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318A -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318A
KR20180055318A KR1020160153012A KR20160153012A KR20180055318A KR 20180055318 A KR20180055318 A KR 20180055318A KR 1020160153012 A KR1020160153012 A KR 1020160153012A KR 20160153012 A KR20160153012 A KR 20160153012A KR 20180055318 A KR20180055318 A KR 2018005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packing box
surface member
folde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299B1 (ko
Inventor
이승곤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이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곤 filed Critical 이승곤
Priority to KR102016015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내용물을 수용하며,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개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상자의 상부와 하부의 밀폐구조가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도 완벽하게 밀봉이 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개봉을 위해서는 상자를 파손하지 않고서는 내부의 수용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바,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Box having improved security}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내용물을 수용하며,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대한 것이다.
택배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물품등을 담아 포장, 운반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포장박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종이 즉, 골판지등으로 되어 절첩 가능한 상태로 전개된 본체를 절첩선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접어서 되는 포장용 박스라 할 것이다.
즉, 한종류의 포장박스이 경우 그 내면에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한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작은 물품이나 큰 물품의 경우
각기 다른 포장박스를 구비하여 이를 수납하여 택배 즉,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경우, 내부에 배달을 위한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포장박스를 접고, 내용물을 수용시킨 후,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로 밀봉하여 배달을 위한 택배화물로 이송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접착부재를 제거하거나, 칼로 테이프 부분의 절개선을 잘라내고 내용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탈취하고 난 이후, 다시 테이프로 마감을 하게 되면, 내용물의 분실이나 도난을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방식으로 택배 포장 박스를 배달받아 박스를 열기까지 중간과정에서는 전혀 내용물의 분실 여부를 확인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포장박스 내에 택배 화물을 수용하는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테이핑 과정이 필수인바, 이용과 시간 측면에서 여러모로 손실이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12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상자의 상부와 하부의 밀폐구조가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도 완벽하게 밀봉이 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개봉을 위해서는 상자를 파손하지 않고서는 내부의 수용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바,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구현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접어지는 구조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제1, 2, 3, 4 측면부(110, 120, 130, 140)을 구비하는 측면부재(100);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상면부재(200);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하부를 덮어 밀폐하는 하면부재(3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재(200)는, 상호 대항하여 배치되는 제1상면부재(210) 및 제2상면부재(23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상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부재(100)이 구현하는 수용공간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하는 제1몸체부(212);와 상기 제1몸체부(21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제1삽입홈(214); 상기 제1삽입홈(214)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212)를 관통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삽입홈(216)을 구비하며, 상기 제2상면부재(230)는, 상기 제1몸체부(212)의 외면에 덮는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부(232)와, 상기 제2삽입홈(214)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232)의 말단에 한 쌍으로 구현되는 내삽부(234)를 구비하며, 상기 내삽부(234)는 외주에 곡률이 구현되는 제1곡률면(234a)이 상기 제2삽입홈(216)의 직경보다 크게 구현되며, 제1곡률면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걸이부(234b)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삽부(234)의 외측 말단에서 상기 제2몸체부(232)의 내측방향으로 절취예정부(236)가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절취예정부(236)는 그 말단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인,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는, 상기 제1상면부재(210)와 상기 제2상면부재(230) 사이로 접혀 배치되는 중간결합부(220, 240)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결합부(2240, 240)은 상기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 상에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244);이 더 마련되는 구조인,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재(300)는, 상기 제1측면부(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1하면몸체(312)와 제1지지몸체(314)를 구비하는 제1하면부(310); 상기 제3측면부(13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2하면몸체(332)와 제2지지몸체(324)를 구비하는 제2하면부(330); 제2 및 제4측면부(320, 340) 각각에 배치되는 보조지지부(320, 3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면부(310)과 상기 제2하면부(330)의 상기 제1지지몸체(314)와 상기 제2지지몸체(334)가 상호 엇갈리게 결합하여 접혀져 고정되는 구조인,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상자의 상부와 하부의 밀폐구조가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도 완벽하게 밀봉이 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개봉을 위해서는 상자를 파손하지 않고서는 내부의 수용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바,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장자의 상면부재의 구조에서, 제1상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구조에서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도 1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접어지는 구조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제1, 2, 3, 4 측면부(110, 120, 130, 140)을 구비하는 측면부재(100)와,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상면부재(200),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하부를 덮어 밀폐하는 하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부재(200)는, 상호 대항하여 배치되는 제1상면부재(210) 및 제2상면부재(23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상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부재(100)이 구현하는 수용공간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하는 제1몸체부(212);와 상기 제1몸체부(21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제1삽입홈(214), 상기 제1삽입홈(214)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212)를 관통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삽입홈(216)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부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측면부(110)의 상단에서 경계선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며, 중심부에는 제1삽입홈(214)가 마련된다. 상기 제1삽입홈(2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결합부(2240, 240)은 상기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 상에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244)이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상면부재(230)는, 상기 제1몸체부(212)의 외면에 덮는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부(232)와, 상기 제2삽입홈(214)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232)의 말단에 한 쌍으로 구현되는 내삽부(234)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삽부(234)는 외주에 곡률이 구현되는 제1곡률면(234a)이 상기 제2삽입홈(216)의 직경보다 크게 구현되며, 제1곡률면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걸이부(234b)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확대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내삽부(234)는 외주면에 곡률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곡률이 끝나난 양단의 지점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구조(걸이부(234b))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삽부(234)의 최대 직경(b)은 삽입 대상구조물인 상기 제2삽입홈(216)의 직경(a)보다 크게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삽부(234)의 외주면이 곡률이 구현되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삽입홈(216)에 억지 끼움형식으로 밀어 넣는 경우, 쉽게 삽입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빠지지 않는 구조로 걸이부(234b)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일단 내삽부(234)가 제2삽입홈(216)에 끼움결합을 하게 되면, 상자를 파손시키지 않고는 입구를 열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내삽부(234)의 외측 말단에서 상기 제2몸체부(232)의 내측방향으로 절취예정부(236)가 마련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자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절취예정부(236)를 누르거나 당겨서 쉽게 상자의 상부가 절개되어 열리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상기 절취예정부(236)는 그 말단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절취예정부(236)이 절개되어야만 상자가 열리는 구조이므로, 택배 작업과정에서 절취예정부(236)가 뜯긴 경우에는 내용물의 분실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는, 상기 제1상면부재(210)와 상기 제2상면부재(230) 사이로 접혀 배치되는 중간결합부(220, 240)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결합부(240, 240)는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 상에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244)이 더 마련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중간결합부(240, 240)는 상기 제1상면부재(210)와 상기 제2상면부재(230) 사이에 접히는 경우 배치되게 되며, 상기 결합편(244)이 제1상면부재(210)의 제1삽입홈(214)에 1차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하고, 이후 상기 결합편(244)를 상기 제1삽입홈(214) 외측으로 접어 임시고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상면부재(230)가 그 위에 덮는 구조로 접히게 되며, 상기 제2상면부재(230)의 상기 기 내삽부(234)가 제2삽입홈(216)에 끼움결합하면서 본 발명인 박스의 상부 밀봉이 완성되게 된다.
이러한 중간결합부(240, 240)의 구조는, 본 발명인 포장 상자의 밀폐성을 더욱 견고히 하며, 안정적인 밀봉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인 포장상자의 상기 하면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측면부(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1하면몸체(312)와 제1지지몸체(314)를 구비하는 제1하면부(310), 상기 제3측면부(13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2하면몸체(332)와 제2지지몸체(324)를 구비하는 제2하면부(330), 제2 및 제4측면부(320, 340) 각각에 배치되는 보조지지부(320, 3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면부(310)과 상기 제2하면부(330)의 상기 제1지지몸체(314)와 상기 제2지지몸체(334)가 상호 엇갈리게 결합하여 접혀져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하면몸체(312) 및 상기 제2하면몸체(332) 말단에는 결합돌출부(312a, 332a)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출부(312a, 332a)는 상기 제3측면부(130) 및 상기 제1측면부(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h1, h2)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면부재(200) 및 하면부재(300) 모두 접착제의 사용없이, 접이식 구조로 밀봉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게 되는바, 작업의 편의성을 매우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도면에서 측면부재(100)의 일단에 결착부(S)는 측면부가 접으며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을 구현하는 경우, 측면부의 타단에 결합되거나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착부(S)는 본 실시예에서는 유일하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착부(S)의 구조도 상술한 본 발명의 내삽부(234)의 구조로 구현하여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간략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을 하는 작업상태도를 더욱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부분 밀봉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우선, 측면부재(100)의 상단에 구현되는 중간결합부(220, 240)를 박스의 내측으로 접고, 이후 제1상면부재(210)을 그 위에 접어서 밀착한다. 이후, 상기 중간결합부(220, 240)의 한 쌍의 결합편(244)을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한다.
이후, 상기 제2상면부재(230)을 상기 제1상면부재(210)의 표면에 접하도록 접으며, 상기 제2상면부재(230)에 마련되 내삽부(234)를 제2삽입홈(216)에 끼움결합하여 밀봉을 완성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인 포장상자의 밀봉전에, 우선 (a) 하면부를 접어서 상호 지지력에 의해 고정을 수행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보강판(400)을 안착시킨다. 상기 보강판(400)은 상기 보강판(400)의 외주면에 제2결합돌출부(400a)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결합돌출부(400a)가 상기 제3측면부(130)의 말단에 마련되는 제2결합홈(h3)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게 되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바닥면에 보강판이 잘 안착하게 된다.
이후,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b~c) 중간결합부(220, 240)을 내측으로 접고, 이후, 제1상면부재(210)을 그 위에 접어서 밀착한다. 이후, 상기 중간결합부(220, 240)의 한 쌍의 결합편(244)을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한다.
이후, 상기 제2상면부재(230)을 상기 제1상면부재(210)의 표면에 접하도록 접으며, 상기 제2상면부재(230)에 마련되 내삽부(234)를 제2삽입홈(216)에 끼움결합하여 밀봉을 완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장자의 상면부재(200)의 구조에서, 제1상면부재(2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상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부재(100)이 구현하는 수용공간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하는 제1몸체부(212)를 구비하며, 이에 대향하는 방향에 제2몸체부(23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몸체부(232)의 면적이 상기 제1몸체부(21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의 구조에서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도 1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구조에서, 제2측면부(120)와 제4측면부(140)에는 중간결합부(220, 240)이 각각 마련되어 접혀지는 경우, 상부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됨은 상술한 바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2의 구조에서의 하면부재의 제1하면부(310)와 제2하면부(330)이 상호 엇갈리게 겹치는 구조로 접혀서 상호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며,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하면부(310)과 상기 제2하면부(330)의 상기 제1지지몸체(314)와 상기 제2지지몸체(334)가 상호 엇갈리게 결합하여 접혀져 고정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된다. 나아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하면몸체(312) 및 상기 제2하면몸체(332) 말단에는 결합돌출부(312a, 332a)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출부(312a, 332a)는 상기 제3측면부(130) 및 상기 제1측면부(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h1, h2)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강한 결합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측면부재
110: 제1측면부 120: 제2측면부 130; 제3측면부 140: 제4측면부
200: 상면부재
210: 제1상면부재 220: 중간결합부 230: 제2상면부재 240: 중간결합부
300: 하면부재
310: 제1하면부 320: 보조지지부 330: 제2하면부 340: 보조지지부

Claims (5)

  1. 접어지는 구조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제1, 2, 3, 4 측면부(110, 120, 130, 140)을 구비하는 측면부재(100);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상면부재(200);
    접이식 구조로 상기 측면부재(110)의 하부를 덮어 밀폐하는 하면부재(3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재(200)는, 상호 대항하여 배치되는 제1상면부재(210) 및 제2상면부재(23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상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부재(100)이 구현하는 수용공간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하는 제1몸체부(212);와 상기 제1몸체부(21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제1삽입홈(214);
    상기 제1삽입홈(214)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212)를 관통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삽입홈(216)을 구비하며,
    상기 제2상면부재(230)는, 상기 제1몸체부(212)의 외면에 덮는 구조로 결합하는 제2몸체부(232)와, 상기 제2삽입홈(214)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2몸체부(232)의 말단에 한 쌍으로 구현되는 내삽부(234)를 구비하며,
    상기 내삽부(234)는 외주에 곡률이 구현되는 제1곡률면(234a)이 상기 제2삽입홈(216)의 직경보다 크게 구현되며, 제1곡률면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걸이부(234b)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234)의 외측 말단에서 상기 제2몸체부(232)의 내측방향으로 절취예정부(236)가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절취예정부(236)는 그 말단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인,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는,
    상기 제1상면부재(210)와 상기 제2상면부재(230) 사이로 접혀 배치되는 중간결합부(220, 240)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결합부(220, 240)은 상기 제2측면부(120) 및 상기 제4측면부(140) 상에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212)의 제1삽입홈(240)에 끼움구조로 결합된 후, 상기 제1삽입홈(240)의 외측으로 접혀져 임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244);이 더 마련되는 구조인,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재(300)는,
    상기 제1측면부(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1하면몸체(312)와 제1지지몸체(314)를 구비하는 제1하면부(310);
    상기 제3측면부(13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제2하면몸체(332)와 제2지지몸체(324)를 구비하는 제2하면부(330);
    제2 및 제4측면부(320, 340) 각각에 배치되는 보조지지부(320, 3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면부(310)과 상기 제2하면부(330)의 상기 제1지지몸체(314)와 상기 제2지지몸체(334)가 상호 엇갈리게 결합하여 접혀져 고정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하면몸체(312) 및 상기 제2하면몸체(332) 말단에는 결합돌출부(312a, 332a)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출부(312a, 332a)는 상기 제3측면부(130) 및 상기 제1측면부(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h1, h2)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재(300) 상에 안착되는 보강판(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40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결합돌출부(400a)는, 상기 제3측면부(130)의 말단에 마련되는 제2결합홈(h3)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20160153012A 2016-11-17 2016-11-17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198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12A KR101982299B1 (ko) 2016-11-17 2016-11-17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12A KR101982299B1 (ko) 2016-11-17 2016-11-17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18A true KR20180055318A (ko) 2018-05-25
KR101982299B1 KR101982299B1 (ko) 2019-08-30

Family

ID=6229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012A KR101982299B1 (ko) 2016-11-17 2016-11-17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2B1 (ko) * 2019-01-16 2019-04-15 고한덕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20210052842A (ko) 2019-11-01 2021-05-11 홍석관 택배용 포장박스
KR102420558B1 (ko) * 2021-04-26 2022-07-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원터치 포장박스
KR102599438B1 (ko) * 2023-03-10 2023-11-06 황국희 포장박스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6751U (ko) * 1971-12-02 1973-08-24
KR200301288Y1 (ko) 2002-06-04 2003-01-29 강순자 통닭 포장용박스
JP3142471U (ja) * 2008-04-04 2008-06-12 カルトンアイ株式会社 再封鎖不能なカートン
JP4131582B2 (ja) * 1998-04-14 2008-08-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包装箱
JP2010285179A (ja) * 2009-06-11 2010-12-24 Chuoh Pack Industry Co Ltd 不正開封防止包装箱
JP2011016535A (ja) * 2009-07-07 2011-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リップトップ型カートン
KR20110003359U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신우 포장용 상자
US20160214758A1 (en) * 2015-01-22 2016-07-2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Packaging box
KR20170134056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파크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6751U (ko) * 1971-12-02 1973-08-24
JP4131582B2 (ja) * 1998-04-14 2008-08-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包装箱
KR200301288Y1 (ko) 2002-06-04 2003-01-29 강순자 통닭 포장용박스
JP3142471U (ja) * 2008-04-04 2008-06-12 カルトンアイ株式会社 再封鎖不能なカートン
JP2010285179A (ja) * 2009-06-11 2010-12-24 Chuoh Pack Industry Co Ltd 不正開封防止包装箱
JP2011016535A (ja) * 2009-07-07 2011-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リップトップ型カートン
KR20110003359U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신우 포장용 상자
US20160214758A1 (en) * 2015-01-22 2016-07-2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Packaging box
KR20170134056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파크 포장용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2B1 (ko) * 2019-01-16 2019-04-15 고한덕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20210052842A (ko) 2019-11-01 2021-05-11 홍석관 택배용 포장박스
KR102420558B1 (ko) * 2021-04-26 2022-07-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원터치 포장박스
KR102599438B1 (ko) * 2023-03-10 2023-11-06 황국희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99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318A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1813224B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102404415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2358673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JP4422065B2 (ja) 組立式梱包体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101623971B1 (ko) 접이식 대형포장박스
KR200487074Y1 (ko) 완충형 포장 상자
JP2001278250A (ja) 梱包箱用底蓋
KR101525221B1 (ko) 포장용 상자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200488237Y1 (ko) 화장품 포장케이스의 구조
JP3182472U (ja) 厚紙製包装箱
KR102521095B1 (ko) 손잡이 일체형 박스
KR20130109279A (ko)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2502119B1 (ko) 포장박스
JPH05294380A (ja) 包装体
JPH0311139Y2 (ko)
KR100825445B1 (ko) 일체형 포장용 종이 박스
KR20230173415A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132069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2084740B1 (ko) 포장박스
KR20000021318U (ko) 피자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