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539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539B1
KR101617539B1 KR1020140129598A KR20140129598A KR101617539B1 KR 101617539 B1 KR101617539 B1 KR 101617539B1 KR 1020140129598 A KR1020140129598 A KR 1020140129598A KR 20140129598 A KR20140129598 A KR 20140129598A KR 101617539 B1 KR101617539 B1 KR 10161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andle
door
cook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036A (ko
Inventor
정의수
손휘창
최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539B1/ko
Priority to DE102015116016.1A priority patent/DE102015116016B4/de
Priority to US14/867,887 priority patent/US10443857B2/en
Publication of KR2016003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39B1/ko
Priority to US16/180,484 priority patent/US11054143B2/en
Priority to US17/331,449 priority patent/US119466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2Doors; Flap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장치;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 가능한 상태로 조리하는 주방 가전기기의 하나이며, 이러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원으로 가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 조리기기와, 공급되는 가스를 열원으로 가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스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종류에 따라 복사열을 발산하는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과,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조리실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이 제공되며, 상기 턴테이블은 음식물을 지지하면서 회전하여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근래에는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가열 방식 및 가열 조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그네트론과 히터가 함께 장착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급속 조리가 필요한 요리는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급속 조리가 아닌 요리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특성에 따라 더욱 큰 부피 또는 무게를 가지는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일 예로, 오븐 레인지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를 이용하여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쿡탑부와, 버너 또는 히터를 이용하여 폐쇄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오븐부와, 음식물의 보온 등을 위한 드로워부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 레인지의 드로워부는 오븐 레인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위치적 특성에 의해 상기 드로워부를 사용하기 위하여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인입 또는 인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2263호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드로워부 일측에 장착되어 반복적인 동일 방향의 힘에 의해서 드로워가 선택적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강제하는 드로워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에 관한 구성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동일 방향의 힘에 의해 드로워가 선택적으로 인출/입 가능한 구성을 통해 드로워부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상기 드로워부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복잡한 구성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더 발생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며, 전면에 결합홀이 개구되는 도어; 상기 결합홀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케이싱; 상기 도어의 전방에 위치되며, 양단이 상기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양단과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레버는, 상기 핸들과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홀을 출입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케이싱과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부와 축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케이싱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홀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부의 둘레와 접하는 홀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홀을 개폐한다.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에 의해 사용자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기 용이한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조리기기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사용자의 신체적 무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일부를 나타낸 부분 투영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과 지지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장치의 구성 일부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핸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지지장치 케이싱 구성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드로워부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과 지지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지지장치 구성을 나타낸 후방 체결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핸들과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레인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쿡탑부(20)와, 제1조리부(30)와 제2조리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리기기(1)는 그 종류에 따라 상기 쿡탑부(20)와 제1조리부(30) 또는 상기 쿡탑부(20)와 제2조리부(40)를 생략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제1조리부(30) 또는 제2조리부(40)와 상기 제어부(50)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조리부(30,40)가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조리기기(1)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형태에 대하여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조리부(30,40)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면서 일면이 개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가 차폐된 상태에서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이 형성되는 구성은 동일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조리부(30,4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조리부를 제1조리부(30)로 명명하고, 상기 제1조리부(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조리부를 제2조리부(40)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리부(30)에 형성되는 상기 캐비티를 제1캐비티(32)라 명명하고, 상기 제1캐비티(32)가 차폐된 상태에서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를 제1도어(33)라 명명하며, 상기 제1도어(33)에 장착되는 핸들을 제1핸들(34)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제1, 2 조리부(30,40) 및 상기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조리기기(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조리부(30)가 위치되고, 상기 제1조리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쿡탑부(20)가 위치되며,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는 상기 제2조리부(40)가 배치되고, 상기 쿡탑부(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어부(5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에는 외부케이스(10)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의해 상기 제1,2조리부(30,40)의 양 측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2조리부(30,40)에는 상기 캐비티(31,4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3,44)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33,43)는 상기 캐비티(31,41)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조리부(30,40)에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2캐비티(31,41)의 구성이 제공되고, 상기 제1,2캐비티(31,41)에는 상기 제1,2캐비티(31,41)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조리부(30,4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제1,2도어(33,43)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조리기기(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쿡탑부(20)는 종류에 따라 다수의 쿡탑히터(21) 또는 쿡탑버너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쿡탑히터(21)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쿡탑버너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킴으로써 화염에서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쿡탑히터(21)가 장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쿡탑부(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기 쿡탑부(2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유리(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쿡탑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쿡탑부(2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제공되기도 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50)에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쿡탑부(20)에는 하나 이상의 히터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는 상기 쿡탑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쿡탑부(20)를 구성하는 가열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쿡탑히터(21)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쿡탑부(20)에는 다양한 출력과 다양한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상기 쿡탑히터(21)가 다수 설치되며, 사용자는 음식물의 양 또는 음식용기의 부피 등에 따라 적합한 상기 쿡탑히터(21)를 선택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쿡탑히터(21)는 발산되는 열이 상기 상면유리(22)로 잘 전달되도록 상기 상면유리(22)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쿡탑히터(21)의 하측에는 상기 쿡탑히터(21)가 상기 상면유리(22)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 또는 지지부재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상면유리(22)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상면유리(22)는 상면이 하나의 단일 평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쿡탑히터(21)가 상기 쿡탑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상기 쿡탑부(2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과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조리부(30)가 위치되며, 상기 제1조리부(30)의 하측에는 상기 제2조리부(4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2조리부(30,40)는 음식물의 수용 공간인 상기 제1,2조리실(31,41)과, 상기 제1,2조리실(31,41)을 수용하면서 일면이 개방되는 제1,2캐비티(32,42)와, 상기 제1,2캐비티(32,42)가 차폐된 상태에서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2도어(33,43)와, 상기 제1,2도어(33,43)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2핸들(34,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조리부(30,40)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2조리실(31,41)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고, 상기 제1,2도어(33,43)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2캐비티(32,42)의 개방된 면을 개폐하면서, 상기 제1,2조리실(31,41)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제1,2캐비티(32,42)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2조리부(30,40)에는 상기 제1,2조리실(31,41)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히터는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과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조리부(40)의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1조리부(30)는 상기 제2조리부(4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제1조리부(30)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조리부(40)에는 상기 제2캐비티(4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히터와,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히터 및 후방에 위치되는 컨벡션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히터는 상기 제2캐비티(42)의 상측 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히터는 상기 제2캐비티(42)의 하측 벽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컨벡션히터는 상기 제2캐비티(42)의 후측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히터는 상기 제2조리실(41)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다음 상기 제2조리실(41)로 토출하면서 상기 제2조리실(41)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제2조리실(41)의 내부에 놓이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조리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히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시즈히터 또는 할로겐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대하여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하며, 상기 상부히터와 하부히터 및 컨벡션히터가 상기 조리기기(1)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히터는 상기 제2조리실(41)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가열원 또는 열원이라 명명하기도 한다.
상기 제2조리부(40)에는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폐하기 위한 제2도어(43)가 장착된다. 상기 제2도어(43)는 상기 제2캐비티(4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 상기 제2도어(43)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3)의 상기 제2캐비티(42) 개폐 방식에 대하여서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즉, 상기 제2도어(43)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인 풀-다운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인 풀-업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2도어(4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핸들(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제2도어(43)의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함몰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핸들(44)이 일정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로드(rod)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리부(30)는 상기 제2조리부(40)와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 일 예로,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제1,2조리부(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과 상기 조리기기(1)의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표시창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도어(33)와 상기 제2도어(43)의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3)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일부를 나타낸 부분 투영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핸들과 지지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체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결합되는 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결합되는 핸들과 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측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결합되는 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2도어(43)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캐비티(42)를 차폐하게 될 때 상기 제2조리부(4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핸들(44)이 장착된다. 상기 제2핸들(44)은 일정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로드(rod)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부분이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폐하고자 할 때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조리부(4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상기 조리기기(1) 전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2도어(4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핸들(44)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면서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2핸들(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2핸들(44)의 양단부 상세하게는, 상기 제2핸들(44)이 결합 체결되는 양쪽 끝 부분이 위치하는 상기 제2도어(43)의 내부 공간에 상기 지지장치(60)가 위치된다.
상기 제2도어(43)에는 상기 제2핸들(44)의 양쪽 끝 부분이 상기 지지장치(6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면적만큼 절제되는 결합홀(4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431)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제2도어(43)와 상기 제2핸들(44)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홀커버(432)가 제공된다.
상기 홀커버(432)는 상기 결합홀(431)의 테두리 부분에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2도어(43)에 장착된다. 상기 홀커버(432)가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홀(431)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되면, 상기 제2핸들(44)이 상기 제2도어(4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제2도어(43)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마모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결합홀(431)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장치(6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2핸들(44)과 결합되는 핸들레버(61)와, 상기 핸들레버(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케이싱(6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핸들레버(61)는 상기 제2핸들(44)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6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2)는 상기 결합홀(431)의 면적 이하의 면적을 가지면서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홀(431)의 면적보다 다소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핸들(44)이 상기 제2도어(4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될 때, 상기 고정부(6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홀(431)을 통과하여 상기 제2도어(43)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62)가 상기 결합홀(431)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결합홀(431)을 통해 상기 제2도어(43)의 내부로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부(63)는 상기 고정부(6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를 측방에서 보면 대략 "L"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즉, 환봉(丸棒)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63)의 상단 길이, 상세하게는 가로 방향의 길이는 하방에서 절곡되는 부분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를 전방에서 보면, 대략 "T"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좌측과 우측의 끝 부분은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절곡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회전부(63)의 좌우 끝 부분이 절곡되는 부분보다 더 측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만큼 상기 케이싱(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핸들레버(61)의 후측에는 상기 케이싱(64)이 위치된다. 상기 케이싱(64)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에는 상기 고정부(6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고정부(6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64)은 상기 회전부(6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65)와, 상기 연결부(65)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62)와 상기 연결부(65)를 지지하는 지지부(6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65)에 상기 회전부(6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상기 제2핸들(44)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62)가 상기 케이싱(64)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63)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65)와 결합됨으로써, 상단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65)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하게 되고, 하단부는 이차 곡선 형태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65)에 상기 회전부(63)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상기 제2캐비티(4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도어(43)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부(65)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부(63)의 상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62)의 하단부가 이차 곡선 형태의 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66)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5)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면, 아치 형태로 형성되면서 길이 방향 중앙부에 내면이 상기 회전부(63)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63)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65)를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부(63)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부(63)의 상단에 측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부(65)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65)에 상기 회전부(6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65)는 아치 형태가 아닌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부(63)가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회전부(63)가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연결부(65)의 내면은 상기 회전부(63)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 부분의 외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연결부(65)에 상기 회전부(63)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핸들레버(61)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케이싱(64)에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부(62)에서 연장되는 상기 회전부(63)가 수용되는 회전부수용홈(도 6의 67)이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수용홈(67)에 상기 회전부(6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핸들레버(61)는 상기 케이싱(64)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64)은 제1케이싱(641)과 제2케이싱(6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싱(641)과 상기 제2케이싱(642)은 전방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호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부(63)가 상기 제1,2케이싱(64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65)와 결합된다.
즉, 상기 케이싱(64)은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사이에 상기 회전부(63)가 개입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연결부(65)에 상기 회전부(63)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63)는 상기 케이싱(6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62)에는 상기 제2핸들(44)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64)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면서 체결되면, 상기 케이싱(64)과 상기 고정부(62)와 상기 제2핸들(44)은 동일 체결부재가 관통되면서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싱(64)은 상기 제1케이싱(641)과 상기 제2케이싱(64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641)에는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지지부(66)의 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싱(642)에는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지지부(66)의 다른 일부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케이싱(64)은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사이에 상기 핸들레버(61)의 상기 회전부(63)가 개입되면서 상호 결합되어 상기 핸들레버(6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제1케이싱(641)에는 상기 제2케이싱(642)과의 상호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643,645)가 상기 제2케이싱(64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642)에는 상기 가이드(643,645)가 수용되면서 상기 제1케이싱(641)과의 상호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용홈(644,6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643,645)는 상기 제1케이싱(641)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지지부(66)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2케이싱(64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용홈(644,646)은 상기 제2케이싱(642)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지지부(66)의 일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643,645)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케이싱(641)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65)에 제공되는 상기 가이드(645)를 제2가이드라 하고, 상기 지지부(66)에 제공되는 가이드(643)를 제1가이드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싱(644)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66)에 제공되는 상기 가이드수용홈(644)을 제1가이드홈이라 하고, 상기 지지부(66)에 제공되는 상기 가이드수용홈(646)을 제2가이드홈이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어떠한 명칭으로 칭하더라도 상기 가이드(643,645)와 상기 가이드수용홈(644,646)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이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643,645)가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수용홈(644,646)은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643,645)가 수용되도록 대응되는 하나의 상기 가이드수용홈(644,6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싱(641)의 상기 연결부(65)에 형성되는 상기 제2가이드(645)는 측방에서 볼 때 대략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케이싱(64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6)에 형성되는 상기 제1가이드(643)는 상기 지지부(66)의 측면 테두리 부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측방에서 볼 때 대략 "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케이싱(64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2가이드(643,645)가 아치 형태와 "ㄴ"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무방하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2가이드(643,64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1,2가이드홈(646,644)이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하면에는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상호 결합을 위한 케이싱결합부(647)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결합부(647)는 상기 제1,2가이드(643,645)가 상기 제1,2가이드홈(644,646)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이 결합될 때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결합부(647)는 후크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싱(642)의 하면에는 후크 걸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641)의 하면에는 후크 돌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싱(641)의 하면에 상기 후크 돌기의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제2케이싱(642)의 하면에 상기 후크 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과 끼움 결합되면서 결합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기 케이싱결합부(647)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제1,2케이싱(641,642)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드로워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1)는 쿡탑부(20)와, 오븐부(30)와 드로워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의 상단에는 상기 쿡탑부(20)가 위치되고, 상기 쿡탑부(20)의 하측에 상기 오븐부(30)가 배치되며,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 상기 드로워부(40)가 배치되고, 상기 쿡탑부(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쿡탑부(20)에는 다수의 쿡탑버너(21)가 장착된다. 상기 다수의 쿡탑버너(21)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행되는 화염의 연소열에 의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오븐부(30)에 관한 설명은 전술된 부분과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드로워부(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븐부(30)가 상기 제1조리부로, 상기 드로워부(40)가 제2조리부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븐부(30)의 캐비티를 제1캐비티로, 상기 드로워부(40)의 캐비티를 제2캐비티로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어의 일관성을 위하여 상기 오븐부(30)를 제1조리부, 상기 드로워부(40)를 제2조리부로 칭하고, 상기 오븐부(30)에 형성되는 캐비티를 제캐비티, 상기 드로워부(40)에 형성되는 캐비티를 제2캐비티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조리부(40)는 상기 조리기기(1)의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내부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수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조리부(40)에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상기 제2조리실(41)이 형성되는 제2캐비티(42)를 가지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2도어(43)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캐비티(42)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로워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2도어(33,43)는 서로 다른 동작에 의해 상기 제1,2캐비티(32,42)의 개방된 면을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도어(33)는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제1캐비티(32)의 개방된 면을 개폐하게 되고, 상기 제2도어(43)는 상기 드로워의 슬라이딩에 의해 개방된 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캐비티(32)는 전면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면서,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출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캐비티(42)는 상면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면서,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출입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드로워의 전면에는 상기 제2도어(4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43)에는 상기 제2핸들(44)이 장착된다. 상기 제2도어(43)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로워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핸들(44)은 일정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로드(rod)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부분이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지지장치 구성을 나타낸 후방 체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리기기(1)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어(33,43)에는 상기 도어(33,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34,44)과, 상기 핸들(34,44)이 상기 도어(33,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장치(60)가 포함된다.
상기 핸들(34,44)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1핸들(34) 또는 상기 제2핸들(44)에 모두 장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만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지지장치(60)는 어느 상기 핸들(34,44)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며, 그 구성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2핸들(44)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장치(60)의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상기 드로워를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때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2핸들(44)과 결합되는 핸들레버(61)와, 상기 핸들레버(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케이싱(64)과, 상기 핸들레버(61)와 케이싱(64)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60)는 상기 제2도어(4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장치(60)와 상기 제2핸들(44)은 동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제2도어(43)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도어(43)에는 상기 결합홀(4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431)은 상기 핸들레버(61)의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레버(61)는 상기 고정부(62)와 상기 회전부(6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64)은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지지부(6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핸들레버(61)와 상기 케이싱(64)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재(68)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부재(68)는 상기 회전부(63)와 상기 케이싱(64)의 상기 연결부(65)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8)는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회전부(63)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63)와 상기 연결부(65)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8)에 의해 상기 회전부(63)와 상기 연결부(65)가 결합되어 연결되면, 상기 연결부재(68)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63)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54)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68)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환봉 형태의 핀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연결부(65)에 형성되는 삽입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68)의 체결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68)의 한쪽 끝 부분에 측방으로 돌기 형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68)의 체결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연결부(65)에 형성되는 홀의 한쪽 끝 부분이 차폐되거나, 상기 홀의 한쪽 끝 부분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68)의 체결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핸들 동작을 나타낸 부분 절개 측방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상기 제2캐비티(42)의 개방 면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2도어(4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도어(43)에 장착되는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44)을 파지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부(63)는 상기 연결부재(68)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핸들(44)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62)가 이차 곡선의 궤도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63)가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연결부재(68)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68)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수용홈(67)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63)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홀(431)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하단부는 이차 곡선 형태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63)의 하단부가 이차 곡선 형태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63)와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62)는 이차 곡선 형태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6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핸들(44)은 상기 제2도어(43)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이 구성되며, 이러한 핸들에 의해 도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조리기기 전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많은 장점으로 인해, 조리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1. 조리기기 10. 외부케이스
20. 쿡탑부 21. 쿡탑히터, 쿡탑버너
22. 상면유리 30. 제1조리부, 오븐부
31. 제1조리실 32. 제1캐비티
33. 제1도어 34.. 제1핸들
40. 제2조리부, 드로워부 41. 제2조리실
42. 제2캐비티 43. 제2도어
431. 결합홀 432. 홀커버
44. 제2핸들 50. 제어부
60. 지지장치 61. 핸들레버
62. 고정부 63. 회전부
64. 케이싱 641. 제1케이싱
642. 제2케이싱 643. 제1가이드
644. 제1가이드홀, 가이드수용홈 645. 제2가이드
646. 제2가이드홀, 가이드수용홈 647. 케이싱결합부
65. 연결부 66. 지지부
67. 회전부수용홈 68. 연결부재

Claims (17)

  1. 음식물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며, 전면에 결합홀이 개구되는 도어;
    상기 결합홀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케이싱;
    상기 도어의 전방에 위치되며, 양단이 상기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양단과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레버는,
    상기 핸들과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홀을 출입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케이싱과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부와 축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조리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으로 구성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케이싱결합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수용홈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부의 둘레와 접하는 홀커버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홀을 개폐하는 조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리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29598A 2014-09-26 2014-09-26 조리기기 KR10161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98A KR101617539B1 (ko) 2014-09-26 2014-09-26 조리기기
DE102015116016.1A DE102015116016B4 (de) 2014-09-26 2015-09-22 Kochgerät
US14/867,887 US10443857B2 (en) 2014-09-26 2015-09-28 Cooking appliance
US16/180,484 US11054143B2 (en) 2014-09-26 2018-11-05 Cooking appliance
US17/331,449 US11946648B2 (en) 2014-09-26 2021-05-26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98A KR101617539B1 (ko) 2014-09-26 2014-09-2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36A KR20160037036A (ko) 2016-04-05
KR101617539B1 true KR101617539B1 (ko) 2016-05-02

Family

ID=554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98A KR101617539B1 (ko) 2014-09-26 2014-09-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443857B2 (ko)
KR (1) KR101617539B1 (ko)
DE (1) DE10201511601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539B1 (ko) * 2014-09-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60133168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10684063B2 (en) * 2015-12-28 2020-06-16 Whirlpool Corporation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CN109406693A (zh) * 2018-12-09 2019-03-01 大连技嘉科技有限公司 糖化血红蛋白分析仪用柱温箱
US11920382B2 (en) * 2020-09-15 2024-03-05 Midea Group Co., Ltd.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USD1005769S1 (en) 2021-09-08 2023-11-28 Newage Products Inc. Ov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1190A (en) * 1928-06-20 1931-04-14 Edison General Elec Appliance Door construction
US2130168A (en) * 1936-06-05 1938-09-13 Harry C Weiskittel Co Inc Oven construction
US2586138A (en) * 1947-07-19 1952-02-19 Cribben And Sexton Company Stove drawer track
US2762677A (en) * 1954-02-11 1956-09-11 Florence Stove Co Gas range drawer structure
US3072899A (en) * 1960-02-15 1963-01-08 Gen Precision Inc Remote interrogator-responder signal-ling system communications channel apparatus
US4082077A (en) * 1976-07-22 1978-04-04 Litton Systems, Inc. Oven door latch
KR100596533B1 (ko)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DE10208457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etür
DE10208496A1 (de) 2002-02-27 2003-10-16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etür
KR100936761B1 (ko) 2002-12-30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레인지의 오븐 도어장치
DE20311795U1 (de) * 2003-07-31 2004-11-18 Alfit Ag Schubladen-Ausziehführung mit Einzugsautomatik mit integrierter Dämpfung
DE102004059563A1 (de) * 2004-12-10 2006-02-23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Korpus und einer daran um eine Schwenkachse schwenkbar gehaltenen Tür mit einem Türgriff
KR20060082263A (ko) 2005-01-12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부
AU2006317793B2 (en) * 2005-11-24 2010-12-02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ovens
US20080276925A1 (en) * 2007-05-11 2008-11-13 Griswold Kevin L Latch for oven door
KR20090002091U (ko) 2007-08-29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901019B2 (en) * 2007-12-28 2011-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assembly for use in a home appliance
KR101600310B1 (ko) * 2008-02-20 2016-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8010525A1 (de) * 2008-02-22 2009-08-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vorrichtung
KR101809178B1 (ko) * 2011-04-26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더 보관부를 갖는 조리기기
KR101897275B1 (ko) * 2011-05-04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EP2359735A3 (de) * 2011-05-26 2011-11-30 V-Zug AG Haushaltsgerät mit Tür und Griff
DE102012203519A1 (de) * 2012-03-06 2013-09-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schwenkbare Griffbefestigung
KR101370923B1 (ko) 2012-08-02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9297572B2 (en) * 2014-04-14 2016-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an articulating handle
KR101691837B1 (ko) 2014-09-16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617539B1 (ko) * 2014-09-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65456B1 (ko) * 2015-12-08 2017-08-07 이준영 도어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36A (ko) 2016-04-05
US11054143B2 (en) 2021-07-06
US20210285654A1 (en) 2021-09-16
US20190072281A1 (en) 2019-03-07
DE102015116016B4 (de) 2024-05-29
US11946648B2 (en) 2024-04-02
US10443857B2 (en) 2019-10-15
DE102015116016A1 (de) 2016-03-31
US20160091209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539B1 (ko) 조리기기
KR1016463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US9504351B2 (en) Double oven appliance
EP3051208B1 (en) Cooking device
EP3415821B1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EP2135009B1 (en) Oven
US8820311B2 (en) Oven range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KR101605617B1 (ko) 멀티 전기오븐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JP6690145B2 (ja) 加熱調理器
KR101742824B1 (ko) 가스오븐레인지
JP6177707B2 (ja) 加熱調理器
US20160265791A1 (en) Cooking device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5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JP6604064B2 (ja) 加熱調理器
JP2000205574A (ja) オ―ブント―スタ―
US20050167413A1 (en) Cooking heater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