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02Y1 -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02Y1
KR200491502Y1 KR2020180003500U KR20180003500U KR200491502Y1 KR 200491502 Y1 KR200491502 Y1 KR 200491502Y1 KR 2020180003500 U KR2020180003500 U KR 2020180003500U KR 20180003500 U KR20180003500 U KR 20180003500U KR 200491502 Y1 KR200491502 Y1 KR 200491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wer plate
plate
side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04U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신원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원인팩 filed Critical (주)신원인팩
Priority to KR202018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0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04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as an extension of the en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제1하판,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제1하판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판으로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하판과 상기 접착판이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는 상기 제1하판, 상기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접착판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세트와 끼움결합으로 포장용 상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판부; 사각형 형상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부의 제1하판과 상기 제2하판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측면을 형성하며, 조립으로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측판부;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대응되는 다른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일부 측판부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인해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제품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상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에어캡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 자체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제품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THE PACKING BOX WHERE THE PRODUCT FIXATION IS POSSIBLE}
본 고안은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캡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 자체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제품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시킬 수 있는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유통되는 묶음에 따라 일정량의 묶음으로 포장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낱개 포장되어 운송 및 판매되며 최근에는 제품 자체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포장지 디자인도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양과 형태의 디자인이 개발되어오고 있다.
한편, 유리병이나 사기그릇과 같이 충격에 취약한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은 운송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감이 있는 골판지나 스티로폼 또는 에어캡과 같은 완충재로 제품외면을 감싸거나 포장박스 안에 삽입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스티로폼이나 에어캡의 남용으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제품의 포장부피가 커져 제품의 운송량이 줄어들어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96855호(발명의 명칭: 포장용 상자, 등록일자: 2017년 11월 06일)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212호(고안의 명칭: 진열 포장용 상자, 등록일자: 2004년 09월 06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에어캡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 자체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제품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시킬 수 있는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는, 제1하판,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제1하판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판으로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하판과 상기 접착판이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는 상기 제1하판, 상기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접착판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세트와 끼움결합으로 포장용 상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판부; 사각형 형상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부의 제1하판과 상기 제2하판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측면을 형성하여 조립으로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측판부;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립시 연결되는 끝에 배치되는 상기 측판부에 대응되는 다른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일부 측판부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는 상기 제품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상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제1하판과 상기 제1하판과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기 접착판과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한 삽입리브가 형성되는 덮개와, 한 쌍으로, 상기 덮개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품고정판과 상기 제품고정판과 사이에 제품삽입구가 형성되는 날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품삽입구와 인접한 상기 날개의 일단부는 상기 제품삽입구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품삽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품고정판의 일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한 쌍의 날개가 조립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상판부의 삽입리브가 삽입되면서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덮개와 상기 삽입리브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에 상기 한 쌍의 날개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이 상기 절취부분의 결합으로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의 양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리브와 측판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에어캡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 자체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제품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품의 파손을 위한 스티로폼이나 에어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포장 부피가 그마만큼 줄어들어 제품의 운송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상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상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110), 측판부(120), 접착부(130), 상판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100)는 장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거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찢어지지 않거나 구겨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에 다양한 색상, 무늬 등을 표현하여 사용자 및 구매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하판부(110)는 제1하판(111), 제2하판(112) 그리고 제1하판(111)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판(113)으로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제2하판(112)과 접착판(113)이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는 제1하판(111), 제2하판(112) 그리고 접착판(113)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세트와 끼움결합으로 포장용 상자(100)의 하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판부(110)는 제2하판(112)과 접착판(113)이 접착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된 상태에서 제1하판(111)을 동일한 다른 하나의 세트인 제1하판에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한다.
하판부(120)의 제1하판(111)과 제1하판(111)과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착판(113)과 사이에 홈(114)이 형성된다.
홈(114)은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되는 하판부(110)의 구성요소들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조립시 수용되는 제품(10)의 무게로 인해 끼움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판부(110)의 홈(114) 크기는 하판부(110)의 단면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홈(114)이 형성되는 일부분에 제품의 무게에 의해 끼움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찢어지거나 구겨지는 등의 훼손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판부(120)는 사각형 형상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하판부(110)의 제1하판(111)과 제2하판(112)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측면을 형성하며, 조립으로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측판부(120)는 도면을 기준으로 4개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측판부(120)의 조립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10)의 크기에 따라 형성된다.
접착부(130)는 복수개의 측판부(120) 중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124)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124)에 대응되는 다른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121)에 접착된다.
접착부(130)는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측판부(120) 중 왼쪽에 배치되는 측판부(124)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립시 오른쪽에 배치되는 측판부(121)의 안쪽면에 접착된다.
접착부(130)의 폭은 측판부(12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접착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충분히 접착이 가능하다.
상판부(140)는 복수개의 측판부(120) 중 일부 측판부(120)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인해 측판부(120)의 수용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제품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킨다.
상판부(140)는 덮개(141), 날개(142)로 구성된다.
덮개(141)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리브(141a)가 형성된다.
덮개(141)는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측판부(120) 중 오른쪽 끝에 배치된 측판부(121)의 바로 옆에 배치된 측판부(122)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덮개(141)의 크기는 조립시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날개(142)는 한 쌍으로, 덮개(141)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품고정판(142a)이 형성되되, 제품고정판(142a)과 사이에 제품삽입구(142b)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의 날개(142) 중 어느 한 개의 날개는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측판부(120) 중 오른쪽에 배치된 측판부(121)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한 개의 날개는 덮개(141)가 형성되는 측판부(122)의 바로 왼쪽에 배치되는 측판부(123)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142)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10)의 상단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에도 지지상태가 유지되어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제품(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날개(14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품삽입구(142b)와 인접한 날개(142)의 일단부는 제품삽입구(142b)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제품삽입구(142b)와 인접한 제품고정판(142a)의 일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날개(142)만으로 스티로폼이나 에어캡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이나 에어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판부(140)의 한 쌍의 날개(142)가 조립되면서 측판부(120)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판부(140)의 삽입리브(141a)가 삽입되면서 측판부(120)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덮개(141)와 삽입리브(141a)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141b)에 한 쌍의 날개(142)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142c)의 결합으로 측판부(120)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
삽입리브(141a)의 절취부분(141b)과 날개(142)의 삽입단(142c)으로 인해 결합관계가 더욱 향상되므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품(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40')의 다른 일 실시예로, 덮개(141)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141a)의 양측면에 끼움돌기(141a', 141a")가 형성되어 조립시 삽입리브(141a)와 측판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삽입리브(141a)의 절취부분(141b)과 날개(142)의 삽입단(142c)의 결합으로 인해 결합관계가 더욱 향상되는 것과 같이, 삽입리브(141a)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41a', 141a")로 인해 역시 결합관계를 더욱 더 향상시킨다.
삽입리브(141a)의 절취부분(141b)과 날개(142)의 삽입단(142c) 그리고 삽입리브(141a)의 끼움돌기(141a', 141a") 중에서 어느 하나가 찢어지거나 구겨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되어도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110 : 하판부
111 : 제1하판
112 : 제2하판
113 : 접착판
114 : 홈
120 : 측판부
121 : 수용공간
130 : 접착부
140 : 상판부
141 : 덮개
141a : 삽입리브
141a', 141a' : 끼움돌기
141b : 절취부분
142 : 날개
142a : 제품고정판
142b : 제품삽입구
142c : 삽입단
10 : 제품

Claims (6)

  1. 제1하판,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제1하판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판으로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하판과 상기 접착판이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는 상기 제1하판, 상기 제2하판 그리고 상기 접착판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세트와 끼움결합으로 포장용 상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판부;
    사각형 형상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부의 제1하판과 상기 제2하판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포장용 상자의 측면을 형성하여 조립으로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측판부;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립시 연결되는 끝에 배치되는 상기 측판부에 대응되는 다른 끝에 배치되는 측판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복수개의 측판부 중 일부 측판부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는 상기 제품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상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한 삽입리브가 형성되는 덮개와,
    한 쌍으로, 상기 덮개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품고정판과 상기 제품고정판과 사이에 제품삽입구가 형성되는 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품삽입구와 인접한 상기 날개의 일단부는 상기 제품삽입구 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품삽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품고정판의 일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되,
    상기 하판부의 제1하판과 상기 제1하판과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기 접착판과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한 쌍의 날개가 조립되면서 상기 측판부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상판부의 삽입리브가 삽입되면서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덮개와 상기 삽입리브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에 상기 한 쌍의 날개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결합으로 상기 측판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의 양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리브와 측판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20180003500U 2018-07-27 2018-07-27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0491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00U KR200491502Y1 (ko) 2018-07-27 2018-07-27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00U KR200491502Y1 (ko) 2018-07-27 2018-07-27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04U KR20200000304U (ko) 2020-02-05
KR200491502Y1 true KR200491502Y1 (ko) 2020-04-17

Family

ID=6949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500U KR200491502Y1 (ko) 2018-07-27 2018-07-27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0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064A (ja) 2002-06-04 2004-01-15 Toshio Shimizu 筒状容器用箱
JP2012025440A (ja) 2010-07-23 2012-02-09 Toppan Printing Co Ltd 中仕切付き外装箱
WO2012128253A1 (ja) * 2011-03-23 2012-09-27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用箱
JP2013209114A (ja)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JP2014210606A (ja) 2013-04-19 2014-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包装箱および換気扇
KR200477098Y1 (ko) * 2013-12-11 2015-05-06 (주) 신원인팩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JP2018104078A (ja) *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36Y1 (ko) * 2007-11-26 2010-05-03 팅크웨어(주) 포장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064A (ja) 2002-06-04 2004-01-15 Toshio Shimizu 筒状容器用箱
JP2012025440A (ja) 2010-07-23 2012-02-09 Toppan Printing Co Ltd 中仕切付き外装箱
WO2012128253A1 (ja) * 2011-03-23 2012-09-27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用箱
JP2013209114A (ja)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JP2014210606A (ja) 2013-04-19 2014-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包装箱および換気扇
KR200477098Y1 (ko) * 2013-12-11 2015-05-06 (주) 신원인팩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JP2018104078A (ja) *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04U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0069A (en) Unique prewrapped box structure and unique method of making same
US3397771A (en) Container
CA2031373C (en) Plastics material, reusable recyclable carton
KR100930367B1 (ko) 포장박스
KR101752371B1 (ko) 포장박스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0491502Y1 (ko) 제품 고정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840006316A (ko) 상품포장용 괘정구
KR102152413B1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KR101378543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US5285901A (en) Shock-proof packing and displaying box
JPH10211926A (ja) 割物商品保持用内箱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JPH11208726A (ja) 衝撃吸収包装体
JP2019517436A (ja) 一体型プラットホーム及び折りたたみ式カートントレイ
KR101447279B1 (ko) 삼단 포장 상자
KR101394632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102425211B1 (ko) 포장상자
KR200426301Y1 (ko) 포장박스
KR200334611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KR200259202Y1 (ko) 상품 비닐 포장용 속판지 구조
KR200290894Y1 (ko) 란 포장용 커버
KR200488237Y1 (ko) 화장품 포장케이스의 구조
KR200188239Y1 (ko) 골판지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기
KR200362212Y1 (ko) 진열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