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98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898B1
KR102594898B1 KR1020160122037A KR20160122037A KR102594898B1 KR 102594898 B1 KR102594898 B1 KR 102594898B1 KR 1020160122037 A KR1020160122037 A KR 1020160122037A KR 20160122037 A KR20160122037 A KR 20160122037A KR 102594898 B1 KR102594898 B1 KR 10259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xis
switching unit
lock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55A (ko
Inventor
조홍준
배상훈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98B1/ko
Priority to AU2017330142A priority patent/AU2017330142B2/en
Priority to US16/335,997 priority patent/US11168427B2/en
Priority to PCT/KR2017/010479 priority patent/WO2018056756A1/ko
Priority to CN201780058900.3A priority patent/CN109790673B/zh
Publication of KR2018003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with disconnecting means for the appropriate pivo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rad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106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requiring a specific angula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1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제1수용부 및 격벽을 통해 상기 제1수용부와 구분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하는 제2전환부,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 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공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의 회전축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동안 회전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축 변경 시 소음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제1수용부 및 격벽을 통해 상기 제1수용부와 구분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하는 제2전환부;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격벽과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체로 구비되는 탄성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제2바디가 접촉하는 면에서 돌출된 바디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격벽에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바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제1전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접촉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홈; 상기 홈 내부를 제1홈과 제2홈으로 구분하는 제1돌기;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접촉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를 왕복할 때 상기 제1돌기에 간섭되는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홈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홈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홈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축 수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전환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전환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전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의 회전축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동안 회전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축 변경 시 소음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작동부 및 댐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어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도어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 전환부, 제1락 및 제2락을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제1락 및 제2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락 및 제2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 캐비닛(1)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2)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도어(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프론트 패널(11)에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를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함으로써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를 의류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는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드럼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미도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탁수 배출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는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드럼에 공급된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수용부(2)는 터브와 드럼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캐비닛 내부에는 세탁수 공급부, 세탁수 배출부 및 터브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브 내부의 공기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상기 투입구(111)의 개폐를 위해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되는 도어(3)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X, Y)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도어(3)는 힌지부(51, 53, 55)를 통해 프론트 패널(11)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작동부(4)를 통해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바디(31),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고정시키는 도어 락(door lock, 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3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311), 아우터 프레임(311)에 결합되며 프론트 패널(11)을 향하는 면(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위치된 인너 프레임(3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락(33)은 인너 프레임(312)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론트 패널(11)에는 도어 락(33)이 수용되는 도어락 체결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상기 도어 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는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에는 외부에 노출된 제1수용부(317), 격벽(315)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317)와 분리되는 제2수용부(318)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4)는 상기 제1수용부(317)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디(41), 상기 제1바디(41)에 고정되며 상기 제2수용부(318) 내부에 위치하는 제2바디(42), 상기 제2바디(42)에 구비되어 제1바디(41)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축 전환부(6)를 작동시키는 이송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전환부(6)는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X, Y)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바디(41)의 고정단은 바디회전축(43)을 통해 제1수용부(317)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유단은 격벽에 구비된 관통홀(319)을 통해 상기 제2수용부(318)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바디(42)는 상기 제1바디(41)의 자유단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바디(42)는 상기 제1바디(41)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 전환부(6)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41)의 자유단이 상기 격벽(315)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45)는 상기 제1바디(41)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2바디(42)가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축 전환부(6)를 가압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작동부(4)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제1바디(41)를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누르면(제1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2바디(42)는 회전축 전환부(6)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된 상기 이송부(45)는 회전축 전환부(6)를 작동시키게 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결합시키는 힌지부(51, 53, 55)는 제1축(511b)이 구비된 제1힌지(51), 제4축(551a)이 구비된 제3힌지(551, 552), 제1축(511b)과 함께 제1회전축(X)을 형성하는 제2축(531c) 및 제4축(551a)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는 제3축(533c)이 구비된 제2힌지(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51)는 프론트 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고정되는 제1힌지바디(511), 프론트 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 착탈부(5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힌지바디(511)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고,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힌지바디(511)에는 제1축(511b)을 지지하는 축지지부(511a)가 구비되는데, 축지지부(511a)는 프론트 패널(11)에서 돌출된 뒤 프론트 패널과 나란한 평면을 따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론트 패널(11)에서 돌출된 형상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되는 하우징(513a), 하우징(513a)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축 수용부(513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축 수용부(513b)는 인너 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13a)에는 하우징(5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전환부(6)의 제1전환부(61)가 삽입되는 전환부 관통홀(513c)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부(4)에 의해 제1전환부(61)가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전환부 관통홀(513c) 외부에 노출되어 제1축 수용부(513b)를 폐쇄할 수도 있고, 전환부 관통홀(513c) 내부에 위치하여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 의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가 폐쇄되면, 상기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제1축 수용부(513b)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 의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가 개방되면, 상기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제1축 수용부에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도 5 참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53)는 제2축(531c)이 구비된 도어 지지부(531), 제3축(533c)을 통해 도어지지부(531)를 프론트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결합부(5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결합부(533)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는 결합부 바디(533a), 제3축(533c)를 통해 결합부 바디(5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3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지지부(531)는 회전판(533b)에 고정되는 지지부 바디(531a), 지지부 바디(531a)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2축(531c)이 구비되는 축지지부(531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531c)은 상기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힌지(51)의 제1축(511b)과 나란하게 구비(동일 직성 상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1회전축(X)은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3힌지는 도어바디(31)와 프론트 패널(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축(551a), 도어바디(31)와 프론트 패널(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축이 착탈부(55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구비되고,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고정된 제3힌지 바디(551)에 구비되며, 제3힌지 바디(551)에 지지된 제4축(551a)은 인너 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는 착탈부 바디(553), 착탈부 바디(553)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축 수용부(555), 착탈부 바디(553)에 구비되어 회전축 전환부(6)의 제2전환부(63)가 수용되는 전환부 수용부(5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축 수용부(555)는 착탈부 바디(553)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축 수용부(555)는 제2힌지(53)의 제3축(553c)과 나란하게 구비(동일 직선 상에 구비)되므로, 제4축 수용부(555)에 삽입된 제4축(551a)은 제3축(533c)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환부 수용부(557)는 착탈부 바디(553)에서 돌출되며 제4축 수용부(555)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557a), 상기 수용바디(557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바디 관통홀(557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557b)은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하는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31) 내부에 위치된 제2수용부(318)에는 상기 도어(3)를 제1회전축(X)과 제2회전축(Y)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회전축 전환부(61, 6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작동부(4)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1전환부(61), 상기 제1전환부(61)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전환부(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61)는 상기 투입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은 전환부 관통홀(513c)을 통해 하우징(513a)을 관통하고, 상기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 제4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전환부(61)는 아우터 프레임(311)과 인너 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전환부 가이더(319a)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는 제1전환부 가이더(319a)가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됨으로써 제1전환부(61)의 운동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전환부(61)에는 접촉부(611)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611)는 제1바디(41)의 회전 시 이송부(45)에 접촉하여 상기 제1전환부(61)를 제2전환부(63)가 위치된 방향(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611)는 제1전환부(61)에서 인너 프레임(312)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 바디(6111), 접촉부 바디에 구비되어 이송부(45)에 접촉하는 경사면(61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6113)은 상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서 제2자유단(61f)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부의 제1바디(41)를 가압하면, 상기 이송부(45)는 경사면(6113)을 가압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작동부(4)를 통해 제1전환부(61)를 제2전환부(6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작동부(4)를 조작함으로써 제1축 수용부(513a)가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 의해 개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611)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전환부(61)에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6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611)는 절곡부(61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환부(63)는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 제3자유단)은 제4축(551a)과 아우터 프레임(31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 제4자유단)은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에 접촉된다.
상기 작동부(4)를 통해 제1전환부(61)에 입력되는 외력이 제2전환부(63)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과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63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환부 경사면(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전환부 경사면(631)이 제2전환부(63)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전환부(63)는 아우터 프레임(311)과 인너 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전환부 가이더(319b)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는 제2전환부 가이더(319b)가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됨으로써 제2전환부(63)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전환부(6)에는 제1전환부(61)를 제1축 착탈부(513)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615, 6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2전환부(6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635)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탄성체(635) 및 상기 제1전환부(6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615)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탄성체(635)는 상기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을 전환부 수용부(557a, 557b)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체(615)는 상기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 수용부(513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부(4)에 의해 제1전환부(61)가 제2전환부(6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사용자가 작동부를 조작하지 않으면),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것이다.
상기 제2탄성체(635)에 의해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이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면,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에 의해 제1축 착탈부(513)를 향해 가압되므로 제1축(511b)은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 의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부(4)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3)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은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자중에 의해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가 제2회전축(Y)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도어에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이 동일하여 도어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탄성체(635)는 일단은 제2전환부(63)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우터 프레임(311)과 인너 프레임(3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탄성체(615)는 일단은 제1전환부(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우터 프레임(311)과 인너 프레임(3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도어바디(31)가 프론트 패널(11)에 접촉된 경우, 제1바디(41)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1전환부(61)는 탄성지지부(615, 635)에 의해 제1힌지(51)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2전환부(63)는 제1전환부(61)가 작동부(4)에 의해 제1힌지(51)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3)는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제1수용부(317, 도 2)에 손을 넣어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제1바디(41)를 누르지 않고 도어바디를 당기면),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도 3 참고).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르면, 상기 제1전환부(61)와 제2전환부(63)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가압하면, 이송부(45)는 접촉부(611)에 구비된 경사면(6113)을 가압하므로 제1전환부(61)는 제2전환부(6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전환부(61)가 제2전환부(63)를 향해 이동하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의 전환부 경사면(631)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제3힌지(55)의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면 도어(3)는 제4축(551a)과 제3축(533c)에 의해 형성되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른 채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3)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도 1의 상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회전축(X)은 캐비닛의 바닥면 대해 수직한 수직축으로 구비되고, 제2회전축(Y)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여 제1회전축(X)과 제2회전축(Y)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에 의해 회전할 때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르면 제1축(511b)이 제1축 착탈부(513)에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또한,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바디(4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제4축이 제4축 수용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도어바디가 프론트 패널에서 분리되면) 제1전환부(61) 및 제2전환부(6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7, 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전환부(61)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락(7, Lock) 및 상기 제2전환부(6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락(8)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락(7)은 상기 작동부(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락 바디(71), 상기 제1락 바디(71)가 상기 도어바디(31)의 내부에서 도어(3)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락 이송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바디(71)는 바 형상(bar)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락 지지부(79)에 의해 작동부의 제2바디(42)를 향해 가압된다. 상기 제1락 지지부(79)는 상기 제1락 바디(71)의 자유단을 상기 제2바디(42)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바디(71)에는 상기 제1락 이송부(73)에 의해 가압되는 제1락 경사면(72)이 구비된다. 상기 제1락 경사면(72)은 상기 작동부(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제1 락바디(71)를 상기 제2바디(4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제2바디(4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74),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접촉되면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제2바디(42)에서 분리시키는 가압부(76, 7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이송바디(74)에 고정되어 상기 인너 프레임(312)을 관통하는 제1가압부(78), 이송바디(74)에 고정되어 상기 제1락 경사면(72)에 접촉하는 제2가압부(76)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너 프레임(312)에는 상기 제1가압부(78)가 삽입되는 관통홀(313)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를 폐쇄한 때 상기 관통홀(3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락 경사면(72)을 가압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1락 체결부(711)를 통해 제2바디(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락 체결부(711)는 상기 제2바디(42)에 구비되어 상기 제1락 바디(71)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제1고정부(711a) 및 제2고정부(711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11a)는 사용자가 작동부의 제1바디(41)를 가압하지 않고 도어(3)를 회전시키는 경우(도어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락 바디(71)가 결합되는 수단이고, 상기 제2고정부(711b)는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가압한 뒤 도어(3)를 회전시키는 경우(도어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락 바디(71)가 결합되는 수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락(8)은 도어(3)의 두께방향(T)을 따라 도어(3)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제2락 바디(81), 상기 제2락 바디(8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락 지지부(87),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프론트 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락 이송부(85),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를 폐쇄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제2전환부(63)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를 개방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제2전환부(63)에 결합시키는 제2락 체결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락 바디(81)는 도어(3) 내부에 구비된 제2가이더(318)의 안내를 받아 도어(3) 내부에서 왕복하고, 상기 제2락 지지부(87)는 상기 제2락 바디(81)와 상기 도어바디(31)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락 지지부(87)는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인너 프레임(312) 방향(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상기 인너 프레임(3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락 바디(8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너 프레임(312)에는 상기 제2락 이송부(85)가 관통하는 관통홀(314)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관통홀(314)에 삽입되어 상기 제2락 바디(81)를 가압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락 체결부(89)는 상기 제2전환부(63)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891), 상기 제2락 바디(8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89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8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락 체결부(89)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7은 상기 제1체결부(891)는 제2전환부(6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체결부(893)는 상기 제2락 바디(8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치고정부(7, 8)가 구비된 도어(3)의 작동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락 바디(71)는 작동부(4)와 분리된 상태(도 6)를 유지하고, 제2락 바디(81)의 제2체결부(893)는 제1체결부(891)와 분리된 상태(도 7 (a))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르지 않고,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하면(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도어바디를 회전시키면), 프론트 패널(11)에 의해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1고정부(711a)에 결합되어 제1바디(4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락 바디(81)는 제2체결부(893)가 제1체결부(891)의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2전환부(63)가 제4축(551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도 7 (b))하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711a)에 의해 제2바디(42)의 회전이 방지되면,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바디(41)에 외력이 입력되어도 제1전환부(61)는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작동부(4)에 외력이 입력되더라도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나 기타의 물체에 의해 제1락 이송부(73)가 가압되어 상기 제1바디(41)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이 경우 본 발명은 제2락(8)에 의해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락(8)이 없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락 이송부(73)가 사용자나 기타의 물체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1락 바디(71)는 작동부(4)의 제1고정부(711a)에서 분리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른다면 상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할 것이므로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 및 제2회전축(Y)에서 모두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제1축은 제1축 수용부에서 분리되고, 제4축은 제4축 수용부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어바디(31)가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되기만 하면, 제2락(8)에 의해 제2전환부(63)가 수용바디 관통홀(557b)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되므로, 상기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63f)에 지지되는 제1전환부(61)의 이동 역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락 이송부(73)에 외력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2락(8)을 통해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축(511b)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누른 뒤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하면(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면),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되므로,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2고정부(711b)에 결합되어 제1바디(4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락 바디(81)는 제2체결부(893)가 제1체결부(891)의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2전환부(63)가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락 바디(71)가 제2고정부(711b)에 결합되면, 상기 제1바디(41)는 회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회전축(Y)을 통해 도어바디(31)가 회전할 때 사용자가 제1바디(41)를 계속 누르지 않아도 도어(3)의 회전 중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락(7)만이 구비된 도어(3)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락 이송부(73)가 눌러질 경우,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제2락(8)을 통해 상술한 문제가 방지된다.
제2락(8)이 없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기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락 이송부(73)가 사용자나 기타의 물체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2바디(42)의 제2고정부(711b)에서 분리될 것이다.
상기 제1락 바디(71)가 제2고정부(711b)에서 분리되면, 작동부의 이송부(45)를 통해 상기 제1전환부(61)의 접촉부(611)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므로,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은 탄성지지부(615, 635)에 의해 제1축 착탈부(513)를 향해 이동할 것이고, 상기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는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될 것이므로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락(8)이 구비된 본 발명은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이 수용부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락 이송부(73)에 외력이 입력되더라도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락(7)과 제2락(8)이 모두 구비된 도어(3)는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에 외력이 동시에 입력될 때에만 회전축(X, Y)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도어바디(31)의 회전 중 어느 하나의 락 이송부에 외력이 입력되더라도 도어바디(31)가 제1힌지(51) 및 제3힌지(55)에서 동시에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제1락(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락은 도어(3)가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61)에 결합되고,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전환부(63)에서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락(7)은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제1락 바디(71), 상기 제1락 바디(71)를 인너 프레임(312)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락 바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락 지지부(79), 상기 제1락 바디(71)에서 제1전환부(61)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75),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제1전환부(61)를 향해 돌출된 락 돌기(77), 상기 제1전환부(61)에 구비되어 상기 락 돌기(77)가 삽입되는 제1락 체결부(711),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접촉하여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제1전환부(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락 이송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바디(71)는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된 제1가이더(311a))의 안내를 받아 도어(3) 내부에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제1락 바디(7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인너 프레임(312)에 구비된 관통홀(313)을 통해 도어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1락 체결부(711)는 상기 제1전환부(61)의 길이방향(W)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1고정부(711a) 및 제2고정부(711b)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711a)에 락 돌기(77)가 삽입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고정부(711b)에 락 돌기(77)가 삽입되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도 9는 제2락(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락(8)은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제2락 바디(81), 상기 제2락 바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락 지지부(87), 상기 제2락 바디에서 제2전환부(63)를 향해 연장되는 제2락 연장부(811), 상기 제2락 연장부에서 상기 제2전환부를 향해 돌출된 제2락 돌기(813), 상기 제2전환부(63)에 구비되어 상기 제2락 돌기가 삽입되는 제2락 체결부(892, 894),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접촉하여 상기 제1락 바디를 상기 제2전환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락 이송부(8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락 바디(81)는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된 제2가이더(311b)의 안내를 받아 도어(3) 내부에서 왕복 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2락 체결부는 상기 제2전환부(63)의 길이방향(H)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전환부를 관통하는 제1체결홀(892) 및 제2체결홀(894)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홀(892)에 제2락 돌기(813)가 삽입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체결홀(894)에 제2락 돌기(813)가 삽입되면 제4축(551a)이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작동부(4)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 제2바디(42)가 격벽(315)에 충돌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격벽(315)이나 제2바디(42)가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회전축 전환부(61, 63)의 위치를 고정하고,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회전축 전환부(61, 6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락(7)과 제2락(8)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술한 위험은 더욱 더 커질 수 있다.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는 댐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댐퍼(47, 제1댐퍼)는 상기 작동부(4)의 제2바디(42)가 격벽(315)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바디가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댐퍼(47)는 상기 격벽(315)과 제2바디(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탄성바디(4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바디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댐퍼(47)는 탄성바디(471)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제2바디(42)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는 바디돌기(475), 상기 탄성바디(471)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격벽(315)에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바디 홈(4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돌기(475)나 바디 홈(473)은 상기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하여 상기 제2바디(42)가 격벽(315)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바디(42)의 운동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제2바디(42)와 격벽(315)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49, 제2댐퍼)는 제2바디(42)에 구비되는 이송부(45)와 제1전환부(61)에 구비되는 접촉부(6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홈, 상기 홈 내부를 제1홈(491)과 제2홈(493)으로 구분하는 제1돌기(495),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접촉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6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를 왕복하는 제2돌기(49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497)는 상기 제1홈(491)과 제2홈(493) 사이를 왕복할 때 상기 제1돌기(495)에 간섭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2댐퍼(49)의 경우, 상기 제1전환부(61)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X)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돌기(497)는 상기 제1홈(491)에 위치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동부의 제1바디(41)를 가압하여 상기 제1전환부(61)가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X)에서 분리시키는 위치로 시키면, 상기 제2돌기(497)는 제2홈(493)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4)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도어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돌기(497)는 제2홈(493)내부 또는 제2홈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제1락(7)은 제1전환부(61)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락(8)은 제2전환부(63)에서 분리되므로 각 전환부(61, 63)는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전환부(61)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제1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돌기(497)는 제2홈(493)이 위치된 방향에서 제1홈(491)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제1돌기(495)에 충돌하게 된다.
상기 제2돌기(497)가 제2홈(493)이 위치된 방향에서 제1홈(491)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돌기(495)에 충돌하면, 상기 작동부의 제2바디(42)의 회전속도가 감속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댐퍼(49)는 제2바디(4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상기 격벽(315)과 제2바디(42)의 충돌 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1: 투입구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15: 격벽 317: 제1수용부 318: 제2수용부
4: 작동부 41: 제1바디 42: 제2바디
43: 바디회전축 45: 이송부 47: 제1댐퍼
471: 탄성바디 473: 바디 홈 475: 바디 돌기
49: 제2댐퍼 491: 제1홈 493: 제2홈
495: 제1돌기 497: 제2돌기 51: 제1힌지
511b: 제1축 513b: 제1축 수용부 53: 제2힌지
531c: 제2축 533: 캐비닛 결합부 533c: 제3축
55: 제3힌지 551a: 제4축 552: 제4축 착탈부
61: 제1전환부 611: 접촉부 6111: 접촉부 바디
6113: 경사면 63: 제2전환부 615: 제1탄성체
635: 제2탄성체 7: 제1락 8: 제2락

Claims (14)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제1수용부 및 격벽을 통해 상기 제1수용부와 구분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하는 제2전환부;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제2바디;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을 향해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격벽과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바디가 상기 격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체로 구비되는 탄성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제2바디가 접촉하는 면에서 돌출된 바디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격벽에 접촉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바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제1전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접촉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홈;
    상기 홈 내부를 제1홈과 제2홈으로 구분하는 제1돌기;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접촉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를 왕복할 때 상기 제1돌기에 간섭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홈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홈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축 수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전환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전환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전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22037A 2016-09-23 2016-09-23 의류처리장치 KR10259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37A KR102594898B1 (ko) 2016-09-23 2016-09-23 의류처리장치
AU2017330142A AU2017330142B2 (en) 2016-09-23 2017-09-22 Garment processing device
US16/335,997 US11168427B2 (en) 2016-09-23 2017-09-22 Garment processing device
PCT/KR2017/010479 WO2018056756A1 (ko) 2016-09-23 2017-09-22 의류처리장치
CN201780058900.3A CN109790673B (zh) 2016-09-23 2017-09-22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37A KR102594898B1 (ko) 2016-09-23 2016-09-2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55A KR20180032855A (ko) 2018-04-02
KR102594898B1 true KR102594898B1 (ko) 2023-10-27

Family

ID=6169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037A KR102594898B1 (ko) 2016-09-23 2016-09-2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8427B2 (ko)
KR (1) KR102594898B1 (ko)
CN (1) CN109790673B (ko)
AU (1) AU2017330142B2 (ko)
WO (1) WO20180567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314B1 (ko) *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3876A (en) * 1925-05-13 1925-12-01 Balus F Smith Shock-absorbing device for doors
US3018508A (en) 1959-05-27 1962-01-30 Gen Electric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US3698781A (en) 1971-01-27 1972-10-17 Gen Motors Corp Cabinet door mounting
KR950000950Y1 (ko) * 1991-12-30 1995-02-17 주식회사 금성사 세탁기의 손잡이겸 투명창장치
KR950000950U (ko) 1993-06-30 1995-01-03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의 필기구 보관장치
KR950005949U (ko) 1993-08-18 1995-03-20 레이저빔 프린터의 현상기 리프트 장치
KR950005949Y1 (ko) * 1993-11-30 1995-07-26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완충장치
KR0138847Y1 (ko) * 1994-09-08 1999-04-01 전성원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KR19990029441U (ko) 1997-12-29 1999-07-26 윤홍구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
US7032271B2 (en) * 2004-04-02 2006-04-25 Jung-Hui Lin Noise control device for a steel door
SI21971A (sl) * 2005-02-18 2006-08-31 Lama D.D. Dekani Oplemeniteni pohistveni sarnir
KR100640751B1 (ko) 2005-06-10 2006-10-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가변구조
WO2007048435A1 (de) * 2005-10-29 2007-05-03 Aeg Electric Tools Gmbh Handwerkzeugmaschine
EP2119537A1 (de) * 2008-05-17 2009-11-18 Metabowerke GmbH Elektrohandwerkzeuggerät
KR101528729B1 (ko) * 2008-10-28 2015-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459793B1 (en) * 2009-07-30 2018-01-1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8820861B2 (en) 2010-1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936330B2 (en) 2010-12-23 2015-01-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21208B1 (ko) 2011-12-21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5731676B2 (ja) 2011-02-24 2015-06-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KR101772971B1 (ko) 2011-09-26 2017-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1861676B1 (ko) 2012-01-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370923B1 (ko) * 2012-08-02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2145738B1 (ko) * 2014-02-18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5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6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4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68343B (zh) 2014-03-21 2018-09-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2201741B1 (ko) 2014-03-21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3B1 (ko) *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724286B2 (en) * 2014-12-22 2020-07-28 Robert Rissone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KR102309292B1 (ko) 2015-01-05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WO2017171215A1 (en) * 2016-03-28 2017-10-05 Lg Electronics Inc.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KR20160084327A (ko) 2016-04-01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KR102585491B1 (ko) * 2016-09-23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314B1 (ko) *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30142A1 (en) 2019-04-18
CN109790673A (zh) 2019-05-21
AU2017330142B2 (en) 2020-06-18
WO2018056756A1 (ko) 2018-03-29
KR20180032855A (ko) 2018-04-02
US20200024785A1 (en) 2020-01-23
US11168427B2 (en) 2021-11-09
CN109790673B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2070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16995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4573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5B1 (ko) 의류처리장치
JP6105649B2 (ja) 衣類処理装置
JP6082071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594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489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549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287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5492B1 (ko) 의류처리장치
US980991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60106294A (ko) 의류처리장치
KR2007000159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