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40U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40U
KR20210002040U KR2020200000767U KR20200000767U KR20210002040U KR 20210002040 U KR20210002040 U KR 20210002040U KR 2020200000767 U KR2020200000767 U KR 2020200000767U KR 20200000767 U KR20200000767 U KR 20200000767U KR 20210002040 U KR20210002040 U KR 20210002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y
folded
bottom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587Y1 (ko
Inventor
노승연
Original Assignee
노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연 filed Critical 노승연
Priority to KR2020200000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8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고 조립시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 를 포함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중 접힘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복수의 겹으로 접히면서 바닥판을 향하는 접힘 모서리 부위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각종 제품을 수납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포장박스는 단순히 제품을 수납 보관하고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고급스러운 제품 포장을 통해 브랜드의 퀄리티와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기존 포장박스는 종이 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되며 대부분 육면체 형상이 조립된다. 기존 포장박스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 바닥판의 전후좌우 사방으로 연장되어 포장박스 조립시 각각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접히는 정면, 배면, 좌면, 우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 및 측판부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바닥판의 가장자리에는 관통구멍이 천공되며, 좌, 우면을 구성하는 측판의 조립시 좌, 우면을 구성하는 측판의 끝단에 구비된 삽입돌기를 관통구멍에 대응 결합하여 좌, 우면을 구성하는 측판이 세워지도록 조립한다.
그런데 기존 포장박스는 바닥판에 관통구멍이 천공됨에 따라 포장박스의 디자인적 미감 저해 및 포장박스의 품질을 저해하고, 바닥판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통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통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측면을 조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3043호(2016.10.25.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통구멍 대신 걸림부를 구비하여 바닥판의 내구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다중 접힘 측판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고 조립시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 를 포함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중 접힘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복수의 겹으로 접히면서 바닥판을 향하는 접힘 모서리 부위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힘 모서리 부위의 걸림이 가능한 단턱 구조 또는 함몰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조립시 상기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 겹; 상기 제1 겹과 경계를 중심으로 바닥판 쪽으로 접히는 제2 겹; 및 상기 제2 겹과 경계를 중심으로 제2 겹과 겹치도록 접히고 끝단이 위를 향하는 제3 겹;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겹과 제3 겹 사이의 경계는 상기 바닥판의 걸림부에 걸리는 접힘 모서리 부위이다.
또한, 상기 제3 겹의 끝단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한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겹에 구비되는 절개편의 절개 부위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절개편은 상기 제3 겹을 접었을 때 상기 요부가 대응하는 제2 겹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측판부는 조립시 좌면을 구성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대향하고 조립시 우면을 구성하는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이웃하고 조립시 정면을 구성하는 제3 측판; 및 상기 제3 측판과 대향하고 조립시 배면을 구성하는 제4 측판; 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다.
또한, 상기 제3 측판과 제4 측판의 좌우 양측으로 지지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날개는 조립시 바닥판 방향으로 접힌다.
또한, 상기 지지날개는 조립시 상기 제1 겹과 제2 겹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4 측판에서 연장되고 육면체의 포장박스 조립시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날개는 조립시 덮개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접고 끝단이 절개편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바닥판을 향하도록 측판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덮개판의 일측으로 보조날개가 구비되고, 포장박스 조립시 상기 보조날개는 제3 측판에 겹치도록 접히며 상기 보조날개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삽입날개는 상기 제1 겹과 보조날개 사이로 삽입된다.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와 같이 바닥판에 관통구멍을 천공하지 않아 포장박스의 디자인적 미감 향상 및 포장박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의 바닥판에 관통구멍 형성으로 인한 바닥판의 내구성 약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의 바닥판에 구비되는 관통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제1 겹과 지지날개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제2 겹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겹을 접어서 요부를 제2 겹의 절개편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접힘 모서리 부위가 바닥판의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판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판의 연장날개, 보조날개 및 삽입날개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 완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 포장박스는 바닥판에 관통구멍이 천공됨에 따라 포장박스의 디자인적 미감 저해 및 포장박스의 품질을 저해하고, 바닥판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통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통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측면을 조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전개도에 도시된 "---"와 같은 점선은 접힘선을 나타낸다. 접힘선은 바닥판(10), 제1 측판(21), 제2 측판(22), 제3 측판(23), 제4 측판(24), 덮개판(30)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립시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10), 조립시 정배좌우면을 구성하는 측판부,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판(30)으로 구성되며, 절첩을 통해 육면체의 포장박스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측판부는 바닥판(10)에서 연장되는 제1 측판(21), 제2 측판(22), 제3 측판(23), 제4 측판(24)을 포함한다.
제1 측판(21)은 바닥판(10)에서 연장되고 조립시 바닥판(10)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지도록 접혀 좌면을 구성한다.
제2 측판(22)은 바닥판(10)에서 연장되면서 제1 측판(21)과 대향 구성되고 조립시 바닥판(10)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지도록 접혀 우면을 구성한다.
제3 측판(23)은 바닥판(10)에서 연장되면서 제1 측판(21)과 이웃하고 조립시 바닥판(10)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지도록 접혀 정면을 구성한다.
조립시 제4 측판(24)은 바닥판(10)에서 연장되면서 제3 측판(23)과 대향 구성되고 조립시 바닥판(10)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지도록 접혀 배면을 구성한다.
제1 측판(21) 및 제2 측판(22)은 다중 접힘 측판 구조로 구성된다. 제1 측판(21) 및 제2 측판(22)은 동일 구조로 구성된다.
도 2, 3과 같이 제1 측판(21)과 제2 측판(22)을 복수의 겹으로 접은 다음 바닥판을 향하는 접힘 모서리 부위(203c)를 바닥판(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걸림부(11)에 걸리도록 조립한다.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와 달리 바닥판(10)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대신 걸림부(11)로 다중 접힘 측판 구조인 제1 측판(21)과 제2 측판(22)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 포장박스와 같이 바닥판에 관통구멍을 형성할 경우에 야기되는 포장박스의 디자인적 미감 저하, 포장박스의 품질 저하, 바닥판의 내구성 약화, 관통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 침투와 같은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제1 겹과 지지날개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예로서 바닥판(10)에 구비되는 걸림부(11)는 접힘 모서리 부위(203c)가 걸릴 수 있는 단턱 구조 또는 함몰 구조일 수 있다.
다중 접힘 측판으로 구성되는 제1 측판(21)은 복수의 겹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제1 겹(201), 제2 겹(202) 및 제3 겹(203)으로 구성된다. 제2 측판(22)도 제1 측판(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겹(201)은 바닥판(10)의 좌측에서 연장된다. 제1 겹(201)은 조립시 바닥판(10)과 제1 겹(201) 사이의 경계를 중심으로 접힌다. 제1 겹(201)은 바닥판(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진 상태로 조립된다.
제2 겹(202)은 제1 겹(201)과 연결되고 조립시 제1 겹(201)과 제2 겹(202) 사이의 경계를 중심으로 접힌다. 제2 겹(202)은 바닥판(10) 쪽으로 접힌다.
제3 겹(203)은 제2 겹(202)과 연결되고 제2 겹(202)과 제3 겹(203) 사이의 경계를 중심으로 제2 겹(202)에 겹쳐지도록 접힌다. 제3 겹(203)은 끝단(203a)이 위를 향하도록 접힌다.
제1 측판(21)의 조립시 제2 겹(202)과 제3 겹(203) 사이의 경계가 바닥판(10)의 걸림부(11)에 걸리는 접힘 모서리 부위(203c)가 된다.
제3 겹(203)에 오목한 요부(203b)가 복수로 구비된다. 요부(203b)는 제3 겹(203)의 끝단(203a)을 따라 구비된다. 조립시 요부(203b)는 제2 겹(202)에 구비되는 절개편(202a)에 끼워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제2 겹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겹을 접어서 요부를 제2 겹의 절개편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접힘 모서리 부위가 바닥판의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절개편(202a)은 제3 겹(203)의 요부(203b)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성된다. 절개편(202a)은 제3 겹(203)을 접었을 때 요부(203b)가 대응하는 제2 겹(202)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절개편(202a)은 일부분이 제2 겹(202)과 연결된다. 절개편(202a)의 제2 겹(202)과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는 부위는 요부(203b)에 부합하도록 절개편(202a)의 외곽을 형성하는 절개선(202b)을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절개편(202a)과 요부(203b)의 조립시 절개편(202a)의 절개 부위로 요부(203b)를 삽입한다(도 6 참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판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판의 연장날개, 보조날개 및 삽입날개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 완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측판(23)과 제4 측판(24)의 좌우 양측으로 지지날개(25)가 구비된다. 제3 측판(23)과 제4 측판(24)을 바닥판(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접은 상태에서 지지날개(25)를 바닥판(10) 방향으로 접는다. 지지날개(25)는 포장박스 조립시 제1 겹(201)과 제2 겹(202) 사이에 위치한다.
덮개판(30)은 제4 측판(24)과 연결된다. 덮개판(30)은 좌우 양측으로 연장날개(31)가 구비된다. 연장날개(31)는 덮개판(30)과 연장날개(31) 사이의 경계를 중심으로 접힌다. 조립시 연장날개(31)는 절개편(202a)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끝단이 바닥판(10)을 향하도록 측판부 내부로 삽입된다.
연장날개(31)와 이웃하는 덮개판(30)의 일측으로 보조날개(32)가 구비되고 보조날개(32)의 좌우 양측으로 삽입날개(32a)가 구비된다. 보조날개(32)는 조립시 제3 측판(23)에 겹쳐지도록 접힌다. 삽입날개(32a)는 조립시 제1 겹(201)과 보조날개(32) 사이(32b)의 틈으로 삽입된다.
다음은 포장박스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바닥판(10)과 경계를 중심으로 제3 측판(23)과 제4 측판(24)을 접어서 바닥판(10)과 직각으로 이루도록 제3 측판(23)과 제4 측판(24)을 조립한다. 제3 측판(23) 및 제4 측판(24)의 연장날개(31)는 바닥판(10)을 향하도록 접는다. 제1 측판(21)의 제1 겹(201)은 연장날개(31)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5와 같이 제3 겹(203)을 제2 겹(202)과 경계를 중심으로 접어서 제2 겹(202)에 겹쳐지게 한다.
도 6과 같이 제3 겹(203)의 끝단(203a)을 따라 구비되는 요부(203b)를 제2 겹(202)에 구비되는 절개편(202a)의 절개 부위로 삽입한다. 요부(203b)를 절개편(202a)의 절개 부위 사이로 삽입함으로써 제3 겹(203)을 접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요부(203b)가 절개편(202a)의 절개 부위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겹(202)을 접어서 연장날개(31)에 밀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겹(202)과 제3 겹(203)의 접힘 모서리 부위(203c)를 바닥판(10) 가장자리의 걸림부(11)에 걸리게 한다. 제2 측판(22)도 제1 측판(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8, 9와 같이 덮개판(30)의 연장날개(31)를 측판부 내부로 삽입한다. 일예로서, 절개편(202a)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2 겹(202)에 겹쳐지는 제3 겹(203)의 끝단(203a)에 연장날개(31)의 끝단이 걸려서 연장날개(31)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절개편(202a)의 절개 부위로 요부(203b)가 삽입는 구조로서 연장날개(31)의 조립시 연장날개(31)의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제3 겹(203)의 끝단에 걸리지 않고 절개편(202a)을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에 연장날개(31)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과 삽입날개(32a)를 제1 겹(201)과 지지날개(25) 사이(32b)의 틈으로 삽입하여 육면체 포장박스의 조립을 완성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와 같이 바닥판에 관통구멍을 천공하지 않아 포장박스의 디자인적 미감 향상 및 포장박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의 바닥판에 관통구멍 형성으로 인한 바닥판의 내구성 약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 포장박스의 바닥판에 구비되는 관통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바닥판
11 : 걸림부
21 : 제1 측판
22 : 제2 측판
23 : 제3 측판
24 : 제4 측판
25 : 지지날개
30 : 덮개판
31 : 연장날개
32 : 보조날개
32a : 삽입날개
32b : 사이
201 : 제1 겹
202 : 제2 겹
202a : 절개편
202b : 절개선
203 : 제3 겹
203a : 끝단
203b : 요부
203c : 접힘 모서리 부위

Claims (10)

  1.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고 조립시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세워진 상태로 접히는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
    를 포함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중 접힘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복수의 겹으로 접히면서 바닥판을 향하는 접힘 모서리 부위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힘 모서리 부위의 걸림이 가능한 단턱 구조 또는 함몰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조립시 상기 바닥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 겹;
    상기 제1 겹과 경계를 중심으로 바닥판 쪽으로 접히는 제2 겹; 및
    상기 제2 겹과 경계를 중심으로 제2 겹과 겹치도록 접히고 끝단이 위를 향하는 제3 겹;
    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겹과 제3 겹 사이의 경계는,
    상기 바닥판의 걸림부에 걸리는 접힘 모서리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겹의 끝단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한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겹에 구비되는 절개편의 절개 부위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은,
    상기 제3 겹을 접었을 때 상기 요부가 대응하는 제2 겹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조립시 좌면을 구성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대향하고 조립시 우면을 구성하는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이웃하고 조립시 정면을 구성하는 제3 측판; 및
    상기 제3 측판과 대향하고 조립시 배면을 구성하는 제4 측판;
    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힘 측판은,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판과 제4 측판의 좌우 양측으로 지지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날개는 조립시 바닥판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날개는,
    조립시 상기 제1 겹과 제2 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측판에서 연장되고 육면체의 포장박스 조립시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날개는 조립시 덮개판과 경계를 중심으로 접고 끝단이 절개편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바닥판을 향하도록 측판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덮개판의 일측으로 보조날개가 구비되고, 포장박스 조립시 상기 보조날개는 제3 측판에 겹치도록 접히며 상기 보조날개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삽입날개는 상기 제1 겹과 보조날개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2020200000767U 2020-03-05 2020-03-05 포장박스 KR200494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67U KR200494587Y1 (ko) 2020-03-05 2020-03-05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67U KR200494587Y1 (ko) 2020-03-05 2020-03-05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40U true KR20210002040U (ko) 2021-09-15
KR200494587Y1 KR200494587Y1 (ko) 2021-11-08

Family

ID=7778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67U KR200494587Y1 (ko) 2020-03-05 2020-03-05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38B1 (ko) 2023-03-10 2023-11-06 황국희 포장박스
KR102627225B1 (ko) 2023-01-10 2024-01-18 황국희 포장박스
KR102651929B1 (ko) 2023-03-13 2024-03-26 황국희 포장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5Y1 (ko) * 2012-03-20 2012-06-11 이대연 접지형 포장상자
KR20160123043A (ko)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찬진 포장박스
KR200489642Y1 (ko) * 2019-01-14 2019-07-16 주식회사 박스코리아 보강 트레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5Y1 (ko) * 2012-03-20 2012-06-11 이대연 접지형 포장상자
KR20160123043A (ko)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찬진 포장박스
KR200489642Y1 (ko) * 2019-01-14 2019-07-16 주식회사 박스코리아 보강 트레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225B1 (ko) 2023-01-10 2024-01-18 황국희 포장박스
KR102599438B1 (ko) 2023-03-10 2023-11-06 황국희 포장박스
KR102651929B1 (ko) 2023-03-13 2024-03-26 황국희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87Y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587Y1 (ko) 포장박스
HUE025214T2 (en) cigarette Packages
KR100930367B1 (ko) 포장박스
KR101802372B1 (ko) 끽연류들을 위한 팩
EP2632822B1 (en) A pack for smoking articles
US7624913B2 (en) Hinge-lid container and blank
KR102283484B1 (ko) 포장박스
JP6608226B2 (ja) 包装箱および包装箱のブランク
KR102651927B1 (ko) 포장박스
ES2235146T3 (es) Caja pleglable.
JP6259788B2 (ja) 梱包箱
KR200482488Y1 (ko) 박스의 밑면터짐을 방지한 조립되는 박스
JP2005178873A (ja) 紙箱
US20010030135A1 (en) Cigarette pack blank
JP2018079962A (ja) 包装箱
JP7224900B2 (ja) 包装箱
KR102627225B1 (ko) 포장박스
JP4893713B2 (ja) 包装容器
KR100985484B1 (ko) 포장상자
JP6680178B2 (ja) 包装箱
KR101133720B1 (ko) 이중 고정 구조의 포장용 박스
KR20230119431A (ko) 포장용 박스의 측면 기립을 위한 구조체 및 포장용 박스
JP2021008304A (ja) 改ざん防止機能付き包装用箱
JP3107427U (ja) 果実包装用紙箱
JP3153910U (ja) 二重構造の壁と蓋受け縁を有してなる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