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91Y1 -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191Y1
KR200251191Y1 KR2020010021515U KR20010021515U KR200251191Y1 KR 200251191 Y1 KR200251191 Y1 KR 200251191Y1 KR 2020010021515 U KR2020010021515 U KR 2020010021515U KR 20010021515 U KR20010021515 U KR 20010021515U KR 200251191 Y1 KR200251191 Y1 KR 20025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ntainer
side plates
plate assembl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영
이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링크
Priority to KR2020010021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191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1)는, 마주보는 2장의 상기 측판(20A)의 저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저판(10)의 변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41)를 구비한 저판조립부(40); 마주보는 상기 2장의 측판(20A)의 저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오목부(41)에 끼워맞춤되는, 돌기부(51)를 구비한 측판조립부(50); 및 상기 마주보는 2장의 측판(20A)의 양측에 형성되어 나머지 2장의 상기 측판(20B)이 삽입되는 측판삽입부(6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판조립부(40)의 상기 오목부(41)는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요홈(42)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조립부(50)의 상기 돌기부(51)는 상기 요홈(42)에 끼워맞춤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삽입돌기(5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판조립부(40)의 상기 오목부(41)는 U자형 내면(44)과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향돌기(45)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걸림돌기(46)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조립부(50)의 상기 돌기부(51)는 상기 오목부(41)의 U자형 내면(44)에 접하는 접촉돌기(54)와 상기 상향돌기(45)에 끼워맞춤되는 하향요홈(55)과 상기 내향걸림돌기(46)에 걸리는 상향걸림돌기(56)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Container-type Sectional Packing Box}
(기술분야)
본 고안은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의 사용 없이 1인의 작업자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특히 취급이 조심스런 물품의 육로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및 보관용 포장에 적합한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운반을 위한 물품 포장에는 골판지 상자가 흔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런 골판지 상자는 그 재질과 구조적인 특성상 취급이 조심스런 물품을 포장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오랜 기간 반복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취급이 조심스런 물품을 포장할 수 있으면서 반복적으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견고한 철제 등의 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형 포장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형 포장상자의 일반적인 문제점은, 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나 빈 상태나 동일한 체적을 점유하기 때문에, 빈 포장상자의 회수를 위한 운반비용과 보관비용의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물품을 포장할 때에만 상자 형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분해하여 체적을 줄임으로써 빈 포장상자의 운송비용과 보관비용을 절감시키고자 하는 여러 제안이 있었다.
이런 제한의 일 예로는,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판들을 다수의 경첩과 결착구를 사용하여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을 제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76-83호의 조립식 상자가 있다. 그러나, 본 제안의 조립식 상자는 판들이 경첩들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각 판들이 낱개로 분해되지 않아 운반 및 보관이 용이치 못하고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경첩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다른 제안으로는 다수의 L자형 고정클립들에 의해 패널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제안한 공개실용신안 제95-14191호의 물품운송용 보관케이스가 있다. 본 제안의 보관케이스는 5장의 판을 다수의 L자형 고정클립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조립 및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제안으로는 다수의 고정클립으로 패널들을 고정하되 각 패널을 개방하여 그 중량을 줄인 것을 제안한 실용신안등록 제184030호의 조립식 포장상자가 있으나, 본 제안의 조립식 포장상자 역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형 조립식 상자가 가지는 조립 및 분해 작업상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공구의 사용 없이 1인의 작업자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상자를 조립한 후에 물품을 투입할 수 있음은 물론 물품을 투입한 후에 포장상자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 포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를 분해하여 적층한 상태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5는 도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6은 도4에 적용된 예시적인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의 상세도,
도7은 도6의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 변형예의 상세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조립 설명도,
도9는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0은 다른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1은 또 다른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다른 조립 설명도,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또 다른 조립 설명도,
도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종단 및 조립 설명도,
도15는 도14에 적용된 예시적인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의 상세도,
도1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다른 사용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포장상자 2: 체결구 3: 패널
4: 손수레 10: 저판 11,21,31: 프레임
12, 32: 코너부재 13: 팰릿 20,20A,20B: 측판
22: 도어 30: 상판 40: 저판조립부
41: 오목부 42: 요홈 43: 걸림턱
44: U자형 내면 45: 상향돌기 46: 내향걸림돌기
47: 걸림단차 50: 측판조립부 51: 돌기부
52: 삽입돌기 53: 하향돌기 54: 접촉돌기
55: 하향요홈 56: 상향걸림돌기 57: 걸림단차
60: 측판삽입부 70: 결속구 71: 매직테이프
80: 연결구
본 고안에 따라, 1장의 저판과 4장의 측판을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가 제공되며, 본 고안의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는, 저판조립부, 측판조립부 및 측판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판조립부는 마주보는 2장의 상기 측판의 저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저판의 변을 따라 형성되고 오목부를 구비한다. 상기 측판조립부는 마주보는 상기 2장의 측판의 저변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끼워맞춤되며 돌기부를 구비한다. 상기 측판삽입부는 상기 마주보는 2장의 측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나머지 2장의 상기 측판이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부는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요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요홈에 끼워맞춤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삽입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추가하여 상기 측판조립부에는 상기 삽입돌기의 경사진 쪽으로 하향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저판조립부에는 상기 하향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하향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부는 U자형 내면과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향돌기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걸림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U자형 내면에 접하는 접촉돌기와 상기 상향돌기에 끼워맞춤되는 하향요홈과 상기 내향걸림돌기에 걸리는 상향걸림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추가하여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U자형 오목부 내에 형성된 걸림단차를 포함시킬 수 있고,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걸림단차와 걸어맞춤되는 걸림단차를 포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포장상자에는 상기 마주보는 2장의 측판과 상기 나머지 2장의 측판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시킬 수 있고, 상기 저판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측판의 위치를 결정하고 보강하는 코너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포장상자에는, 상기 저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상기 측판에 결속시키는 결속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결속구로는 분해하여 적층한 상기 저판, 상기 측판 및 상기 상판의 결속에도 사용되는 매직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판에는 지게차 운반을 위한 팰릿을 일체로 또는 조립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를 분해하여 적층한 상태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5는 도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6은 도4에 적용된 예시적인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의 상세도, 도7은 도6의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 변형예의 상세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조립 설명도, 도9는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0은 다른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1은 또 다른 예시적인 측판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다른 조립 설명도,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포장상자의 또 다른 조립 설명도, 도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종단 및 조립 설명도, 도15는 도14에 적용된 예시적인 저판조립부와 측판조립부의 상세도, 도1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의 다른 사용 사용상태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1A)는, 종래의 포장상자와 마찬가지로,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저판(10), 4장의 측판(20) 및 선택적으로 상판(30)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판들(10, 20, 30)은, 예를 들어,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경질합성수지로 된 긴 바부재를 리벳과 같은 체결구(2)에 의해 결속하여 사각 프레임(11, 21, 31)을 형성하고, 프레임(11, 21, 31) 사이에 예를 들어 합성수지 패널(3)은 삽입 장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포장되는 물품이 위생관리 등 특별한 조치를 요하는 것일 때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 바인더에 이산화티탄이 고정된 광촉매를 도포한 한 합성수지 패널(3)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광촉매 도포의 패널(3)을 사용하면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공기정화, 탈취 및 항균 작용을 하게 됨으로 바람직하다.
물론, 포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패널(3)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패널(3)을 생략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들(11, 21, 31)을 보다 조밀하게 장착하여 물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판(10)의 네 모서리에는, 도1,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코너부재(12)가 존재함에 따라, 4장의 측판(20)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고 구조적인 보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판(10)은 그 저면에 팰릿(pallet: 13)을 장착하거나, 또한 저판(10) 자체를 팰릿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지게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30)은 저판(10)과 4장의 측판(20)에 의해 형성된 포장상자(1A)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판이며, 바람직하게 4장의 측판(20)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판(30)의 모서리에도 보강과 함께 포장상자(1) 위에 또 다른 포장상자(1)를 적층하였을 때 위에 적층된 포장상자(1)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앵글형 코너부재(32)를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30)에는 포장상자(1A)에 상판(30)의 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결속구(7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결속구(70)로서는 용이하게 상판(30)을 측판(20)이나 저판(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결속구(70)의 예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직테이프(71: 벨크로, Velcro™)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훅이 형성된 매직테이프(71)의 수편을 상판(30)에 충분한 길이로 장착하고 털이 형성된 매직테이프(71)의 암편을 측판(20)에 부착함으로써 매직테이프(71)의 접착에 의해 상판(30)을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매직테이프(71)를 이용한 결속구(7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하여 적층한 포장상자(1A)를 적층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속수단으로 겸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저판(10)에는 마주보는 2장의 측판(20A, 예, 전후의 측판, 이하 '전후측판'이라 한다)의 저변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변을 따라 저판조립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판조립부(40)에는 오목부(41)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마주보는 상기 2장의 전후측판(20A)의 저면에는 저판(10)의 상기 저판조립부(40)에 조립되는 측판조립부(5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조립부(50)에는 상기 오목부(41)에 끼워맞춤되는 돌기부(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저판조립부(40)와 측판조립부(50)는 각각 저판(10)과 전후측판(20A)의 프레임(11, 21)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적절한 체결구로 조립할 수도 있다.
저판조립부(40)의 오목부(41)와 측판조립부(50)의 돌기부(51)는, 돌기부(51)를 오목부(41)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돌기부(51)를 오목부(41)에 대해 그 수직방향(직상방)으로 유동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즉, 오목부(41)와 돌기부(51)의 끼워맞춤결합에 의해 저판(10)과 전후측판(20A)이 상호 결속되고 일단 결속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전후측판(20A)이 저판(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이하, 도4,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적용 가능한 저판조립부(40)와 측판조립부(50)의 오목부(41)와 돌기부(51)의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판(10)에 형성된 저판조립부(40)의 오목부(41A)는 일측(포장상자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요홈(42)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요홈(42)의 경사진 쪽에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측판(20A)에 형성된 측판조립부(50)의 돌기부(51A)는 상기 요홈(42)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요홈(42)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로 길게 신장된 삽입돌기(52)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43)의 위치에 대응하여 걸림턱(43)에 걸리는 하향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측판(20A)을 저판(1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요홈(42)에 삽입돌기(52)를 일치시킨 후에 전후측판(20A)을 수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요홈(42)의 경사방향을 따라 전후측판(20A)을 비스듬하게 아래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로써 요홈(42)과 삽입돌기(52)가 끼워맞춤되고 걸림턱(43)과 하향돌기(53)가 끼워맞춤되며, 오목부(41A)의 상면과 돌기부(51A)의 저면을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끼워맞춤 상태에서 전후측판(20A)을 저판(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요홈(42)의 경사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전후측판(20A)을 비스듬하게 위로 들어 올려야 하며, 전후측판(20A)을 수직으로 당겨 올려서는 저판(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도7에 도시된 구체예의 오목부(41B)와 돌기부(51B)는 기본적으로 도6의 구체예와 동일하지만, 도6은 요홈(42)과 삽입돌기(52)가 저판조립부(40)와 측판조립부(5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측판조립부(50)에 삽입돌기(52)의 경사진 쪽으로 하향돌기(53)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저판조립부(40)에 상기 하향돌기(53)가 걸리는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도7의 구체예는 요홈(42)과 삽입돌기(52)가 저판조립부(40)와 측판조립부(50)에서 경사진 쪽의 반대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하향돌기(53)와 걸림턱(43)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2장의 전후측판(20A)의 양측에는 나머지 2장의 측판(20B: 좌우측판, 이하 '좌우측판'이라 한다)을 삽입하기 위한 측판삽입부(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상기 측판삽입부(60)는 측판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1)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적절한 체결수단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측판삽입부(60)는 예를 들어 좌우측판(20B)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마주보는 두 측판삽입부(60)에 걸쳐서 좌우측판(20B)을 삽입하면 전후측판(20A) 및 좌우측판(20B)이 포장상자(1A)의 네 측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판(20B)은 전후측판(20A)의 측판삽입부(60)에 단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위로 당기면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연결구(80)를 부가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연결구(80)로서는, 간단한 조작으로 좌우측판(20B)을 전후측판(20A) 또는 측판삽입부(60)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좌우측판(20B)이 전후측판(20A)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구(80)의 예로서는, 도1에 도시된 힌지식 걸쇠(81), 도9에 도시된 도브테일형 끼워맞춤돌기(82), 도10에 도시된 힌지식 걸고리(83), 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84A), 핀홀(84B) 및 스프링(84C)의 핀홀체결구조를 구비한 연결커버(84) 등 다양한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구(80)를 체결함에 따라, 전후측판(20A)은 저판(10)에 고정되고 좌우측판(20B)은 전후측판(20A)에 고정되어 상판(30)을 제외한 모든 판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조립된다.
도12와 도13은 앞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목부(41A)와 돌기부(51A)의 배치 방향을 달리 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전후측판(20A)의 기울임 방향을 변형시킨 예이다.
즉, 전후측판(20A)을 조립 및 분리하기 위해 도8은 한쪽(좌측) 전후측판(20A)은 포장상자(1A)의 내부공간 쪽으로 기울이고 다른쪽(우측) 전후측판(20A)은 포장상자(1A)의 외부 쪽으로 기울려야 하는 경우이지만, 도12는 두 전후측판(20A)을 모두 포장상자(1A)의 내부공간 쪽으로 기울려야 하는 경우이고, 도13은 두 전후측판(20A)을 모두 포장상자(1A)의 바깥쪽으로 기울려야 하는 경우이다.
도12의 구체예는 저판(10)에 4개의 측판(20)을 모두 조립한 상태에서 좌우측판(20B)이 전후측판(20A)의 안쪽으로의 기울어짐을 막고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도13의 구체예는 포장상자(1A)에 물품을 투입한 후에도 전후측판(20A)을 외부 쪽으로 기우려 분리할 수 있음으로 아래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을 꺼내고자 할 때 위에 있는 물품들을 들어내지 않고서도 작업할 수 있고 저판(10) 위에 물품을적재한 다음에 측판(20)을 조립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13의 구체예의 경우 상기 연결구(80)로 전후측판(20A)과 좌우측판(20B)을 고정시키면 의도하지 않게 전후측판(20A)이 외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8의 구체예는 위 양자의 절충형으로서 한쪽(도면에서 우측)의 전후측판(20A)만을 외부 쪽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저판(10)의 네 모서리에 형성하는 코너부재(12)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 쪽으로 기울어지게 한 전후측판(20A)에 대응하는 코너부재(12)는 전후측판(20A)의 기울어짐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도14와 15를 참조하여 도6 및 도7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오목부(41)와 돌기부(51)의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오목부(41C)는 전체적으로 오목한 U자형 내면(44)을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한쪽 가장자리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상향돌기(4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 가장자리에는 오목부(41C)의 안쪽으로 향한 내향걸림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오목부(41C)의 내면(44)에는 수직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걸림단차(47)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1C)에 대응하는 돌기부(51C)는 상기 U자형 오목부(41C)에 수용될 수 있는 대략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상기 U자형 내면(44)에 접하도록 U자형 내면(44)의 내부윤곽에 대응하는 외부윤곽을 가지는 접촉돌기(5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쪽에는 상기 상향돌기(45)가 끼워맞춤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하향요홈(5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갈고리의 끝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내향걸림돌기(46)에 대응하여 위쪽으로 뻗는 상향걸림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돌기부(51C)에도 상기 오목부(41C)의 걸림단차(47)에 걸리는 걸림단차(57)를 추가할 수 있다.
이상의 도15와 같은 오목부(41C)와 돌기부(51C)를 구비한 저판조립부(40)와 측판조립부(50)의 구성에 따라, 저판(10)에 전후측판(20A)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후측판(20A)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돌기부(51C)의 접촉돌기(54)와 상향걸림돌기(56)를 내향걸림돌기(46)가 형성된 쪽으로 오목부(41C)의 공간 안으로 밀어 넣은 다음에, 전후측판(20A)을 수직방향으로 일으키면서 측판조립부(50)의 접촉돌기(54), 하향요홈(55), 상향걸림돌기(56) 및 걸림단차(57)가 각각 저판조립부(40)의 U자형 내면(44), 상향돌기(45), 내향걸림돌기(46) 및 걸림단차(47)에 끼워맞춤 및 걸어맞춤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전후측판(20A)을 저판(10)에서 분리하려면, 전후측판(20A)을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려서는 아니 되고 소정 각도 기우려 측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야만 한다.
앞서, 도1 내지 도13에 관련하여 설명한 여러 변형들은, 오목부(41)와 돌기부(51)의 구조 자체에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고 도14 및 도15의 구체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41)와 돌기부(51)의 배치 방향을 도8, 도12 및 도13과 같은 방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6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를 손수레(4)로 운반하는 편지 운송함이나 정밀부품 운송함과 같은 운송함(1B)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운송함으로 적용된 본 고안의 포장상자의 기본 구성은 도1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추가하여 이들 운송함(1B)에는 측판(20)의 일부를 변형하여 개방 가능한 도어(22)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1)로부터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구의 사용 없이 1인의 작업자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포장상자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둘째, 포장상자를 조립한 후에 물품을 투입할 수 있음은 물론 물품을 투입한 후에 포장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셋째, 내구성이 좋아 장기간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마모 또는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면 거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본 고안의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는, 취급이 조심스런 물품이나 특별한 취급을 요하는 물품을 육로운송, 해상운송 및 항공운송 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상자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지 운송함이나 정밀부품 운송함과 같은 각종 운송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저판(10) 및 4장의 측판(20)을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에 있어서,
    마주보는 2장의 상기 측판(20A)의 저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저판(10)의 변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41)를 구비한 저판조립부(40); 마주보는 상기 2장의 측판(20A)의 저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오목부(41)에 끼워맞춤 되는, 돌기부(51)를 구비한 측판조립부(50); 및 상기 마주보는 2장의 측판(20A)의 양측에 형성되어 나머지 2장의 상기 측판(20B)이 삽입되는 측판삽입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과 상기 측판(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상판(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의 모서리에는 상기 측판(20)의 위치를 결정하고 보강하는 코너부재(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에는 지게차 운반을 위한 팰릿(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의 모서리에는 위에 적층된 다른 포장상자(1)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앵글형 코너부재(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을 상기 측판(20)에 결속시키는 결속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70)는, 분해하여 적층한 상기 저판(10), 상기 측판(20) 및 상기 상판(30)의 결속에도 겸용되는 매직테이프(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2장의 측판(20A)과 상기 나머지 2장의 측판(20B)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연결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조립부(40)의 상기 오목부(41)는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요홈(42)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조립부(50)의 상기 돌기부(51)는 상기 요홈(42)에 끼워맞춤 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길게 신장된 삽입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조립식 포장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조립부(40)에는 상기 요홈(42)의 경사진 쪽에 걸림턱(43)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조립부(50)에는 상기 걸림턱(43)에 걸리는 하향돌기(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조립부(40)의 상기 오목부(41)는 U자형 내면(44)과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향돌기(45)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내향걸림돌기(46)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조립부(50)의 상기 돌기부(51)는 상기 오목부(41)의 U자형 내면(44)에 접하는 접촉돌기(54)와 상기 상향돌기(45)에 끼워맞춤 되는 하향요홈(55)과 상기 내향걸림돌기(46)에 걸리는 상향걸림돌기(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41)는 상기 U자형 내면(44) 내에 형성된 걸림단차(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51)는 상기 걸림단차(47)와 걸어맞춤되는 걸림단차(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KR2020010021515U 2001-07-16 2001-07-16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KR200251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515U KR200251191Y1 (ko) 2001-07-16 2001-07-16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515U KR200251191Y1 (ko) 2001-07-16 2001-07-16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804A Division KR100405217B1 (ko) 2001-07-16 2001-07-16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191Y1 true KR200251191Y1 (ko) 2001-11-17

Family

ID=7308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515U KR200251191Y1 (ko) 2001-07-16 2001-07-16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17B1 (ko) * 2001-07-16 2003-11-17 주식회사 솔링크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17B1 (ko) * 2001-07-16 2003-11-17 주식회사 솔링크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CA2665281C (en) Folding container
JP4130198B2 (ja) 段ボール製包装箱
US20090152264A1 (en) Assembly type box-shaped body and plate material connection structure
US20070221721A1 (en) Stackable Multi-Component Tote Having Locking Members
JP2004508249A (ja) 隅強化体および複数部片トップ・レールを備えた通い箱
EP1489016B1 (en) Stacking box for perishable products
US20070221718A1 (en) Stackable multi-component tote having corner supports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2002205736A (ja) 収納箱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0405217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KR200251191Y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JPH0720019Y2 (ja) 面積可変パレット
KR20210026876A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JP2008247453A (ja) コンテナ
JPH06211240A (ja) 折畳コンテナ
JP3333151B2 (ja) 折畳コンテナ
KR200339435Y1 (ko) 포장용 상자
JP3124271U (ja) 搬送容器の防塵手掛け
US200900787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JP3164495U (ja) コンテナの構造
JP3875803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970006185Y1 (ko) 포장 및 운반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