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611Y1 - 포장박스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611Y1
KR200334611Y1 KR20-2003-0023627U KR20030023627U KR200334611Y1 KR 200334611 Y1 KR200334611 Y1 KR 200334611Y1 KR 20030023627 U KR20030023627 U KR 20030023627U KR 200334611 Y1 KR200334611 Y1 KR 200334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 line
plates
cushioning material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Abstract

포장박스용 완충재를 개시한다. 개시된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저판과, 저판의 4면과 연결되는 4개의 측판을 포함하고, 대향하는 어느 2개의 측판 양측에 삽입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삽입판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삽입편이 이웃하는 측판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며, 삽입편의 체결홈이 삽입부의 일단과 결속되어 측판들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삽입편을 측판의 삽입부에 끼우고, 체결홈과 삽입부를 결속하여 견고한 측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완충재{SHOCK ABSORBER FOR A PACKING CASE}
본 고안은 포장박스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 없이 조립이 가능한 포장박스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포장박스에는 그 안에 저장되는 내용물, 한 예로 에어컨 실외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컨 실외기와 포장박스 사이의 공간에 완충재를 삽입한다.
포장박스에 사용되는 종래의 완충재의 2가지 유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장박스 내부의 각 꼭지점에 완충재를 배치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완충재는 3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포장박스 내부 4개소의 모서리에 완충재를 배치하는 방식도 있다. 이러한 완충재는 2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완충재의 재료로는 통상적으로 발포 스틸렌 수지의 상표명인 스티로폴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포장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스티로폴로 제작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이 커지고 사용 후에도 재활용을 하기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환경 보호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이러한 스티로폴 완충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스티로폴 완충재의 형상으로 제작된 금형과 사출기계가 필요하므로 장비구입에 따른 비용이 상당하다.
본 고안은 포장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종래의 스티로폴 재질로 제작되는 완충재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가 작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측판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저판 121, 221:제 1 측판
122, 222:제 2 측판 123, 223:제 3 측판
124, 224:제 4 측판 126, 226:삽입편
127, 227:삽입홀, 삽입선 128, 228:체결홈
231, 232, 233, 234:제1 내지 제4 측면 보강판
241, 242, 243, 244:제1 내지 제4 저면 보강판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저판과, 저판의 4면에 세워 배치된 4개의 측판을 포함한다. 대향하는 어느 2개의 측판의 각 양측에 삽입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삽입판의 측면에는 삽입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삽입편에 대응하여 나머지 2개의 측판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편의 하단에는 삽입부의 일단에 결속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삽입부에 삽입편이 끼워짐으로 해서 4개의 측판이 저판 둘레에 벽을 형성하며, 삽입편이 삽입부에 끼워질 때 삽입부의 일단과 체결홈이 상호 결속되어 완충재의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완충재를 보강하기 위하여 각 측판의 상단에 접이선을 매개로 한 측면 보강판이 연결될 수 있다. 측면 보강판은 접이선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혀져서, 각측판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각 측면 보강판의 하단에 저면 보강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저면 보강판은 저판의 밑면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다.
각 측판의 외측면에 측면 보강판이 부착되고, 또한 저판의 밑면에 저면 보강판이 밀착됨으로써, 완충재의 측면 강도가 대폭 강화되어, 스티로폴 재질의 완충재를 충분히 대신할 수가 있게 된다.
삽입편이 삽입되는 삽입부는 측판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삽입편에 대응하도록 측판을 L자형 또는 원호와 같은 곡선형으로 절개하고, 절개에 의해 형성된 삽입선에 삽입편을 통과시켜 2개의 측판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편에 대응하도록 측판의 일부를 L자형으로 천공하고, 천공에 의해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편을 삽입하여 2개의 측판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부의 일단에 대응하여 삽입편의 하단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체결홈이 삽입편의 일단에 결속되어 측판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측판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100)는 직사각형의 저판(110), 높이가 낮은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121,122,123,124)이 저판(110)의 네 측면에 접이선(151)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 1 및 제 3 측판(121,123)의 양측면에 직사각형의 삽입판(125)이 접이선(154)을 매개로 연결된다. 삽입판(125)의 측면에는 삽입편(126)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편(126)은 삽입판(125)의 측면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삽입편(126)의 하단 단부는 원호를 이룬다. 삽입판(125)과 연결되는 부위의 삽입편(126)의 하단에는 체결홈(128)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2개의 측판이 세워져 접할 때 삽입편(126)과 만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제2 및 제4 측판(122,124)에는 삽입홀(127), 즉 삽입부가 형성된다. 삽입홀(127)은 제2 및 제4 측판(122,124)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삽입홀(127)은 전체적으로는 L자 형상을 가지며, 자세하게는 삽입홀(127)은 인접한 측판들(121,122,123,124)의 경계와 평행한 두 변을 갖는 L자형의 상측 경계 및 상측 경계를 향하는 볼록한 곡선형의 하측 경계에 의해서 제공된다. 곡선형의 하측 경계는 삽입편이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며, L자형의 상측 경계는 하측 경계와 이격되어 삽입편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및 제4 측판(122, 124)에 L형상의 삽입홀(127)이 서로 마주보면 형성되며, 삽입편(126) 하단 단부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홀(127)도 원호 형상의 내면을 가져 삽입편(126)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삽입판(125)이 제 2 및 제 4 측판(122,124)의 외측면에 밀착되고,삽입편(126)이 삽입홀(127)을 통해 제 2 및 제 4 측판(122,124)의 내측면으로 진입하여 2개의 측판이 1차적으로 결속된다.
또한, 삽입편(126)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128)이 삽입홀(127)의 일단에 결속됨으로써 2개의 측판이 2차적으로 결속된다. 체결홈(128) 및 삽입홀(127)이 상호 결속되어 견고한 완충재(100)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체결홈(128)의 깊이는 삽입홀(127)의 일단이 접이선(151)으로부터 이격된 길이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골판지 등의 종이 또는 기타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종이 또는 판재가 쉽게 절곡되고 적절한 회복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이선들(151,154)은 그 주위의 저판(110), 측판(121,122,123,124) 및 삽입판(125)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절곡되는 두 판을 연결하는 접이선의 바깥 부분이 프레싱, 반칼 절개 등에 의해서 만입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의 전개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200)는 직사각형의 저판(210), 높이가 낮은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판(221,222,223,224)이 저판(210)의 네 측면에 접이선(251)을 매개로 연결된다.
폭이 짧은 2개의 제 1 및 제 3 측판(221,223)의 양측면에 직사각형의 삽입판(225)이 접이선(254)을 매개로 연결된다. 삽입판(225)의 측면에는 삽입편(226)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편(226)은 삽입판(225)의 측면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삽입편(226)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삽입판(225)과 연결되는 부위에 인접하게 삽입편(226)의 하단에는 체결홈(228)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2개의 측판이 세워져 접할 때 삽입편(226)과 만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제2 및 제4 측판(222,124)에는 삽입선(227), 즉 삽입부가 형성된다. 삽입선(227)은 제2 및 제4 측판(222,124)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삽입선(227)은 전체적으로는 L자 형상을 가지며, 제2 및 제4 측판(222, 224)에 2개의 L형상의 삽입선(227)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삽입판(225)이 제 2 및 제 4 측판(222,224)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삽입편(226)이 삽입선(227)을 통해 제 2 및 제 4 측판(222,224)의 내측면으로 진입하여 2개의 측판이 1차적으로 결속된다.
또한, 삽입편(226)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228)이 삽입선(227)의 일단에 결속됨으로써 2개의 측판이 2차적으로 결속된다. 체결홈(228) 및 삽입선(227)이 상호 결속되어 견고한 완충재(200)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체결홈(228)의 깊이는 삽입선(227)의 일단이 접이선(251)으로부터 이격된 길이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된 완충재(200)의 측면 강도 보강을 위해, 4개의 제 1 내지 제 4 측면 보강판(231,232,233,234)이 각 측판(221,222,223,224)의 외측면에 접이선(252)을매개로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측면 보강판(231,233)은 제 1 및 제 3 측판(221,223) 길이와 동일해도 무방하지만, 삽입판(225)의 삽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제 2 및 제 4 측면 보강판(232,234)은 제 2 및 제 4 측판(222,224)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삽입판(225)이 제2 및 제4 측판(222,224)의 내측으로 밀착되고, 삽입편(226)이 삽입선(227)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2 및 제 4 측면 보강판(232,234)은 제 2 및 제 4 측판(222,224)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각 측면 보강판(231,232,233,234)은 접이선(252)을 따라 외측으로 접혀져서, 각 측판(221,222,223,224)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저판(210)의 강도 보강을 위해, 4개의 제 1 내지 제 4 저면 보강판(241,242,243,244)이 각 측면 보강판(231,232,233,234)에 접이선(253)을 매개로 연결된다. 각 저면 보강판(241,242,243,244)은 접이선(253)을 따라 접혀져서, 저판(210)의 밑면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도 4에는 제4 측판(224), 제4 측면 보강판(234) 및 제4 저면 보강판(244)을 접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각 측판(221,222,223,224)을 접이선(251)을 따라 접어 저판(210)에 수직하게 세우고, 삽입판(225)을 접이선(254)을 따라 접은 후, 삽입편(226)을 삽입부(227)에 각각 끼워 1차적으로 측판들을 결속한다. 이때 삽입편(226)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228)을 삽입선(227)의 하단과 결속하여 2차적으로 측판들을 결속한다. 따라서, 각 측판(221,222,223,224)이 저판(210)의 네 측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견고히 유지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는, 4개의 측면 보강판(231,232,233,234)과 저면 보강판(241,242,243,244) 모두가 측판(221,222,223,224)과 같이 세워진 상태가 될 것이지만, 조립 방식을 확연히 나타낼 수 있도록, 도 4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측면 보강판(231,232,233)과 저면 보강판(241,242,243)은 미리 조립되고 제 4 측면 보강판(234)과 저면 보강판(244)만을 세워진 상태로 도시된다. 각 측면 보강판(231,232,233,234)과 저면 보강판(241,242,243,244)의 조립 방식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4 측면 보강판(234)과 저면 보강판(244)을 조립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선(252)을 따라 접으면, 제 4 측면 보강판(234)이 제 4 측판(224)의 외측면에 맞대어지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제 4 측면 보강판(234)을 제 4 측면(224)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부착한다.
그런 다음, 제 4 저면 보강판(244)을 접이선(253)을 따라 접어서 저판(210)의 밑면에 맞댄 후, 동일하게 접착제를 이용해서 부착하면, 도 4 및 도 5와 같은 형상이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측판(221,222,223,224)은 측면 보강판(231,232,233,234)에 의해 2겹이 되어 강도가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저판(210) 전체는 아니지만, 저판(210)의 밑면 가장자리를 따라 저면 보강판(241,242,243,244)이 부착되므로, 저판(210)의 강도도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종래의 스티로폴 재질의 완충재를 대신하여 전자제품이나 에어컨 실외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완충 효과를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삽입편의 체결홈과 삽입부가 상호 결속되어 측판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측판의 외측면에 측면 보강판이 부착되므로, 완충재의 측면 강도가 대폭 강화된다. 또한, 저판의 밑면 가장자리에 저면 보강판이 부착되므로, 완충재의 저면 강도도 역시 대폭 강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는 기존의 스티로폴 재질의 완충재를 대신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스티로폴 재질이 안고 있는 최대 문제점인 재활용 여부가 본 고안에 의해 완벽하게 해소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재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저판; 및
    상기 저판의 네 측면에서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 4개의 측판을 구비하며,
    상기 측판들 중 대향하는 어느 2개의 측판 양측면에 각각 삽입판이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각 삽입판에 삽입편이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도록 나머지 측판들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삽입편을 수용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결속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포장박스용 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각 측판의 외측면에 부착된 4개의 측면 보강판; 및
    상기 각 측면 보강판의 하단으로부터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저판의 밑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4개의 저면 보강판을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측판이 L자형으로 절개된 삽입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 측판이 L자형으로 천공된 삽입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측판의 경계와 평행한 L자형의 상측 경계 및 상기 상측 경계를 향하여 볼록한 곡선형의 하측 경계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선들은 그 주위의 상기 저판, 상기 측판 및 상기 삽입판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선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접이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만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재.
KR20-2003-0023627U 2003-01-28 2003-07-22 포장박스용 완충재 KR2003346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57 2003-01-28
KR20030002657 2003-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611Y1 true KR200334611Y1 (ko) 2003-11-28

Family

ID=4942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627U KR200334611Y1 (ko) 2003-01-28 2003-07-22 포장박스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6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922A (zh) * 2020-06-03 2020-09-04 浙江理工大学 一种八边形镂空展示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922A (zh) * 2020-06-03 2020-09-04 浙江理工大学 一种八边形镂空展示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5268B2 (ja) 電子機器の梱包箱
KR200334611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2003026244A (ja) 段ボール製緩衝材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200271865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5349902B2 (ja) 緩衝機能付包装箱
JP3223951B2 (ja) 電子機器の包装容器
CN215437335U (zh) 一种台式电脑主机及配件的瓦楞纸包装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CN216612375U (zh) 一种具有抗冲击结构的纸箱
JPH10316129A (ja) パッキングコンテナー
KR200204650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2002179057A (ja) 包装箱
JPH11292059A (ja) 瓶収納箱の組立式内装具
KR200307478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2001199478A (ja) 梱包用緩衝材
JP4353732B2 (ja) 包装用緩衝装置
JP4176419B2 (ja) 緩衝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JP2003267342A (ja) 梱包箱
JPH06298243A (ja) 包装用底板
KR200232794Y1 (ko) 클립을 이용한 골판지 상자
KR200251057Y1 (ko) 포장용 박스
JP2002037343A (ja) クッション材
KR20150001474U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200426296Y1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