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474U -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474U
KR20150001474U KR20130008282U KR20130008282U KR20150001474U KR 20150001474 U KR20150001474 U KR 20150001474U KR 20130008282 U KR20130008282 U KR 20130008282U KR 20130008282 U KR20130008282 U KR 20130008282U KR 20150001474 U KR20150001474 U KR 201500014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ide wall
wing
open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161Y1 (ko
Inventor
노승연
Original Assignee
노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연 filed Critical 노승연
Priority to KR2020130008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6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5Separate or attached st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8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double or multipl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 모서리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박스 날개를 구비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일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와; 측면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의 타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날개는 상기 제1 측벽부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를 이용하여 박스의 각 측면과 개구부측 테두리를 강화하여 박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Packing box reinforced the around edge}
본 고안은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박스의 개구부측 테두리를 강화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Box)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여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물품이 수납된 상태로 포장용 박스를 다단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는 일반적으로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피포장물을 종이 재질의 포장용 박스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상자의 개구부측 테두리의 경우 피포장물에 부딪쳐 상기 박스의 테두리가 파손되어 박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폐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포장용 박스를 다단 적재하는 경우에도 테두리부가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다단 적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479호인 '수납박스 결합용 모서리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수납박스'를 제안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수납박스 결합용 모서리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수납박스(2)는 박스체(10), 수납박스 결합용 모서리프레임(20), 단부보조프레임(30) 및 상부코너프레임(40)을 구비하여 모서리부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견고한 박스체의 형상을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20, 30, 40)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는바,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스의 개구부측 테두리를 강화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박스 뿐만 아니라 테두리를 강화하는 재질 또한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환경 오염이 적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폐기 처분 및 재활용이 용이한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사출형 테두리와는 달리 종이 재질을 이용하는바, 박스의 개구부측 테두리의 강도를 보강하는 테두리 강화 결합구조를 통해 박스와 테두리 강화 결합구조 간의 결합을 공고하게 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 모서리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박스 날개를 구비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일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와; 측면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의 타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날개는 상기 제1 측벽부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의 일 영역을 가압도록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이 상기 박스의 내부 측면에 맞닿아 고정되게 하는 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공은 상기 박스 날개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된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게 한 쌍의 측면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는 박스의 개구부측 테두리를 강화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를 구비하여 박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는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포장용 박스의 테두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원가가 절감되며,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다. 더불어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테두리를 강화한 포장용 박스와는 달리 환경 오염이 적고, 폐기 처분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한 쌍의 측면 날개를 구비하여 측벽부 간에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납박스 결합용 모서리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수납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1 측벽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1 측벽부가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2 측벽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2 측벽부가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는 환경을 위하여 종이 재질, 예컨데 재활용 용지를 이용한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9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는 박스(100), 한 쌍의 제1 측벽부(200), 한 쌍의 제2 측벽부(300), 및 밑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는, 박스(100)의 내부 일측면에 제1 측벽부(200) 및 제2 측벽부(200)가 맞닿게 삽입되어 설치된 후, 밑판(400)이 제1 측벽부(200)와 제2 측벽부(300) 각각의 일 영역을 가압하여 고정되게 박스(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박스(100)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1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개구부(110)측 모서리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박스 날개(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는(10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스 날개(120)에는 제1 측벽부(200) 또는 제2 측벽부(300)가 감싸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측벽부(200) 또는 제2 측벽부(300) 각각의 일측은 박스 날개(120)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밑판(400)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박스(1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측벽부(200) 또는 제2 측벽부(300) 각각은 박스(100)의 내부 측면과 맞닿도록 공고히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의 제1 측벽부(200)를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골판지를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측벽부(200)는 제1 베이스(210), 제1 베이스(21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201)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박스 모서리 안착부(220), 제1 모서리 안착부(22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202)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230), 제1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23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203)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240) 및 제1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24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204)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00)의 제1 측벽부(200)가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측벽부(200)의 제1 베이스(210)는 박스(100)의 내측 일면에 맞닿게 삽입된다(a). 그리고, 절곡선(201)을 기준으로 제1 박스 모서리 안착부(220)는 박스(100)의 개구부측 일측 모서리에 맞닿게 절곡된다(b). 그리고, 절곡선(202)을 기준으로 제1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230)는 박스 날개(120)의 일측면(121)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절곡된다(c). 그리고, 절곡선(203)을 기준으로 제1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240)는 박스 날개(120)의 모서리면(122)에 맞닿게 절곡되고, 절곡선(204)을 기준으로 제1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250)는 박스 날개(120)의 타측면(123)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절곡된다(d).
따라서, 제1 측벽부(100)는 박스(100)의 내측 일면에 맞닿게 삽입됨과 동시에 박스(100)의 개구부측 일측 모서리와 하나의 박스 날개(12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230), 제1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240) 및 제1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250)에 의하여 결합공(26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박스 날개(120)에 의하여 결합공(260)은 제1 결합공(261)과 제2 결합공(262)로 구분되게 된다.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2 측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의 제2 측벽부가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골판지를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측벽부(300)는 제2 베이스(310), 제2 베이스(31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301)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박스 모서리 안착부(320), 제2 모서리 안착부(32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302)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330), 제2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33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303)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340) 및 제2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34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304)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300)의 제2 베이스(310)는 박스(100)의 내측 일면에 맞닿게 삽입된다(a). 그리고, 절곡선(301)을 기준으로 제2 박스 모서리 안착부(320)는 박스(100)의 개구부측 일측 모서리에 맞닿게 절곡된다(b). 그리고, 절곡선(302)을 기준으로 제2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330)는 박스 날개(120)의 일측면(121)에 맞닿게 절곡된다(c). 그리고, 절곡선(303)을 기준으로 제2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340)는 박스 날개(120)의 모서리면(122)에 맞닿게 절곡되고, 절곡선(304)을 기준으로 제2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350)는 박스 날개(120)의 타측면(123)에 맞닿게 절곡된다(d).
한편, 제2 측벽부(300)는 측면 날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날개는(36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공(26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측면 날개(360)는 제1 측면 날개(361)와 제2 측면 날개(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날개(3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330)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선(305)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 날개(361)는 절곡선(305)을 기준으로 절곡된 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00)의 제1 결합공(261)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제1 측벽부(200)와 제2 측벽부(300)의 결합을 공고하게 한다.
제2 측면 날개(3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350)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선(306)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면 날개(362)는 절곡선(306)을 기준으로 절곡된 후, 도 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00)의 제2 결합공(262)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제1 측벽부(200)와 제2 측벽부(300)의 결합을 더욱 공고하게 한다.
한편, 제 2 측벽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11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선(307)을 경계로 일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 지지 날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지지 날개(370)는 절곡선(307)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박스(100)의 내측면과 제1 측벽부(200) 사이에 설치되게 삽입된다.
따라서, 밑판(400)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1 측벽부(200)와 박스(100)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제1 측벽부(200)와 제2 측벽부(300)의 결합을 더욱 공고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의 제 2 측벽부(300)는 측벽 지지 날개(370)를 구비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벽부(200)에 측벽 지지 날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합해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예에 따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1)는 상기 측벽부(200, 300)를 이용하여 박스(100)의 각 측면과 개구부(110)측 테두리를 강화하면서도, 박스(100), 제1 측벽부(200), 제2 측벽부(300) 및 밑판(400)의 상호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1 측벽부(200)와 제2 측벽부(300)가 박스(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100 : 박스 110 : 개구부
120 : 박스 날개 200 : 제1 측벽부
210 : 제1 베이스 220 : 제1 모서리 안착부
230 : 제1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 240 : 제1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
250 : 제1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 300 : 제2 측벽부
310 : 제2 베이스 320 : 제2 모서리 안착부
330 : 제2 박스 날개 외측 고정부 340 : 제2 박스 날개 모서리 안착부
350 : 제2 박스 날개 내측 고정부 360 : 측면 날개
370 : 측벽 지지 날개 400 : 밑판

Claims (3)

  1.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 모서리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박스 날개를 구비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일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와;
    측면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의 타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 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날개는 상기 제1 측벽부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의 일 영역을 가압도록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각각이 상기 박스의 내부 측면에 맞닿아 고정되게 하는 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박스 날개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된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게 한 쌍의 측면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2020130008282U 2013-10-08 2013-10-08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20047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82U KR200477161Y1 (ko) 2013-10-08 2013-10-08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82U KR200477161Y1 (ko) 2013-10-08 2013-10-08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74U true KR20150001474U (ko) 2015-04-16
KR200477161Y1 KR200477161Y1 (ko) 2015-05-13

Family

ID=5303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82U KR200477161Y1 (ko) 2013-10-08 2013-10-08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460A (zh) * 2020-04-07 2020-07-17 合肥市裕同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具有抗压防褶皱的包装盒及包装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6322Y2 (ko) * 1976-02-14 1980-08-27
JPH04115116U (ja) * 1991-03-29 1992-10-12 富士包装紙器株式会社 木箱感覚を出せる紙箱
KR20100012951U (ko) * 2009-06-22 2010-12-30 (주)지앤티비 물류용 상자
KR101050392B1 (ko) * 2009-12-24 2011-07-19 (주)은성프린터스 크림 케익 수납용 종이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460A (zh) * 2020-04-07 2020-07-17 合肥市裕同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具有抗压防褶皱的包装盒及包装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61Y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5268B2 (ja) 電子機器の梱包箱
KR20180100081A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MX2012003283A (es) Marco de refuerzo para una caja o una tarima de transporte.
JP6135423B2 (ja) トレイ型の包装箱
KR20210008765A (ko)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200393366Y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102152413B1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JP2008100709A (ja) 簡易組立箱
JP4863724B2 (ja) パレット用梱包箱及び梱包箱付きパレット
KR20090114555A (ko) 강도가 향상된 종이 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101476636B1 (ko)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KR200486876Y1 (ko) 포장용 박스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KR200443133Y1 (ko) 포장박스
JP2010208661A (ja) 梱包ケース
KR101351634B1 (ko) 반도체 웨이퍼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26296Y1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