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29U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29U
KR20160001629U KR2020140008139U KR20140008139U KR20160001629U KR 20160001629 U KR20160001629 U KR 20160001629U KR 2020140008139 U KR2020140008139 U KR 2020140008139U KR 20140008139 U KR20140008139 U KR 20140008139U KR 20160001629 U KR20160001629 U KR 201600016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ase plate
base
packaging box
inn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234Y1 (ko
Inventor
차민경
권수현
Original Assignee
차민경
권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경, 권수현 filed Critical 차민경
Priority to KR2020140008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3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16Cards, coupons or the like formed integrally with, or printed directly on, the container or lid
    • B65D5/4229Cards, coupons or the like formed integrally with, or printed directly on, the container or li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 B65D5/002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the corner posts being formed as a prolongation of a doubled-over extension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07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inwardly protruding of folded part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용 박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는, 베이스 박스; 베이스 박스를 덮도록 베이스 박스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 및 베이스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를 포함하고, 내부 포장박스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베이스판에 단턱을 마련하는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단턱 마련부에는 베이스판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에 삽입된 후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어 복수의 단턱 마련부는 베이스판에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되는 제품을 안정하고 고급스럽게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가전제품, 농수산물, 보석류 등 각종 물품은 보관과 이송을 위하여 포장박스로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대개 골판지로 구성되고 또는 일부가 수지재로 구성되어 지고 있으나 원가절감, 가벼운 특징, 사용의 편리성, 재사용등의 기능에 따라 골판지를 이용한 박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포장박스는 공지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 판재 또는 골판지를 전개도로 절단하여 구성하며, 이때 몸체를 이루는 정배면과, 좌우측면의 몸체판과, 몸체판에서 절곡되는 뚜껑날개를 상하로 각각 구성된다.
이러한 전개도 상에서 몸체판을 접어 사각 몸체로 형성시켜 연결부를 스테이플로 고정 체결함으로서 사각관체로 구성되고, 상하부의 날개를 내측으로 접어 바닥면을 구성한 상태에서 박스 내에 물품은 넣은 후 상부 뚜껑을 접어 밀폐한다.
그리고 뚜껑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한편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뚜껑의 양날개가 접속하는 단면부에 접착테이프로 부착시켜 이송 중 뚜껑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장용 박스의 형태는 상품을 수납할 수 있는 하부박스와, 하부박스의 상부로 덮어지며 하부박스에 결합 되는 상부박스로 구성되는 것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단순히 상부박스를 하부박스에서 이탈시켜 포장을 개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큰 인식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단순히 상,하 박스를 이탈시켜 개봉하는 단순 개봉방법을 이용하고 있어 좀더 특별하고 차별화된 개봉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047207호(권세호) 2011. 11. 28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된 인식을 주고 다양한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 및 상기 베이스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단턱을 마련하는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에 삽입된 후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 중 서로 대향 되는 한 쌍의 단턱 마련부의 양측부에는 돌출판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단턱 마련부 외의 단턱 마련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 및 상기 베이스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단턱을 마련하며 돌출판이 구비된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 사이에는 상기 돌출판을 덮어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홀딩 단턱마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팔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에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단턱 형성부는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에는 보강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에는 파지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박스, 상기 커버 박스 및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베이스 박스와 커버 박스의 사이에 내부 포장박스를 마련하고, 내부 포장박스에 제품을 보관하므로 커버 박스를 열었을 때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된 인식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턱마련부에 의해 단턱이 마련되므로 보관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복수의 단턱마련부를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판에 결합할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채용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강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단턱 마련부를 홀딩 단턱마련부로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채용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강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이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는, 베이스 박스(100)와, 베이스 박스(100)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박스(100)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200)와, 베이스 박스(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300)를 구비한다.
베이스 박스(100)와 커버 박스(200)는, 베이스 박스(100)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내부 포장박스(300)에 보관된 제품을 좀더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박스(100)와 커버 박스(200)와 내부 포장박스(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종이나 연성 플락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 포장박스(300)는, 제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본 실시 예에서 내부 포장박스(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과, 베이스판(31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베이스판(310)에 단턱을 마련하는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를 구비한다.
내부 포장박스(300)의 베이스판(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가장자리에는 걸림 지지홀(311)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포장박스(300)의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의 가장자리에 연장 마련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에 단턱을 마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는 편평한 종이를 복수의 단으로 접어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에 마련된 걸림 돌기(321)는 베이스판(310)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311)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이 중 베이스판(310)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는 단턱 마련부(320)의 양측부에는 돌출판(322)이 마련된다.
이 돌출판(322)은 도 3을 기준으로 베이스판(310)의 좌우 측에 마련되는 단턱 마련부(320)를 베이스판(310)에 고정 시 좌우측 단턱 마련부(320)의 내부로 삽입 되어 각각의 단턱 마련부(320)를 서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323)이 마련되고, 이 파지홈(3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 마련부(320)에 장홀을 마련한 후 걸림 돌기(321)를 걸림 지지홀(311)에 삽입 결합시키면 접혀지는 단턱 마련부(320)에 영역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채용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강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단턱 마련부를 홀딩 단턱마련부로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포장박스(300a)는 베이스판(310a)과, 베이스판(310a)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베이스판(310a)에 단턱을 마련하며 돌출판(322a)이 구비된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a)와,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a) 사이에 마련되며 돌출판(322a)을 덮어 복수의 단턱 마련부(320a)를 베이스판(310a)에 고정시키는 홀딩 단턱마련부(330)를 구비한다.
베이스판(31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네 모서리에는 걸림 지지홀(311a)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턱 마련부(32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a)의 네 모서리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a)에 단턱을 마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 마련부(320a)의 양측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판(322a)이 마련되고, 이 돌출판(322a)은 높이와 형상을 다르게 해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단턱 마련부(320a)와 수직되게 돌출판(322a)이 마련될 수 있고, 전개된 단턱 마련부(320a)와 경사지게 돌출판(322a)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중 수직되게 마련되는 돌출판(322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 마련부(320a) 사이의 앞뒤 공간을 막는 역할을 하고, 경사지게 마련되는 돌출판(322a)은 단턱 마련부(320a) 사이의 상부 공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돌출판(322a)은 베이스판(310a)에 결합 된 홀딩 단턱마련부(330)가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단턱 마련부(320a)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파지홈(323a)이 마련된다.
홀딩 단턱마련부(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 마련부(320a)를 베이스판(310a)에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 홀딩 단턱마련부(330)에는 걸림 돌기(331)가 마련되고, 이 걸림 돌기(331)는, 도 5에 도시된 걸림 지지홀(311a)에 걸림 결합 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베이스판(310a)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311a)에 걸림 결합 되어 베이스판(310a)을 보강하는 보강판(34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판(3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 마련된 고정돌기(341)가 베이스판(310a)의 걸림 지지홀(311a)에 삽입되어 베이스판(310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채용된 내부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강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포장박스(1b)는, 미관상의 이점을 위해 베이스판(310)에 접하는 단턱 마련부(320b)를 경사지게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단턱 마련부(320b)를 구성하는 종이를 전술한 제1 실시예 보다 1단이 더 적은 4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마련하고, 도 10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마련되는 걸림 지지홀(311)과 걸림 돌기(321b)를 1개가 아닌 2개씩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판(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강판(340b)을 더 마련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판(340b)에는 베이스판(310)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311)에 삽입된 후 걸림 지지 되는 고정돌기(341b)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베이스 박스와 커버 박스의 사이에 내부 포장박스를 마련하고, 내부 포장박스에 제품을 보관하므로 커버 박스를 열었을 때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된 인식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턱마련부에 의해 단턱이 마련되므로 보관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복수의 단턱마련부를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판에 결합할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1b : 포장용 박스
100 : 베이스 박스 200 : 커버 박스
300,300a,300b : 내부 포장박스 310,310a,: 베이스판
311,311a : 걸림 지지홀 320,320a,320b : 단턱 마련부
321, 321b,331 : 걸림 돌기 322,322a : 돌출판
323,323a : 파지홈 330 : 홀딩 단턱마련부
340,340b : 보강판 341,341b : 고정돌기

Claims (8)

  1.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 및
    상기 베이스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단턱을 마련하는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된 걸림 지지홀에 삽입된 후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 중 서로 대향 되는 한 쌍의 단턱 마련부의 양측부에는 돌출판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단턱 마련부 외의 단턱 마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 되는 커버 박스; 및
    상기 베이스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품이 보관되는 내부 포장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단턱을 마련하며 돌출판이 구비된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 사이에는 상기 돌출판을 덮어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홀딩 단턱마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팔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 접하는 영역의 상기 복수의 단턱 형성부는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보강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턱 마련부에는 파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박스, 상기 커버 박스 및 상기 내부 포장박스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2020140008139U 2014-11-07 2014-11-07 포장용 박스 KR200485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39U KR200485234Y1 (ko) 2014-11-07 2014-11-07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39U KR200485234Y1 (ko) 2014-11-07 2014-11-07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29U true KR20160001629U (ko) 2016-05-17
KR200485234Y1 KR200485234Y1 (ko) 2018-01-18

Family

ID=560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39U KR200485234Y1 (ko) 2014-11-07 2014-11-07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3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484U (ko) * 1976-02-28 1977-09-01
JPS5485123U (ko) * 1977-11-25 1979-06-16
JPS5873716U (ja) * 1981-11-10 1983-05-18 ア−ト段紙器株式会社 包装箱
JPS60101415U (ja) * 1983-12-19 1985-07-10 株式会社 雅 多角形紙容器
KR20110012742A (ko) * 2009-07-31 2011-02-09 세종산업주식회사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EP1534596B1 (en) * 2002-04-17 2012-09-12 Initiatives and Innovations Pty Ltd Pizza box with removable portions used as reward toke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484U (ko) * 1976-02-28 1977-09-01
JPS5485123U (ko) * 1977-11-25 1979-06-16
JPS5873716U (ja) * 1981-11-10 1983-05-18 ア−ト段紙器株式会社 包装箱
JPS60101415U (ja) * 1983-12-19 1985-07-10 株式会社 雅 多角形紙容器
EP1534596B1 (en) * 2002-04-17 2012-09-12 Initiatives and Innovations Pty Ltd Pizza box with removable portions used as reward tokens
KR20110012742A (ko) * 2009-07-31 2011-02-09 세종산업주식회사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047207호(권세호) 2011. 11. 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34Y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2522049A (en) Carton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20130206784A1 (en)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cavities
KR200481085Y1 (ko) 내부 지지대를 구비한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US2796979A (en) Dish package and carton therefor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US8387856B1 (en) Packaging box with hinged panel
KR200485234Y1 (ko) 포장용 박스
KR200479311Y1 (ko) 상품 포장 용기
KR200482559Y1 (ko) 복합 상품수납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102101853B1 (ko) 절첩식 포장상자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200485808Y1 (ko)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0473371Y1 (ko) 상품 포장 박스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200462914Y1 (ko) 포장용 상자
KR200476650Y1 (ko) 포장상자용 베이스
JP5946266B2 (ja) 包装体
KR200481084Y1 (ko)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KR102431858B1 (ko)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