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37B1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37B1
KR101691837B1 KR1020140122493A KR20140122493A KR101691837B1 KR 101691837 B1 KR101691837 B1 KR 101691837B1 KR 1020140122493 A KR1020140122493 A KR 1020140122493A KR 20140122493 A KR20140122493 A KR 20140122493A KR 101691837 B1 KR101691837 B1 KR 10169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link
handle link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420A (ko
Inventor
최문호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37B1/ko
Priority to US14/853,425 priority patent/US9777523B2/en
Priority to EP15185205.0A priority patent/EP29984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3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arms fixed on the wing pivoting about an axis out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 having a mov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기 위한 세탁장치,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등이 가전제품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일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이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 가전제품은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 의류가 보관되거나 처리되는 공간,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 또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 등 그 형태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전제품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상기 챔버는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전제품은 대상물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가전제품의 용량, 특히 챔버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의 크기도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의 무게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크기와 무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통해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가전제품 중 종래의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30)의 전면 상부에 핸들(40)이 구비되고, 도어 하부의 회전 중심에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40)을 잡고, 잡아당김과 동시에 아래로 힘을 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를 풀다운 (pull-down)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40)은 상기 도어(3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많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손등(b)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게 된다. 이 경우, 도어가 열림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고, 심지어 도어 상부 모서리(30a)에 손등(b)이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어를 여는 도중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꾸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때 한 손은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바꿔 상기 핸들을 잡아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는 손바닥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며, 손목이나 손바닥이 상기 모서리(30a)에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어느 정도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게 된다. 특히, 도어가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어 도어를 다시 닫게 될 때 핸들(40)을 다시 잡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핸들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뿐만 아니라 허리, 무릎이나 어깨 등 다양한 관절과 근육 부위의 움직임을 요하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도어의 크기 및 무게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핸들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사용자의 수고와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를 갖는 가전제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84830(특허등록 10-1370923) 발명(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을 제시한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에서는 핸들과 연결된 핸들링크의 회전과 도어의 회전이 연동되도록 하여, 도어의 회전함에 따라 핸들도 회전하는 가전제품을 제시한바 있다. 이러한 회전의 연동은, 도어의 회전축과 링크의 회전축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가 핸들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메커니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에서는 기본적인 핸들과 도어의 연동 메커니즘만을 제시한 것으로, 실제로 제품 적용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례로, 핸들에 매우 큰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핸들링크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즉, 핸들에 수직 상방 또는 하방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어 회전축에도 수직 상방 또는 하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도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는 많은 힘이 핸들링크에 가해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특히, 핸들을 잡고 가전제품을 이동시킬 때, 핸들을 통해 가전제품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들링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아울러, 도어의 회전 반경에 비해서 핸들링크나 핸들의 회전 반경이 매우 작다. 따라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핸들이나 핸들링크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즉,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핸들이 도어 전면에 밀착되지 않고 전후로 이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선행발명은 기본적인 메커니즘만을 제시할 뿐 실제 제품 적용 측면에서는 제품 신뢰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가전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에 핸들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다시 닫을 때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 사용자의 손목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도어의 모서리에 사용자의 손등이나 손목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회전과 연동되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꿀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회전에 종속적으로 그리고 비례적으로 핸들이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와 핸들의 이동 사이에서 오인 혼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 개폐시 핸들을 통해서 최소한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핸들보다 도어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한 모멘트 거리를 늘릴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와 핸들의 회전 연동 메커니즘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구현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핸들을 통해 수직 하중이 걸리는 경우, 이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핸들이 도어 전면에 밀착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핸들의 위치가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핸들링크 브라켓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링크에는 상기 회전축과의 반경이 일정한 호 형태의 구름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름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 또는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 각도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링크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는,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일단과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회전축과 편심된 위치의 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핸들링크에 가해지는 수직 상부 방향의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으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회전축과 상기 도어 회전축에서 편심된 댐퍼 회전축을 갖는 힌지 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링크를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인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열릴 때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핸들링크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핸들링크에 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링크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이 증감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핸들링크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링크;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는 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핸들링크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링크;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열릴 때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핸들링크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핸들링크에 가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링크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일 스플링은 상기 링크의 내부에 상기 링크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링크에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하 이동을 하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변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링크 연결부의 캠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과 상기 변형부재의 맞닿는 부분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변형부재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캠과 코일 스프링 사이의 연결 관계로 인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소정각도로 열리는 범위까지만 탄성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리는 전체 범위에서 탄성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이 도어에 밀착되도록 필요한 만큼의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필요 이상의 탄성복원력의 발생으로 인해 오히려 도어의 개방각도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극복해야하는 탄성복원력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이 쉽게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간격유지부재와 복합적으로 사용되면 핸들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핸들링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징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에 핸들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다시 닫을 때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시 사용자의 손목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도어의 모서리에 사용자의 손등이나 손목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회전과 연동되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꿀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회전에 종속적으로 그리고 비례적으로 핸들이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와 핸들의 이동 사이에서 오인 혼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 개폐시 핸들을 통해서 최소한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핸들보다 도어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한 모멘트 거리를 늘릴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와 핸들의 회전 연동 메커니즘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구현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핸들을 통해 수직 하중이 걸리는 경우, 이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핸들이 도어 전면에 밀착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 동작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의 일례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링크 부분에 대한 전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의 다른 일례의 핸들링크 부분에 대한 전방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후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제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도어 회전과 핸들 회전의 메커니즘은 선행발명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구성들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도어 및 이를 개폐하는 핸들과 관련이 있으므로, 캐비닛(20, 도 1 참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어(300)는 캐비닛과 연결되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300)에는 핸들(410)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핸들(410)을 잡고 상기 도어(300)를 열고 닫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복수 개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도어(300)는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310)과 도어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30)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00) 사이에는 중간 패널(3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들(310, 320, 330)의 중앙에는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315, 325, 3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들에 대응되는 윈도우 패널(3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310), 후면 패널(330), 중간 패널(320) 그리고 윈도우 패널(34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도어(3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0)의 하부에는 차폐 패널(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 패널(350)의 상기 도어(30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는 도어(300)가 열리고 닫히는 힌지 구조들(46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최대한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거나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댐퍼 구조들(450, 47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300)의 하부에는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리(4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가 각각 도어(300)와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300)가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460)와 댐퍼 구조(450, 470)는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핸들(410)을 통해 단순히 도어(300)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핸들(41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의 일례가 오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300)의 회전 각도와 핸들(410)의 회전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핸들 어셈블리(400)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도어(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410)과 연결되는 핸들링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그대로 상기 핸들(41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30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420)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300)의 전면 특히 전면 패널(310)에 형성된 핸들 관통공(311)을 통해 도어(300) 내외부로 출입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관통공(311)을 통해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핸들링크(420)의 길이가 커지게 된다.
상기 관통공(311)공 주변에는 상기 관통공(311)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를 출입하는 핸들링크(420)를 보호하기 위하여 밀착부재(3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312)의 전후 또는 상기 관통공(311)의 전후로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410)은 도어의 위치나 열림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도어(300)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이며,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0) 내부에는 상기 핸들링크(420)를 지지하는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도어(300) 내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힘이 직접 도어(30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으로 인해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기 도어(300)에 대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대 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300)의 회전 각도를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 각도로 전환시키는 링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링크(440)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를 이루는 구성이 아니고 댐퍼나 힌지를 갖는 댐퍼 어셈블리나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440)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핸들 어셈블리(4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의 측면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도어(300)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즉, 핸들(410), 도어(300) 그리고 캐비닛(20)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어 내부에 있는 구성들은 도어(300)와 함께 힌지(460)에 의해서 캐비닛에 연결된다. 즉, 도어 및 도어 내부의 구성들은 힌지(460)에 구비되는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열림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힌지(46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상기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힌지 하우징(465)이 회전하며, 상기 힌지(460)는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465)은 도어의 패널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패널들과 일체로 상기 힌지 하우징(465)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65) 내부에는 상기 힌지(460)뿐만 아니라 댐퍼(45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회전축(451)은 상기 힌지(46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회전축(451)은 댐퍼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나의 힌지 또는 힌지 어셈블리에 서로 다른 회전축인 도어 회전축(461)과 댐퍼 회전축(링크 회전축, 451)가 함께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회전축(451)과 도어 회전축(461)은 서로 편심되어 있다. 즉, 서로 동축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도어가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댐퍼(450)는 상기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중심의 차이로 인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450)와 상기 힌지 하우징(450) 사이의 위치 관계는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댐퍼(450)와 상기 힌지 하우징(450)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댐퍼(450)와 힌지 하우징(465) 사이의 소정의 예각을 갖는다. 그러나,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이러한 각도는 더욱 작아진다.
이러한 댐퍼(450)와 힌지 하우징(465) 각각의 회전 중심과 이러한 회전 중심들 사이의 편심 관계로 인해, 핸들링크(420)가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댐퍼(450)는 댐퍼 하우징(452), 댐퍼 로드(453) 그리고 댐퍼 스프링(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450)는 상기 힌지 하우징(46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 하우징(452)은 상기 링크 회전축(451) 또는 댐퍼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댐퍼 하우징(452)은 상기 댐퍼 로드(4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댐퍼 로드의 둘레에는 댐퍼 스프링(454)가 위치되어, 도어가 원활히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450)는 상기 댐퍼 하우징(452), 댐퍼 로드(453) 그리고 댐퍼 스프링(454)가 댐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댐퍼 회전축(링크 회전축)과 도어 회전축(461)의 편심 관계로 인해 이러한 댐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450) 구조는 잘 열려진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450)에 링크(440)를 연결함으로써 핸들링크(420)가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링크(440)가 상기 댐퍼 로드(453)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핸들링크(420)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회전하면서 열릴 때 상기 링크(440)가 상기 핸들링크(420)를 잡아당겨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핸들(410)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으로 인해 도어 전면에 대한 핸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42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1)에는 핸들과 핸들링크를 통해서 가해지는 수직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1)에 큰 힘이 걸릴 수 있으며 아울러 핸들링크(42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1)을 고정시키기 위한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은 상기 도어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에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말단에서 더욱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의 상측의 좌우 폭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좌우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1)이 고정되는 부분에서의 좌우 폭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들링크 회전축(421)의 좌우 폭을 더욱 확장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도 더욱 확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특정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도 상기 댐퍼(450)의 좌우 폭에 비하여 크게 된다. 따라서, 보다 신뢰성이 있고 강도가 보강된 핸들링크(42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핸들(410)이 상기 도어(300)에 보다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격유지부재(48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핸들링크(420), 간격유지부재(480), 링크(440) 그리고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결합된 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핸들링크 브라켓(430)을 생략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크(420)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은 상기 수평부(425)의 일단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5)는 상기 수평부(425)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25)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으로부터 도어(300) 후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21)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41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핸들링크(420)는 하나의 부재를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도어를 개폐하는 힘뿐만 아니라 수직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핸들링크(42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425)는 일단에 형성된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포함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425)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8)에는 상기 연장부(421)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421)에서 하방 그리고 도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28)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421)는 내측 연장부(427)과 외측 연장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장부(427)가 상기 외측 연장부(426)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연장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연장부(427) 또는 외측 연장부(426)에는 핸들 결합부(427a)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 결합부(417a)를 통해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25)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핸들링크 회전축(422)이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핸들링크(420)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도어가 열림에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90도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수평부(425)는 수직 위치가 되며, 상기 연장부(421)의 많은 부분이 도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핸들링크(420)의 회전은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며, 이러한 연동을 위하여 링크(4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440)를 통해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링크(420)는 링크 연결부(4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연결부(425)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44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링크 연결부(424)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의 모멘트 거리로 인해, 상기 핸들링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핸들링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댐퍼 로드(45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어의 회전 중심과 링크의 회전 중심이 다르기 때문에, 도어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440)가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축(422)과 연결부(428) 사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회전축(422) 보다는 높은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회전축(422), 연결부(428)와 일체로 상기 수평부(42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 연결부(424)의 위치로 인해서,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관통부(42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424)는 상기 핸들링크(42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429)를 통해서 상기 링크(440)가 상기 링크 연결부(424)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429)는 상기 상기 핸들링크(420)에 대한 상기 링크(44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허용하도록 전후로 여유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부(429)의 위치로 인해, 상기 관통부(429)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상기 간격유지부재(48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핸들링크(42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들(410)이나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관통부(429)를 기준으로 하나의 핸들링크(420)를 좌우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회전과 무관하게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핸들(410)을 수직 상방으로 잡아 올리면, 도어(300)와 핸들링크(420)는 회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힘의 방향에서는 도어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힘은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의 수평부(425)와 연장부(420)의 형상으로 인해, 핸들링크의 변형이나 파손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상기 연장부(421)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양자 사이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핸들링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링크(42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핸들링크(420)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4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링크(420)는 연장부(4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부(421)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상기 연장부(4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연장부(421)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으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을 통해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수직 상부 방향의 힘을 지지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425)를 통해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 대한 상기 연장부(421)의 회전 반경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부(425)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지탱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425)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를 통해서 상기 수직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에 대해서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481)은 상기 핸들링크(422)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482)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은 호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핸들링크의 연장부(421)에는 구름 가이드(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름 가이드(423)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의 반경이 일정한 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481)은 상기 구름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핸들링크(420)와 간격유지부재(480) 사이의 접촉, 즉 힘 전달이 유지되면서 상기 핸들링크(4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420)가 형상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의 회전 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이를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를 통해서 핸들링크(420)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핸들링크가 보다 원활히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410)은 도어의 전면에 밀착된 위치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 핸들이 전후 또는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이 작은 힘에도 움직이는 경우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4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탄성부재(490)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간격유지부재(480)가 구비된 실시예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와는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간격유지부재(480)가 생략략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핸들링크(420), 핸들링크 브라켓(430) 그리고 링크(4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은 도어(300)가 열림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힘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은 더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이러한 회전의 제한은 상기 핸들(410)이 밀착부재(312)에 밀착되어 더이상 회전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410)이 도어 전면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인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9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410)이나 핸들링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도어가 완전히 닫힌 초기 상태)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힘에 의해 상기 핸들(410)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재(312)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또한, 도어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을 조금 잡아당긴 후 힘을 배제하면 상기 핸들은 다시 상기 밀착부재(312)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90)는 상기 핸들링크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열릴 때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핸들링크에 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재(490)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션 스프링 형태는 초기 상태뿐만 아니라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탄성 변형량이 더욱 커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는,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극복해야할 탄성복원력이 더욱 증가함을 의미한다. 또한, 탄성 변형량이 커짐에 따라 스프링의 크기가 더욱 커져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의 초기 상태와 최대 열림 상태 사이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탄성 변형량이 증감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도어의 초기 상태에서 탄성 변형된 상태이며, 도어가 어느 정도 열린 상태(예를 들어 10% 열린 상태)에서 최대로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계속해서 더욱 열리는 경우에 탄성 변형이 증가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캠(42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440)가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 대한 상기 링크(440)의 회전 각도가 변함에 따라 상기 링크(440)와 상기 캠(424a)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90)는 상기 링크(44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크(440) 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수용부(441)에 상기 탄성부재(4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90)는 상기 링크(44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90)는 캠 연결부(493), 탄성부재 로드(492) 그리고 스프링(4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로드(492)의 둘레에 상기 스프링(49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1) 내에서 상기 스프링(491)이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캠 연결부(493)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491)은 탄성 변형되게 된다. 상기 캠 연결부(49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캠 연결부(493)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1)에 구비되는 스프링(491)을 더욱 누르게 된다. 물론, 초기 상태(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스프링(491)은 탄성 변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캠 연결부(493)을 상승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링크(420)는 초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핸들(410)이 도어에 더욱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면, 상기 캠(424a)가 회전하여 상기 캠 연결부(493)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스프링(491)은 더욱 탄성 변형하여 탄성복원력이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도어가 열리는 초기 각도(예를 들어, 10% 정도의 열림 각도) 범위에서는 탄성복원력이 점차 강해진다.
그러나, 상기 캠(424a)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초기 각도를 넘어서 도어가 더욱 개방되는 경우 상기 탄성복원력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최소한의 탄성복원력이 유지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탄성복원력이 없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캠(424a)와 스프링(491)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초기 열림 각도 구간까지만 탄성복원력이 점차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전체 구간에서 탄성복원력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10)의 초기 상태 복귀가 정확하게 요구되는 일부 구간까지만 탄성복원력이 최대로 증가하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로드(492)는 상기 스프링(491)이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300 : 도어 400 : 핸들 어셈블리
410 : 핸들 420 : 핸들링크
430 : 핸들링크 브라켓 440 : 링크
450 : 댐퍼 465 : 힌지 하우징
480 : 간격유지부재 490 : 탄성부재

Claims (20)

  1.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을 갖는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및,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하여 열림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핸들의 위치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핸들링크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에는 상기 회전축과의 반경이 일정한 호 형태의 구름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름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 각도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일단과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회전축과 편심된 위치의 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핸들링크에 가해지는 수직 상부 방향의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회전축과 상기 도어 회전축에서 편심된 댐퍼 회전축을 갖는 힌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링크를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제 1 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인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열릴 때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핸들링크를 회전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핸들링크에 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이 증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8.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 전면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
    상기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구비되는 핸들링크;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핸들링크 회전축;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과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핸들링크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링크; 그리고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핸들링크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는 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와 최대 열림 상태 사이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탄성 변형량이 증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링크가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소정 각도를 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40122493A 2014-09-16 2014-09-16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69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93A KR101691837B1 (ko) 2014-09-16 2014-09-16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14/853,425 US9777523B2 (en) 2014-09-16 2015-09-14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EP15185205.0A EP2998429B1 (en) 2014-09-16 2015-09-15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93A KR101691837B1 (ko) 2014-09-16 2014-09-16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20A KR20160032420A (ko) 2016-03-24
KR101691837B1 true KR101691837B1 (ko) 2017-01-02

Family

ID=5414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493A KR101691837B1 (ko) 2014-09-16 2014-09-16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77523B2 (ko)
EP (1) EP2998429B1 (ko)
KR (1) KR101691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539B1 (ko) 2014-09-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60133168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765456B1 (ko) * 2015-12-08 2017-08-07 이준영 도어 핸들
US10684063B2 (en) * 2015-12-28 2020-06-16 Whirlpool Corporation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KR102464262B1 (ko) 2016-04-15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KR102605675B1 (ko) 2016-12-0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KR102607767B1 (ko) * 2017-07-21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N108770253B (zh) * 2018-05-21 2023-12-29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白城供电公司 一种电控箱的输送机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11683866B2 (en) * 2018-11-06 2023-06-20 Guangdong Midea Kitchen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Microwave oven
US11920382B2 (en) 2020-09-15 2024-03-05 Midea Group Co., Ltd.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610A (ja) * 2009-04-17 2010-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ドア回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8457A1 (de)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etür
DE10208471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ushaltsgeräts sowie ein Haushaltgerät
DE10251231A1 (de) 2002-11-04 2004-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Haushaltsgeräte
KR20040059678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레인지의 오븐 도어장치
DE102004059563A1 (de) 2004-12-10 2006-02-23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Korpus und einer daran um eine Schwenkachse schwenkbar gehaltenen Tür mit einem Türgriff
KR100717436B1 (ko) * 2005-08-10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도어의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101370923B1 (ko) * 2012-08-02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610A (ja) * 2009-04-17 2010-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ドア回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8429A1 (en) 2016-03-23
EP2998429B1 (en) 2018-05-16
US9777523B2 (en) 2017-10-03
US20160076289A1 (en) 2016-03-17
KR20160032420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37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9138056B2 (en)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KR20160133168A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9874354B2 (e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door mounted through articulated hinge mechanism
KR102605675B1 (ko)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KR101578258B1 (ko) 회전댐퍼를 갖는 가구힌지
US20170328103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furniture flap
US20060053589A1 (en) Door hinge
US9435545B2 (en) Home appliance
EP3441679B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US20180283698A1 (en) Door handle
CN211144129U (zh) 门铰链结构及具有该门铰链结构的食物料理机
KR102114079B1 (ko) 식기세척기
EP2886762B1 (en) Multi-link hinge
US10858870B2 (en) Hinge device with the possibility of ajar or breather opening
KR20170118388A (ko)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US11920382B2 (en)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CN108351156B (zh) 家用器具设备和用于运行家用器具设备的方法
KR200463704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장치
KR200463705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