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847A -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847A
KR20230120847A KR1020220017585A KR20220017585A KR20230120847A KR 20230120847 A KR20230120847 A KR 20230120847A KR 1020220017585 A KR1020220017585 A KR 1020220017585A KR 20220017585 A KR20220017585 A KR 20220017585A KR 20230120847 A KR20230120847 A KR 2023012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oduct
eco
friendly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기
Original Assignee
에이스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팩(주) filed Critical 에이스팩(주)
Priority to KR102022001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847A/ko
Publication of KR2023012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07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attached to the plane surface of a single card
    • B65D73/0021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attached to the plane surface of a single card by means of cut-out or marginal tabs, tongue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42Coating; Impregnating; Waterproofing; De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2Containers provided with decoration or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displaced to display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8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상품의 포장 시에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이 재질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는 제품의 특성을 잘 전달하면서도 인체나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소재인 종이로 제작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최소화면서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ECO-FRIENDLY PACKAGING CONTAINER FOR PRODUCT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상품의 포장 시에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 등의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도록 진열하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투명 용기는 성형이 용이하고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거의 모든 상품의 포장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제 상품 포장 용기는 매립 처리 시에 반영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땅속에 잔존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각 처리 시에 유해 가스나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여, 플라스틱제 상품 포장 용기는 폐기처분 시의 환경에 대한 부하가 높은 문제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는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플라스틱제 상품 포장 용기의 높은 환경 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 단계에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비율을 높이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지만,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어 아직도 플라스틱 상품 포장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 부하를 낮출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재료를 이용한 상품 포장 용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2015-0001698 A KR 10-2012-0012382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품의 이송 또는 전시 시에 상품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어 상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환경 부하가 적고 재활용이 용이한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종이 재질의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 시에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종이 재질의 상품 포장 용기의 보급을 앞당길 수 있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종이 포켓이 고정되는 판상 기재와
상기 판상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이 포켓을 포함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상 기재는 적층 구조의 판지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 포켓은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공간과 상기 상품수용공간 둘레에 형성되고, 2매 이상의 판지 사이에 접착되어 종이 포켓을 판상 기재에 고정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상 기재는 여려 겹의 종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1매 이상의 겉지와 1매 이상의 속지로 구성되는 경우에, 속지로는 일반 마닐라 종이나
주름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종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종이 포켓의 하나 이상의 표면, 일례로 전면(前面)에는 상품의 형상과 동일한 디자인 또는 상품의 설명이 인쇄된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상 기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은 코팅을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유광(有光) 코팅되거나 무광(無光) 코팅할 수 있고, 상기 인쇄층은 무광(無光)으로 형성되거나 유광(有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종이 포켓은 친환경 코팅제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코팅층과 종이 포켓의 전면의 평면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포장 용기는 상기 판상 기재에 또는 종이 포켓의 전면에 상품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는 외부로 개방된 개구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포장 용기는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종이 포켓을 포함하고, 각각의 종이 포켓에는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상품을 일부 노출할 수 있는 외부로 개방된 개구창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창에는 종이 포켓에 수납된 상품을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친환경 투명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종이 포켓 안에는 상품을 상품의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이 또는 펄프로 제조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종이 포켓은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펄프부는 펄프 몰드를 이용하여 가압성형 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이 포켓의 개구창에는 제품을 고정하는 종이 재질 또는 친환경 투명 필름 소재의 고정밴드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밴드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이 포켓을 형성하는 판지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서로 접혀서 2매를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면에 종이 포켓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종이 재질의 판상 기재를 제조하는 단계;
종이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원지를 트리밍한 후, 상품수납공간을 갖는 입체적 형상의 하나 이상의 종이 포켓과 상기 종이 포켓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단계;
종이 포켓의 테두리부를 판상 기재의 개구부에 삽입후 고정(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판상 기재 준비 단계는
판상 기재 형성용 판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인쇄된 판지를 코팅하지 않거나 유광 코팅 또는 무광 코팅하는 단계;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인쇄된 판지에 마닐라지 또는 골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 포켓 형성 단계는,
판상 기재에 삽입 시에 전면이 되는 종이 포켓 형성용 원지의 표면에 인쇄층을 인쇄하고 선택적으로 친환경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인쇄된 원지를 상품 포장 용기 제작을 위한 형상으로 절단한 후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 단계에서 수득된 원지를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하고 접히는 면들을 서로 접착하여 상품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종이 포켓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상품 포장 용기를 인체나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소재인 종이로 제작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최소화면서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친환경 포장 용기에 의하면 상품 포장 용기의 종이 포켓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창을 통해서 상품을 확인할 수 있어, 내용물의 확인이 필요한 식품 등의 포장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조차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1/10 이상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는 종이 포켓 내에 상품의 형상에 맞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품의 전시 또는 이동 중에 다양한 형상의 상품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코팅제를 적용한 원지를 이용하여 재생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자연분해가 용이하며, 내수성, 내유성, 베리어성, 방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 폐기 시에 종이와 플라스틱을 각각 별도로 분리 배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판상 기재와 종이 포켓 형성을 위한 원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판상 기재에 입체형상으로 제작된 종이 포켓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서 판상 기재의 두 개의 개구부에 종이 포켓이 삽입 및 고정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서 종이 포켓이 판상 기재의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판상 기재의 평면도 및 완성된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개략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골지’는 라이너지(표면지)와 라이너지(이면지) 사이에 물결 모양의 종이를 넣어 강도를 향상시킨 합지 형태의 판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판상 기재 또는 종이 포켓 형성에 사용되는 원지는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판지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3겹 또는 5겹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코팅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지, 원지, 골지 또는 마닐라지가 합지될 수 있고, 코팅되는 경우에는 인쇄층 위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판상 기재와 종이 포켓 형성을 위한 원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판상 기재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제작된 종이 포켓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서 판상 기재의 두 개의 개구부에 종이 포켓이 삽입 및 고정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종이 포켓(200)이 고정되는 판상 기재(100)와 상기 판상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품을 수용하는 공간(210)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이 포켓(200)을 포함한다.
종래의 플라스틱 상품 포장 용기의 플라스틱 부분은 자연 분해되는데 450년이 소요되는 반면에, 반면 우유갑처럼 플라스틱 필름이 코팅된 종이류는 5년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품 포장 용기는 판상 기재(100) 및 상품을 수납하는 포켓(200)이 모두 종이로 형성되어, 단기간 내에 분해될 수 있고, 폐기 및 재활용 시에도 종이 부분과 플라스틱 부분을 서로 분리하지 않고 함께 처리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판상 기재(100)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상 기재(100)는 적층 구조의 판지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 포켓(200)은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공간(210)과 상기 상품수용공간(210)의 둘레에 형성되고, 판상 기재(100)에 접착되어 종이 포켓(200)을 판상 기재(100)에 고정하는 상기 상품수용공간(2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테두리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테두리부(240)은 본 발명의 상품 포장 용기의 제작 과정에서 반으로 접힌 판지가 서로 접힌 제1면(101)과 제2면(101‘) 사이에 접착되어 겉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상기 판상 기재(100)는 1매 이상의 겉지가 1매 이상의 속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속지는 한 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두 장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겉지는 준비 단계에서 두 장 이상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속지를 사이에 두고 양 면에서 감싸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지는 겉지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속지는 일반 마닐라지이거나 또는 골지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거나 엠보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골지는 골심지와 상기 골심지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라이너지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파괴되기 전에 주름이 먼저 펴지면서 외력에 의한 변형을 완충할 수 있고, 엠보싱 구조도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판상 기재(100)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 상품 포장 용기의 판상 기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경질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판지, 백판지 및 마닐라판지 등과 같이 포장용 박스를 만들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판상 기재(100)는 종이 펄프 및 대나무 섬유를 포함한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펄프/섬유의 조합은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서 종이 포켓(200)은, 도 3에 도시한 와 같이, 판상 기재의 양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종이 포켓(200, 200‘)이 판상 기재(100)의 두 개의 개구부(130, 130’)에 각각 삽입되고, 상품 수납 후 판상 기재의 접힌 제1면(101)과 제2면(101‘)은 서로 합지된다. 대안으로 종이 포켓(2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기재(100)의 하나의 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판상 기재(100)에 하나의 개구부(130)가 형성되고, 종이 포켓(200)이 이러한 개구부(130)에 삽입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종이 포켓(200)은 코팅된 종이로 형성되는데, 종이 포켓(200)을 형성하기 위한 원지는 판상 기재(100)를 형성하기 위한 원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종이 포켓(200)은
골판지, 백판지 및 마닐라 판지 등과 같이 포장용 박스를 만들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지(201)의 종이 포켓의 하나 이상의 면, 예를 들어, 전면(前面)의 표면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미도시); 및 선택적으로 친환경 코팅제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코팅층(203)을 포함한다. 상기 친환경 코팅층(203)은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친환경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미도시)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는 친환경으로 각광받고 있는 콩기름 잉크, 조류 잉크, 쌀기름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환경 코팅제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공중합체(Acrlyl co-polymer)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에는 상기 수용성 수지는 아크릴 에멀전, 메틸롤화요소 에멀전, 메틸롤화멜라닌 에멀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멀전(CM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에멀전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아크릴 에멀전은 유리전이온도(Tg) -5 내지 40℃, 고형분 30 내지 50%, 점도 30 내지 500 cps의 물성을 가지며 내수성 및 내유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상 기재(100)의 표면은 코팅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코팅되는 경우에는 광택이 있는 유광(有光)으로 형성하고, 인쇄층은 무광(無光)으로 형성하면 서로 대비되는 질감을 표출하여 인쇄층(미도시)를 보다 부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판상 기재의 표면을 무광(無光)으로 형성하고, 인쇄층(202)은 유광(有光)으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판상 기재(100)를 구성하는 제1면(101)과 제2면(101‘)은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단부 즉, 중심(120)을 기준으로 포개어 접혀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2 매의 판지(101, 101‘)가 각각 형성된 후 적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면(101)과 제2면(101‘)은 종이 포켓(200)에 상품 삽입 후에 일면이나 양면이 고주파 코팅되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종이 포켓(200)의 전면(前面)에는 상품의 형상과 동일한 디자인 또는 상품의 설명이 인쇄된 인쇄층(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포장 용기에서는 상품이 수납되는 포켓이 투명한 플라스틱 대신에 종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품의 외형과 동일한 디자인을 인쇄층(미도시)에 인쇄함으로써 소비자가 상품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인쇄층은 반드시 상품과 동일한 도안이 아니더라도 포장 대상 상품을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종이 포켓의 하나 이상의 면, 특히 전면(前面)에는 상품을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외부로 개방된 개구창(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창(270)은 종이 포켓(200)을 형성하는 원지의 가공 공정(예컨대, 톰슨 공정)에서 펀칭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에서 종이 포켓(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기재의 양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창(270)은 상품의 정면이 잘 보이도록 각각의 실시예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포켓(200)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된 종이 포켓의 정면에 개구창(270)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창(270)이 판상 기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판상 기재(100)의 개구부(130)가 개구창 (27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구창(270)은, 도 6을 참조하면, 종이 포켓(270)은 내부에 수납된 포장 대상 상품이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종이 포켓(200)의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L1)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의 길이(L2)보다 같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종이 포켓(200)의 개구창(270)에는 제품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밴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창(270)이 종이 포켓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특히 고정밴드(150)가 요구된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포켓(200)이 판상 기재(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된 종이 포켓(200)의 전면에 개구창(270)이 형성되므로, 종이 포켓 형성 시에 상기 개구창(270)에 고정밴드(150)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기재(100)에 개구창(27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구창(270)이 판상 기재(100)의 재단 과정에서 판상 기재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50)는 단순하게 포장 대상 상품을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구성하도록 다양한 형상이나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밴드(150)에도 다양한 도안이나 모양이 인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심미감을 위해 고정밴드(150)는 인쇄된 친환경 투명 필름 등으로 별도로 제작해서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판상 기재(100) 또는 종이 포켓(200)에 형성되는 개구창(270)에는 가위나 칼과 같은 용구의 도움 없이 용이하게 개봉하여 상품을 꺼낼 수 있도록, 절취선(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창(270)의 상품 절취면(275)의 세 모서리 가운데 2곳 이상의 부분에는 절취선(28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절취선(280)은 개구창(27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쪽 절취면(275) 가운데 한 쪽에 형성되거나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280)은 개구창(270) 위의 절취면(27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절취면(275)의 하나 이상의 변에 일자 형상으로, 또는 네 변 중에서 두 변의 둘레를 따라서 ‘11’자 또는 ‘L’자 형상으로 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플라스틱 상품 포장 용기는 가위나 칼 등이 없으면 개봉이 어려운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 지지면 둘레의 절취선(280)을 따라서 절취하면 쉽게 상품을 꺼낼 수 있다.
이러한 절취선(280)은 화학 처리, 레이저 스코어링, 레이저 천공, 기계식 스코어링, 기계식 천공, 엠보싱, 톰슨 등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280)은 종이 포켓 형성 전에 가공 원지에 형성될 수 있다.
상품 포장 용기에 담기는 상품의 형상은 매우 다양해서 상품과 종이 포켓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종이 포켓에 수납되는 상품은 판상 기재에 특별한 고정 수단을 강구하지 않는 이상 종이 포켓 안에서 덜컹거리게 되고 급기야 종이 포켓이 찢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종이 포켓(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종이 포켓의 벽면에서 상품 쪽으로 상품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 (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이 포켓(200)의 내부에서 상품을 향해 지지돌기가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종이 포켓 내에 수용된 상품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함에 따라 운반 시 제품의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시켜 종이 포켓 (20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돌기는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종이 포켓(200)은 상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펄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프부는 다양한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상품의 수용에 특히 적합하고, 재생지 펄프 몰드를 이용하여 가압성형 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펄프부는 천연 펄프를 파쇄하여 물을 가해 용해하고 교반하여 펄프즙을 만든 후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서 정형하고 다름질함으로써 상품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펄프부는 그 자체만으로 충격흡수성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입체성형이 가능하며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고, 폐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종이 포켓의 개구창(270)에는 오래 진열대에 진열되는 경우에 상품에 먼지가 쌓이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친환경 투명 필름 (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옥수수 전분 추출 원료로부터 제작되는 친환경 수지인 PLA (Poly Lactic Acid)와 같은 재질로 제조되거나,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예컨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투명 필름으로서, 투명성, 강도, 내마모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창(270)에 친환경 투명 필름을 추가적으로 부착한다고 해도, 기존의 플라스틱 포장 용기에 비해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95% 이상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는 다양한 상품 형상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또는 생활용품의 세트 포장과 같이 다양한 상품이 하나로 포장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종이 포켓(200)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품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고 해도, 부분적으로라도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창(27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서로 접혀서 2매를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면에 종이 포켓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30, 130’)가 형성된 종이 재질의 판상 기재(100)를 제조한다. 이어서 종이 포켓(200)을 형성하기 위한 원지를 트리밍한 후, 입체적 형상의 상품수납공간(210)과 상기 상품수납공간 (210) 둘레의 테두리부(240)를 형성한다. 종이 포켓(200)의 테두리부(240)를 판상 기재의 개구부(130, 130‘)에 삽입한 후 고정(부착)하고, 판상 기재를 접어서 고주파 접착함으로써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판상 기재(100) 준비 단계에서는 판상 기재(100)를 형성하는 판지에 인쇄층 및 선택적으로 친환경 코팅층을 형성하고, 인쇄된 판지에 유광 코팅 또는 무광 코팅을 하고,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인쇄된 판지에 골지를 합지할 수 있다.
상기 종이 포켓(200) 형성 시에는, 판상 기재(100)에 삽입 시에 하나 이상의 면, 예를 들어 전면(前面)의 표면에 인쇄층(미도시)를 인쇄한다. 이어서 인쇄된 원지 상품 포장 용기 제작을 위한 형상으로 절단한 후 접히는 절곡부(220)를 형성하고나서, 수득된 원지를 가압 성형 등에 의해 절곡부(220)를 접고 접착면(230)끼리 접착하여 입체적 형상의 상품수납공간(210)을 형성하고, 판상 기재(100)에 접착하기 위한 테두리부(240)를 접어서 형성한다.
종이 포켓(200)에 상품 삽입 후 판상 기재(100)의 서로 접촉되는 면의 코팅제는 접착제로 기능하여, 종이 포켓(200)에 상품을 넣은 뒤 판상 기재(100)를 서로 포개 놓고 히트 실(heat seal), 고주파, 초음파 접착하는 방식으로 접착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서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품 포장 용기에 수납 고정되는 상품의 종류에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전기 전자 부품, 문구, 의약품, 화장품, 음료, 사진필름, 건전지, 기타 일용품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판상 기재
101: 제1면
101‘: 제2면
110: 판지
120: 중앙선
130: 개구부
150: 고정밴드
200: 종이 포켓
210: 상품수용공간
220: 절곡부
230: 접착면
250: 테두리부
270: 개구부
275: 절취면
280: 절취선

Claims (16)

  1. 종이 포켓이 고정되는 판상 기재와
    상기 판상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이 포켓을 포함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재는 적층 구조의 판지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 포켓은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공간과 상기 상품수용공간 둘레에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이 포켓을 판상 기재에 고정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재는 1매 이상의 겉지와 1매 이상의 속지로 구성되고, 속지에 주름 또는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종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포켓은 친환경 코팅제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코팅층과 종이 포켓의 하나 이상의 면의 평면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표면에는 상품의 형상과 동일한 디자인 또는 상품의 설명이 인쇄되거나 상품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은 유광(有光) 코팅되거나 무광(無光) 코팅되고, 상기 인쇄층은 무광(無光)으로 형성되거나 유광(有光)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포장 용기는 판상 기재에 또는 종이 포켓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상품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는 외부로 개방된 개구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포장 용기는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종이 포켓을 포함하고, 각각의 종이 포켓에는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상품을 일부 노출할 수 있는 외부로 개방된 개구창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창에는 상품을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친환경 투명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종이 포켓 안에는 포켓의 측벽으로부터 상품 쪽으로 연장하여, 상품을 상품의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선택적으로 상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 펄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부는 재생지 펄프 몰드를 이용하여 가압성형 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포켓의 개구창에는 상품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상품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13. 서로 겹쳐서 2매를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면에 종이 포켓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종이 재질의 판상 기재를 제조하는 단계;
    종이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원지를 트리밍한 후, 상품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입체적 형상의 하나 이상의 종이 포켓을 형성하는 단계;
    종이 포켓을 판상 기재의 개구부에 삽입 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재 준비 단계는
    판상 기재 형성용 판지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인쇄된 판지를 코팅하지 않거나 유광 코팅 또는 무광 코팅하는 단계;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인쇄된 판지에 마닐라지 또는 골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포켓 형성 단계는,
    판상 기재에 삽입 시에 전면이 되는 종이 포켓 형성용 원지의 표면에 인쇄층을 인쇄하고 선택적으로 친환경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인쇄된 원지를 상품 포장 용기 제작을 위한 형상으로 재단한 후 접히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 단계에서 수득된 원지를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하고 접히는 면들을 서로 접착하여 상품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종이 포켓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판상 기재의 개구부를 상품 노출을 위한 개구창으로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종이 포켓의 전면(前面)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품 노출을 위한 개구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220017585A 2022-02-10 2022-02-10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20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85A KR20230120847A (ko) 2022-02-10 2022-02-10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85A KR20230120847A (ko) 2022-02-10 2022-02-10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651A Division KR20240082274A (ko) 2024-05-02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47A true KR20230120847A (ko) 2023-08-17

Family

ID=8780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585A KR20230120847A (ko) 2022-02-10 2022-02-10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8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382A (ko) 2010-07-30 2012-02-09 자호란스키 아게 블리스터 포장 기계 및 블리스터팩
KR20150001698U (ko) 2013-10-25 2015-05-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상품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382A (ko) 2010-07-30 2012-02-09 자호란스키 아게 블리스터 포장 기계 및 블리스터팩
KR20150001698U (ko) 2013-10-25 2015-05-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상품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825B1 (ko) 물품 포장용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051653A1 (en) Reusable packaging
CN112805148A (zh) 封套等具有膨胀狭缝片纸的内部衬垫的单一组合的保护产品
CA3035283A1 (en) Partial shell for packaging a food product, packaging for a food product and packaged food product
KR20230120847A (ko)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82274A (ko)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64870B1 (ko) 종이재 상품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AU2002310184B2 (en) Soap bar wrapper
JP2023072917A (ja) 紙容器
CN206187527U (zh) 纸质折叠包装盒
JP2000344281A (ja) 断熱容器
JP4549824B2 (ja) 複合容器
JP2009202891A (ja) 二重容器
JP2004051157A (ja) ウェッブコーナー型紙容器
CN201165380Y (zh) 硬质环保泡罩包装物
CN205525403U (zh) 具分离式盒盖之多边形盒
WO2023228998A1 (ja) 蓋体、蓋体付き容器、蓋体と容器の組み合わせ、及び蓋体の製造方法
CN201240534Y (zh) 一种折叠式包装盒
US20240182203A1 (en) Personal care product tray
CN217496845U (zh) 一种防水的热饮品包装盒结构
JP2004067192A (ja) 紙箱
CN213058155U (zh) 一种蜂巢状新型收集包装盒
CN214986954U (zh) 一种石头纸基环保复合纸材、环保纸盒
JP2004051160A (ja) 紙カップ
US20220324627A1 (en) Product Packaging, Packaged Product and Method of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