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705Y1 -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705Y1
KR200463705Y1 KR2020100006127U KR20100006127U KR200463705Y1 KR 200463705 Y1 KR200463705 Y1 KR 200463705Y1 KR 2020100006127 U KR2020100006127 U KR 2020100006127U KR 20100006127 U KR20100006127 U KR 20100006127U KR 200463705 Y1 KR200463705 Y1 KR 200463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guide bracket
guid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654U (ko
Inventor
김학범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100006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7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가 기기본체의 개구에 진입하여 닫히는 시점에 가이드 브라켓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Door for domestic appliance}
본 고안은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방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상하 회전형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나 오븐, 취반기 등과 같이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납실을 갖춘 가전제품들은 수납실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며, 도어로는 통상적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상하 회전형 도어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상하 회전형 도어는 도어가 힌지장치를 통해 기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실의 입구를 크게 개방하는데 유리하고, 도어를 닫은 후에 기밀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은 상하 회전형 도어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전제품용 도어장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에 로프를 매개로 스프링과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매개로 도어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될 경우에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건조기나 조리 기구의 경우에는 열이 누출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경우에는 물이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가 기기본체의 개구에 진입하여 닫히는 시점에 도어와 연동하는 가이드 브라켓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는, 수납실이 형성된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회동하여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와 함께 연동하면서 도어를 안내하며 수납실 내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잠금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잠금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잠금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 브라켓을 지지하며, 둘레면에 가압면이 구비된 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기본체에 결합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브라켓부;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동 브라켓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회동 브라켓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지지축에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회동 브라켓부에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 브라켓부에 탄성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가 기기본체의 개구에 진입하여 닫히는 시점에 가이드 브라켓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안정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장치의 도어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장치의 도어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는 다양한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식기세척기나 오븐, 취반기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상하 회전형 도어(200)를 채택한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가전제품은 수납실(110)이 형성된 기기본체(100)와, 상기 수납실(110)의 개폐를 위해 상기 기기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며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실(11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20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200)는 수납실(11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상하 회전형 도어(200)이다.
상기 도어(200)에는 사용자가 잡고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도어(200)의 전면부에 도어 핸들(2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 핸들(210)은 도어(200)의 전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어(2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핸들(210)은 상기 도어(200)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할수록 그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축(11)에 대응하여 그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쉽게 도어(20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개구(120)의 하단부 양측에서 상기 기기본체(100)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힌지부(1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어힌지부(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도어(200)를 개방할 때 생기는 충격으로부터 도어(20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힌지부(10)는 도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11)과, 상기 도어(200)의 양측면 내측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200)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힌지축(11)의 결합을 위한 제1축결합홀이 형성된 회전 브라켓(12)과, 상기 회전 브라켓(12)과 함께 상기 힌지축(11)을 공유하는 제2축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120)의 하단 양측에서 기기본체(100)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13)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힌지축(11)은 상기 회전 브라켓(12) 및 고정 브라켓(13)의 제1 및 제2축결합홀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로 이루어져 도어(2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200)의 뒷면에는 가이드 브라켓(14)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선단은 수납실(110)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14a)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상기 회전 브라켓(12)과 함께 도어(200)를 따라 이동할 경우에 기기본체(100)의 양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13)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14a)에 삽입된 돌기부(14b)에 의해 안내되므로 도어(200)가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개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120) 양측의 기기본체(100)에는 전면을 향하는 측면 브라켓(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브라켓(15)에는 브라켓 가이드홀(15a)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상기 측면 브라켓(15)의 브라켓 가이드홀(15a)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은 도어(200)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200)의 개폐 시에 도어힌지부(10)의 다른 부품에 간섭됨이 없이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홀(15a)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브라켓(14)의 선단부에는 도어(200)가 개방될 경우에 그 가이드 브라켓(14)이 상기 고정 브라켓(13)의 상측에 형성된 스톱퍼(13a)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절곡된 면을 갖는 걸림턱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전제품의 기기본체(100)에 구비된 수납실(110)을 개폐하는 도어(200)는 도어힌지부(10)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회전 브라켓(12)에서 일체 연장된 가이드 브라켓(14)을 통해 그 개도량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의 도어힌지부(10)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0)와 함께 연동하는 가이드 브라켓(14)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는 도어잠금부(20)를 매개로 구속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잠금부(20)는 수납실(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을 구속함으로써 도어(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잠금부(20)는 수납실(110)의 양쪽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잠금부(2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 브라켓(14)을 지지하며, 둘레면에 가압면이 구비된 롤러(21)와, 상기 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브라켓부(23)와, 상기 지지축(22)에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롤러(21)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4)와, 상기 회동 브라켓부(23)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24)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21)는 그 둘레면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는 상기 롤러(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롤러(21)가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 이와 밀착되는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는 롤러(21)의 가압면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홈부(14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상이 채택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4)는 비틀림 변위를 이용한 토션 스프링으로서, 일측 단부가 회동 브라켓부(23)에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 브라켓부(25)에 탄성 지지되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탄성부(24)의 작용력이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 브라켓부(23)의 선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부(25)의 바닥면에 항상 지지되는 형태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26은 베이스 브라켓부로서, 상기 도어잠금부(20)를 수납실(110)의 바닥면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 가능한 플랜지면(26a)이 구비되어 있다.
첨부한 도 5는 가전제품용 도어장치의 도어(200)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200)가 기기본체(100)의 개구(120)에 진입하여 닫히는 시점에 가이드 브라켓(14)의 단부에 형성된 홈부(14d)가 롤러(21)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홈부(14d)와 롤러(21)가 만나는 위치가 도어(200)의 힌지축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롤러(21)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롤러(21)에 걸리게 되며, 지지축(22)에 고정된 탄성부(24)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14), 롤러(21) 및 회동 브라켓부(23)가 지지축(2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휘하게 되며, 상기 회동 브라켓부(23)의 선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부(25)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결국, 사용자가 도어 핸들(210)을 잡아 당기는 힘을 제외하고, 상기 롤러(21)의 가압면에 밀착된 가이드 브라켓(14)이 상기 탄성부(24)의 반발력을 극복하고 도어(200)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기는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전제품용 도어(200)를 닫을 경우에 도어(200)와 연동하는 가이드 브라켓(14)의 잠금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도어(200)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200)의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200)를 개방할 경우에는 손잡이(210)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회동 브라켓부(23)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므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실용신안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도어힌지부 11 : 힌지축
12 : 회전 브라켓 13 : 고정 브라켓
13a : 스톱퍼 14 : 가이드 브라켓
14a : 가이드홀 14b : 돌기부
14c : 걸림턱부 14d : 홈부
15 : 측면 브라켓 15a : 브라켓 가이드홀
20 : 도어잠금부 21 : 롤러
22 : 지지축 23 : 회동 브라켓부
24 : 탄성부 25 : 고정 브라켓부
26 : 베이스 브라켓부

Claims (4)

  1. 수납실이 형성된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회동하여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와 함께 연동하면서 도어를 안내하고 수납실 내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과 단부에 홈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돌기부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잠금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잠금부가 장착되되,
    상기 도어잠금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 브라켓을 지지하며, 둘레면에 가압면이 구비된 원형 형상의 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기본체에 결합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브라켓부;
    상기 회동 브라켓부의 선단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부; 및,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 브라켓부에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 브라켓부에 탄성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인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00006127U 2010-06-11 2010-06-11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KR200463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27U KR200463705Y1 (ko) 2010-06-11 2010-06-11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27U KR200463705Y1 (ko) 2010-06-11 2010-06-11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54U KR20110011654U (ko) 2011-12-19
KR200463705Y1 true KR200463705Y1 (ko) 2012-11-20

Family

ID=4556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127U KR200463705Y1 (ko) 2010-06-11 2010-06-11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70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33Y1 (ko) 2005-04-26 2005-08-0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JP2005326084A (ja) 2004-05-14 2005-11-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高周波加熱装置
JP2007218544A (ja) 2006-02-20 2007-08-30 Hitachi Appliances Inc 高周波加熱装置
JP2008220601A (ja) * 2007-03-12 2008-09-25 Hoshizaki Electric Co Ltd 筐体の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084A (ja) 2004-05-14 2005-11-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高周波加熱装置
KR200391333Y1 (ko) 2005-04-26 2005-08-0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JP2007218544A (ja) 2006-02-20 2007-08-30 Hitachi Appliances Inc 高周波加熱装置
JP2008220601A (ja) * 2007-03-12 2008-09-25 Hoshizaki Electric Co Ltd 筐体の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54U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23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EP2107152B1 (en) Electrical appliance with an improved door mechanism
EP2327824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KR102605675B1 (ko)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US945856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US10309141B2 (en) Domestic appliance and hinge of a domestic appliance
KR101227851B1 (ko)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KR101691837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CN113509055B (zh) 门锁装置及烹饪器具
KR102020537B1 (ko) 2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0463705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KR102464262B1 (ko)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CN211144129U (zh) 门铰链结构及具有该门铰链结构的食物料理机
US20160168878A1 (en) Foot pedal assembly for appliances
WO2019015694A1 (zh) 联动开盖组件和顶开式滚筒洗衣机
KR20090080755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용홈바
KR200463704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장치
KR101154956B1 (ko) 식기세척기
CN209846856U (zh) 烹饪器具
KR102206075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200366794Y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40258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JP200611025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