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647A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647A
KR20160132647A KR1020150065453A KR20150065453A KR20160132647A KR 20160132647 A KR20160132647 A KR 20160132647A KR 1020150065453 A KR1020150065453 A KR 1020150065453A KR 20150065453 A KR20150065453 A KR 20150065453A KR 20160132647 A KR20160132647 A KR 2016013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ing
packaging box
handl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창
Original Assignee
김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창 filed Critical 김성창
Priority to KR102015006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647A/ko
Publication of KR2016013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삽입 및 인출이 간편하며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제품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이 위치될 수 있는 저면부(110)가 형성되고 제품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는 전후면부(120,130) 및 제품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부(140)에 각각 조립수단을 연장형성하여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한 하부박스(100)와,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 및 일부 외측면을 커버하면서 끼움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수단이 연장형성된 상부박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박스(100)의 상측으로 상부박스(200)를 씌워 조립수단에 의해 간단히 끼움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삽입 및 인출이 간편하며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나 대형 전자제품 등을 포장할 경우, 조립완료된 제품에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 출하시 적재나 운반중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제품의 외부표면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박스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포장박스(10)는 제품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11) 및 후면부(13)와, 제품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부(12)와, 상기 전후면부(11)(13)를 접어 사각기둥 형상으로 만든 후 전면부(11)와 측면부(12)의 이웃된 단부를 결합시키는 접합부(19)와, 포장박스(10)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는 상부날개(16) 및 하부날개(17)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포장박스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포장박스(10)는 먼저 전면부(11)와 측면부(12), 그리고 후면부(13)를 접어 사각기둥 형상으로 만든 다음, 접합부(19)를 이웃된 측면부(12)의 모서리와 결합한다. 그 다음에 하부날개(17)를 접어 테이프(15)로 결합한다.
그 다음, 포장박스(10)의 상측으로부터 제품을 삽입한 후 포장박스(10) 내면과 제품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 스티로폼 등의 완충재를 삽입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고, 마지막으로 상부날개(16)를 접어 테이프(15)로 결합한 후 포장완료된 제품을 출하하거나 창고로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박스(10)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조립완료된 제품을 포장박스(10)의 내측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을 포장박스(10)의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포장박스(10) 전체를 일정각도 만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다. 특히,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인 경우에는 포장 작업이 매우 힘들어지게 되며, 소비자가 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포장박스(10)를 해체할 때 칼이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테이프(15)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장박스(10)를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 운반하기가 불편하고, 포장박스에 오프셋 인쇄를 할 때, 포장박스의 크기가 클 경우 포장박스의 사이즈가 인쇄기의 사이즈를 벗어나 인쇄작업이 어려우며, 포장박스를 해체할 경우 포장박스(10)에 부착된 테이프(15)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바 있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716호 '냉장고용 포장상자'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반용 손잡이공(3)이 형성된 포장상자(1)에 운반용 손잡이공(3)의 내측 상부에 절단용 테이프(5)를 부착하되, 상기 절단용 테이프(5)의 일단부(7)는 포장상자(1)의 일측면에 형성된 테이프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포장상자(1)를 해체할 경우 테이프공을 통해 노출된 절단용 테이프(5)의 일단부(7)를 잡아 당기면 절단용 테이프(5)를 따라 포장상자(1)의 중앙부분이 절결되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716호에 개시된 냉장고용 포장상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내측에 수납된 제품을 인출하기 위해서 포장상자(1)를 해체할 경우 손가락으로 상기 일단부(7)를 잡아 당겨야 하므로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다칠 우려가 있고, 포장상자(1)에 오프셋 인쇄를 할 때 포장상자(1)의 크기가 클 경우 인쇄작업이 어려우며, 조립완료된 제품을 포장상자(1) 내에 삽입시키기 위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을 상기 포장상자(1)의 상측까지 들어올리거나 포장상자(1) 전체를 일정각도 만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716호 "냉장고용 포장상자"(공개일자 : 1986.02.1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품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하고, 운반이 간편하며, 인쇄작업이 간편하고, 포장박스의 재활용시 포장박스의 해체가 용이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포장재에 형성된 절곡선을 따라 포장재를 접어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조립완료된 제품을 삽입하여 포장하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제품이 안착되는 사각형상의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전후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와, 이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전면부 날개 및 제1후면부 날개와, 상기 저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측면부날개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하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저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하부박스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게 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상면부날개와, 상기 상면부의 전후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2전면부 및 제2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 및 제2후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2전면부 날개 및 제2후면부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박스와 대응하여 결합하는 상부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박스의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의 양측단부 각각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측면부날개의 양측 단부에는 측면부날개가 접혀졌을 때 상기 각 고정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후면부 날개에는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박스의 제2후면부 날개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1후면부날개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각각 한쌍의 결합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박스와 상부박스는 제 1후면부와 제 2후면부가 연접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 및 결합편의 결합에 의해 상호 조립되며, 상기 제1전면부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끼움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제2전면부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을 포장할 경우, 제품을 하부박스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상부박스를 씌운 후 간단하게 접어 포장작업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작업이 간편하다.
둘째, 대형 포장박스의 인쇄작업시에도 포장박스가 인쇄기의 사이즈를 벗어나지 않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오프셋 인쇄가 가능하다.
셋째, 사용자가 제품을 인출하거나 포장박스를 재활용하기 위해 포장박스를 해체하기가 용이하다.
넷째, 별도의 손잡이가 있어 운반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조립상태도,
도 3은 종래 포장박스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로서, 본 발명은 상부박스(200)와 하부박스(100)로 구성되어 하부박스(100)의 내측에 조립완료된 제품을 위치시킨 후 하부박스(100)와 상부박스(200)를 접어 조립된다.
하부박스(100)의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저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저면부(110)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로 제1전면부(120)와 제1후면부(130)가 절곡선(50)에 의해 접을 수 있게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면부(13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1후면부(130)의 높이(H)와 동일한 높이로 제1후면부 날개(13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전면부(120)의 양측면에도 제1후면부(130)의 높이(H)와 동일한 높이로 제1전면부 날개(122)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전면부(120) 및 제1후면부(130)의 양측단부에는 고정홈(125,13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면부 날개(132)에는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결합홈(133)이 형성되고, 제1전면부(120)의 중앙에는 손잡이(228)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고정구멍(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면부(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저면부(110)의 폭(W)과 동일한 폭으로 측면부(140)가 연장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측면부(140)의 높이(Ha)는 상기 제1후면부(130)의 높이(H)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측면부(140)에도 상기 저면부(110)의 폭(W)과 동일한 폭으로 측면부날개(142)가 연장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부날개(142)의 높이(Hb)는 상기 측면부(140)의 높이(Ha) 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되며, 측면부날개(142)의 양측면 단부에는 각각 고정돌기(145)가 측면으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45)는 상기 제1전면부(120) 및 제1후면부(130)상에 형성된 고정홈(125,13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날개(142)의 높이(Hb)는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상기 측면부(140)의 높이(Ha)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은 포장박스의 구조상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상기 측면부날개(142)가 더 길게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홈(125,135)의 형성위치도 상기 고정돌기(145)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부박스(200)의 중앙에는 상기 저면부(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제품의 상면을 커버하는 사각형상의 상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10)의 양 측면에는 상면부날개(212)가 각각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0)와 상면부날개(212)의 경계면에는 상기 상면부날개(212)를 접기 용이하도록 절곡선(50)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210)의 전방으로는 상기 저면부(110)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로 제2전면부(220)가 연장형성되고, 후방으로도 상기 저면부(110)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로 제2후면부(230)가 연장형성되어 각각 절곡선(50)에 의해 접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면부(220) 및 제2후면부(230)의 양 측면으로는 절곡선(50)에 의해 접힐 수 있는 제2전면부 날개(222)와 제2후면부 날개(232)가 각각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전면부(220)의 중앙에는 손잡이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후면부 날개(232)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33)에 끼워지는 한쌍의 결합편(233)이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장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과정을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하부박스(100)의 저면부(110)상에 조립완료된 제품을 위치시키고 절곡선(50)을 따라 제1후면부(130)와 제1전면부(120)를 수직상방으로 접어 올린 후, 상기 제1후면부(130) 및 제1전면부(120)에 연장형성된 제1후면부 날개(132)와 제1전면부 날개(122)를 내측으로 수직되게 접는다.
그리고, 상기 제1후면부(130)의 외면에 상부박스(200)의 제2후면부(230) 내면을 면접시키면서 제2후면부 날개(232)를 수직으로 접어 결합편(233)을 상기 제1후면부 날개(132)상에 형성된 결합홈(133)에 삽입시킨다.
그 후에, 양 측면부(140)를 수직되게 상측으로 접어올리면 상기 결합편(233)이 결합홈(133)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140)의 내면과 상기 제1후면부 날개(132) 및 제1전면부 날개(122)의 외면이 면접된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측면부(140)의 측면부날개(142)를 제1후면부 날개(132) 및 제1전면부 날개(122)의 내측으로 포개지도록 접어 내려 상기 측면부날개(142)의 양측단부에 돌설된 고정돌기(145)를 상기 제1후면부(130) 및 제1전면부(120)에 형성된 고정홈(125,135)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45)가 고정홈(125,135)에 고정됨으로써 제1전면부(120) 및 제1후면부(130), 그리고 양 측면부(140)가 모두 수직상방으로 조립된 상태가 되어 상부만이 개구된 상태의 하부박스(10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후면부 날개(232)가 측면부(140)와 측면부날개(14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결합편(233)이 결합홈(133)에 삽입됨으로써 상부박스(200)의 제2후면부(230)는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박스(100)와 그 내측에 위치된 제품과의 사이에는 일정간격 만큼 여유공간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출하 혹은 운반중에 발생될 수 있는 유동 및 외부충격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등과 같은 완충수단(미도시됨)이 삽입된다.
완충수단을 삽입한 다음, 상부박스(200)의 상면부(210) 및 상면부날개(212)를 접어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은 후, 제2전면부(220)를 하측으로 접어내려 제2전면부 날개(222)를 상기 제1전면부(120)의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접혀진 제1전면부날개(122)와 측면부(140)의 틈새로 끼워넣어 제2전면부(220)가 상기 하부박스(100)의 제1전면부(120) 외측을 커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전면부날개(222)는 상기 제1전면부날개(122)와 측면부(140)의 틈새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또는 상기 모서리부분을 일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전면부(120)의 손잡이 고정구멍(124)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228)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전면부(220)를 제1전면부(120)의 전면으로 접어 내린다.
그후, 제2전면부(220)상에 형성된 손잡이홈(224)을 통해 외측으로 손잡이(228)를 빼내어 돌출시키면 상기 제2전면부(220)가 접힌상태로 고정지지되어 상부박스(200)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부박스(200)와 하부박스(100)의 조립에 의한 제품의 포장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 상태도로서, 포장완료된 제품의 운반시에는 손잡이(228)를 이용해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한 경우에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상태의 포장박스를 해체하여 제품을 인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먼저 제2전면부(220)의 손잡이홈(224) 내측으로 손잡이(228)를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제2전면부(220)의 하단부를 잡아 상측으로 접어올린 후 상면부(210)를 개방시키고 그대로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결합편(223)이 결합홈(133)으로 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제2후면부 날개(232)가 측면부(14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부박스(200)가 완전히 해체된다.
그런 후에, 제품과 포장박스의 사이에 충진시킨 완충수단을 빼낸 후 측면부날개(142)의 고정돌기(145)를 고정홈(125,135)으로부터 이탈시켜 측면부(140)를 해체하게 되면 하부박스(100)가 완전히 분해되어 제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100 : 하부박스 110 : 저면부
120 : 제1전면부 125,135 : 고정홈
130 : 제1후면부 133 : 결합홈
140 : 측면부 145 : 고정돌기
200 : 상부박스 210 : 상면부
220 : 제2전면부 224 : 손잡이홈
230 : 제2후면부

Claims (1)

  1. 포장재에 형성된 절곡선을 따라 포장재를 접어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조립완료된 제품을 삽입하여 포장하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제품이 안착되는 사각형상의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전후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와, 이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전면부 날개 및 제1후면부 날개와, 상기 저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측면부날개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하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저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하부박스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게 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상면부날개와, 상기 상면부의 전후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2전면부 및 제2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 및 제2후면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2전면부 날개 및 제2후면부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박스와 대응하여 결합하는 상부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박스의 제1전면부 및 제1후면부의 양측단부 각각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측면부날개의 양측 단부에는 측면부날개가 접혀졌을 때 상기 각 고정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후면부 날개에는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박스의 제2후면부 날개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1후면부날개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각각 한쌍의 결합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박스와 상부박스는 제 1후면부와 제 2후면부가 연접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 및 결합편의 결합에 의해 상호 조립되며,
    상기 제1전면부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끼움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제2전면부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1020150065453A 2015-05-11 2015-05-11 포장박스 KR20160132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3A KR20160132647A (ko) 2015-05-11 2015-05-11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3A KR20160132647A (ko) 2015-05-11 2015-05-11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47A true KR20160132647A (ko) 2016-11-21

Family

ID=5753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53A KR20160132647A (ko) 2015-05-11 2015-05-11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6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2B1 (ko) 2019-01-16 2019-04-15 고한덕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102072332B1 (ko) 2019-07-04 2020-01-31 김경범 포장박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716호 "냉장고용 포장상자"(공개일자 : 1986.02.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2B1 (ko) 2019-01-16 2019-04-15 고한덕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접는 방법
KR102072332B1 (ko) 2019-07-04 2020-01-31 김경범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20160132647A (ko) 포장박스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JP6033166B2 (ja) 包装ケース
JP2008155990A (ja) 包装箱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100317293B1 (ko) 제품용 포장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CN110282217B (zh) 一种电风扇的绿色缓冲包装体
JP6035283B2 (ja) 梱包箱
JP5352293B2 (ja) 包装箱
JP5349902B2 (ja) 緩衝機能付包装箱
JP4847113B2 (ja) 組立て紙箱
JP2014234211A (ja) 遊技機関連部材収容ボックス
KR200443133Y1 (ko) 포장박스
CN212125822U (zh) 包装盒件及3d包装盒
JP3182826U (ja) 包装箱
KR200491502Y1 (ko)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JP5799307B2 (ja) 遊技機関連部材収容ボックス
KR20090058071A (ko) 덮개가 구비된 포장상자
JP6857020B2 (ja) 物品収容体
KR101782522B1 (ko) 포장박스용 칸막이
JP6744699B2 (ja) 包装箱
KR200334611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