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7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76B1
KR101861676B1 KR1020120007980A KR20120007980A KR101861676B1 KR 101861676 B1 KR101861676 B1 KR 101861676B1 KR 1020120007980 A KR1020120007980 A KR 1020120007980A KR 20120007980 A KR20120007980 A KR 20120007980A KR 101861676 B1 KR101861676 B1 KR 10186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hinge
angl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886A (ko
Inventor
조홍준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76B1/ko
Priority to US13/748,359 priority patent/US20130193823A1/en
Priority to EP13152292.2A priority patent/EP2620538A3/en
Priority to CN2013100319169A priority patent/CN103225194A/zh
Publication of KR2013008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의류가 상기 도어에 부딪힌 후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서 수용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회전되어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다양한 각도에서 개방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기능만을 갖는 세탁전용장치와 건조기능만을 갖는 건조전용장치가 있으며, 의류의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함께 갖는 건조겸용 세탁장치가 있다. 또한, 그 구조 내지 형태에 따라서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이용하여 의류를 텀블시키면서 건조하는 드럼식 장치와 의류를 걸어 놓고 건조하는 일명 캐비닛식 장치가 있다.
종래의 건조겸용 세탁장치는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어 역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겸용 세탁장치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하나의 회전축을 갖는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능만을 갖는 건조전용장치인 경우에는 세탁전용장치의 측면에 건조전용장치를 배치해서, 세탁전용장치와 건조전용장치를 일렬로 배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세탁전용장치를 이용해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세탁전용장치에서 의류를 꺼낸 후에 다시 건조전용장치의 투입구에 의류를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건조겸용 세탁장치나 건조전용장치 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는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할 뿐, 도어가 투입구를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한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다양하게 변화된 도어의 회전된 정도를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의류가 상기 도어에 부딪힌 후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서 수용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를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경사진 각도는 대략 30도와 대략 85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가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중심인 제2회전축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편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상기 함몰편에 대응하도록 소정 깊이 만큼 돌출된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돌출편이 상기 도어의 하단에 접촉해서 상기 도어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돌출편은 상기 함몰편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과 상기 함몰편은 도어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편으로 이루어지고,상기 경사편은 상기 도어가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캐비닛에 면접촉해서,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편이 상기 캐비닛에 접촉할 때에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이동경로가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복수 개의 구간 중 수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은 적어도 세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과, 상기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3축을 포함하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5축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5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캐비닛 착탈부를 구비하는 제4힌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4힌지는 상기 제5축에 구비되는 제1조절판,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판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투입구를 상대적으로 많이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와 투입구를 상대적으로 적게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따라 각각 도어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회전되어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상대적으로 투입구를 적게 개방한 경우에는 도어와 투입구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의 일면에 의류를 떨구더라도 의류가 도어의 일면에 부딪혀서 수용 공간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도면.
도 4는 제2힌지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힌지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표시한 개념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가이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가이드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1은 연결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연결부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내부 일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중앙 부위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세탁장치에 구비된 도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세탁장치에 구비된 제2힌지의 사시도.
도 20과 도 21은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제1힌지를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6은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제4힌지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4힌지에 구비되는 캐비닛 착탈부의 구조의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어에 구비된 비틀림 스프링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9와 도 30은 제4힌지의 제5축이 착탈되는 제5축 착탈부에 관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및 이를 갖는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건조기에서 도어가 상하로 개폐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3a는 도 32의 제 2걸림 부재와 도어 측의 제 2힌지 부재의 제 2회전축과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3b는 도 32의 제 2걸림 부재의 상하로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3c는 고정홀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 돌기 부재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4a는 도 32의 회전 부재와 도어 측의 회전 부재와의 힌지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4b는 도 34a의 회전 부재의 상하로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5는 도 32의 건조기 본체 측의 제 1걸림 부재와 도어 측의 제 1힌지 부재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6은 도 31의 도어가 좌우 방향을 따라 개폐된 건조기 및 이를 갖는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건조기에서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도어가 좌우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2걸림 부재와 제 2힌지 부재와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9는 도 37의 도어가 좌우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1걸림 부재와 제 1힌지 부재와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0은 도 37의 회전 부재와 도어 측의 회전 부재와의 힌지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와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44 내지 도 46은 힌지부를 구성하는 제2힌지 및 제3힌지의 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제2힌지 및 제3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도어 경사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9는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도어고정부의 개념도.
도 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1은 도 50에서 댐퍼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2는 댐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3은 댐퍼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4는 댐퍼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5는 댐퍼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R)과 의류수용공간으로 의류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37)가 구비된 캐비닛(3),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되 상기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부(5, 6, 7)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37)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아우터패널(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공간(R)에 연통한다.
상기 아우터패널(33)에는 도어(4)에 구비된 잠금돌기(47)가 수용되는 잠금돌기 수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는 잠금돌기(47)가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돌기 수용부(39)에 수용됨으로써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3)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 6, 7)는 투입구(3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A)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축(A)는 상기 캐비닛(3)에 대해 수직 방향을 이루고, 상기 제2회전축(B)는 상기 캐비닛(3)에 대해 수평 방향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회전축은 제1힌지(5)와 제2힌지(6)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제2힌지(6)와 제3힌지(7)를 통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제1회전축(A)이 캐비닛(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세로축),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가로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회전축의 위치 및 제2회전축의 위치를 도 2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한(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한) 캐비닛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회전방향과 상기 제2회전방향은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3과 같이 상기 제2회전축이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투입구(37)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틸팅, Tilting)하면 도어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의류 투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힌지부는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1축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1힌지(5), 상기 제1축과 더불어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6), 상기 제3축과 더불어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4)를 상기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3힌지(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5)는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51)과, 상기 제1축(51)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1축 착탈부(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축(51)은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상기 도어(4)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축(51)이 상기 도어(4)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축 착탈부(53)가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713)과, 상기 제4축(713)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제4축 착탈부(73)를 구비한다. 상기 제4축(713)은 상기 도어(4)에 설치되고, 상기 제4축 착탈부(73)는 상기 캐비닛(3)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완느 달리 상기 제4축(713)이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되고, 상기 제4축 착탈부(73)가 상기 도어(4)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힌지(5)와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3힌지(7)에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캐비닛(3)으로부터 탈거된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힌지(6)와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5)에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캐비닛(3)으로부터 탈거된다.
즉 상기 도어(4)가 제1회전 방향 또는 제2회전 방향 중에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힌지(6)는 두 회전 방향에 대해 모두 고정되지만 상기 제1힌지(5) 및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을 결합 또는 탈거시킨다.
상기 도어(4)는 아우터패널(33) 방향에 구비되는 인너프레임(43), 상기 인너프레임에 결합하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투입구(37)에 삽입되는 투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투과부(45)는 의류수용공간(R) 내부에 위치한 의류가 투입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사용자가 의류수용공간(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 만큼 함몰된 함몰부(992)가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992)는 상기 도어(4)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함몰부(992)은 상기 도어(4)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한 크기 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함몰부(992)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가압할 수 있는 가압편(99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편(990)은 상기 도어(4)의 중앙에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압편(990)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이후에 설명할 상기 도어(4)의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4)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함몰부(992)의 중앙인, 상기 가압편(990)을 가압하지 않고 상기 함몰부(992)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상기 제2회전방향이 아닌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원한다면, 손을 상기 가압편(990)에 가압하지 않고 상기 가압편(990)이 위치하지 않은 상기 함몰부(992)의 다른 부분에 손을 파지하고,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회전 방향의 중심이 되는 제1회전축(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분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4)를 개방할 수 있다.
도 4는 제2힌지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힌지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캐비닛(3)과 상기 도어(4)를 연결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 및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2힌지(6)은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따라 상기 도어(4)가 회전될 때에 모두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캐비닛(3)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61)와 상기 도어(4)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고정부(65)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651)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을 기준으로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는 상기 도어고정부(65)에 대해서 상기 제2축(6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제3축(63)을 중심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축(63)은 상기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4)는 상기 제3축(63)을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상기 제3축(63)을 중심으로 접혀지지 않는다.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의 사이에는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의 결합 상태는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도어(4)의 하단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리세스(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2)는 상기 캐비닛고정부(61)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42)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캐비닛고정부(61)와 상기 도어(4)의 하단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4)의 하단이 상기 캐비닛(3)을 향해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려면,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구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4)의 하단에 상기 리세스(42)를 형성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리세스(42)에서 제공하는 공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상기 제3축(63)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게 된다. 즉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4)는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에 대해서는 회전되지 않는다.
도 5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5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3)에 대해서 상기 도어(4)는 두 개의 각도에서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는 상대적으로 상기 투입구(37)를 적게 개방하는 위치와 상대적으로 상기 투입구(37)를 많이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상대적으로 적게 개방하는 각도(θ1)를 제1각도라고 하고,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상대적으로 많이 개방하는 각도를 제2각도(θ2)라고 한다.
제1각도는 대략 30도 정도이고, 제2각도는 대략 85도에서 90도 정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제1각도와 제2각도는 상술한 값과 다른 값으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해서 제1각도와 제2각도 이외에도 복수 개의 다른 각도에서 상기 도어(4)가 정지될 수 있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하는 각도, 즉 상기 도어(4)가 수직하게 세워진 각도를 제3각도라고 한정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도어(4)를 두 개의 위치에서 개방해서 상기 투입구(37) 내부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적게 개방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도어(4)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깝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37)에 의류를 투입하는 경우에 의류가 상기 도어(4)에 부딪히더라도 상기 도어(4)의 경사각으로 인해서 의류가 상기 투입구(37)를 통해서 수용 공간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수용 공간(R)에 수용된 의류를 상기 투입구(37)를 통해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적게 개방하면 사용자에게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R)에 팔을 넣어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충분히 개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가 상대적으로 상기 투입구(37)를 많이 개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도 6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4)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4)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4)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의류가 상기 도어(4)에 부딪힌 후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서 수용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를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각도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경사진 각도는 대략 30도와 대략 85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가 상기 도어(4)에 부딪힌 후에 상기 투입구(37)를 통과한 후에, 수용 공간으로 이동하려면, 상기 도어(4)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류가 부딪히는 순간에서 상기 도어(4)가 회전된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는 의류가 부딪히더라도 상기 도어(4)가 추가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의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캐비닛(3)의 상부에서 상기 도어(4)를 향해 하방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가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중심인 제2회전축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4)가 하방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가깝게 유지되는 위치는 상기 제2회전축 부근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의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3)의 회전각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로 통칭하고, 이하 상기 고정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된 가이드부(1300)와 상기 도어(4)에 설치되는 연결부(1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300)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가이드 홈(13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20)에는 상기 가이드 홈(1301)에 수용되어 이동경로가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3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형성된 형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홈(1301)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복수 개의 구간 중 수용된 위치에 따라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 홈(1301)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1301)의 다양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위치에 따라 상기 투입구(37)가 개방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상기 도어(4)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 홈(1301)은 회전 중심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회전 중심축의 방사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상기 도어(4)의 회전 중심축은 상기 도어(4)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심이다. 상기 도어(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투입구(37)의 개방 정도가 증가되고, 상기 도어(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투입구(37)의 개방 정도가 감소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홈(1301)에 인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함몰 방향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도 5의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에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형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8는 도 7에서 가이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적어도 세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세 구간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4)의 회전각도도 동일하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전체적으로 3개의 가이드 홈인 제1가이드 홈(1302), 제2가이드 홈(1306) 및 제3가이드 홈(1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상기 제2가이드 홈(1306) 및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은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각각의 가이드 홈 내에서 다른 가이드 홈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은 상기 도어(4)가 제1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에는 제1각도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턱(130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턱(1304)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폭을 소정 길이 만큼 감소시킨다. 물론 상기 제1안착턱(1304)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통과하는 도중에 상기 제1안착턱(1304)을 만나는 순간 정지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각도에서 정지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은 상기 도어(4)를 제2각도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에는 제2각도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턱(130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턱(1308)은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을 마감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안착턱(1308)에 정지된 후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은 상기 도어(4)가 제3각도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한다. 이때 제3각도는 상술한 제1각도 및 제2각도와는 달리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밀폐하도록, 상기 도어(4)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301)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1301)에서 돌출된 가이드 편(131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함몰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1301) 내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제1가이드 편(1312)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은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하강하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는 자중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인, 상기 도어(4)가 제3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4)가 도 8에 도시된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S3)에 정지되어 있다.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S3)에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상기 도어(4)를 개방하려고, 상기 도어(4)를 상기 캐비닛(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도어(4)도 상기 투입구(37)에 대한 개방 각도를 점차 증가시킨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이동하는 방향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도어(4)의 자중으로 인해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 편(1312)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하는 각도가 증가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S3의 위치 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하는 각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으로 이동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1안착턱(1304)에 도달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안착턱(130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안착턱(1304)이 형성된 위치(S1)에서 이동이 중지된다. 상기 제1안착턱(1304)은 소정 높이 만큼 상승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제1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각도로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도어(4)에 추가적인 힘을 가한다.
사용자가 가한 힘으로 인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안착턱(1304)으로부터 벗어나서,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 홈(1306)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벗어나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은 전체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에 자유롭게 회전은 가능하지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형성 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2가이드 홈(1306) 내에서 상기 제2안착턱(1308)에 접촉하는 위치(S2)까지 이동되면, 상기 제2안착턱(1308)에 안착되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의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도어(4)는 상기 투입구(37)를 제2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개방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하길 원하는 경우, 상기 도어(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가이드 홈(1306) 내부를 상승하면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은 상기 제3가이드 홈(131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을 벗어나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3가이드 홈(1310) 내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도어(4)는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하는 정도가 감소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3가이드 홈(1310)과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이 연결된 위치(S3)에 도달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이동은 중지되고, 상기 도어(4)는 제3각도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상기 투입구(37)를 밀폐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홈(1301) 내부에서 S1 -> S2 -> S3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밀폐한 상태, 즉 제3각도에서 고정될수 있도록 별도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만나는 부분에 상술한 잠김돌기 수용부와 잠김돌기 등을 이용해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제2각도를 통과하지 않고 제1각도에서 제3각도, 즉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로 바로 이동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4)에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안착턱(1304)에서 안착된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을 안내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상기 제2가이드 홈(1306) 및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은 한 위치에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홈(1301)의 내부에서 S1 -> S3로 이동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 홈(1301)이 상기 도어(4)의 회전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된다. 상기 도어(4)의 회전 중심축이 상기 도어(4)의 하단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도어(4)의 회전 중심축은 도 9의 도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상기 캐비닛(3)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전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홈(1301)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3)에는 상기 가이드 홈(1301)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수직 벽을 부가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캐비닛(3)의 기존에 구성인 측벽에 상기 가이드 홈(1301)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에 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의 일부 구성요소인 힌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9에서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어의 전체 구성이 아닌 도어의 일부 구성 요소와 상기 연결부(13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도어(4)에 회전축을 통해서 연결되는 일단인 연결 마디(132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연결 마디(1326)에서 상기 도어(4)와 축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전체적으로 3개의 가이드 홈인 제1가이드 홈(1302), 제2가이드 홈(1306) 및 제3가이드 홈(1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상기 제2가이드 홈(1306) 및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은 상기 도어(4)가 제1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일단에는 제1각도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착시키는 제1안착턱(130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턱(1304)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폭을 소정 길이 만큼 감소시킨다. 물론 상기 제1안착턱(1304)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통과하는 도중에 상기 제1안착턱(1304)을 만나는 순간 정지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각도에서 정지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은 상기 도어(4)를 제2각도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에는 제2각도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착시키는 제2안착턱(130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턱(1308)은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을 마감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안착턱(1308)에 정지된 후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은 상기 도어(4)가 제3각도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안내한다. 이때 제3각도는 상술한 제1각도 및 제2각도와는 달리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밀폐하도록, 상기 도어(4)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301)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1301)에서 돌출된 가이드 편(131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가이드 홈(1301)의 함몰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승되도록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중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부에 형성된 구간에서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10은 가이드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은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1안착턱(1304)에서 정지하지 않고,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부분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경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안착턱(1304)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가이드 편(1312)이 상기 가이드 홈(1301)에 없다면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1안착턱(1304)에 안착되지 못하고,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편(131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한다.
도 11은 연결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1320)의 일단인 상기 연결 마디(1326)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될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마디(1326)에서 소정 각도(α)는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간섭편(1330)이 구비된다. 상기 간섭편(1330)은 상기 연결 마디(1326)의 전체적인 반지름에 비해서, 큰 반지름을 갖도록 돌출된다.
상기 연결 마디(1326)는 상기 도어(4)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데, 돌출된 상기 간섭편(1330)이 형성된 각도(α)에서는 상기 연결 마디(1326)의 회전이 제한되고,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4)의 각도가 유지된다. 상기 간섭편(1330)은 일시적이고 작은 힘으로 상기 도어(4)가 회전되는 정도를 고정할 뿐이어서, 사용자가 작은 힘을 추가로 가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간섭편(1330)에 의한 회전 구속 구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마디(1326)가 회전되면서 상기 간섭편(1330)이 상기 도어(4)에 닿게 되면 일시적으로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간섭편(1330)이 상기 도어(4)에 닿지 않는 위치에서는 상기 연결 마디(1326)는 특별한 저항 없이 회전된다.
이하 도 4,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S3의위치에 정지된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내용과 동일하게,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S3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에는 잠김돌기 수용부 및 잠김돌기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37)로부터 의류를 인출하거나, 상기 투입구(37)로 의류를 인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투입구(37)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S3의 위치에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은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위치한 부분과 상기 가이드 편(1312)의 하측에 위치한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간섭편(1330)이 상기 연결 마디(132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1320)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4)도 회전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은 상기 일종의 구속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간섭편(1330)은 큰 저항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인 구속력만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추가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간섭편(1330)에 접촉하는 부분이 해제되고, 상기 연결부(1320)는 자유롭게 회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부분을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안착턱(1304)에 정지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안착턱(1304)에 정지되는 위치(S1)에서, 상기 도어(4)의 회전도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4)는 제1각도에서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부분에서 상기 제1안착턱(1304)에서 정지하지 않고,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으로 바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편(1312)이 배치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추가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투입구(37)를 보다 많이 개방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4)에 힘을 가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전체적으로 수직한 형태를 따라,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일단에 형성된 제2안착턱(1308)에 안착되는 순간 상기 가이드 돌기(1322)의 이동은 정지되고, 상기 도어(4)의 회전도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2각도에서 회전이 정지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은 상기 도어(4)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한 직선 형태가 아닌,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의 하단이 상기 도어(4)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 마디(1326)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2)를 중심으로 대략 원형의 궤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가 제2각도에서 제3각도로 이동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어(4)의 일단에 손을 파지하고 상기 도어(4)의 일단을 상승시킨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제2가이드 홈(1306)을 벗어나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도어(4)는 제3각도인,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하게 된다.
도 12는 연결부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어(4)가 여러 차례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 마디(1326)의 상기 간섭편(1330)이 마모될 수 있다. 상기 간섭편(1330)이 마모되어 돌출된 길이가 감소되면, 상기 간섭편(1330)은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내를 이동할 때에 상기 연결부(1320)의 회전을 충분히 구속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가이드 편(1312)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의 상부를 따라 상승하지 못하고, 상기 제1가이드 홈(1302)에서 상기 제3가이드 홈(13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도어(4)를 제1각도 만큼 회동시키고 상기 도어(4)를 고정하려고 의도했으나, 상기 간섭편(1330)에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각도를 넘어 제2각도 만큼 회전되어 상기 투입구(37)가 불필요하게 크게 개방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편(1330)과 상기 도어(4)에 간섭이 발생되는 부분에는 탄성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편(1332)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지지편(1332)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간섭편(133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편(1330)이 상기 제1가이드 홈(1302) 내에서 일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은 도 13의 내부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상기 연결부(132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두 개가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1300)는 상기 연결부(1320)를 중심으로 두 개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3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1320)를 중심으로 한 개의 가이드 돌기(1322)는 도 9에서 도시한 형태로 가이드 홈을 통해서 안내되고, 상기 연결부(1320)를 중심으로 다른 한 개의 가이드 돌기(1322)는 도 14에서 도시한 형태로 가이드 홈을 통해서 안내된다. 즉 도 13의 일측의 내부는 도 9에 도시된 내용과 같고, 도 13의 타측의 내부는 도 14에 도시된 내용과 같다.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1300)에는 각각의 가이드 홈(130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 홈(1301)을 따라 안내되는 각각의 가이드 돌기(13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홈(1301)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322)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홈(1301)에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이동경로가 안내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20)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1300)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320)는 두 개의 가이드 돌기(1322)가 각각의 가이드 홈(1301)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도어(4)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9,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작동 내용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9,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두 개의 가이드 돌기에 의해서 상기 도어(4)의 이동 경로가 제한되고, 상기 도어(4)가 각각 정지된 위치에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4)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중앙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상기 도어(4)의 양측에 배치된 힌지가 생략되고, 상기 도어(4)의 중앙 부위만 도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4)가 제2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도어(4)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1322)가 상기 제2안착턱(1308)에 안착되면 상기 도어(4)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지만, 상기 도어(4)에 의류가 떨구어지는 등의 예상치 못한 힘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도어(4)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도어(4)의 하부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편(44)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3)의 하부에는 상기 함몰편(44)에 대응하도록 소정 깊이 만큼 돌출된 돌출편(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편(44)은 상기 도어(4)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만큼 상승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4)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 만큼 상승된 위치에는 상기 함몰편(44)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편(44)의 아래쪽에는 상기 도어(4)의 통상적인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함몰편(44) 보다 돌출된다.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 즉 상기 도어(4)가 제3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편(32)은 상기 함몰편(44) 내에 수용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도어(4)가 제2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상기 도어(4)의 하단이 상기 캐비닛(3)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32)에 맞닿게 된다.
즉 상기 도어(4)가 충분히 회전된 제2각도까지 회전되면 상기 캐비닛(3)과 상기 도어(4)의 하단이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4)가 추가적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편(32)은 상기 캐비닛(3)의 중앙에 한 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도어(4)를 지지하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캐비닛(3)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함몰편(44)은 상기 도어(4)의 중앙에 한 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캐비닛(3)을 지지하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4)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결합해서, 상기 도어(4)가 제2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되 투입구(37)를 구비한 캐비닛(3),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을 처리(세탁, 건조 등)하는 수용부(R), 상기 투입구(37)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를 포함한다.
세탁장치(100)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라면 상기 수용부(R)는 상기 캐비닛(3)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만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세탁장치(100)가 세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수용부(R)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도어(4)는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힌지(5, 6)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고,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힌지(6, 70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4)는 상기 힌지들이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43), 상기 아우터프레임(43)에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프레임(41)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43)에는 제1핸들(4311)과 제2핸들(431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핸들(4311)은 상기 아우터프레임(43)의 상부면에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핸들(4315)은 상기 도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핸들(4311)은 도어(4)를 후술할 제2힌지(6)와 제4힌지(7000)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고, 제2핸들(4315)은 도어(4)를 후술할 제2힌지(6)와 제1힌지(5)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 된다.
한편 도어(4)에는 캐비닛의 투입구(37)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관통홀(4330),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수용부(R)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43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4330)은 상기 아우터프레임(43)에 구비되는 프레임 관통홀과 인너프레임(41)를 관통하는 커버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판(4340)은 상기 커버 관통홀에 구비되는 커버 투명판과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는 프레임 투명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에는 도어를 캐비닛(3)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잠금부는 아우터프레임(43)과 캐비닛(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41), 아우터프레임(43)과 캐비닛(3)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수용홈(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1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축(51, 도 20 및 도 21참고)이 구비된 제1힌지(5),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5축(7100, 도 22참고)이 구비된 제4힌지(7000), 상기 제5축(7100)에 나란한 제3축(63, 도 19참고)과 제1축(51)에 나란한 제2축(631, 도 19참고)이 구비된 제2힌지(6)를 포함한다.
상기 제2힌지(6)와 제4힌지(7000)는 도어(4)가 캐비닛(3)의 전방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개방되도록 하는 축(V)을 형성(도 17 (c)의 개방형태)하고, 제2힌지(6)와 제1힌지(5)는 도어(4)가 캐비닛(3)의 측방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하는 축(H)을 형성(도 17 (c)의 개방형태)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6)의 제3축(63)과 상기 제4힌지(7000)의 제5축(7100)은 서로 동일한 중심축(H)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6)의 제2축(651)과 제1힌지(5)의 제1축(51)은 동일한 중심축(V)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힌지(7000)와 제1힌지(5)는 상기 도어(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그 자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9을 참고하여 제2힌지(6)에 대해 설명한다.
제2힌지(6)는 캐비닛(3)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부(61)와 도어(4)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할 수 있는다.
이 경우 도어고정부(65)는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축(63)를 통해 상기 캐비닛 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캐비닛 고정부(61)는 캐비닛(3)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판(611), 도어고정부(65)가 결합되며 제3축(63)를 통해 캐비닛 고정판(6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고정부(65)는 상기 회전판(613)에 고정되는 고정부 연결판(631), 고정부 연결판(631)에 고정되고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축(651), 도어(4)에 고정되고 상기 제2축(651)에 의해 고정부 연결판(6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고정판(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651)은 축고정리브(637)에 의해 고정부 연결판(63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축고정리브(637)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절곡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힌지(5)는 제2축(651)의 중심을 지나고 캐비닛(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직선(V) 상에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3)에 고정되는 제1축(51, 제4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1축), 상기 제1축(51)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에 구비되는 제1축 착탈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에 구비되는 하우징(532),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51)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홈(531), 일단은 상기 하우징(532)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축 수용홈(531)에 위치하는 고정바디(5330), 하우징(532)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바디(5330)를 탄성지지하는 고정바디 탄성지지부(5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51)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절삭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수용홈(531)은 상기 제1축(51)의 절삭면(511) 사이의 거리에 상당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절삭면 수용홈(5311)과, 절삭면(511)을 연결하는 연결면(513)의 곡률반경(r)과 동일한 크기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홈(53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형홈(5313)은 상기 절삭면 수용홈(5311)에 연결되어 구비되되 원형홈(5313)의 지름은 절삭면(511)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4)가 제3축(63)과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1축(51)과 제1축 착탈부(53)의 결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4)가 제1축(51)과 제2축(65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1축 착탈부(53)가 제1축(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4)가 제1축(51)과 제2힌지의 제2축(651)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 제3축의 절삭면(511)은 절삭면 수용홈(5311)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어(4)가 제2힌지의 제3축(63)과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통해 회전할 경우 제1축 착탈부(53)는 제1축(5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그러나 도어(4)가 제1축(51)과 제2힌지의 제2축(651)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1축의 연결면(513)이 원형홈(5313)에 접촉하게 되고, 원형홈(5313)의 지름(2r)은 절삭면 수용홈(5311)의 폭(w)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제1축(51)이 제1축 수용홈(531)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축 수용홈(531)에는 제1축 착탈부(53)와 제1축(51)의 결합 시 제1축(51)을 절삭면 수용홈(5311)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20는 제1경사면(5381)과 제2경사면(5383)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5330)는 원형홈(5313)에 수용된 제1축(5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532) 내부에 위치한 고정바디 탄성지지부(534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1축(51)이 절삭면 수용홈(5311)으로 삽입되면 하우징(532) 내부로 이동하고, 제1축(51)이 원형홈(5313)에 삽입되면 절삭면 수용홈(5311)에 노출되어 상기 제1축(51)을 지지하여 제1축(51)이 원형홈(5313)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는 상술한 제1힌지(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5) 역시 캐비닛(3)에 고정되는 제1축(51), 도어(4)에 구비되어 제1축에 착탈 가능한 제1축 착탈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도어(4)에 고정되는 하우징(532),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축 수용바디(535), 상기 제1축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수용바디 탄성지지부(5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축 수용바디(535)는 제1축(51)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홈(R1), 상기 제1축과 제1축 착탈부의 결합 시 제1축을 제1축 수용홈(R1)으로 안내하는 제1축 가이더(53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축 수용홈(R1)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351)와 제1축 가이더(53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축 가이더(5353)의 길이는 돌기(535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바디 탄성지지부(537)는 하우징(532) 내부에 구비되어 제1축 수용바디(535)에 접촉하는 피스톤(5371), 상기 피스톤(537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수용바디(535)에는 회전 시 피스톤(5371)과 하우징(532)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경사면(53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축(51)과 제1축 착탈부(53)의 결합 또는 분리 시 제1축 수용바디(535)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디경사면(5355)은 제1축 수용바디(535)의 회전 시 바디경사면(5355)이 하우징(51)과 접촉하는 경우 또는 바디경사면(5355)이 피스톤(5371)과 접촉하는 경우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1축(51)과 제1축 착탈부(53)의 결합 및 분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1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도어(4)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힌지(6)와 제1힌지(5)는 도어(4)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에 구비된 인너프레임(41)는 제1축 착탈부(5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어의 중심(G)을 지나는 직선(D)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1고정부(4321), 제2힌지(6)의 도어고정부(65)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어의 중심(G)을 지나는 직선(D)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2고정부(4323)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3)은 제1힌지(5)의 제1축(51)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고정부(4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1축 고정부(317, 도 17 (b)참고), 제2힌지(6)의 캐비닛 고정판(611)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고정부(323, 도 18참고)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고정판 체결부(319, 도 17 (b)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51)과 제1축 착탈부(53)는 제1힌지의 제1축(61)과 나란하되 상기 제1축(5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K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 연결판(631), 제2축(651) 및 상기 도어 고정판(633)은 제3축(63)과 나란하고 상기 제2축(651)의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K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제2힌지(6)와 제1힌지(5)는 캐비닛의 우측에 위치되고(도 18의 형태),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제2힌지(6)와 제1힌지(5)는 캐비닛(3)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8를 기준으로 제2힌지(6)와 제1힌지(5)를 캐비닛(3)의 좌측에 구비시킬 경우 제2힌지(6)는 도 19에 도시된 고정부 연결판(631)을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회전판(613)에 고정시킨 뒤 캐비닛 고정판(611)을 캐비닛(3)의 좌측에 구비된 고정판 체결부(319, 도 17 (b)참고)에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도 18를 기준으로 제2힌지(6)와 제1힌지(5)를 캐비닛(3)의 좌측에 구비시킬 경우 제1힌지(5)는 도 20의 제1축(51)이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캐비닛(3)의 좌측에 위치한 제1축 고정부(317, 도 17 (b)참고)에 결합하고, 도 20의 제1축 착탈부(53)는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도 18의 인너프레임(41) 좌측에 구비된 제1고정부(4321)에 결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인너프레임(41)에는 제1힌지(5)가 결합되지 않은 제1고정부(43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커버(4211, 도 18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을 참고하여 세탁장치(100)에 구비되는 제4힌지(70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제4힌지(7000)는 제2힌지(6)와 더불어 도어(4)가 캐비닛(3)의 바닥면과 나란한 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4힌지(7000)는 도어의 아우터프레임(43)에 구비되되 제2힌지(6)에 구비된 제3축(63)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제5축(7100), 상기 제5축(7100)을 상기 캐비닛(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캐비닛 착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4힌지(7000)는 도어(4)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22은 두 개의 제4힌지(7000)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 착탈부는 제5축(7100)에 구비되는 연결축(7300), 상기 캐비닛(3)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7300)이 수용되는 축수용부(74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7300)은 상기 제5축(7100)의 외주면에서 캐비닛(3)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4)의 인너프레임(41)를 관통하여 커버의 외부에 노출된다.
사익 축수용부(7400)는 캐비닛(3)에 고정되는 수용부 바디(7410), 상기 수용부 바디(7410)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7300)이 수용되는 수용홈(74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가 제2축(651)과 제1축(51)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V)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5축(7100)은 캐비닛(3)으로부터 분리되지만 도어(4)가 회전축 V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연결축(7300)이 수용홈(7430)에 삽입되어 캐비닛(3)에 고정된다.
연결축(7300)과 축수용부(7400)를 통해 제5축(7100)이 캐비닛(3)에 고정되면 도어(4)는 제1힌지의 제3축(63)과 제2힌지의 제5축(7100)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H, 도 18참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3힌지의 제1축(51)이 제1축 착탈부(53)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4힌지(7000)는 회전축 H를 기준으로 도어(4)가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할 때 도어(4)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투입구(37)를 폐쇄시킬 때 도어(4)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줄여주는 도어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탄성지지부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2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7200)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7200)이 도어 탄성지지부로 구비될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7200)은 상기 도어(4)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제5축(7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4)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4)에는 아우터프레임(43)에 고정되는 스프링홀더(4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4힌지(7000)는 상기 도어(4)가 제1힌지의 제3축(63)과 제2힌지의 제5축(7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회전축 H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도어(4)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제1각도조절부(7500)와 제2각도조절부(7600) 중 적어도 하나는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하에서는 제1각도조절부(7500)와 제2각도조절부(7600)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각조조절부(75)는 제5축(7100)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조절판(7510), 상기 제1조절판(7510)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4)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7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판(7510)에는 제1착탈부(7530)와 결합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제1조절판(7510)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홈 또는 상기 제1조절판(75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가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착탈부(7530)는 다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고, 체결부가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경우 제1착탈부(7530)는 다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체결부가 다수의 홈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는 제1조절판(7510)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홈(7511)과 제2홈(7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홈(7512)은 제1홈(7511)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23은 제1홈(7511)과 제2홈(7512)이 30도 각도로 이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착탈부(7530)는 제1조절판(75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바디(7531), 일단은 도어(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753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바디(7531)를 탄성지지하는 제1바디 탄성지지부(7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탄성지지부(7533)는 도어(4)의 회전 시 제1바디(7531)가 도어와 함께 이동하더라도 제1바디(7531)가 제1조절판(7510)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도 17 (a)참고) 제1바디(7531)는 제1홈(7511)에 수용되므로 제1핸들(311, 도 17 (c)참고)을 통해 외력이 입력되지 않는 한 상기 제1바디(7531)는 제2힌지의 제3축(63)과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으로 도어(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24 (a)참고).
또한 제1핸들(4311)을 통해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4)가 투입구(37)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제1바디(7531)가 제2홈(7512)에 삽입되면 도어(4)는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제1힌지의 제1축과 제2힌지의 제2축을 기준)으로 30도 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24 (b) 참고).
따라서 세탁장치(100)에 구비된 도어(4)는 상기 제1각도조절부(5)를 통해 도어(4)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4힌지(7000)에 구비되는 비틀림 스프링(7200)은 도어(4)가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1바디(7531)를 제1홈(7511)으로부터 3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범위 내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어(4)가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각도범위 내에서 고정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함이다(도 24 (c) 참고).
한편 상기 비틀림 스프링(7200)은 일단은 도어(4)에 구비된 스프링 홀더(43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조절판(7510)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홀(75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100)에 구비된 도어(4)는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제1각도조절부에 의함), 또는 3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60도 등, 비틀림 스프링에 의함), 또는 90도 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또는 60도 개방된 상태에서 세탁물을 도어(4)에 놓으면 세탁물은 수용부(R)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의 투입 시 허리를 구부려 작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90도 개방시키면 도어(4)는 선반으로써 기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을 수용부(R)에서 인출할 때 세탁물을 도어(4)에 임시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도 24 (d) 참고).
한편 도어(4)를 선반으로 활용할 경우(제5축(7100)을 기준으로 도어(4)가 9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4힌지(7000)와 제2힌지(6)에는 세탁물의 무게에 의한 외력이 집중될 것이다.
따라서 제2힌지(6)와 제4힌지(7000)의 파손방지를 위해 캐비닛(3)에는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도어지지부(3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어(4)에는 상기 도어지지부(313)가 수용되는 지지부수용홈(4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8참고).
이 경우 상기 도어지지부(313)는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때 도어(4)의 인너프레임(41)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8 (b) 참고).
나아가 상기 제4힌지(7000)에는 제2각도조절부(76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각도조절부(7600)는 제5축(710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도어(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다.
즉 상술한 세탁장치(100)는 제4힌지(7000)의 제1각도조절부(7500)에 구비된 제1조절판(7510)과 제1착탈부(7530)를 통해 도어(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지만 외력(세탁물의 무게 등)이 도어에 작용되면 도어(4)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못할 위험이 있다.
상기 제2각도조절부(7600)는 상술한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축(7100)에 구비되는 제2조절판(7610), 상기 도어(4)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절판(7610)에 접촉하는 제2착탈부(7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착탈부(7630)는 도어(4)에 구비되되 상기 제2조절판(76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바디(7631), 일단은 상기 도어(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바디(7631)에 고정되는 제2바디 탄성지지부(7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조절판(7610)의 외주면에는 제1각도조절부(7500)의 제2홈(7512)에 제1착탈부(7530)의 제1바디(7531)가 결합된 때 상기 제2바디(7631)에 결합하는 스토퍼(761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하면 제1바디(7531)는 도 2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7511)에 삽입되고, 제2바디(7631)는 스토퍼(7611)에 접촉하여 도어(4)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대략 90도의 열림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4)는 비틀림 스프링(7200)의 탄성력에 의해 제5축(7100)을 기준으로 60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4)의 자중이 비틀림 스프링(7200)의 탄성력보다 크면(도어가 제2축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회전되면) 제5축(7100)을 기준으로 90도 또는 90도 이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5축(7100)을 기준으로 도어(4)가 60도(30도 초과 90도 미만인 도어 회전각의 대표값) 또는 90도로 개방되기 위해 도어(4)에는 제2바디(7631)와 스토퍼(7611)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리프터(4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4350)는 도 25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터(4350)는 도어(4)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부(4351), 레버회전축(4531)을 통해 도어(4)의 인너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부(4351)에 접촉하는 레버(4353), 일단은 상기 레버(43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조절판 고정부(763)의 제2바디(7631)에 고정되는 와이어(43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4351)는 도어(4)에 구비된 제1핸들(4311, 도 17 (c) 참고)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회전된 도어(4)를 60도 또는 90도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핸들(4311) 내부에 위치한 가압부(4351)와 와이어(4355)를 통해 제2바디(7631)와 스토퍼(7611)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가압부(4351)를 눌러주면 레버(4353)는 레버회전축(4531)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레버(4353)가 레버회전축(453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레버(4353)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는 제2조절판 고정부(763)의 제2바디(7631)가 스토퍼(7611)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4힌지(7000)에 구비되는 캐비닛 착탈부는 도 27과 도 28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7과 도 28에 도시된 캐비닛 착탈부는 도어(4)가 제2힌지의 제3축(63)과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일정 각도까지 회전하는 동안 비틀림 스프링(7200)에 의한 저항력을 받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특징으로 본 특징은 작은 힘으로도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기준으로 도어(4)를 30도 회전시킬 수 있어 수용부(R)로 의류를 투입할 때 매우 용이할 것이다.
도 27 (a)에 도시된 캐비닛 착탈부는 축수용부(7400)에 구비된 수용홈(734)과 연결축(7300) 사이에 갭(g)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연결축(7300)의 두께(t)는 수용홈(734)의 높이(h)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축의 두께(t)와 수용홈의 높이(h)는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40도 회전한 때 연결축(7300)과 수용홈(734)이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축(7300)과 수용홈(7340)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734)에는 수용홈 돌기(743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축(7300)에는 상기 수용홈 돌기(7431)에 결합되는 연결축 돌기(731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4)는 30도 내지 40도 각도 범위 내에서는 비틀림 스프링(7200)의 간섭없이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이상의 각도에서는 비틀림 스프링(7200)의 간섭을 받아 천천히 개방된다.
제5축(7100)을 기준으로 도어(4)가 30도 내지 4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비틀림 스프링(7200)의 간섭을 받으면서 개방되도록 한 것은 도어(4)가 급격히 회전할 때 도어의 자중에 의해 제2힌지(6)와 제4힌지(70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8는 비틀림 스프링(7200)의 고정구조를 통해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4힌지(7000)의 제5축(7100)에는 비틀림 스프링(72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홀(7513)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 고정홀(7513)의 내주면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7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홀돌기(751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스프링 고정홀(7513)의 지름은 비틀림 스프링(7200)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7200)은 일단이 도어에 고정된 스프링홀더(4313)에 결합되어 있어 도어(4)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스프링 고정홀(7513)에 삽입된 비틀림 스프링(7200)의 타단은 홀돌기(7515)와 접촉할 때까지 스프링 고정홀(751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홀돌기(7515)의 위치를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40도 각도 회전한 때 홀돌기(7515)가 비틀림 스프링(72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면 도 27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8는 제2축(72)에 별도의 스프링 고정홀(7513)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도 23이나 도 25에 개시된 실시예에 도 28의 스프링 고정홀(7513)이 적용된다면 도 28의 스프링 고정홀(7513)은 제1조절판(7510)과 제2조절판(7610)에 각각 구비되거나 제1조절판과 제2조절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7200)을 통해 도어(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상술한 구조에서는 도어(4)의 회전 시 제5축(7100)이 원래 설정된 위치를 이탈할 위험이 존재한다.
즉 비틀림 스프링(7200)의 일단은 스프링 홀더(4313)를 통해 도어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제5축(7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4)가 제5축(710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7200)에 의한 외력이 제5축(7100)에 작용하여 제5축(7100)이 원래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4)에는 상기 제5축(7100)을 지지하는 제5축 지지리브(436), 일단은 상기 도어(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5축 지지리브(436)에 고정되는 리브 탄성지지부(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9과 도 30는 도어(4)가 제1축(51)과 제2축(65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4힌지의 제5축(7100)을 캐비닛(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5축 착탈부(31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축 착탈부(315)는 캐비닛(3)에 고정되는 케이스(3151), 상기 케이스(3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5축(7100)이 착탈되는 제5축 수용바디(315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도어(4)의 인너프레임(41)에는 상기 제5축 수용바디(3153)가 도어(4)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수용바디 관통홀(32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5축 수용바디(3153)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축(7100)이 수용되는 제5축 수용홈(R2), 상기 제2축 수용홈(R1)으로 제5축(7100)을 안내하는 제5축 가이더(315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축 수용홈(R2)은 제5축 수용바디(315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돌기(31531)와 제5축 가이더(315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5축 가이더(31533)의 길이가 돌기(3153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5축 착탈부(315)가 구비된 세탁장치(100)는 제2힌지의 캐비닛 착탈부에 더해 제5축(7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캐비닛(3)에 결합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 및 도 32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조기(2)는 내부에 피 건조물(미도시)이 건조될 수 있는 건조 공간(20a)이 마련되는 건조기 본체(2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건조 공간(20a)은 기설정된 건조 조건에서 설정되는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드럼이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이의 개구는 본체(21)의 측면에 형성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도어(20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의 중앙부에는 상기 건조 공간(20a)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window)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에 의하여 본체(21)와 다중으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1 및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도어(2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개폐시키는 힌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는 도어(200)를 좌우로 개폐시키는 좌우 힌지부와, 상기 도어(200)를 상하로 개폐시키는 상하 힌지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21)에 형성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은 본체(21)의 외주와 단턱을 이루고 도어(200)의 외곽측 내면이 밀착되는 가이드 판(22)이 형성된다.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 하면, 상기 상하 힌지부는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로 회전 접철 가능하며 하기에 기술되는 개폐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삽입 및 이탈되는 제 2걸림 고리(122)가 형성되는 제 2걸림 부재(120)와,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 타측 하단에 설치되며 구 형상의 회전홀(132)이 형성되는 회전홀 부재 몸체(131)을 갖는 회전홀 부재(130)와, 상기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홀(132)에 끼워져 자유 회전되는 구 형상의 회전볼(232)이 형성되며 도어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 부재 몸체(231)를 갖는 회전 부재(230)로 구성된다.
또한, 도 32 및 도 3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250)가 형성되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의 본체(21)의 일부인 가이드 판(22)에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250)가 끼워져 걸리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홈(23)이 형성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각은 직각 이내의 회전 개폐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는 기 설정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개폐각을 이루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3a 내지 도 33c를 참조 하면, 상기 제 2걸림 부재(120)는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들(120b)이 형성되는 회전 중심축(120a)과, 상기 회전 중심축(120a)에 힌지 연결되며 일면부가 상기 가이드 판(2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몸체(121)와, 상기 회전 중심축(120a)에 힌지 연결되며 그 단부에 상기 고정홀(120b)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 돌기 부재(124)를 갖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2걸림 고리(123)가 형성되는 회전 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3b 및 도 33c를 참조 하면, 상기 고정 돌기 부재(124)는 상기 회전 중심축(12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들(120b)과, 상기 회전 몸체(120)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120a)이 끼워지는 끼움 몸체(122a)의 내주부 측에 형성되는 홀(124c)과, 상기 홀(124c)에 설치되는 스프링(124b)과, 상기 스프링(124b)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홀들(120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볼(124a)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 몸체(122)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볼(124a)은 상기 고정홀들(120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도어(200)의 가이드 판(22)과의 개폐각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 하면, 상기 좌우 힌지부는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의 상기 가이드 판(22)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제 1걸림 고리(112)가 형성되는 제 1걸림 고리 몸체(111)를 갖는 제 1걸림 부재(110)와, 상기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걸림 고리(112)에 삽입 및 이탈되는 제 1회전축(211)을 갖는 제 1힌지 부재(210)와, 상기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제 2회전축(221)을 갖는 제 2힌지 부재(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회전축(221)은 상기에 기술된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걸려 회전되는 부재이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여, 도어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 개폐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어의 상하 개폐 동작]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 하면, 도어(200)의 상하 개폐의 경우, 도어(200)의 회전 중심축선은 도어(200)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개폐된다. 즉, 도어(200)의 양측 하단이 회전됨을 이룬다.
상세하게는, 도 32 및 도 34a, 도 34b를 참조하면,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230)의 회전 볼(232)이 가이드 판(22)의 타측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홀(132)에 끼워져 자유 회전을 이루고,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 하면,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있어서,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하단에 접철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끼워짐으로서 상하로의 회전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도어(200)는 도어(200)의 하단을 잇는 회전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200)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하는 경우, 도어(200)는 밀폐되는 상태(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5에 도시 되는 바와 같이,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36을 참조 하면, 도어(200)의 내측면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들(250)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들(23)에 걸림으로써 도어(20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의 좌우 개폐 동작]
도 36 내지 도 40을 참조 하면, 도어(200)의 좌우 개폐의 경우, 도어의 회전 중심축선은 도어(200)의 일측단을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개폐된다.
상세하게는,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있어서, 도 33a 및 도 3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됨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회전축(211,221)은 동일 회전 중심축 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200)는 도어(200)의 일측단을 잇는 회전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200)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하는 경우, 도어(200)는 밀폐되는 상태(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200)의 내측면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들(250)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들(23)에 걸림으로써 도어(20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기(2)가 세탁기(1)와 연결되어 구성된 작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세탁기(1)는 내부에 세탁 공간이 마련되는 세탁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세탁 공간을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피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커버(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측부에는 본 발명의 건조기(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 본체(10)와 건조기 본체(21)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피 세탁물은 세탁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통하여 세탁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즉, 피 세탁물은 상 하방을 따라 투입되는 경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피 세탁물은 세탁 및 탈수와 같은 세탁 과정을 마친 이후에, 상기 상하 경로를 따라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세탁된 피 세탁물은 피 건조물로서, 건조기(2) 투입되어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피 건조물은 본 발명의 건조기 본체(21)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도어(200)의 개방으로 인하여 노출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건조 공간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그 하단이 회전 중심축 선을 이루어 상하로 개폐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피 건조물이 건조 공간(20a)으로 투입되는 경우,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질 수 있도록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 구조 및 방식은 상기에 언급된 이유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200)가 하방으로 일정 각도 개폐각을 이루어 회전되면, 상기 도어(200)의 내측면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1)에서 세탁된 피 건조물은 상기 경사지어 개방된 도어(200)의 상부에서 낙하시킬 수 있고, 상기 낙하되는 피 건조물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도어(200)의 내측면을 타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건조 공간(20a)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20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비슴듬한 경사를 이루는 것은, 피 건조물을 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도어(200)의 내측면을 통하여 피 건조물 투입구(20)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200)의 내측면 양측부에는 피 건조물이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외측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격벽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어(200)가 닫히는 경우 상기 도어(200)의 내측면 양측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격벽이 삽입 대기할 수 있는 삽입홀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방에서 하방을 따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피 건조물이 건조 공간(20a)으로 투입된 이후, 도어(200)는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할 수 있도록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2)는 상기 건조 공간(20a)에 투입된 피 건조물을 설정된 건조 조건으로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된 이후에, 건조물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 3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2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건조물을 인출하는 경우 좌우 방향을 따라 개방된다.
따라서, 건조물을 인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건조 공간(20a) 내부에 있는 건조물을 피 건조물 투입구(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수용공간(R)과 의류수용공간으로 의류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37)가 구비된 캐비닛(3),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돌 회전시키되 상기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부(5, 6, 7)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37)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아우터패널(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공간(R)에 연통한다.
상기 아우터패널(33)에는 도어(4)에 구비된 잠금돌기(47)가 수용되는 잠금돌기 수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는 잠금돌기(47)가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돌기 수용부(39)에 수용됨으로써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3)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 6, 7)는 투입구(3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A)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축은 제1힌지(5)와 제2힌지(6)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제2힌지(6)와 제3힌지(7)를 통해 형성된다.
도 41은 제1회전축(A)이 캐비닛(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세로축),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가로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회전축의 위치 및 제2회전축의 위치를 도 41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한(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한) 캐비닛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41 (b)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이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투입구(37)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틸팅, Tilting)하면 도어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의류 투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도어(4)는 아우터패널(33) 방향에 구비되는 인너프레임(43), 상기 인너프레임에 결합하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투입구(37)에 삽입되는 투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투과부(45)는 의류수용공간(R) 내부에 위치한 의류가 투입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사용자가 의류수용공간(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42를 참고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힌지부 및 도어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2에 도시된 도어는 힌지부와 도어의 결합 구조의 설명을 위해 인너프레임(43), 투과부(45)가 생략된 형태이다.
상기 힌지부는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1축(51)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1힌지(5), 상기 제1축과 더불어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이 구비된 제2힌지(6), 상기 제3축과 더불어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3힌지(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에 고정된 형태이나 상기 제1힌지(5)와 제3힌지(7)는 도어(4)를 캐비닛(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폐(도 41 (a))하거나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폐(도 41 (b)) 가능하다.
상기 제1힌지(5)는 캐비닛(3) 또는 도어(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축(51),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한 제1축 착탈부(53)를 포함한다.
도 42은 캐비닛의 아우터패널(33)에 제1축(51)이 구비되고 도어에 상기 제1축 착탈부(5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축(51)은 아우터패널(33)의 우상단에 위치하여 제1회전축(A)을 구성한다.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제1축(51)이 수용되는 축수용홈(531), 축수용홈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홈개폐부(533), 상기 홈개폐부를 탄성지지하는 개폐부 탄성지지부(535)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 탄성지지부(535)는 홈개폐부(533)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로 도 43에서 도시되는바, 상기 제1축(51)과 상기 제1축 착탈부(53)은 도 4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제1힌지(5)의 제1축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제1회전축(A)을 형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이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는데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61), 상기 도어(4)에 고정되되 제3축(63)을 통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축(651)은 상기 도어고정부(65)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축(51)과 제2축(6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어고정부(65)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에 의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연결된다.
상기 제2힌지(6)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고정부(65)에 연결된 힌지서포터(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서포터(653)은 상기 도어고정부(65)로부터 후방 및 하방을 향해 완곡한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할 경우 상기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도어경사조절부(8, 도 44참고)에 결합된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한편,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힌지서포터(653)가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서포터 플랜지(6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힌지(7)는 아우터패널(33) 또는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축형성부(71), 아우터패널 또는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축형성부가 착탈 가능한 축착탈부(73)를 포함한다.
도 42은 아우터패널(33)에 축형성부가 구비되고 도어(4)에 축착탈부(7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3힌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축형성부(71)는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바디(711), 상기 바디(711)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3축(63)과 더불어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포함한다.
*상기 축착탈부(73)는 아우터프레임(41)과 인너프레임(43)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홈(731),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제4축(713)을 지지하는 제4축 지지돌기(7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4축(713)은 상기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뒤 제4축 지지돌기(733)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도어(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힌지의 제1축(51)은 제1축 착탈부에 구비된 축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3힌지의 제4축(713)은 축착탈부의 제4축 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4)를 측면(S)을 당기면 제4축(713)이 축착탈부(73)에서 분리되어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사용자가 도어(4)의 상부면(T)을 당기면 제1축(51)이 제1축 착탈부(53)에서 분리되어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4)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도어서포터(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서포터(75)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어서포터의 일단에는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서포터(75)가 상기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754)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도어서포터에는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되는 착탈축(75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축착탈부(73)에는 상기 착탈축(751)이 수용되는 착탈축 수용홈(735), 상기 착탈축 수용홈에 수용된 착탈축(751)을 지지하는 착탈축 지지돌기(73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축착탈부(73)는 상기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 도 44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은 캐비닛(3)의 내부에 구비된 도어경사 조절부(8)에 의해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도어 개방각)을 조절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의 경우 의류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세탁이 완료된 의류의 건조를 위해 사용자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로 의류를 이동시킬 경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 개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수용공간(R)에 투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것이다.
특히,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캐비닛의 상부에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탑로딩(top loading)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술한 효과는 극대화된다.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에 결합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에는 도어경사 조절부(8)에 착탈 가능한 서포터돌기(753) 및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제1힌지의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3을 참고해서 제1힌지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43(a)는 도어(4)가 상기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축(51)이 상기 축수용홈(531)에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축(51)은 상기 축수용홈(531)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축(51)은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의 의미는 제1축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단 또는 외주면 일단에 절삭면이 구비됨을 의미한다.
도 43(b)는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밀폐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축(51)이 상기 축수용홈(531)에 수용된다.
도 4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축(51)이 상기 축수용홈(531)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1축(51)의 절삭면이 상기 홈개폐부(533)의 개폐부 탄성지지부(535)를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축(51)에 상기 축수용홈(531)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개폐부 탄성지지부(535)가 압축되고, 상기 제1축(51)에 상기 축수용홈(531)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개폐부 탄성지지부(535)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도 4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축(51)이 상기 축수용홈(531)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소정의 힘으로 막는다.
즉,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한 상태(도 41 (b) 및 도 43(a))에서 투입구(3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면 도어에 구비된 제1축 착탈부(53)가 제1축(5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축은 제1축 착탈부의 축수용홈(531)에 삽입되어, 도 43(b)에 도시된 형태로 상태가 변경된다.
이 경우 상기 축수용홈(531)은 제1축이 삽입되는 유입구가 상기 제1축(5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축은(51)은 축수용홈(531) 내부로 유입되나 제1축이 축수용홈에 삽입된 뒤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3(c)은 도어(4)가 상기 제1회전축(A)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3(b)의 상태에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4)에 설치된 상기 제1축(51)은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상기 도어(4)를 따라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축(51)은 축수용홈(531) 내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 탄성지지부(535)가 상기 홈개폐부(533)를 탄성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축(51)은 상기 축수용홈(531)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상기 축수용홈(531)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1힌지(5)는 도 43(a)와 같은 상태이고, 상기 도어(4)가 투입구(37)을 밀폐하면 도 43(b)의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도 43(c)의 형태로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도 44를 참고하여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44는 도어서포터(75)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 힌지서포터(653)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가 모두 구비된 경우(도어경사 조절부가 2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어경사 조절부(8)는 하나만 구비되어 도어서포터(75)와 힌지서포터(653)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어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와 힌지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의 구조는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4(b)에 도시된 힌지서포터(653)가 착탈되는 도어경사 조절부(8)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힌지서포터(653)에 적용된 도어경사 조절부(8)는 상기 도어서포터(75)에 적용된 도어경사 조절부(8)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어경사 조절부(8)는 캐비닛(3) 내부에 위치하는데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구비된 인너패널(3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경사 조절부(8)는 인너패널(35)에 고정되는 고정바디(81), 상기 고정바디(81)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바디(83), 상기 착탈바디에 구비되어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85a, 8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홈(85a, 85b)은 상기 착탈바디(83)에 구비되되 소정거리 이격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돌기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돌기수용홈은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때 미리 설정된 열림각을 실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4(b)는 도어가 닫힌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위치하는 돌기수용홈(85a), 도어의 열림각이 대략 30도 또는 60도가 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돌기수용홈(85b)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착탈바디(83)는 고정바디(81)에 바디 탄성지지부(87)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착탈바디(83)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어경사 조절부(8)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4)를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때 도어서포터(75), 힌지서포터(653),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4 (a), 도 45 (a) 및 도 46(a)를 참고하여 제3힌지(7)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a)에서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로 도어(4)가 수직하게 고정된 상태이고, 도 45(a)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대략 30도 정도로 회전된 상태이며, 도 46(a)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대략 85도 정도로 회전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는 상기 힌지서포터(653)에만 적용되고, 상기 도어서포터(75)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도 44(a), 도 45(a) 및 도 46(a)에서는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가 상기 도어서포터(75)에도 적용된 구조를 설명한다.
도 44(a)에서와 같이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제3힌지의 제4축(713)과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은 축착탈부(73)의 제4축 수용홈(731)과 착탈축 수용홈(735)에 각각 수용된 상태이고,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제4축과 착탈축을 각각 지지한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도어서포터(75)의 서포터돌기(753)은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85a)에 수용된 상태가 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면(T, 도 42참고)을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축착탈부(73)에 고정된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은 회전된다.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이 대략 30도 만큼 회전되면 서포터돌기(753)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착탈바디를 따라 이동하며 착탈바디에 구비된 돌기수용홈(85b)에 안착된다(도 45a에 도시된 상태). 즉 상기 서포터돌기(753)이 상기 돌기수용홈(85b)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4)는 회전이 중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더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즉 상기 서포터돌기(753)가 돌기수용홈(85b)로부터 탈거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서포터돌기(753)는 상기 돌기수용홈(85b)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도어(4)는 회전된다. 상기 도어서포터(75)가 도어경사 조절부(8)로부터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플랜지(754)가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4)를 지지하게 된다(도 46(a)에 도시된 상태).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상기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서포터돌기(753)는 단계적으로 돌기수용홈(85a, 85b)에 안착 또는 탈거되면서 상기 도어(4)의 회전각이 고정될 수 있다.
도 44(b), 도 45(b) 및 도 46(b)를 참고하여 제2힌지(6)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b)에서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로 도어(4)가 수직하게 고정된 상태이고, 도 45(b)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대략 30도 정도로 회전된 상태이며, 도 46(b)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대략 85도 정도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85a)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도 44(b)에 도시된 형태).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T)를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도어(4)가 회전하면 힌지서포터(653)의 힌지서포터 돌기(655)도 돌기수용홈(85a)로부터 이탈하여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힌지서포터 돌기(655)는 상기 돌기수용홈(85b)에 안착된다(도 45(b)에 도시된 상태). 이때 상기 돌기수용홈(85b) 이외에 여러 개를 더 형성하면 상기 도어(4)는 대략 30도 이외에 다른 다양한 각도에서도 회전된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더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즉 상기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돌기수용홈(85b)로부터 탈거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힌지서포터 돌기(655)는 상기 돌기수용홈(85b)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도어(4)는 회전된다. 상기 힌지서포터(653)가 도어경사 조절부(8)로부터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힌지 서포터 플랜지(657)가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4)를 지지하게 된다(도 46(b)에 도시된 상태).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상기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 서포터돌기(655)는 단계적으로 돌기수용홈(85a, 85b)에 안착 또는 탈거되면서 상기 도어(4)의 회전각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도어(4)가 완전히 개방된 때 각 서포터(653, 75)에 구비된 플랜지(657, 754)의 도어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7은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모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771, 77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75)가 아우터패널(33)의 외부로 인출된 때 캐비닛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서포터(75)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부(773)가 결합하는 리브(77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도어서포터(75)에 탄성부(773)가 직접 결합될 경우 도어 내부에 위치한 장치들과 탄성부(773)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어경사 조절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데 도 48은 도어경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경사 조절부는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부(82), 상기 고정부(82)의 수용이 가능하되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고정부 수용홈(8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82)는 소정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제1고정돌기(821), 상기 제1고정돌기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고정돌기(8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821)는 캐비닛(1)의 아우터패널(13)과 인너패널(15)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825)를 통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수용홈(84)은 상기 제1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841), 상기 제2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8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 수용홈(843)은 제2고정돌기(823)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제1고정돌기(821)의 외주면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적어도 42개 이상 구비되되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8에 개시된 고정부 수용홈(84)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2돌기 수용홈(843),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3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1돌기 수용홈(841a), 도어(4)가 제2회전축(A)을 기준으로 9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1돌기 수용홈(841b)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돌기(823)의 직경이 제1돌기(821)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한 것은 제1돌기(821)만을 통해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경우 제2돌기 수용홈(843)과 제1돌기 수용홈(841a) 사이의 간격이 제1돌기를 수용하되 도어의 무게를 지탱 가능한 홈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48은 고정부 수용홈(84)이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도어경사 조절부는 고정부 수용홈(84)이 힌지서포터(653)에 구비되고 고정부(82)가 힌지서포터에 구비된 고정부 수용홈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각각 구비된 플랜지(754, 657)을 통해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도어(4)를 지지할 수 있지만 도어의 무게에 따라 축착탈부(73)에서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49를 참고하여 도어고정부(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고정부(9)는 상기 도어(4)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때 상기 도어서포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서포터(75)에는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가 안착되는 결합돌기 안착부(7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 안착부(755)는 상기 도어서포터(75)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4)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 안착부(755)에 접촉되어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이동은 제3힌지의 축형성부(71)에 구비되는 캠(91), 상기 도어(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탄성지지하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축착탈부(73)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지지되고(도 42참고), 상기 캠(91)은 축착탈부(73)에 구비된 제4축 수용홈(731)의 외측에 위치하되 도어(4)가 닫힌 경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91)은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가 도어서포터(75)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91)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도어고정부(9)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할 경우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도 4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91)의 외주면을 따라 도어(4) 내부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탄성지지부(95)가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은 상기 도어서포터(75)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결합돌기 안착부(755)에 접촉되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상기 도어(4)가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됨을 방지한다.
나아가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에 구비된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4)가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4)가 의류처리장치로부터 탈거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3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캠(91)의 외주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도어 내부에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95)에는 상기 캠(91)의 외주면에 따른 형상에 의해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지지부(95)는 복원력에 의해서 압축되지 않고 원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안착부(755)로부터 분리되고, 도 49(a)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5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어(4)의 하단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편(43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경사편(431)은 상기 도어(4)의 상기 인너프레임(43)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상기 리세스(42)는 상기 제2힌지(6)가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반면에, 상기 경사편(431)은 상기 도어(4)의 하단 중앙에 넓게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되면, 상기 경사편(431)과 상기 캐비닛(3)이 접촉된다. 즉 상기 경사편(431)은 상기 캐비닛(3)의 상기 아우터패널(33)에 접촉해서 상기 도어(4)의 회전이 중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도어(4)는 상기 경사편(431)과 상기 아우터패널(33)이 접촉하는 정도까지만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편(431)은 상기 캐비닛(3)에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4)의 하단은 직각의 모서리를 갖지 않고, 소정 경사로 경사진 상기 경사편(431)을 구비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편(431)에는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에 의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부(1240)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부(12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부(1240)는 상기 경사편(431)과 유사한 평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도어(4)의 상기 제2회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1은 도 50에서 댐퍼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댐퍼부(1240)는 상기 경사편(4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5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댐퍼부(1240)는 상기 경사편(431)이 아닌 상기 캐비닛(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1240)는 상기 경사편(431)과 상기 캐비닛(3)이 부딪히는 위치에 마련되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로 변형되어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2 내지 도 55는 댐퍼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52 내지 도 5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2에 도시된 댐퍼부(1240)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캐비닛(3)의 상기 아우터패널(33)에 접촉하는 댐핑바(433)를 포함한다. 상기 댐핑바(433)는 일면이 편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편(431)과 상기 댐핑바(433)의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4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435)은 회전력이 가해질 때에, 그러한 회전력에 반발하는 압축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4)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도어(4)의 회전 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다.
도 52에 따르면, 상기 도어(4)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댐핑바(433)가 상기 아우터패널(33)에 접촉하고, 상기 토션스프링(435)이 가압되면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이 부딪혀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댐퍼부(1240)의 예는 가스 또는 유체스프링이다. 즉 케이싱 내부에 압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가스 또는 유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1240)의 상기 경사편(431)이 상기 댐퍼부(1240)에 부딪히면, 케이싱 내부에 포함된 가스 또는 유체가 압축되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속도가 감소되어,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의 사이에 발생된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4에 도시된 댐퍼부(1240)의 예는 압축스프링이다. 도 54에 따른 예에서는 상술한 댐퍼부(1240)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경사편(431)이 상기 댐퍼부(1240)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경사편(431)이 상가 압축스프링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스프링은 가압되면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 사이에 발생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5에 도시된 댐퍼부(1240)의 예는 상기 댐퍼부(1240)가 상기 경사편(431)이 아닌 상기 제2힌지(6)에 설치된 예이다.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도어(4)에 고정되는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3)에 고정되는 상기 캐비닛고정부(6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캐비닛고정부(61)의 일단에는 상기 제3축(63)에 평와셔(1244), 스프링와셔(1242)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5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와셔(1242)에서 마찰이 발생된다. 즉 상기 스프링와셔(1242)의 형상 때문에 상기 도어(4)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힌지(6)에서 마찰이 발생되고, 발생된 마찰에 의해서 상기 도어(4)의 회전 속도가 감쇠된다. 따라서 급격한 속도로 상기 도어(4)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편(431)과 상기 캐비닛(3)이 부딪혀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 캐비닛 4: 도어
1300: 가이드부 1301: 가이드 홈
1302: 제1가이드 홈 1304: 제1안착턱
1306: 제2가이드 홈 1308: 제2안착턱
1310: 제3가이드 홈 1320: 연결부
1322: 가이드 돌기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가 기 설정된 제1각도 및 상기 제1각도보다 큰 각도로 설정된 제2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
    연결부의 자유단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가이드 홈;
    상기 제1가이드 홈에서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2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가이드 홈; 및
    상기 제2가이드 홈과 상기 제1가이드 홈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의류가 상기 도어가 제공하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투입구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30도 내지 60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상기 도어가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으로써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85 내지 90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홈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지지되는 제1안착턱;
    상기 도어가 상기 제2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 홈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지지되는 제2안착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007980A 2012-01-26 2012-01-26 의류처리장치 KR10186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980A KR101861676B1 (ko) 2012-01-26 2012-01-26 의류처리장치
US13/748,359 US20130193823A1 (en) 2012-01-26 2013-01-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3152292.2A EP2620538A3 (en) 2012-01-26 2013-01-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3100319169A CN103225194A (zh) 2012-01-26 2013-01-28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980A KR101861676B1 (ko) 2012-01-26 2012-01-2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86A KR20130086886A (ko) 2013-08-05
KR101861676B1 true KR101861676B1 (ko) 2018-05-28

Family

ID=4771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980A KR101861676B1 (ko) 2012-01-26 2012-01-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93823A1 (ko)
EP (1) EP2620538A3 (ko)
KR (1) KR101861676B1 (ko)
CN (1) CN1032251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54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5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6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45738B1 (ko) * 2014-02-18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759913S1 (en) * 2014-08-05 2016-06-21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USD774713S1 (en) 2014-08-19 2016-12-20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58032S1 (en) *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Frontload drying appliance
USD758031S1 (en)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Frontload drying appliance
USD758030S1 (en) *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Frontload drying appliance
USD758028S1 (en) *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KR102229977B1 (ko) * 2014-08-25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4B1 (ko) *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3B1 (ko)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767835S1 (en) * 2015-03-0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JP1558791S (ko) 2015-03-04 2016-09-12
CN105063970B (zh) * 2015-08-05 2018-06-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105063971B (zh) * 2015-08-05 2018-06-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106758029B (zh) * 2015-11-24 2020-07-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可双向开门的衣物处理装置
USD847444S1 (en) 2016-03-09 2019-04-3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D833091S1 (en) 2016-03-09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Dryer
KR102594899B1 (ko) 2016-09-2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85492B1 (ko) * 2016-09-23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85491B1 (ko) * 2016-09-23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4898B1 (ko) 2016-09-2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400415B (zh) * 2016-11-09 2018-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门体安装结构及洗衣机
CN109208277A (zh) * 2017-07-05 2019-01-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USD942715S1 (en) 2018-10-08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CA3157065A1 (en) * 2019-10-11 2021-04-15 Sennco Solutions, Inc. Security gate
US11939717B2 (en) 2021-04-22 2024-03-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CN113356714B (zh) * 2021-06-28 2023-05-30 青岛中科英泰商用系统股份有限公司 开门阻尼结构
CN113481694B (zh) * 2021-06-30 2023-04-07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滚筒洗衣机衣物抵门判断方法及装置
CN113957659B (zh) * 2021-12-07 2023-04-07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称重方法、装置和滚筒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955A (ja) * 1999-08-20 2001-03-0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5354852A (ja) * 2004-06-14 2005-12-22 Meidensha Corp 盤の扉ストッパ構造
JP2006132838A (ja) * 2004-11-05 2006-05-25 Sharp Corp 扉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5018A (en) * 1954-09-07 1957-12-03 Collins Douglas Oven door
US3018508A (en) * 1959-05-27 1962-01-30 Gen Electric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US3327700A (en) * 1966-05-13 1967-06-27 Gen Electric Torsion spring balancing means for pivoted doors
US3521319A (en) * 1968-02-12 1970-07-21 Illinois Tool Works Door positioner
US3503380A (en) * 1968-06-06 1970-03-31 United Filtration Corp Hinges
US3698781A (en) * 1971-01-27 1972-10-17 Gen Motors Corp Cabinet door mounting
BE793487A (fr) * 1971-12-31 1973-04-16 Guerrini Jacques Fenetre 'oscillo-battant'
US3749080A (en) * 1972-03-02 1973-07-31 United Filtration Corp Oven door hinge
US4088861A (en) * 1976-03-18 1978-05-09 Mcgraw-Edison Company Microwave oven with torsion bar hinge
US4096602A (en) * 1977-09-06 1978-06-27 Fedders Corporation Dryer door stop assembly
JP2002115713A (ja) * 2000-10-10 2002-04-19 Origin Electric Co Ltd ヒンジ装置
JP2002282189A (ja) * 2001-03-27 2002-10-02 Toto Ltd 食器洗浄機
EP1365056A1 (en) * 2002-05-22 2003-11-26 CANDY S.p.A. Front 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JP4584020B2 (ja) * 2005-05-13 2010-11-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8201304B2 (en) * 2009-02-25 2012-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liant door hinge
IT1395507B1 (it) * 2009-07-24 2012-09-28 Brera Cerniera per il portello di apparecchi elettrodomestici, particolarmente per l'incernieramento del portello di lavastoviglie.
US8820861B2 (en) * 2010-1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936330B2 (en) * 2010-12-23 2015-01-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2221984B2 (en) * 2011-02-24 2016-03-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955A (ja) * 1999-08-20 2001-03-0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5354852A (ja) * 2004-06-14 2005-12-22 Meidensha Corp 盤の扉ストッパ構造
JP2006132838A (ja) * 2004-11-05 2006-05-25 Sharp Corp 扉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93823A1 (en) 2013-08-01
EP2620538A3 (en) 2015-06-17
CN103225194A (zh) 2013-07-31
KR20130086886A (ko) 2013-08-05
EP2620538A2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JP5616537B2 (ja) 衣類処理装置
EP265739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21208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5023303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20842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US9951458B2 (en) Washing machine
EP2459793B1 (en) Washing machine
US10119218B2 (en) Washing machine
EP3296444B1 (en) Washing device
US2017000939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276852B1 (ko) 2축힌지
KR101821209B1 (ko) 세탁장치
KR101875612B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059434A1 (ja) 洗濯機
EP1467013A1 (en) Inner tub with rotary damp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KR10182120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34946B1 (ko) 세탁기
EP1518956A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provided with door for closing an internal chamber
EP1544343A1 (en) Top-loading washing machine with a drum equipped with a single door flap
KR20110011654U (ko)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