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11Y1 - 상품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상품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11Y1
KR200479311Y1 KR2020130008768U KR20130008768U KR200479311Y1 KR 200479311 Y1 KR200479311 Y1 KR 200479311Y1 KR 2020130008768 U KR2020130008768 U KR 2020130008768U KR 20130008768 U KR20130008768 U KR 20130008768U KR 200479311 Y1 KR200479311 Y1 KR 200479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ont member
present
rear memb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98U (ko
Inventor
윤태경
조경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30008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1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07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attached to the plane surface of a single card
    • B65D73/0021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attached to the plane surface of a single card by means of cut-out or marginal tabs, tongue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품을 수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상기 전면부재에 부착되며 절취선을 통하여 제거 가능한 절취부를 포함하는 후면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절취부의 폭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수납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상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포장 용기{Packing Container for Products}
본 고안은 상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수납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상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품 포장 용기는 상품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유통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근에는 도 1과 같은 블리스터 포장(Blister Packaging)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상품 포장 용기(1)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20)를 가열 성형해 움푹 들어간 공간(25)을 만들어 그 공간(25) 안에 물품을 넣고, 플라스틱 시트(20)의 뒷면에 별도의 판지(30)를 부착하여 밀폐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개봉이 다소 어려우며, 플라스틱을 대량으로 사용하므로,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친환경적인 상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면 개봉 부위를 개선하여 상품 도난 방지 기능 및 유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품을 수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상기 전면부재에 부착되며 절취선을 통하여 제거 가능한 절취부를 포함하는 후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취부의 폭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전면부재 또는 후면부재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와 상기 후면부재는 종이 재질이고, 상기 수납부재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선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와 상기 후면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재와 상기 후면부재의 연결 부위가 접힌 상태로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절취부에 부착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취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전면부재에서 개구부를 형성하며 절단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친환경적인 상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후면 개봉 부위를 개선하여 상품 도난 방지 및 유통 시 개봉 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여도 제품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상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와 절취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10)는 전면부재(100), 수납부재(200) 및 후면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재(100)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부(210)가 통과되기 위한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면부재(100)의 외측면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상품명, 제조원, 상품에 관한 설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재(10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재(200)는 상품을 수납하는 수용부(210) 및 테두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0)는 상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면부재(100)와의 결합 시 전면부재(100)의 개구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는 수용부(2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230)는 수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230)는 수납부재(200)의 고정을 위하여, 전면부재(100) 또는 후면부재(300)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수납부재(200)는 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테두리부(230)의 폭은 최소화될 수 있다.
후면부재(300)는 수납부재(200)가 설치된 전면부재(10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조사는 전면부재(100)에 설치된 수납부재(200)에 상품을 수납한 뒤, 후면부재(300)를 부착함으로써 상품 포장 용기(10)의 밀폐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후면부재(300)에는 절취선(3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취선(320)을 통해 제거 가능한 부분인 절취부(31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후면부재(300)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면부재(100)와 동일하게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재(200)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는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의 연결 부위(C)가 접힌 상태로 도 3과 같은 형태로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를 각각 제조할 필요없이, 하나의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간혹, 유통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절취부 부분이 제품으로 인해 뜯어짐으로써, 이로 인해 제품이 포장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매대에 진열된 상품 포장 용기에서 절취부를 뜯어낸 뒤, 용기 내부에 수납된 상품을 도난하는 경우 역시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통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와 절취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가 겹쳐진 상태에서 개구부(110)와 절취부(310)를 도시하였고, 도 7은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구부(110)와 절취부(310)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포장 용기(10)는 보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400)는 후면부재(300)의 내측면에서 절취부(3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400)는 전면부재(100)를 바라보는 후면부재(300)의 내측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유통 과정에서 절취부(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자가 수납된 상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절취부(310)만을 뜯어내는 것 보다 더 많은 힘을 들여야 하므로,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보강부(400)는 전면부재(100)에서 개구부(110)를 형성하며 절단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재(100)와 보강부(400)는 하나의 판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부(400)는 전면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400)는 개구부(1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강부(400)의 크기는 절취부(310)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400)의 폭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절취부(310)의 폭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400)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 없이, 전면부재(100)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으며, 일체의 판 에서 형성되는 부분이기에 디자인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후면부재(300)의 절취선(320)은 전면부재(100)에 형성된 개구부(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310)의 폭(w2)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개구부(110)의 폭(w1)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절취선(320)에 의해 정의되는 절취부(310)는 개구부(110)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절취부(310)가 뜯어지더라도, 내부에 수납된 상품이 바로 밖으로 빠지지 않고 추가적으로 외력이 작용되어야 꺼낼 수 있으므로, 상품의 도난 방지 및 유통 안정성 확보에 효과적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 상품 포장 용기
100: 전면부재
110: 개구부
200: 수납부재
210: 수용부
230: 테두리부
300: 후면부재
310: 절취부
320: 절취선
400: 보강부
C: 연결부위

Claims (8)

  1. 개구부(110)를 포함하는 판 형상의 전면부재(100);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품을 수납하는 수용부(210)를 포함하는 수납부재(200); 및
    상기 전면부재(100)에 부착되며 절취선(320)을 통하여 제거 가능한 절취부(310)를 포함하는 판 형상의 후면부재(300); 를 포함하되,
    상기 절취부(310)의 폭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110)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230)를 더 포함하는 상품 포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30)는,
    상기 전면부재(100) 또는 후면부재(300)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100)와 상기 후면부재(300)는 종이 재질이고,
    상기 수납부재(2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320)은,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100)와 상기 후면부재(3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재(100)와 상기 후면부재(300)의 연결 부위가 접힌 상태로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재(300)의 내측면에서 상기 절취부(310)에 부착되는 보강부(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개구부(1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취부(310)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전면부재(100)에서 개구부(110)를 형성하며 절단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용기.
KR2020130008768U 2013-10-25 2013-10-25 상품 포장 용기 KR200479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68U KR200479311Y1 (ko) 2013-10-25 2013-10-25 상품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68U KR200479311Y1 (ko) 2013-10-25 2013-10-25 상품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98U KR20150001698U (ko) 2015-05-06
KR200479311Y1 true KR200479311Y1 (ko) 2016-01-13

Family

ID=5343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768U KR200479311Y1 (ko) 2013-10-25 2013-10-25 상품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483B1 (ko) * 2017-02-16 2018-01-17 주식회사 보위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KR102564870B1 (ko) 2022-02-10 2023-08-09 에이스팩(주) 종이재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KR20230120847A (ko) 2022-02-10 2023-08-17 에이스팩(주)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7441B2 (en) 2004-07-23 2007-04-24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lister display package having tear-resistant security tape
JP2007186245A (ja) 2006-01-13 2007-07-26 Yasuo Hirose 包装体
US20120085671A1 (en) 2010-10-12 2012-04-12 Meadwestvaco Corporation Reclosable one time security trap seal bliste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922A (ja) * 1998-05-12 1999-1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製ブリスターパ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7441B2 (en) 2004-07-23 2007-04-24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lister display package having tear-resistant security tape
JP2007186245A (ja) 2006-01-13 2007-07-26 Yasuo Hirose 包装体
US20120085671A1 (en) 2010-10-12 2012-04-12 Meadwestvaco Corporation Reclosable one time security trap seal blister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98U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768B2 (en) Clamshell packaging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200479311Y1 (ko) 상품 포장 용기
US9346596B2 (en) Paperboard security card with content retaining elements
US20140353198A1 (en) Blister card with retention feature
US7882953B2 (en) Package with a locking sleeve
US9617052B2 (en) Package with blister card
KR20110010315U (ko) 에어백 포장
JP6264564B2 (ja) 包装用箱
US20160016713A1 (en) Blister card with snap-hold panel
WO2016048799A1 (en) Blister packaging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EP2557046B1 (en) Packing case
JP4687580B2 (ja) リパックブリスター
US7331465B2 (en) Device with a hollow lid supporting contents
JP5179144B2 (ja) 吊り下げ展示用商品
JP3148048U (ja) 包装用ケース
CN215362315U (zh) 一种具有锁止机构的包装盒
US20080142395A1 (en) Package with a locking sleeve
JP5728286B2 (ja) 持ち手付き包装箱
JP5946266B2 (ja) 包装体
JP5364679B2 (ja) 吊下式パッケージ
KR200485234Y1 (ko) 포장용 박스
JP3195306U (ja) 包装用箱
JP2011168320A (ja) 自立箱
KR200478871Y1 (ko)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