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438B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438B1
KR102599438B1 KR1020230031590A KR20230031590A KR102599438B1 KR 102599438 B1 KR102599438 B1 KR 102599438B1 KR 1020230031590 A KR1020230031590 A KR 1020230031590A KR 20230031590 A KR20230031590 A KR 20230031590A KR 102599438 B1 KR102599438 B1 KR 10259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height direction
extension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희
노승연
Original Assignee
황국희
노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국희, 노승연 filed Critical 황국희
Priority to KR102023003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65D5/063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with supplemental clamping elements mounted on the container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측판, 제2 측판,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이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측판부; 및 상기 제1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판, 상기 제2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판, 상기 제3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상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상판을 포함하는 상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에 제1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판은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각종 포장대상을 수납 포장할 수 있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물이나 짐, 상품 따위를 요구하는 장소까지 직접 배달해 주는 택배산업의 발달로 인해 포장박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포장박스는 각종 제품을 수납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저면를 구성하는 하판부,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부 및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부로 구성되어 조립에 의해 육면체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박스는 내부에 내용을 넣고 조립 완료 후 상판부와 하판부의 조립 상태가 유지할 수 있도록 포장 테이프로 테이핑(taping)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1-0002040호(2021.09.15.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핑 없이 상판부와 하판부의 조립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측판, 제2 측판,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이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측판부; 및 상기 제1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판, 상기 제2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판, 상기 제3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상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상판을 포함하는 상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에 제1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판은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에 제2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누름판은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판과 상기 제4 상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가 상기 제2 상판과 상기 제1 누름판 사이 및 상기 제4 상판과 상기 제2 누름판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는 상기 제1 누름판의 제1 접힘선 부위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는 상기 제2 누름판의 제2 접힘선 부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 좌우 양측 폭은 상기 제1 접힘선과 상기 제2 접힘선 사이의 폭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제1 파지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제2 파지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상판은 끝단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 상판의 끝단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상판과 연결된 제3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제1 상판에 구비되는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판, 상기 제2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판, 상기 제3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하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하판을 포함하는 하판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판은 끝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간격을 두고 끝단부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받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판은 끝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받침부에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간격을 두고 끝단부 타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연장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연장부를 지지하도록 조립되는 제2 받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판은 상기 제1 하판과 연결되는 제1 사선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하판은 상기 제3 하판과 연결되는 제2 사선 접힙선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핑 없이 상판부와 하판부의 견고한 조립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판부 및 하판부의 조립 후 별도의 테이핑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친환경적인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판과 제4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판과 제3 하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포장박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판과 제4 하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포장박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판과 제4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상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부(10), 측판부(10)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부(20), 및 측판부(10)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저면을 구성하는 하판부(30)를 포함한다.
측판부(10)는 제1 측판(11), 제2 측판(12), 제3 측판(13), 및 제4 측판(14)를 포함한다. 제1 측판(11), 제2 측판(12), 제3 측판(13), 및 제4 측판(14)는 서로 연결되도록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제1 측판(11)은 연결부(111)를 구비한다. 연결부(111)는 접착 물질에 의해 제4 측판(14)과 연결될 수 있다.
상판부(20)는 제1 상판(21), 제2 상판(22), 제3 상판(23), 및 제4 상판(24)을 포함한다.
제1 상판(21)은 제1 측판(11)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상판(22)은 제2 측판(12)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상판(23)은 제3 측판(13)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4 상판(24)은 제4 측판(14)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상판(22)은 제1 누름판(221)을 구비한다. 제1 누름판(221)은 제2 상판(22)의 안쪽 부위를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누름판(221)은 제1 접힘선(221a) 부위가 제2 상판(22)의 안쪽 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누름판(221)은 제1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제1 누름판(221)은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 일측을 누르도록 조립되어 제1 상판(2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상판(24)은 제2 누름판(242)을 구비한다. 제2 누름판(242)은 제2 상판(22)의 안쪽 부위를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누름판(242)은 제2 접힘선(242a) 부위가 제4 상판(24)의 안쪽 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누름판(242)은 제2 접힘선(242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제2 누름판(242)은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 타측을 누르도록 조립되어 제1 상판(2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누름판(221)과 제2 누름판(242)이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 좌우 양측을 동시에 누르기 때문에 제1 상판(21)의 들뜸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상판(22)과 제4 상판(24)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에서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가 제2 상판(22)과 제1 누름판(221) 사이 및 제4 상판(24)과 제2 누름판(242)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제2 상판(22)과 제4 상판(24)이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가 제1 접힘선(221a)과 제2 접힘선(242a) 사이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의 좌우 폭(L1)은 제1 접힘선(221a)과 제2 접힘선(242a) 사이의 폭(L2)에 부합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다.
제1 누름판(221)은 제1 파지 홈(221b)을 구비한다. 제1 파지 홈(221b)은 제1 누름판(221)의 절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파지 홈(221b)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기면 제1 누름판(221)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지 홈(221b)은 오목한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제2 누름판(242)은 제2 파지 홈(242b)을 구비한다. 제2 파지 홈(242b)은 제2 누름판(242)의 절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파지 홈(242b)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당기면 제2 누름판(242)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예컨대 제2 파지 홈(2421b)은 오목한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제3 상판(23)은 결합부(231)를 구비한다. 예컨대 결합부(231)는 제3 상판(23) 끝단 부위 좌우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231)는 제3 상판(23)의 끝단 부위를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231)의 제3 접힘선(231a) 부위는 제3 상판(23)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상판(23)의 조립 시 결합부(231)는 제3 접힘선(231a)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제1 상판(21)에 구비되는 삽입공(212)에 삽입된다. 삽입공(212)은 결합부(231)에 부합하는 장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판(21)은 제1 누름판(221)과 제2 누름판(242)에 의해 가압되고 이에 더하여 제3 상판(23)에 의해 가압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제1 상판(21)의 들뜸이 없는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판과 제3 하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포장박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판과 제4 하판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포장박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30)는 제1 하판(31), 제2 하판(32), 제3 하판(33), 및 제4 하판(34)을 포함한다.
제1 하판(31)은 제1 측판(11)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하판(32)은 제2 측판(12)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하판(33)은 제3 측판(13)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4 하판(34)는 제4 측판(14)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판(31)은 끝단부의 좌우 양측으로 구성되는 제1 연장부(311) 및 제1 받침부(31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311는 제1 하판(31)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 받침부(312)는 제1 연장부(311)와 간격을 두고 제1 하판(31)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 받침부(312)는 제1 연장부(3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하판(33)은 끝단부의 좌우 양측으로 구성되는 제2 연장부(331) 및 제2 받침부(332)를 포함한다.
제2 연장부(331)는 제3 하판(33)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2 연장부(331)는 제1 받침부(312)에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제2 받침부(332)는 제2 연장부(331)와 간격을 두고 제3 하판(33)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2 받침부(332)는 제2 연장부(33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받침부(332)는 제1 연장부(311)를 지지하도록 조립된다.
제2 하판(32)은 서로 겹쳐진 상태의 제1 받침부(312)와 제2 연장부(331) 사이로 삽입된다. 제1 받침부(312)는 제1 하판(31)과 연결되는 제1 사선 접힘선(312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제4 하판(34)은 서로 겹쳐진 상태의 제2 받침부(332)와 제1 연장부(311) 사이로 삽입된다. 제2 받침부(332)는 제3 하판(33)과 연결되는 제2 사선 접힙선(332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상판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2와 같이, 제1 측판(11), 제2 측판(12), 제3 측판(13), 및 제4 측판(14) 사이의 각 경계(B)를 중심으로 제1 측판(11), 제2 측판(12), 제3 측판(13), 및 제4 측판(14)을 접은 다음 제1 측판(11)의 연결부(111)를 제4 측판(14)에 연결하여 측판부(10)의 형태를 잡아준다.
제2 상판(22)을 제2 측판(12)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제4 상판(24) 방향으로 접는다. 제4 상판(24)을 제4 측판(14)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제2 상판(22) 방향으로 접는다.
제2 상판(22)과 제4 상판(24)을 서로 마주보도록 접은 상태에서 제1 상판(21)의 조립을 진행한다.
도 1, 3과 같이, 제1 상판(21)을 제1 측판(11)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접어서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를 제1 누름판(221)과 제2 상판(22) 사이 및 제2 누름판(242)과 제4 상판(24) 사이로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제1 상판(21)의 조립 완료 시 끝단부(211) 일측은 제1 누름판(221)과 제2 상판(2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 타측은 제2 누름판(242)과 제4 상판(2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누름판(221)을 제1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접어서 제1 누름판(221)과 제2 상판(22) 사이가 벌어지게 하고, 제2 누름판(242)을 제2 접힘선(242a)을 중심으로 접어서 제2 누름판(242)과 제4 상판(24) 사이가 벌어지게 하면, 제1 상판(21)의 끝단부(211)를 제1 누름판(221)과 제2 상판(22) 사이 및 제2 누름판(242)과 제4 상판(24) 사이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제1 누름판(221)의 제1 파지 홈(221b)과 제2 누름판(242)의 제2 파지 홈(242b)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 누름판(221)과 제2 누름판(242)을 당기면 제1 누름판(221)과 제2 누름판(242)을 제1 접힘선(221a)과 제2 접힘선(242a)을 중심으로 쉽게 접을 수 있다.
도 1, 4와 같이, 제3 상판(23)을 제3 측판(13)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제1 상판(21) 방향으로 접는다. 이와 동시에 결합부(231)를 제3 접힘선(231a)을 중심으로 접어서 결합부(231)를 제1 상판(21)의 삽입공(212)에 삽입한다.
양측 결합부(231) 사이에 구비되는 연장부(232)는 제1 상판(21) 위에 겹쳐지면서 끝단부(232a)가 삽입공(212)에 삽입된 결합부(231)보다 더 돌출되도록 제1 상판(21)이 접히는 경계(B)와 삽입공(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상판(21)이 제1 누름판(221)과 제2 누름판(242) 및 제3 상판(23)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는 조립 구조로 인해 제1 상판(2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테이핑 없이 상판부(2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하판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5와 같이, 제1 하판(31)을 제1 측판(11)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제3 하판(33) 방향으로 접는다. 제3 하판(33)을 제3 측판(13)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제1 하판(31) 방향으로 접는다.
구체적으로 제1 하판(31)과 제3 하판(33)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어서 제1 받침부(312)는 제2 연장부(331)를 지지하고, 제2 받침부(332)는 제1 연장부(311)를 지지하도록 엇갈리게 조립한다.
도 1, 6과 같이, 제2 하판(32)을 제2 측판(12)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접어서 제2 하판(32)이 제1 받침부(312)와 제2 연장부(331) 사이로 삽입되게 한다.
제4 하판(34)을 제4 측판(14)과 경계(B)를 중심으로 접어서 제4 하판(34)이 제2 받침부(332)와 제1 연장부(311) 사이로 십입되게 한다.
이때, 제1 받침부(312)와 제2 연장부(331) 사이가 벌어지도록 제1 받침부(312)를 제1 사선 접힘선(312a)을 중심으로 접고, 제2 받침부(332)와 제1 연장부(311) 사이가 벌어지도록 제2 받침부(332)를 제2 사선 접힘선(332a)을 중심으로 접으면서 제2 하판(32)과 제4 하판(34)을 제1 받침부(312)와 제2 연장부(332) 사이 및 제2 받침부(332)와 제1 연장부(311) 사이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2 하판(32)과 제4 하판(34)이 제1 받침부(312)와 제2 연장부(331) 사이 및 제2 받침부(332)와 제1 연장부(311) 사이로 삽입되는 조립 구조로 인해 테이핑 없이 하판부(3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측판부 11 : 제1 측판
111 : 연결부 12 : 제2 측판
13 : 제3 측판 14 : 제4 측판
20 : 상판부 21 : 제1 상판
211 : 끝단부 212 : 삽입공
22 : 제2 상판 221 : 제1 누름판
221a : 제1 접힘선 221b : 제1 파지 홈
23 : 제3 상판 231 : 결합부
231a : 제3 접힘선 24 : 제4 상판
242 : 제2 누름판 242a : 제2 접힘선
242b : 제2 파지 홈 30 : 하판부
31 : 제1 하판 311 : 제1 연장부
312 : 제1 받침부 312a : 제1 사선 접힘선
32 : 제2 하판 33 : 제3 하판
331 : 제2 연장부 332 : 제2 받침부
332a : 제2 사선 접힙선 34 : 제4 하판
B : 경계 L1 : 폭
L2 : 폭

Claims (10)

  1. 제1 측판, 제2 측판, 제3 측판 및 제4 측판이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측판부; 및
    상기 제1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판, 상기 제2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판, 상기 제3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상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일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상판을 포함하는 상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에 제1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누름판은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에 제2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누름판은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조립되고,
    상기 제2 상판과 상기 제4 상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가 상기 제2 상판과 상기 제1 누름판 사이 및 상기 제4 상판과 상기 제2 누름판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3 상판은 끝단 부위를 따라 양측으로 결합부가 구비되고 양측 결합부 사이에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 상판의 끝단 부위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상판과 연결된 제3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제1 상판에 구비되는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상판 위에 겹쳐지면서 끝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상판이 접히는 경계와 상기 삽입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판의 안쪽 부위는 상기 제1 누름판의 제1 접힘선 부위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상판의 안쪽 부위는 상기 제2 누름판의 제2 접힘선 부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판의 끝단부 좌우 양측 폭은 상기 제1 접힘선과 상기 제2 접힘선 사이의 폭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제1 파지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제2 파지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판, 상기 제2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판, 상기 제3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하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타측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하판을 포함하는 하판부;
    를 더 포함하는 포장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판은,
    끝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간격을 두고 끝단부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받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판은,
    끝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받침부에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간격을 두고 끝단부 타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연장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연장부를 지지하도록 조립되는 제2 받침부;
    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판은,
    상기 제1 하판과 연결되는 제1 사선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하판은,
    상기 제3 하판과 연결되는 제2 사선 접힙선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한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1020230031590A 2023-03-10 2023-03-10 포장박스 KR10259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590A KR102599438B1 (ko) 2023-03-10 2023-03-10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590A KR102599438B1 (ko) 2023-03-10 2023-03-10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438B1 true KR102599438B1 (ko) 2023-11-06

Family

ID=8874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590A KR102599438B1 (ko) 2023-03-10 2023-03-10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4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949A (en) * 1988-02-24 1989-04-18 Georgia-Pacific Corporation Locking carton bottom
JPH1179160A (ja) * 1997-09-02 1999-03-23 Sony Corp 包装容器
JP3142471U (ja) * 2008-04-04 2008-06-12 カルトンアイ株式会社 再封鎖不能なカートン
JP2009096552A (ja) * 2007-09-28 2009-05-07 Kanebo Cosmetics Inc ボトムロック式の包装箱およびそのブランク
KR20090127844A (ko) * 2009-08-07 2009-12-14 황재훈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1706502B1 (ko) * 2016-05-04 2017-03-03 주식회사 에스피씨지에프에스 접이식 포장 상자
KR20180055318A (ko) * 2016-11-17 2018-05-25 이승곤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20210002040U (ko) 2020-03-05 2021-09-15 노승연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949A (en) * 1988-02-24 1989-04-18 Georgia-Pacific Corporation Locking carton bottom
JPH1179160A (ja) * 1997-09-02 1999-03-23 Sony Corp 包装容器
JP2009096552A (ja) * 2007-09-28 2009-05-07 Kanebo Cosmetics Inc ボトムロック式の包装箱およびそのブランク
JP3142471U (ja) * 2008-04-04 2008-06-12 カルトンアイ株式会社 再封鎖不能なカートン
KR20090127844A (ko) * 2009-08-07 2009-12-14 황재훈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1706502B1 (ko) * 2016-05-04 2017-03-03 주식회사 에스피씨지에프에스 접이식 포장 상자
KR20180055318A (ko) * 2016-11-17 2018-05-25 이승곤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20210002040U (ko) 2020-03-05 2021-09-15 노승연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3340B2 (ja) 包装箱の組み立て方法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2599438B1 (ko) 포장박스
KR102651929B1 (ko) 포장박스
JP5484754B2 (ja) 緩衝機能付包装用箱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20090114555A (ko) 강도가 향상된 종이 박스
JP6410084B2 (ja) 包装箱の組立方法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100974065B1 (ko) 포장상자
KR102627225B1 (ko) 포장박스
JP2017001736A (ja) 外装兼用展示箱
JP3048955U (ja) 包装箱
KR20130109279A (ko)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210000496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JP6938358B2 (ja) 包装箱
CN210883003U (zh) 餐盘包装箱裁片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CN107856977A (zh) 护角框及包装结构
KR100317293B1 (ko) 제품용 포장박스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JP3222681U (ja) 手穴付き包装材
KR102013817B1 (ko) 팝업 페이퍼 포장 케이스
JPH0311139Y2 (ko)
JP3167738U (ja) 包装用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