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83B1 -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83B1
KR101819483B1 KR1020170020855A KR20170020855A KR101819483B1 KR 101819483 B1 KR101819483 B1 KR 101819483B1 KR 1020170020855 A KR1020170020855 A KR 1020170020855A KR 20170020855 A KR20170020855 A KR 20170020855A KR 101819483 B1 KR101819483 B1 KR 10181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ule
sheet
container member
ampou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위
Priority to KR102017002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483B1/ko
Priority to CN201780088242.2A priority patent/CN110770141B/zh
Priority to PCT/KR2017/014736 priority patent/WO20181514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72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med by arranging one flexible container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77Ampo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용기부재(10);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앰플홀(1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충전 공간부가 구비된 앰플(20); 상기 제1용기부재(10)에 결합되어 본품(38)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용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부재(10)는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앰플홀(12)은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양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앰플(20)은 둘레부에 접합 연장부(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상기 앰플홀(12)에 상기 앰플(20)이 삽입되고, 상기 접합 연장부(21)는 상기 앰플홀(12) 둘레부의 시트면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Package receptacle with ample}
본 발명은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자, 화장품, 식품 등에 사용되는 파우치 용기에 플라스틱재질의 별도의 앰플이 부착되어 있어서 별도의 앰플을 터트려서 본품 사용 전에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본품을 사용한 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이란 밀가루, 달걀, 황토 등의 내용물에 약제나 영양제, 과일 따위를 반죽하여서 얼굴에 바르거나 붙이는 미용법 또는 이러한 미용법을 이용한 화장품으로서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미백, 청정과 같은 효과를 내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서, 일반 사람 특히 여성들이 마스크팩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마스크팩은 필오프, 워시오프 제형의 경우 팩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세안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팩이 개시되었는데 이는 보습 및 유효내용물을 섬유재질의 부직포에 함침시킨 후 얼굴에 덮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부직포에 함침된 보습 및 유효내용물이 피부에 오래 머물게 되어 피부에 보습, 영양공급, 미백 및 주름개선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팩을 채용한 마스크팩의 경우 생산 과정에서 미리 내용물(예를 들어, 마스크팩용 액상 화장수 등)을 마스크팩에 함침시켜서 유통을 시키는데, 이러한 유통 과정 중에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열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며, 내용물의 열화 내지 변질이 생기면 마스크팩 제품 자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과자, 식품 등의 제품에 생산 과정에서 미리 내용물(과자용 소스나 식품용 소스 등)을 공급한 상태로 유통시키면, 일정 시간이 지나서 역시 과자나 식품 등의 성질이 변하거나 열화가 생겨서 과자, 식품과 같이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 즉시 쓸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16529호(2006.05.10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16534호(2006.05.10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24808호(2006.08.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마스크팩과 같은 소비자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미리 내용물을 마스크팩에 함침시켜서 유통을 시키지 않고, 앰플에 내용물을 담아놓았다가 사용할 때에 곧바로 앰플을 터뜨려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용기부재; 상기 제1용기부재의 앰플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충전 공간부가 구비된 앰플; 상기 제1용기부재에 결합되어 본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용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용기부재는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앰플홀은 상기 제1용기부재의 양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앰플은 둘레부에 접합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부재의 상기 앰플홀에 상기 앰플이 삽입되고, 상기 접합 연장부는 상기 앰플홀 둘레부의 시트면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상기 접합 연장부는 상기 제1용기부재의 안쪽면에 열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앰플은 블리스터와 파단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블리스터는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고, 상기 블리스터의 일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앰플에 접합된 상기 파단 시트에 의해 막아주며, 상기 블리스터와 상기 파단 시트 사이에 상기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 시트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는 피이(PE)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는 PVC 또는 P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앰플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벤딩 기준부를 구비하여, 상기 벤딩 기준부를 기준으로 상기 앰플을 꺾어서 상기 앰플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파단 시트를 찢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루미늄 박판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은 파단 가이드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딩 기준부에 의해 상기 앰플이 제1앰플부와 제2앰플부로 구획되고, 상기 벤딩 기준부는 아래로 오목한 상부 벤딩 기준홈과, 상기 앰플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벤딩 기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벤딩 기준홈과 상기 사이드 벤딩 기준홈은 곡면부에 의해 상기 제1앰플부와 상기 제2앰플부에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앰플은 상기 벤딩 기준부와 인접한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더 높은 강성 파단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앰플의 블리스터와 상기 파단 시트 사이에는 파단 가이드핀이 개재되고, 상기 파단 가이드핀의 일부는 상기 블리스터와 상기 파단 시트 사이에 확보된 충전 공간부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경우, 앰플의 벤딩 기준부를 꺾어주면 앰플에 담긴 내용물이 제품 수용부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제품(본품)에 내용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본품이 마스크팩인 경우 팩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세안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효과는 주요 효과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상기 주요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주요부인 제1용기부재와 앰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앰플을 제1용기부재의 앰플홀에 삽입하기 위해 제1용기부재의 하부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용기부재의 앰플홀에 앰플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용기부재와 제2용기부재 사이에 본품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앰플울 구비한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주요부인 앰플의 벤딩 기준부를 꺾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앰플을 구비한 표장용기의 변형된 실시예를 봉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는 제1용기부재(10)와, 이러한 제1용기부재(10)의 앰플홀(1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충전 공간부가 구비된 앰플(20)과, 상기 제1용기부재(10)에 결합되어 본품(38)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용기부재(30)를 구비한다. 이때, 본품(38)이라 함은 마스크팩의 본품(38)인 시트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쓰게 되는 제품을 의미하며, 상기 충전 공간부에는 본품(38)의 사용에 필요한 내용물(28)이 충전되는 앰플(20) 내부의 공간이다. 본품(38)이 마스크팩의 시트인 경우, 시트에는 에센스와 같은 기초 화장품이 침습되어 있고, 상기 충전 공간부에 충전되는 내용물(28)은 기초 화장품과는 달리 마스크팩의 시트 사용시 피부를 좋게 하는 액상의 화장수를 의미한다. 이밖에, 본 발명에서 충전 공간부에 충전되는 내용물(28)은 과자, 화장품, 식품 등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용기부재(10)는 시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용기부재(10)가 사각형 시트 헝상으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용기부재(10)에 앰플홀(12)이 구비된다. 앰플홀(12)은 제1용기부재(10)의 양면으로 연통된다. 앰플홀(12)을 앰플(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다.
상기 앰플(20)은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로 구성된다.
상기 블리스터(22)는 일면에 개방부가 구비된다. 블리스터(22)의 내부에는 앰플(20)의 충전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챔버가 구비된다. 챔버는 블리스터(22)의 일면으로 연통된 개방부를 구비한다. 즉, 블리스터(22)가 일면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방부와 연통된 챔버를 구비한 구조이다. 상기 블리스터(22)는 외피(22A)와 내피(22B)로 구성된다.
상기 파단 시트(24)는 플리스터에 접합된다. 플리스터의 둘레부에서 돌출된 연장부의 일면(안쪽면)에 파단 시트(24)가 접합된다. 상기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 사이에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다. 앰플(20)의 내부에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에 의해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앰플(20)은 둘레부에 접합 연장부(21)가 구비된다. 블리스터(22)의 둘레부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연장부가 앰플(20)의 접합 연장부(21)가 된다.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앰플홀(12)에 앰플(20)이 삽입되고, 상기 접합 연장부(21)는 앰플홀(12) 둘레부의 시트면에 접합된다. 앰플홀(12) 둘레부의 표면에 접합 연장부(21)가 접합된다. 접합 연장부(21)는 제1용기부재(10)의 안쪽면에 열접합된다.
이때, 상기 블리스터(22)는 외피(22A)와 내피(22B)로 구성된다. 상기 블리스터(22)의 일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앰플(20)에 접합된 파단 시트(24)에 의해 막아주며, 상기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 사이에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 시트(24)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22A)는 피이(PE)로 구성되고, 내피(22B)는 PVC 또는 PET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늄 박판이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외피(22A)의 안쪽면에 접합된다.
상기 앰플(20)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벤딩 기준부(26)를 구비한다. 이때, 벤딩 기준부(26)는 상부 벤딩 기준홈과, 상기 앰플(20)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벤딩 기준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앰플(20)이 부착된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둘레부를 실링함으로써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 사이에 제품 수납부가 확보된다. 물론, 상기 제품 수납부에는 상기 마스크팩의 시트와 같은 본품(38)이 들어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용기부재(3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용기부재(10)는 비닐 용기를 사용한다. 비닐용기는 내측면에 피이(PE)가 라미네이팅되어 있어 열접착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비닐용기에 앰플(20)이 삽입될수 있도록 앰플홀(12)이 타공이 되어있다.
상기 앰플(20)은 알약 포장제인 PTP(press through package)의 형태로 피브이씨(PVC) 또는 피이티(PET) 블리스터(22)에 알루미늄박을 가압 열접착하여 내용물(28)을 밀봉한다. 내용물(28)은 일반적인 PTP 포장의 경우 PVC 또는 PET 재질이기 때문에 포장비닐에 열접착할 수가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앰플(20)을 구성하는 블리스터(22)에 PVC 또는 PET에 PE를 라미네이팅하여 제1용기부재(10)의 내측 PE와 앰플(20)의 외측 PE가 같은 재질로 가압 열접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용기부재(10)에는 앰플(20)이 삽입될수 있도록 앰플(20)의 형상에 맞는 앰플홀(12)을 타공한다.
상기 앰플(20)은 블리스터(22)와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리스터(22)의 외피(22A)는 PE, 내피(22B)는 경질 PVC 또는 PET 200~250um를 라미네이팅한 원단을 사용한다.
상기 알루미늄 박판은 경질알루미늄 20um을 사용한다.
상기 PVC/PE 또는 PET/PE 원단을 블리스터(22) 성형하여 용기모양을 만든다. 이러한 블리스터(22)에 액체를 충진(내용물(28)을 충진)한 후 알루미늄 박판을 열접착하여 밀봉하여 준다.
이렇게 만들어진 앰플(20)을 제1용기부재(10)의 앰플홀(12)에 삽입한 후 열접착한다. 상기 앰플(20) 둘레부의 접합 연장부(21)를 제1용기부재(10)의 안쪽면에 열접착한다.
다음, 상기 앰플(20)이 접합된 제1용기부재(10)와 상기 제2용기부재(30)의 둘레부를 접착한다.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둘레부를 열접착한다.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둘레부를 열접착하되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 사이에 투입구를 남겨놓는다.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가 사각 시트 형상인 경우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세 군대 둘레부를 접착함으로써 접합부를 만들어서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에 의한 봉투를 만들고, 봉투의 나머지 한쪽 둘레부는 비접합 상태로 하여 봉투의 한쪽 둘레부에 투입구를 만든다.
이어서, 상기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로 만들어진 봉투의 투입구를 통해서 본품(38)(사용자 제품이 마스크팩인 경우에는 시트)를 투입한 다음, 상기 나머지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나머지 한쪽 둘레부를 접합하여 사용자 제품을 만든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내부의 제품 수용부에 소비자가 사용할 제품(이하, 편의상 소비 제품이라 함)이 들어있는데, 본 발명의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앰플(20)의 오목한 부분, 다시 말해서, 벤딩 기준부(26)를 꺽어주면 상기 알루미늄 박판이 터지면서 내부의 액체가 분출된다.
상기 앰플(20)에서 분출된 액체는 용기에 투입된다. 즉,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 사이에 확보된 제품 수용부의 내부에 앰플(20)에서 분출된 액체가 투입된다.
이처럼, 알루미늄 박판이 터지게 하기 위해서는 블리스터(22)가 잘 꺾이도록 오목한 부분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러한 오목한 부분이 벤딩 기준부(26)인데, 상기 벤딩 기준부(26)를 최대한 뾰족하게 하여, 이러한 뾰족한 부분이 알루미늄 박판에 응집된 압력을 가하여 응집된 압력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이 쉽게 터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기준으로 앰플(20)을 위쪽으로 꺾어서 앰플(2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파단 시트(24)를 찢어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벤딩 기준부(26)를 기준으로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로 나뉘는데, 벤딩 기준부(26)를 기준으로 앰플(20)의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를 위로 꺾으면 앰플(2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파단 시트(24)가 찢어지면서 앰플(2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28)이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 사이의 제품 수납부에 들어가 있던 본품(38)으로 공급된다. 상기 본품(38)이 마스크팩의 시트(이때, 시트라 함은 사용자가 얼굴에 붙이는 마스크 모양의 시트를 의미함)인 경우 앰플(20)에 채워져 있던 액체(화장수 등)이 시트에 공급되고, 상기 제1용기부재(10)와 제2용기부재(30)의 일측 접합부를 뜯어주거나 제1용기부재(10)만을 뜯어서 시트를 꺼내서 쓰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경우,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꺾어주면 앰플(20)에 담긴 내용물(28)이 제품 수용부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제품에 내용물(28)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본품(238)이 마스크팩의 시트인 경우에 팩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세안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과정에서 미리 내용물(28)(예를 들어, 마스크팩의 시트용 액상 화장수 등)을 마스크팩의 시트에 함침시켜서 유통을 시키지 않고, 앰플(20)에 담아놓고 유통시키다가 사용자가 소비자 제품을 사용할 때에 즉시 앰플(20)을 터뜨려준 다음 바로 바로 소비자 제품(예를 들어, 마스크팩의 시트 등)을 사용하므로, 유통 과정 중에 내용물(28)이 변질되거나 열화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며, 내용물(28)의 열화 내지 변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마스크팩의 시트 등과 같은 소비자 제품 자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해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자, 식품 등의 소비자 제품의 포장에도 활용되는데, 과자, 식품 등의 소비자 제품의 경우에도 생산 과정에서 미리 내용물(28)(과자용 소스나 식품용 소스 등)을 공급한 상태로 유통시키는 것이 아니라 앰플(20)에 내용물(28)을 담고 있다가 과자나 식품 등의 소비자 제품을 섭취할 때에 즉시 앰플(20)을 터뜨려서 섭취하게 되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서 역시 과자나 식품 등의 성질이 변하거나 열화가 생기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과자나 식품의 경우 소스와 같은 내용물(28)을 미리 본품(38)(즉, 과자나 식품 등)에 공급한 상태로 유통시키지 않고 앰플(20)에 담고 있다가 소비자가 본품(38)을 섭취할 때에 앰플(20)을 떠뜨려서 내용물(28)을 본품(38)에 공급하여 섭취하게 되므로, 과자나 식품을 맛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이나 과자 또는 식품에 활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마스크팩이나 과자 또는 식품 이외에 여러 가지 소비자 제품에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파단 시트(24)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은 파단 가이드선(24A)을 더 구비한다. 파단 가이드선(24A)은 앰플(20)의 벤딩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파단 가이드선(24A)이 앰플(20)의 벤딩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단 가이드선(24A)은 앰플(20)의 벤딩 가이드부의 좌우 양쪽 사이드 벤딩 가이드홈 사이에 구비된다. 앰플(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단 가이드선(24A)이 배치될 수 있다. 파단 시트(24)가 피브이씨(PVC)와 같은 시트인 경우에 파단 가이드선(2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단 시트(24)에 파단 가이드선(24A)이 구비된 경우에는 앰플(20)의 벤딩 가이드부를 꺾을 때에 파단 시트(24)가 파단 가이드선(24A)에 의해 더 잘 찢어지게 되므로, 앰플(2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진 내용물(28)이 파단 시트(24)의 찢어짐 불량에 의해 제대로 본품(38)에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상기 파단 시트(24)가 보다 더 원활하게 찢어지므로, 사용하기에도 보다 편리하다. 파단 시트(24A)가 피브이씨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시트인 경우 앰플(2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진 내용물(28)이 보다 견고하게 충전 공간부에 담겨져 있다가 앰플(20)의 벤딩 가이드부(26)를 꺾을 때에 파단 가이드선(24A)에 의해 파단 시트(24)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벤딩 기준부(26)에 의해 앰플(20)이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로 구획되고, 상기 벤딩 기준부(26)는 아래로 오목한 상부 벤딩 기준홈과, 상기 앰플(20)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벤딩 기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벤딩 기준홈과 상기 사이드 벤딩 기준홈은 곡면부에 의해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에 이어진다. 적어도,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벤딩 기준홈이 곡면부에 의해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에 이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벤딩 기준부(26)를 꺾어줄 때에 사이드 벤딩 기준홈이 직선으로 제1앰플부(20A)와 제2앰플부(20B)에 이어진 경우에 비하여 곡면부로 인하여 상기 파단 시트(24)를 늘려주는 길이가 더 늘어나게 되므로, 상기 파단 시트(24)가 보다 확실하게 찢어지며, 상기 벤딩 기준부(26)를 너무 많이 꺾지 않더라도 파단 시트(24)가 손쉽께 찢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곡면부(CP)가 있는 경우에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너무 많이 꺾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시 보다 편리하고, 파단 시트(24)는 더욱 확실하게 찢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앰플(20)은 벤딩 기준부(26)와 인접한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더 높은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는 벤딩 기준부(26)와 인접한 위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가 앰플(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가 구비된 경우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꺾을 때에 한 쌍의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파단 시트(24)를 아래로 밀어 내리므로, 상기 파단 시트(24)를 찢어줄 때에 더욱 확실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꺾는 동작만으로는 파단 시트(24)가 찢어지지 않더라도 한 쌍의 강성 파단 가이드부(12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파단 시트(24) 쪽으로 함께 내려가면서 파단 시트(24)를 밑으로 밀어내리는 힘에 의해 파단 시트(24)를 찢어주게 되므로,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꺾어서 파단 시트(24)를 찢어줄 때에 더욱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앰플(20)의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 사이에는 파단 가이드핀(124)이 개재되고, 상기 파단 가이드핀(124)의 일부는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 사이에 확보된 충전 공간부 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파단 가이드핀(124)의 기단부측 일부가 블리스터(22) 둘레부의 확장부와 파단 시트(2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열접합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앰플(20)의 접합 연장부(21)에 접합되고, 상기 파단 가이드핀(124)의 선단부측 일부는 앰플(20) 내부의 충전 공간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단 가이드핀(124)이 구비된 경우에는 앰플(20)에서 파단 가이드핀(124)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을 꺾어주면, 상기 파단 가이드핀(124)이 파단 시트(24)를 찔러서 터뜨리므로, 앰플(20)에서 내용물(28)을 본품(38)에 제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파단 시트(24)의 선단부에 뾰족부를 형성하면, 파단 가이드핀(124)의 뾰족부가 파단 시트(24)를 찔러서 터뜨리므로, 파단 시트(24)를 가장 확실하게 찢어줄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의하면, 상기 파단 가이드선(34A)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비드(130)가 구비된다. 비드(130)는 파단 시트(34)에 구비된다. 상기 파단 시트(34)와 비드(130)에 반칼 가공된 파단 가이드선(34A)이 구비된다. 파단 가이드선(34A)이 비드(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앰플(20)의 벤딩 기준부(26)를 꺾어주면, 상기 파단 가이드선(34A)에 의해 파단 시트(34)는 찢어지고 비드(130)는 절단되면서 파단 시트(34)에 공급홀을 형성하고, 상기 파단 시트(34)의 공급홀에 의해 앰플(20)의 내용물(28)이 본품(38)에 공급된다.
상기 비드(130)가 구비된 경우에는 비드(130)가 파단 가이드선(34A)에 의해 쉽게 끊어지면서 파단 시트(34)를 당겨줌으로써 파단 시트(34)가 보다 확실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앰플(20) 내부의 내용물(28)을 본품(38)에 공급하기 위해 파단 시트(34)를 찢어주는 것이 더욱더 쉽게 된다.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이 더욱더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제1용기부재 12. 앰플홀
20. 앰플 20A. 제1앰플부
20B. 제2앰플부 21. 접합 연장부
22. 블리스터 22A. 외피
22B. 내피 24. 파단 시트
24A. 파단 가이드선 26. 벤딩 기준부
28. 내용물 30. 제2용기부재
38. 본품 120. 강성 파단 가이드부
124. 파단 가이드핀

Claims (7)

  1. 제1용기부재(10);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앰플홀(1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충전 공간부가 구비된 앰플(20);
    상기 제1용기부재(10)에 결합되어 본품(38)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용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용기부재(10)는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앰플홀(12)은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양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앰플(20)은 둘레부에 접합 연장부(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상기 앰플홀(12)에 상기 앰플(20)이 삽입되고, 상기 접합 연장부(21)는 상기 앰플홀(12) 둘레부의 시트면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연장부(21)는 상기 제1용기부재(10)의 안쪽면에 열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20)은 블리스터(22)와 파단 시트(24)로 구성되고, 상기 블리스터(22)는 외피(22A)와 내피(22B)로 구성되고, 상기 블리스터(22)의 일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앰플(20)에 접합된 상기 파단 시트(24)에 의해 막아주며, 상기 블리스터(22)와 상기 파단 시트(24) 사이에 상기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시트(24)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22A)는 피이(PE)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22B)는 PVC 또는 P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20)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벤딩 기준부(26)를 구비하여, 상기 벤딩 기준부(26)를 기준으로 상기 앰플(20)을 꺾어서 상기 앰플(2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파단 시트(24)를 찢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KR1020170020855A 2017-02-16 2017-02-16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KR10181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55A KR101819483B1 (ko) 2017-02-16 2017-02-16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CN201780088242.2A CN110770141B (zh) 2017-02-16 2017-12-14 包括安瓿的包装容器
PCT/KR2017/014736 WO2018151401A1 (ko) 2017-02-16 2017-12-14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55A KR101819483B1 (ko) 2017-02-16 2017-02-16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483B1 true KR101819483B1 (ko) 2018-01-17

Family

ID=6102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55A KR101819483B1 (ko) 2017-02-16 2017-02-16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19483B1 (ko)
CN (1) CN110770141B (ko)
WO (1) WO20181514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43Y1 (ko) * 2015-04-17 2016-02-26 김여진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319A (en) * 1980-06-25 1982-06-01 Hurwood David L Hygienic comfort product
US5312634A (en) * 1989-09-26 1994-05-17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Compact package for food product
JP3244567B2 (ja) * 1993-06-25 2002-01-07 阪神化成工業株式会社 破断式包装
WO2012118060A1 (ja) * 2011-03-03 2012-09-07 ニプロ株式会社 複室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136639A1 (en) * 2012-05-21 2015-05-21 Sanofi Unitary packaging for one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pharmaceutical product
KR200479311Y1 (ko) * 2013-10-25 2016-01-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상품 포장 용기
CN104326171A (zh) * 2014-11-14 2015-02-04 韦峰 一种面膜包装结构
CN104528182A (zh) * 2014-11-20 2015-04-22 李军安 一种改进的面膜包装袋
CN204660405U (zh) * 2015-05-25 2015-09-23 上海点石礼品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面膜组件
CN205801894U (zh) * 2016-03-16 2016-12-14 严泰焕 一种面膜用包装袋
KR101673263B1 (ko) * 2016-04-04 2016-11-07 (주) 씨엠씨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43Y1 (ko) * 2015-04-17 2016-02-26 김여진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70141B (zh) 2022-04-12
CN110770141A (zh) 2020-02-07
WO2018151401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1615A (en) Method of packaging between laminated webs with heat and ultrasonic seals
CA2877207C (en) Packaging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IT9022563A1 (it) Contenitore in laminato flessibile con inserto di apertura e richiusura.
CN1712140B (zh) 一次性使用涂布装置和制造一次性使用涂布装置的方法
SK6602002A3 (en) Reclosable dispenser package, reclosable outlet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EP2763911B1 (en) Packaged oral care implement and a method of packaging
CN102712407A (zh) 包含脆弱段的分配装置和分配方法
AU2017286562A1 (en) Easy peel pouch
EP2832659B1 (en) Container, container package
JP5846810B2 (ja) 分配包装体
KR101819483B1 (ko)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180001360U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US20160059998A1 (en) Package for paste-like products
JP2002308348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体
JP6562290B2 (ja) スイカ袋
JP2001058636A (ja) 取出口部材後付け密封容器
JP4998793B2 (ja) 包装容器
KR0178668B1 (ko) 용기 재활용 용품의 보충액 포장용기
CN214777954U (zh) 一种带撕拉条的防盗果蔬包装盒
CN106660682A (zh) 包装体
CN219077959U (zh) 一种泡壳包装结构
JP5959192B2 (ja) 包装体および包装機
CN209582406U (zh) 容器本体和容器
CN218490399U (zh) 一种单腔掰折挤出型化妆品掰折打开片
CN210063637U (zh) 保温型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