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282B1 -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82B1
KR101969282B1 KR1020190005699A KR20190005699A KR101969282B1 KR 101969282 B1 KR101969282 B1 KR 101969282B1 KR 1020190005699 A KR1020190005699 A KR 1020190005699A KR 20190005699 A KR20190005699 A KR 20190005699A KR 101969282 B1 KR101969282 B1 KR 10196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s
wing
folding
fold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덕
Original Assignee
고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덕 filed Critical 고한덕
Priority to KR102019000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자서도 용이하게 테이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4면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날개; 및 상하 높이가 상기 내측날개 좌우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길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측날개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PACKING BOX AND FO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자서도 용이하게 테이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4면의 몸체부의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어 양쪽의 내측날개 및 외측날개가 형성되어, 내측날개의 위에 외측날개를 덮어서 양쪽의 외측날개의 선단변이 맞닿는 부분에 접착테이프를 붙여서 포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접착테이프를 붙일 때 양쪽의 외측날개가 위로 벌어지고 박스가 뒤틀어지는 등 포장작업이 불편하고, 다량의 박스를 포장할 때 작업시간이 많이 지체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포장된 박스를 개봉하기 위해 테이핑 된 부분을 칼로 절개할 때 접착테이프가 붙어 있는 양쪽의 외측날개의 선단변 사이를 반듯하게 절개하기가 쉽지 않고, 칼날이 박스 내부로 깊이 들어갈 경우 내용물이 손상될 수 있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619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264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술한 종래 포장 박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의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어 양쪽의 내측날개 및 외측날개가 형성되고, 외측날개의 폭이 내측날개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길고 일측의 외측날개의 선단변에 지지부가 형성된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는, 4면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날개; 및 상하 높이가 상기 내측날개 좌우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길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측날개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의 상기 외측날개의 각각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면의 외측에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면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접이선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상기 내측날개가 접힌 경우의 각각의 선단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날개의 선단변은, 상기 내측날개가 접힌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접이선에 맞닿거나 미치지 못하도록 상하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접는 방법은, 4면을 사각 기둥 형태로 접어 몸체부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내측날개를 접는 제2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외측날개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를 접어 서로 대향하고 접혀 있는 두 개의 상기 내측날개의 사이로 각각 끼우는 제3 단계;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내측날개의 선단변에 맞닿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외측날개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날개를 접는 제4 단계; 상기 지지부의 상측이 덮이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접힌 상기 외측날개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상기 외측날개를 접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접힌 상기 외측날개의 선단변을 따라 테이핑작업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포장박스가 깔끔하게 포장될 수 있고, 박스에 담긴 물건이 3중으로 포장되어 박스포장의 견고함이 배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측날개의 폭이 내측날개의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측의 외측날개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타측의 외측날개가 일부 가려진 상태에서 테이핑 작업을 하여 종래의 박스를 포장할 때 양쪽의 외측날개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접힌 부분이 양쪽의 내측날개의 선단변에 맞닿아 있어 박스의 뒤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박스포장할 때 양쪽의 내측날개의 선단변에 일측의 상기 외측날개의 지지부가 맞닿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외측날개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한 쪽의 외측날개만 누르고 선단변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붙이면 되는 바 테이핑작업이 용이하여 다량의 박스를 포장할 때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일측의 외측날개가 타측의 외측날개의 밑에 놓여있기 때문에 타측의 외측날개의 선단변에 테이핑된 박스를 개봉할 때 외측날개의 두께만큼 단차진 선단변을 따라 칼로 절개하여 개봉이 용이하고, 칼날이 박스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접착테이프가 절개되어 내부에 담긴 물건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접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a)는, 몸체부(10), 내측날개(20) 및 외측날개(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4면(10a, 10b, 10c, 10d)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면(10a, 10b, 10c, 10d)의 상측 또는 하측에 내측날개(20a, 20b, 20c, 20d) 또는 외측날개(30a, 30b, 30c, 30d)가 형성된다.
즉, 몸체부(10)의 각 면에는 상측 및 하측이 대칭되도록 내측날개(20)와 외측날개(3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는, 일측에 위치하는 면(도 1의 경우에는 10d)의 외측에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면(도 1의 경우에는 10a)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면(10e)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날개(20)는, 사각 기둥 형상을 한 몸체부(10)의 양 측면(10b, 10d)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4개(20a, 20b, 20c 및 20d)가 연장 형성된다.
외측날개(30)는, 상하 높이(a)가 내측날개(20)의 좌우 길이의 절반(d)과 같거나 길게 형성(a≥d)되며, 사각 기둥 형상을 한 몸체부(10)의 전면(10a)과 후면(10c)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4개(30a, 30b, 30c 및 30d)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10)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의 외측날개(도 1의 경우에는 30b과 30c)의 각각의 선단변(31b, 31c) 또는 몸체부(10)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외측날개(30a, 30b, 30c 또는 30d)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33b, 33c)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32b, 32c)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부(32)는, 몸체부(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외측날개(30)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1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하나의 외측날개(30)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2)가 형성되는 외측날개(30) 역시 도 1에 도시된 형성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 아니한 외측날개(즉, 30a 또는 30d)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1a)는 지지부(32)가 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2개의 외측 날개(30a, 30b) 모두에 형성되는 반면에 몸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되는 2개의 외측 날개(30c, 30d)에는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몸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되는 2개의 외측 날개(30c, 30d) 모두에 형성되는 반면에 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2개의 외측 날개(30a, 30b)에는 형성되지 않은 포장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1a)는 지지부(32)가 몸체부(10)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측날개들(30a, 30b, 30c 또는 30d)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측날개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외측날개들(30a, 30b, 30c 또는 30d) 모두에 형성된 포장박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32)는, 다른 지지부와 대향하는 변인 접이선(33b, 33c)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 되는 바, 절개 되는 다른 변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곡선형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지지부(32b, 32c)의 접이선(33b, 33c) 사이의 거리(b)는, 각 내측날개(20a, 20b, 20c, 20d)가 접힌 경우의 각 선단변(21a, 21b, 21c, 21d)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좁게 형성됨으로써, 각 지지부(32b, 32c)가 각 내측날개(20a, 20b, 20c, 20d)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포장박스(1a)는, 4면의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양쪽의 내측날개(20) 및 외측날개(30)와, 외측날개(30)의 상하 높이(a)가 내측날개의 좌우 길이의 절반(d)과 같거나 길게 형성(a≥d)되고, 일측의 외측날개(30)의 선단변(31)에 일측이 접이선(33)으로 형성되어 절개되는 지지부(32)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포장박스(1a)는, 도 2 이하에서 설명하는 포장박스 접는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면 또는 날개들이 접혀 박스 형태의 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내부 공간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접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접는 방법은, 먼저 4면(10a, 10b, 10c, 10d)을 사각 기둥 형태로 접어 몸체부(10)를 형성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한다(S110).
이때, 몸체부(10)는, 일측에 위치하는 면(도 1의 경우에는 10d)의 외측에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면(도 1의 경우에는 10a)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면(10e)을 형성할 수 있는데, 결합면(10e)을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면(10a)에 체결함으로써, 사각 기둥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의해 사각 기둥 형상이 만들어 지면, 몸체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내측날개(20a, 20b)를 접는 제2 단계를 수행한다(S120).
상술한 단계 S120에서 내측날개(20a, 20b)의 접기가 완료되면, 몸체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의 외측날개(30b)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32b)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접어 서로 대향하고 접혀 있는 두 개의 내측날개(20a, 20b)의 사이로 각각 끼우는 제3 단계를 수행한다(S130).
각 지지부(32b)가 지지부(32b)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내측날개(20a, 20b)의 선단변(21a, 21b)에 맞닿아 마찰력에 의해 외측날개(30b)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날개(30b)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는 제4 단계를 수행한다(S140).
지지부(32b)의 상측이 덮이고 제4 단계에서 접힌 외측날개(30b)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지지부(32b)가 형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외측날개(30a)를 접는 제5 단계를 수행한다(S150). 단계 S150에서 외측날개(30b)의 지지부(32b)와 동일한 지지부가 외측날개(30a)에도 형성되고 외측날개(30)의 상하 높이(a)가 내측날개의 좌우 길이의 절반(d)과 같게 형성(a=d)된 경우에는, 나머지 외측날개(30a)도 외측날개(30b)를 접는 단계 S120 내지 S140에 대응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단계 S150에서 외측날개(30a)까지 접기가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단계(S150)에서 접힌 외측날개(30a)의 선단변(31a)을 따라 접착테이프(40)를 부착하는 테이핑작업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수행한다(S160).
도 6은 상술한 단계 S110 내지 S160에 의하여 포장박스(1a)를 접은 후 지지부(32b)가 끼워진 박스를 뒤집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양쪽의 내측날개(20a, 20b)의 사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부(32b)가 끼워지면, 내측날개(20a, 20b)의 선단변(21a, 21b)에 맞닿아 지지부(32b)가 비스듬히 벌어지고, 포장박스(1a)에 물건을 담으면 지지부(32b)가 물건에 눌려져 양쪽의 내측날개(20a, 20b)의 위에 놓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박스에 담긴 물건에 의하여 3중(즉, 내측날개(20), 외측날개(30) 및 지지부(32))으로 포장되어 포장박스(1a)의 견고함이 배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날개(30)의 상하 높이폭(a)가 내측날개(20)의 좌우 길이(d)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측의 외측날개(30)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부(32)를 타측의 외측날개(30)가 가리고 테이핑 작업을 하여 종래의 박스를 포장할 때 양쪽의 외측날개(30)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부(32)의 접힌 부분이 양쪽의 내측날개(20)의 선단변(21)에 맞닿아 있어 박스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박스포장할 때 양쪽의 내측날개(20)의 선단변(21)에 외측날개(30)의 지지부(32)가 맞닿아 마찰력에 의해 외측날개(30)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한 쪽의 외측날개(30)만 누르고 선단변(31)을 따라 접착테이프(40)를 붙여서 혼자서도 테이핑작업이 용이하여 다량의 박스를 포장할 때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외측날개(30b)가 타측의 외측날개(30a)의 밑에 놓여있기 때문에 타측의 외측날개(30a)의 선단변(31a)에 테이핑된 박스를 개봉할 때 외측날개(30a)의 두께만큼 단차진 선단변(31a)을 따라 칼로 절개하여 개봉이 용이하고, 칼날이 박스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접착테이프(40)가 절개되어 내부에 담긴 물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b)는, 몸체부(10), 내측날개(20') 및 외측날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0) 및 외측날개(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내측날개(20')의 선단변(21'a)은, 도 1의 내측날개(20)의 선단변(21)의 상하 높이가 다른 외측날개(30)의 선단변(31)의 상하 높이(a)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내측날개(20')가 접힌 경우 지지부(32)의 접이선(33)에 맞닿거나 미치지 못하도록 상하 높이(c)가 형성된다.
이는 박스의 가로, 세로의 길이가 정사각형의 형태에 가까워질수록 양쪽의 내측날개(20)를 접었을 때 일측의 외측날개(30)의 선단변(31)에 형성된 지지부(32)를 양쪽의 내측날개(20)의 선단변(21) 사이로 끼워 넣을 공간이 없거나 좁기 때문에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a, 1b: 포장박스
10: 몸체부
20, 20': 내측날개
21: 선단변
30: 외측날개
31: 선단변
32: 지지부
40: 접착 테이프

Claims (6)

  1. 4면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날개; 및
    상하 높이가 상기 내측날개 좌우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길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측날개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접이선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상기 내측날개가 접힌 경우의 각각의 선단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좁게 형성되는,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의 상기 외측날개의 각각의 선단변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일측이 접이선으로 형성되고 다른 변들이 절개되는 두 개의 지지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포장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면의 외측에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면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면을 형성하는, 포장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날개의 선단변은,
    상기 내측날개가 접힌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접이선에 맞닿거나 미치지 못하도록 상하 높이가 형성되는, 포장박스.
  6. 4면을 사각 기둥 형태로 접어 몸체부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내측날개를 접는 제2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외측날개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를 접어 서로 대향하고 접혀 있는 두 개의 상기 내측날개의 사이로 각각 끼우는 제3 단계;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내측날개의 선단변에 맞닿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외측날개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날개를 접는 제4 단계;
    상기 지지부의 상측이 덮이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접힌 상기 외측날개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상기 외측날개를 접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접힌 상기 외측날개의 선단변을 따라 테이핑작업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1020190005699A 2019-01-16 2019-01-16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10196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99A KR101969282B1 (ko) 2019-01-16 2019-01-16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99A KR101969282B1 (ko) 2019-01-16 2019-01-16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82B1 true KR101969282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99A KR101969282B1 (ko) 2019-01-16 2019-01-16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2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50U (ko) * 1998-09-11 2000-04-15 김승무 통풍공이 형성된 포장용 상자체
JP2006168732A (ja) * 2004-12-10 2006-06-29 The Pack Corp 開封機能付き包装箱
KR100763139B1 (ko) * 2006-08-01 2007-10-12 정다은 제품포장박스의 테이핑 안내구조
KR20160132647A (ko) 2015-05-11 2016-11-21 김성창 포장박스
KR101686195B1 (ko) 2015-03-05 2016-12-16 국일판지 주식회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의 전개도
JP2017081633A (ja) * 2015-10-30 2017-05-18 東亜紙巧業株式会社 包装箱
KR20180055318A (ko) * 2016-11-17 2018-05-25 이승곤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50U (ko) * 1998-09-11 2000-04-15 김승무 통풍공이 형성된 포장용 상자체
JP2006168732A (ja) * 2004-12-10 2006-06-29 The Pack Corp 開封機能付き包装箱
KR100763139B1 (ko) * 2006-08-01 2007-10-12 정다은 제품포장박스의 테이핑 안내구조
KR101686195B1 (ko) 2015-03-05 2016-12-16 국일판지 주식회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의 전개도
KR20160132647A (ko) 2015-05-11 2016-11-21 김성창 포장박스
JP2017081633A (ja) * 2015-10-30 2017-05-18 東亜紙巧業株式会社 包装箱
KR20180055318A (ko) * 2016-11-17 2018-05-25 이승곤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733B2 (en) Buffer material
KR101969282B1 (ko)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JP2014148309A (ja) 梱包箱
JP6530229B2 (ja) テープの折り返し機構
JP2021046222A (ja) 梱包用段ボールシートおよび梱包方法
JP2021041962A (ja) 包装箱
JP6988338B2 (ja) 自立性薄型直方体カートン
JP6972861B2 (ja) 自立性薄型直方体カートン
JP3222681U (ja) 手穴付き包装材
US4095915A (en) Canvas corner mount
JP7036611B2 (ja) 梱包具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JP6797609B2 (ja) 包装体
US1487050A (en) Display device
JP7443961B2 (ja) ブランクシート
JP6858570B2 (ja) 箱体、包装箱及び包装箱の製造方法
JP2019151344A (ja) トレー及び包装箱
JP2008265773A (ja) ダンボール箱
JP2019031317A (ja) 包装箱
JP6972862B2 (ja) 自立性薄型直方体カートン
JP2023017139A (ja) 背面板および吊り下げ具
KR20170027204A (ko) 접착테이프
JP2013091510A (ja) 包装容器
JP6845552B2 (ja)
JP2000126007A (ja) 商品陳列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