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38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38B1
KR102145738B1 KR1020140018458A KR20140018458A KR102145738B1 KR 102145738 B1 KR102145738 B1 KR 102145738B1 KR 1020140018458 A KR1020140018458 A KR 1020140018458A KR 20140018458 A KR20140018458 A KR 20140018458A KR 102145738 B1 KR102145738 B1 KR 10214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ont panel
piston
shaf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211A (ko
Inventor
조홍준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38B1/ko
Priority to DE202015100731.0U priority patent/DE202015100731U1/de
Priority to CN201520114848.7U priority patent/CN204589637U/zh
Priority to US14/625,130 priority patent/US9371608B2/en
Publication of KR2015009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10Covers; Hand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에 구비된 투입구를 개폐하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축을 통해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도어를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되, 댐퍼는 수평축에 직교하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공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 도어를 지지하는 수단 및 기타의 장치들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축을 통해 상기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프론트패널을 향하는 면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프론트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는 댐퍼하우징; 상기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free end)은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수직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수직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결합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 상기 도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바; 상기 도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1바가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제2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프론트패널을 향하는 면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프론트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면에 고정되되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댐퍼하우징; 상기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은 상기 프론트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의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댐퍼하우징;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free end)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 도어를 지지하는 수단 및 기타의 장치들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힌지와 제1바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힌지와 제2바의 착탈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 캐비닛(1)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2)를 개폐하는 도어(3)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투입구(111)가 구비된 프론트패널(11)을 포함하는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를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함으로써 의류(세탁대상물)를 의류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는 투입구(1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드럼은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미도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탁수 배출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는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드럼에 공급된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수용부(2)는 터브와 드럼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캐비닛 내부에는 터브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브 내부의 공기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투입구(111)의 개폐를 위해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는 도어(3)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X, Y)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도어(3)는 힌지부(51, 53, 55)를 통해 프론트패널(11)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핸들(4)을 통해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이 가능하다.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바디(31),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 고정시키는 도어락(door lock, 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311), 아우터프레임(311)에 결합되며 프론트패널(11)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 인너프레임(3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락(33)은 인너프레임(312)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론트패널(11)에는 도어락(33)이 수용되는 도어락 체결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를 프론프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도어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의 구조는 어떤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도어락(33)은 인너프레임(312)에서 돌출된 바(bar) 및 바의 자유단(free end)에 구비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도어락 체결부(113)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어바디(31)에는 핸들수용부(314)가 구비되는데, 도 1은 핸들수용부(314)가 도어바디(3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수용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핸들(4)은 수용홈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핸들(4)은 핸들수용부(314)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바디(41), 핸들바디(41)를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43), 핸들바디(41)의 작동여부에 따라 후술할 전환부(6)를 작동시키는 가압부(45)로 구비될 수 있다.
전환부(6)는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X, Y)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a)는 바디회전축(43)이 손가락과 핸들바디(41)가 접촉되는 압점(P)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b)는 바디회전축(43)이 압점(P)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바디회전축(43)이 압접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도 2 (a)), 핸들바디(41)의 일단은 바디회전축(43)을 통해 아우터프레임(311)에 고정되어야 하고, 가압부(45)는 핸들바디(41)의 자유단(free end)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 (a)의 핸들(4)은 투입구(111)를 개방하기 위해 두 개의 동작이 요구된다.
즉, 사용자는 핸들수용부(314)에 손가락을 넣어 핸들바디(41)를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동작(후술할 전환부(6)를 작동시키는 동작), 도어(3)를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제2동작을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다만, 핸들수용부(314)가 제공하는 공간이 넓지 않기 때문에 도 2 (a)에 도시된 핸들(4)의 구조는 사용자가 제1동작을 수행할 때 핸들수용부(314)의 내주면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제한(F)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3)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 (b)의 핸들(4) 구조는 도어(3)가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도어바디(31)를 당기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투입구(111)를 개방 가능한 구조이다.
즉, 도 2 (b)의 핸들(4)은 핸들수용부(314)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바디(41), 핸들바디(41)가 고정되는 축수용부(47), 축수용부(47)를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43), 축수용부(47)에 고정되며 도어바디(31)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부(45)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2(b)의 핸들바디(41)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
도 2 (b)의 핸들(4)은 핸들바디(41)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이 공급되는 방향과 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들수용부(314)에 손가락을 넣은 후 도어(3)를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핸들바디(41)의 회전,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의 분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4)은 도 2 (a)에 비해 쉽게 도어(3)를 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들수용부(314)에 간섭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 결합시키는 힌지부(51, 53, 55)는 제1축(511b)이 구비된 제1힌지(51), 제4축(551a)이 구비된 제3힌지(55), 제1축(511b)과 함께 제1회전축(X)을 형성하는 제2축(531c)과 제4축(551a)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는 제3축(533c)이 구비된 제2힌지(5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힌지(51)는 프론트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제1축(511b)이 구비되는 제1힌지바디(511), 프론트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1축(511b)에 착탈되는 제1축 착탈부(5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힌지바디(511)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고,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힌지바디(511)에는 제1축(511b)이 구비되는 축지지부(511a)가 구비되는데, 축지지부(511a)는 프론트패널(11)에서 돌출된 뒤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론트패널(11)에서 돌출된 형상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되는 하우징(513a), 하우징(513a)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축 수용부(513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축 수용부(513b)는 인너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하우징(513a)에는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하우징(5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전환부(6)의 제1바(61)가 삽입되는 제1바 관통홀(513c, 도 4 참고)이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4)에 의해 제1바(61)가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면 제1바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 수용부(513b)에 노출되어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제1바 관통홀(513c)에 삽입되어 제1축이 제1축 수용부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제2힌지(53)는 도어바디(31)가 결합되는 제2축(531c)을 구비한 도어 지지부(531),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며 제3축(533c)을 통해 도어지지부(5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비닛 결합부(533)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533)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는 결합부 바디(533a), 제3축(533c)를 통해 결합부 바디(5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3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지지부(531)는 회전판(533b)에 고정되는 지지부 바디(531a), 지지부 바디(531a)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2축(531c)이 지지되는 축지지부(531b)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는 제2축(53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531c)은 제1힌지(51)의 제1축(511b)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제1회전축(X)은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된다.
제3힌지(55)는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축(551a),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4축(551a) 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축 착탈부(55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구비되고,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고정된 제3힌지 바디(551)에 의해 지지되며, 제3힌지 바디(551)에 지지된 제4축(551a)은 인너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는 착탈부 바디(553), 착탈부 바디(553)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축 수용부(555), 착탈부 바디(55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후술할 전환부(6)의 제2바(63)가 수용되는 바 수용부(557)로 구비될 수 있다.
제4축 수용부(555)는 착탈부 바디(553)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555a), 수용홈(555a)에 삽입된 제4축(551a)의 원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 바디(553)에서 수용홈(555a)을 향해 연장된 제1플랜지(555b)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홈(555a)은 제3축(553c)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수용홈(555a)에 삽입된 제4축(551a)은 제3축(533c)와 함께 제2회전축(Y)을 형성하게 된다.
바 수용부(557)는 착탈부 바디(553)에서 돌출되며 수용홈(555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플랜지(557a), 제2플랜지(557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제1바(61)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바(63)의 제1자유단(63e)이 삽입되는 플랜지 관통홀(557b)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31) 내부에는 사용자가 회전축(X, Y)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전환부(6)가 구비된다.
전환부(6)는 핸들(4)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1바(61), 제1바(61)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바(6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바(61)는 투입구(111)의 상부에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구비되는데, 제1바(61)의 제1자유단(61e)은 제1바 관통홀(513c)에 삽입되어 제1축 착탈부(513)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1바(61)의 제2자유단(61f)은 제2바(63)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제1바(61)는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바 가이더(315)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는 제1바 가이더(315)가 아우터프레임(311)에 임구비됨으로써 제1바(61)의 움직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1바(61)는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된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축 착탈부(513)를 향해 가압되는데, 제1지지부(615)는 일단은 제1바(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우터프레임(311)과 인터프레임(3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61)에는 접촉부(611)가 구비된다. 접촉부(611)는 핸들(4)의 가압부(45)가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회전하면 제1바(61)를 제2바(63)가 위치된 방향(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작동바 접촉부(611)는 제1바(61)에서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 바디(6111), 접촉부 바디에 구비되어 가압부(45)에 접촉하며 제1자유단(61e)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61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가압하면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고, 경사면(6113)은 가압부(45)에 의해 제2바(6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본 발명은 핸들(4)을 통해 제1바(61)를 제2바(6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작동바 접촉부(611)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바(61)에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613)가 더 구비되고, 접촉부(611)는 절곡부(61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절곡부(613)는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프레임(613)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곡부(613)에는 가압부(45)에 접촉하는 경사면(6131, 절곡부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613)에 가압부(45)가 접촉되는 경사면(6131)이 구비되면 도 4 (b)의 접촉부(611)는 생략될 수 있다.
제2바(63)는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구비되는데, 제2바(63)의 제1자유단(63e, 제3자유단)은 제4축(551a)과 아우터프레임(31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제2바(63)의 제2자유단(63f, 제4자유단)은 제1바(61)의 제2자유단(61f)에 접촉된다.
핸들(4)을 통해 제1바(61)에 입력되는 외력이 제2바(63)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바의 제2자유단(61f)과 제2바의 제2자유단(63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바 경사면(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바 경사면(631)이 제2바(63)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2바(63)는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바 가이더(316)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 (a)는 제2바 가이더(316)가 아우터프레임(311)에 구비됨으로써 제2바(63)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2바(63)는 제2지지부(633)에 의해 제4축 착탈부(5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데, 제2지지부(633)의 일단은 제2바(63)에 고정되고 제2바 탄정지지부의 타단은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 접촉된 경우, 핸들바디(41)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 제1바(61)는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힌지(51)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바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2바(63)의 제1자유단(63e)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지 않는다. 제2바(63)는 제1바(61)가 핸들(4)에 의해 제1힌지(51)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5 (a)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제4축 착탈부(552)를 향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3)는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 때, 사용자가 핸들수용부(314)를 이용하여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핸들(4)을 가압하지 않음)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도 3 참고).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을 가압하면 제1바(61)와 제2바(63)는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가압하면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여 접촉바(611)에 구비된 경사면(6113)을 가압하므로, 제1바(61)는 제2바(6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1바(61)가 제2바(63)를 향해 이동하면, 제1바의 제1자유단(61e)은 도어바디(31)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제1바의 제2자유단(61f)은 제2바(63)의 바 경사면(631)을 가압하게 된다.
제1바의 제1자유단(61e)이 도어바디(31)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1바의 제2자유단(61f)이 바 경사면(631)을 가압하면 제2바의 제1자유단(63e)은 제3힌지(55)의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6 (b)).
따라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면 도어(3)는 제4축(551a)과 제3축(533c)에 의해 형성되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1의 상태).
이 때,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른 채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3)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도 6 (c)).
한편,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핸들바디(41)가 가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만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도어바디가 프론트패널에서 분리되면) 제1바(61)의 위치나 핸들바디(41)의 위치를 고정(제1바나 핸들바디를 구속)시키는 전환부 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바디(31)가 회전할 경우,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면 도어바디(31)의 자중에 의해 힌지부(51, 53, 55) 등이 파손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바디(31)의 낙하속도를 조절하는 댐퍼(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8)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는 댐퍼하우징(81),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3)에 접촉하는 피스톤(83), 댐퍼하우징(81) 내부에 구비되어 피스톤(83)을 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85)로 구비될 수 있다.
댐퍼하우징(81)은 프론트패널(1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고, 피스톤(83)은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여 프론트패널(11)의 전방에 위치된 도어바디(3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피스톤 지지부(85)는 피스톤(83)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한데, 도 7 (a)는 피스톤 지지부(85)가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프론트패널(11)을 향하는 도어바디(31)의 일면 하단에는 도어바디(31)의 가장자리 회전반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경사면(35, 도어 경사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사면(35)은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어바디(3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최대 회전각도 설정수단)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35)은 프론트패널(11)을 향하는 도어의 일면(인너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되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경사면(35)은 인너프레임(312)에 평행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아우터프레임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되 도어바디의 너비방향(W)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댐퍼(8)는 피스톤(83)이 경사면(35)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피스톤(83)의 자유단은 경사면(35)에 접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8)는 도 7 (a)와 같은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7 (a)와 같이 피스톤(83)이 인너프레임(312)에 수직한 방향(제2회전축에 직교하는 수평선)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 (a)의 구조는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방향과 피스톤(83)이 도어바디(31)를 밀어주는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피스톤(83)의 반발력에 의해 제4축(551a)이 수용홈(555a)에서 인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도 7 (a)의 구조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인너프레임(312)이나 경사면(35)이 피스톤(83)의 자유단을 가압하지 못하고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다. 도어(3)의 회전 시 도어바디(31)가 피스톤(83)의 자유단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힌지부(51, 53, 55)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83)이 경사면(35)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피스톤이 제2회전축에 직교하되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선에 대해 상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 제4축(551a)이 수용홈(555a)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피스톤(83)의 자유단이 경사면(35)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더라도 도어바디(31)와 접촉되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어바디(31)가 댐퍼(8)의 지지를 받지 못한 채 회전하는 구간이 발생되어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증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83)의 자유단은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 있을 때 경사면(35)에 접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피스톤(83)의 자유단이 경사면(35)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면,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피스톤(83)의 자유단과 경사면(35)의 이격 거리만큼 피스톤 지지부(85)가 압축되는 시점이 지연되는 반면 피스톤(83)의 자유단이 경사면(35)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도어바디(31)의 회전개시와 동시에 피스톤 지지부(85)의 압축이 개시되므로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댐퍼(8)는 사용자가 도어(3)의 회전축(X, Y)을 선택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술한 댐퍼(8)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만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1회전축(X)은 캐비닛의 바닥면 대해 수직한 수직축으로 구비되고, 제2회전축(Y)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여 제1회전축(X)과 제2회전축(Y)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3:도어락 35: 접촉면
4: 핸들 51: 제1힌지 53: 제2힌지
55: 제3힌지 6: 전환부 61: 제1바
63:제2바 8: 댐퍼 81: 댐퍼 하우징
83: 피스톤 85: 피스톤 지지부

Claims (10)

  1.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축을 통해 상기 프론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프론트패널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는 댐퍼하우징;
    상기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free end)은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수직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수직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된 결합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
    상기 도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는 제1바;
    상기 도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1바가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제2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면에 고정되되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댐퍼하우징;
    상기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은 상기 프론트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의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고정되는 댐퍼하우징;
    일단은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free end)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피스톤;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18458A 2014-02-18 2014-02-18 의류처리장치 KR10214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458A KR102145738B1 (ko) 2014-02-18 2014-02-18 의류처리장치
DE202015100731.0U DE202015100731U1 (de) 2014-02-18 2015-02-16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201520114848.7U CN204589637U (zh) 2014-02-18 2015-02-17 衣物处理装置
US14/625,130 US9371608B2 (en) 2014-02-18 2015-02-1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458A KR102145738B1 (ko) 2014-02-18 2014-02-1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11A KR20150097211A (ko) 2015-08-26
KR102145738B1 true KR102145738B1 (ko) 2020-08-19

Family

ID=5318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458A KR102145738B1 (ko) 2014-02-18 2014-02-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1608B2 (ko)
KR (1) KR102145738B1 (ko)
CN (1) CN204589637U (ko)
DE (1) DE202015100731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55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6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4B1 (ko)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760456S1 (en) * 2014-08-05 2016-06-28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USD759913S1 (en) * 2014-08-05 2016-06-21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USD774713S1 (en) 2014-08-19 2016-12-20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59912S1 (en) * 2014-08-19 2016-06-21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58032S1 (en)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Frontload drying appliance
USD758030S1 (en) *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Frontload drying appliance
KR101653313B1 (ko)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4B1 (ko) * 2014-09-17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140490A1 (en) * 2015-03-02 2016-09-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D767835S1 (en) * 2015-03-0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JP1558791S (ko) 2015-03-04 2016-09-12
EP3187651B1 (en) * 2015-12-30 2019-02-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machine
USD847444S1 (en) 2016-03-09 2019-04-3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D833091S1 (en) 2016-03-09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Dryer
KR102594898B1 (ko) * 2016-09-2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385851A (zh) * 2017-08-10 2019-02-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控制方法
USD942715S1 (en) 2018-10-08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USD962564S1 (en) * 2019-09-20 2022-08-30 Lg Electronics Inc. Door for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1594A1 (en) * 2010-12-23 2012-06-28 Kihyuk Kim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8508A (en) * 1959-05-27 1962-01-30 Gen Electric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US3327700A (en) * 1966-05-13 1967-06-27 Gen Electric Torsion spring balancing means for pivoted doors
US3698781A (en) * 1971-01-27 1972-10-17 Gen Motors Corp Cabinet door mounting
US4088861A (en) * 1976-03-18 1978-05-09 Mcgraw-Edison Company Microwave oven with torsion bar hinge
KR20100122229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936330B2 (en) * 2010-12-23 2015-01-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731676B2 (ja) * 2011-02-24 2015-06-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KR101861676B1 (ko) * 2012-01-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04149B1 (ko) 2012-07-23 2014-06-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천수를 포함하는 세균성 전립선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69955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4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6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1594A1 (en) * 2010-12-23 2012-06-28 Kihyuk Kim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1608B2 (en) 2016-06-21
US20150233039A1 (en) 2015-08-20
DE202015100731U1 (de) 2015-04-30
CN204589637U (zh) 2015-08-26
KR20150097211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3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99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53313B1 (ko) 의류처리장치
CN109790673B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