 무늬나 패턴이 인쇄된 종이로 제작하거나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커버를 씌워 포장 박스의 외관을 좋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선물 포장용 상자가 제작, 판매되고 있다.
포장 상자 중 선물용으로 사용되는 포장 상자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에 비해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해 다각형 이외에, 하트 모양이나 원형 등과 같이 일정한 곡면을 갖는 곡면형 포장 상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곡면형 포장 상자는 측판이 곡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측판과 밑판을 연결하는 공정이 다소 어려워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한편, 많은 인력을 요구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내구성이 약해지므로 접착제의 사용량이 증가하였고, 그에 따른 작업 공정의 비효율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였다.
KR 10-1603041 B1, 2016. 03. 07. "다각형 포장용 상자 및 박스 커버" KR 10-1653498 B1, 2016. 08. 26.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트 모양 등과 같이, 둘레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포장 상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둘레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밑판; 상기 밑판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밑판의 둘레 외측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판; 상기 밑판과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결합된 상판; 및 띠 형상으로, 매듭을 통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에 고정되며, 일단과 타단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호 고정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외측면에서 가압하여 내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에 결합된 상기 밑판의 둘레를 하부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상판의 둘레 외측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및 제4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틀을 이용하여 상기 밑판을 원하는 곡면 형태로 찍어 형성하는 단계; (b) 하부 내측면에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밑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끼움홈에 끼워 결합한 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하단과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 사이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과 압력으로 눌러 제1 및 제2 지지돌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상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단부 혹은 내측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f) 상기 장식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매듭지은 후 벨크로를 통해 고정하여 상기 상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 제3 및 제4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상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3 및 제4 끼움홈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밑판의 둘레 외측단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하트 모양 등과 같이, 둘레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포장 상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1에 도시된 곡면형 포장 상자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판을 설명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판과 제1 및 제2 측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1에 도시된 곡면형 포장 상자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진 곡면형 포장 상자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10)는 밑판(바닥판, 11)과, 제1 및 제2 측판(12, 13)과, 상판(덮개판, 14)과, 장식부재(15)를 포함한다.
밑판(11)은 바닥판으로서,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틀을 이용하여 찍어내어 제조한다.
제1 및 제2 측판(12, 13)은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호 결합시 하트 모양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하트를 1/2로 절단한 곡면형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판을 설명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내측면에는 밑판(11)의 둘레 외측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제1 끼움홈(12a)은 제1 측판(12)의 내측 하부에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2 끼움홈(13a)은 제2 측판(13)의 내측 하부에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은 서로 대칭 구조로 수평 선상에서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어 밑판(11)의 둘레 외측단이 내부로 안정적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은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됨에 따라 밑판(11)은 지면(바닥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하단과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 간의 높이 만큼 이격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 측판(12, 13)은 각각 지면에 직접 지지되어 포장상자의 다리로 기능한다.
상판(14)은 밑판(11)과 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상단 또는 상부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장식부재(15)는 포장상자(10)를 더욱 아름답고 멋스럽게 꾸미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부재, 예를 들면, 핀, 나사, 클립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판(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부재(15)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매듭을 통해 다양한 모양, 예를 들면 리본 형태로 매듭지어져 일단과 타단부에 각각 벨크로(15a)가 구비되어 벨크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틀을 이용하여 밑판(11)을 원하는 형태로 찍어 제조한다. 이때, 밑판(11)의 상단과 하단 중앙부(a, b)를 반칼 후 이어 붙여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측판(12, 13)을 대칭 구조로 각각 제조한 후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내측면에 각각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은 제1 및 제2 측판(12, 13)을 제조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밑판(11)을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을 끼워 결합한다.
이후, 밑판(11)이 끼워져 결합된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에 접착부재, 예를 들면 접착제(글루)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긴밀하게 부착한다.
이후,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하단과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 사이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과 압력으로 눌러 제1 및 제2 지지돌부(12b, 13b)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지지돌부(12b, 13b)는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의 내부로 끼워진 밑판(11)을 하부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밑판(11)은 제1 및 제2 끼움홈(12a, 13a)과 제1 및 제2 지지돌부(12b, 13b)를 통해 2단계로 지지되어 지지력이 향상된다.
제1 및 제2 지지돌부(12b, 13b)는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둘레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혹은 도트(dot) 형태로 일정 간격으로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상판(14)을 제1 및 제2 측판(12, 13)의 상단부 혹은 내측면에 부착시킨 후 장식부재(15)를 원하는 형태로 매듭지은 후 벨크로(15a)를 통해 고정하여 상판(14)에 고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20)는 밑판(21)과, 제1 및 제2 측판(22, 23)과, 상판(24)과, 장식부재(25)를 포함하고, 상판(24) 또한 밑판(21)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 끼움홈(22b, 23b)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내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내지 제4 끼움홈(22a, 22b, 23a, 23b)이 형성된다. 즉, 하부 내측면에는 밑판(21)의 둘레 외측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22a, 23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측면에는 상판(21)의 둘레 외측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및 제4 끼움홈(22b, 23b)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틀을 이용하여 밑판(21)을 원하는 형태로 찍어 제조한다.
이후, 제1 및 제2 측판(22, 23)을 대칭 구조로 각각 제조한 후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내측면에 각각 제1 내지 제4 끼움홈(22a, 22b, 23a, 23b)을 형성한다.
이후, 밑판(21)을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제1 및 제2 끼움홈(22a, 23a)을 끼워 결합한다.
이후, 밑판(21)이 끼워져 결합된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제1 및 제2 끼움홈(22a, 23a)에 접착제(글루)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하게 상호 부착한다.
이후,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하단과 제1 및 제2 끼움홈(22a, 23a) 사이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과 압력으로 눌러 제1 및 제2 지지돌부(22c, 23c)를 형성한다.
이후, 상판(24)을 제1 및 제2 측판(22, 23)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제3 및 제4 끼움홈(22b, 23b)에 끼워 고정한 후 장식부재(25)를 원하는 형태로 매듭지은 상태로 양단에 구비된 벨크로(25a, 도 5참조)를 통해 고정하여 상판(24)에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판과 제1 및 제2 측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판(31)은 양단부에 각각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부(31a, 31b)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제1 및 제2 측판(32, 33)의 제1 및 제2 끼움홈(321, 331)에는 내측 상하부에 각각 밑판(31)에 형성된 걸림돌부(31a, 31b)가 각각 끼워져 외측으로 걸림되는 걸림홈(321a, 3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판(31)에는 걸림돌부(31a, 31b)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측판(32, 33)에는 걸림돌부(31a, 31b)가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홈(321a, 331a)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측판(32, 3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잡아주어 제1 및 제2 측판(32, 33)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곡면형 포장 상자 11, 21, 31: 밑판(바닥판)
12, 22, 32 : 제1 측판 13, 23, 33 : 제2 측판
14, 24 : 상판(덮개판) 12a, 22a, 321 : 제1 끼움홈
13a, 23a, 331 : 제2 끼움홈 12b, 13b : 제1 및 제2 지지돌부
22b, 23b : 제3 및 제4 끼움홈 22c, 23c : 제1 및 제2 지지돌부
15, 25 : 장식부재 15a, 25a : 벨크로
31a, 31b : 걸림돌부 321a, 331a : 걸림홈

Claims (5)

  1. 둘레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밑판;
    상기 밑판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밑판의 둘레 외측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되며, 분리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판;
    상기 밑판과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결합된 상판; 및
    띠 형상으로, 매듭을 통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에 고정되며, 일단과 타단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호 고정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외측면에서 가압하여 내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에 결합된 상기 밑판의 둘레를 하부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양단부에 각각 상하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에는 내측 상하부에 각각 상기 밑판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상판의 둘레 외측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및 제4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
  4. 제 1 항의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틀을 이용하여 상기 밑판을 원하는 곡면 형태로 찍어 형성하는 단계;
    (b) 하부 내측면에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밑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끼움홈에 끼워 결합한 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상기 제1판 및 제2 측판을 상호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하단과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 사이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과 압력으로 눌러 제1 및 제2 지지돌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상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단부 혹은 내측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f) 상기 장식부재를 원하는 형태로 매듭지은 후 벨크로를 통해 고정하여 상기 상판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 제3 및 제4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상판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3 및 제4 끼움홈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포장 상자의 제조방법.
KR1020180131219A 2018-10-30 2018-10-30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9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19A KR102199839B1 (ko) 2018-10-30 2018-10-30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19A KR102199839B1 (ko) 2018-10-30 2018-10-30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70A KR20200048770A (ko) 2020-05-08
KR102199839B1 true KR102199839B1 (ko) 2021-01-07

Family

ID=7067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219A KR102199839B1 (ko) 2018-10-30 2018-10-30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5Y1 (ko) * 2012-03-20 2012-06-11 이대연 접지형 포장상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99Y1 (ko) * 2008-05-27 2011-10-04 강주현 선물포장상자
KR101603041B1 (ko) 2015-04-07 2016-03-11 이승연 다각형 포장용 상자 및 박스 커버
KR101653498B1 (ko) 2015-07-03 2016-09-01 이지현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5Y1 (ko) * 2012-03-20 2012-06-11 이대연 접지형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7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406B2 (en)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KR102199839B1 (ko) 곡면형 포장 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5507333B2 (ja) 易展開容器
CN104386341A (zh) 上圆下方纸质酒盒及其制造方法
WO2019031279A1 (ja) 包装箱用シート
US20060179713A1 (en) Planter cover
US20070071915A1 (en) Decorative bow
JP3137935B2 (ja) ハンカチの立体折り畳み構造
CN107697388A (zh) 一种盒型结构
CN209757843U (zh) 一种包装盒
JP2019119982A (ja) 大型ペーパーフラワー及びその製造方法、ペーパーフラワーキット
KR200479067Y1 (ko) 포장용 상자
KR101359005B1 (ko) 포장상자 제조방법
CN210455717U (zh) 一种立体式包装箱内防护内衬
KR200331700Y1 (ko) 케익 받침대
JP2001253428A (ja) 紙製の箱体
KR940008504Y1 (ko) 장식용 공단연꽃
KR200339511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100360465B1 (ko) 다각형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67012Y1 (ko) 포장상자
KR200447550Y1 (ko) 시신안치용 관
JP2020045123A (ja) 箱体およびその板材
JP3769685B2 (ja) 料理用紙重箱
KR101114146B1 (ko) 패키지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2598U (ko) 선물용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