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9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4899B1 KR102594899B1 KR1020160122186A KR20160122186A KR102594899B1 KR 102594899 B1 KR102594899 B1 KR 102594899B1 KR 1020160122186 A KR1020160122186 A KR 1020160122186A KR 20160122186 A KR20160122186 A KR 20160122186A KR 102594899 B1 KR102594899 B1 KR 102594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door
- handle
- main part
-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03—Doors or covers; Safet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및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 상기 도어에 구비된 핸들, 상기 핸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핸들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거나 상기 핸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는 제1주동부 및 제2주동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주동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축 제어부,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주동부가 상기 제1축 제어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주동부에 의해 상기 제3힌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종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 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공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도어의 경우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의 위치를 도어의 좌측에서 도어의 우측으로 변경하거나, 도어의 우측에서 도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및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 상기 도어에 구비된 핸들; 상기 핸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핸들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거나 상기 핸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는 제1주동부 및 제2주동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주동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축 제어부;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주동부가 상기 제1축 제어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주동부에 의해 상기 제3힌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종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제1착탈부; 상기 제2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착탈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상기 제1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상기 제2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을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축 커버;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축 커버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축 커버 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축 커버 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어부 가이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 제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축 제어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제1착탈부; 상기 제2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착탈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을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축 커버;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축 커버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축 커버 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축 커버 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동부는 상기 제2주동부와 상기 제3힌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2주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종동바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바디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종동바디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종동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바디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종동바디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3관통홀; 상기 종동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종동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핸들바디; 및 상기 핸들바디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주동부는 상기 핸들바디의 회전 시 상기 제1입력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주동부를 상기 핸들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주동부는 상기 핸들바디의 회전 시 상기 제2입력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주동부를 상기 핸들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촉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랙; 상기 제2접촉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랙;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중 어느 하나의 랙에 입력된 외력을 나머지 하나의 랙으로 전달하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주동부는 상기 핸들과 상기 제1힌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주동바디; 및 상기 제1주동바디에 구비되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주동부는 상기 제2착탈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주동바디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주동바디; 및 상기 제2주동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부에 접촉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주동부 및 상기 제2주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락(l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종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락(l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의 위치를 도어의 좌측에서 도어의 우측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어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축 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제1전환부 및 및 제2전환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의 오른쪽에 위치돼있던 제1회전축을 도어의 왼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락과 제2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전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어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축 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제1전환부 및 및 제2전환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의 오른쪽에 위치돼있던 제1회전축을 도어의 왼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락과 제2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전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 캐비닛(1)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2)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도어(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프론트 패널(11)에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를 회전시켜 투입구(111)를 개방함으로써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를 의류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는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드럼은 상기 투입구(111) 및 터브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미도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탁수 배출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는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드럼에 공급된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수용부(2)는 터브와 드럼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캐비닛 내부에는 세탁수 공급부, 세탁수 배출부 및 터브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상기 투입구(111)의 개폐를 위해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되는 도어(3)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X, Y)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도어(3)는 힌지부(51, 53, 55)를 통해 프론트 패널(11)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핸들(4)을 통해 도어(3)의 회전축(X, Y)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바디(31),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도어 락(door lock, 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3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311), 아우터 프레임(311)에 결합되며 프론트 패널(11)을 향하는 면(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위치되는 인너 프레임(3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락(33)은 인너 프레임(312)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론트 패널(11)에는 도어 락(33)이 수용되는 도어락 체결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상기 도어 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는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는 도어의 외부에 노출된 제1수용부(351), 격벽(315)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351)와 분리되며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4)은 바디회전축(43)을 통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핸들바디(41, 4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바디는 상기 격벽(35)에 구비된 관통홀(355)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351)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2수용부(353)에 위치한다.
즉, 상기 핸들바디는 상기 제1수용부(351)에 위치하는 핸들 제1바디(41) 및 제2수용부(353)에 위치하는 핸들 제2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핸들 제1바디(41)는 상기 바디회전축(43)을 통해 상기 아우터 프레임(3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핸들 제2바디(42)는 상기 핸들 제1바디(41)의 자유단이 상기 격벽(35)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제2바디(42)에는 상기 핸들 제1바디(41)의 회전각도에 따라 후술할 제1전환부(61, 63)를 작동시키는 제1입력부(45) 및 제2입력부(46, 도 5 참고)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전환부(61, 63)는 제2전환부(65)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X, Y)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 결합시키는 힌지부(51, 53, 55)는 제1축(511b)이 구비된 제1힌지(51), 제4축(551a)이 구비된 제3힌지(551, 552), 제1축(511b)과 함께 제1회전축(X)을 형성하는 제2축(531c) 및 제4축(551a)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는 제3축(533c)이 구비된 제2힌지(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51)는 프론트 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고정되는 제1힌지바디(511), 프론트 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 착탈부(5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힌지바디(511)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고,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힌지바디(511)에는 제1축(511b)을 지지하는 축지지부(511a)가 구비되는데, 축지지부(511a)는 프론트 패널(11)에서 돌출된 뒤 프론트 패널과 나란한 평면을 따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고정된 하우징(513a), 하우징(513a)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축 수용부(513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축 수용부(513b)는 인너 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축 착탈부(513)에는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개폐하는 제1축 제어부(5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제어부(514)는 상기 하우징(5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어부 가이더(513c)에 삽입되는 제1바(514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가이더(513c)는 제1축 제어부(51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바(514a)의 일단에는 후술할 제1전환부(61, 6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주동바디 결합부(514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바(514a)의 자유단(514e)은 상기 주동바디 결합부(514b)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할 수도 있고, 폐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바 자유단(514e)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폐쇄하면, 상기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제1축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제1바디 자유단(514e)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하면, 상기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제1축 수용부에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바(514a)는 탄성체(514c)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 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14c)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513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514a)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514c)는 상기 제1바 자유단(514e)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바(514a)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힌지(51)는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된 제1체결부(311a) 및 제2체결부(311b)를 통해 도어의 좌측이나 도어의 우측 중 어느 위치에나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체결부(311a)와 제2체결부(311b)는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선대칭(axial symmetry)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5, 도 8 참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53)는 제2축(531c)이 구비된 도어 지지부(531), 제3축(533c)을 통해 도어지지부(531)를 프론트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결합부(5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결합부(533)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는 결합부 바디(533a), 제3축(533c)를 통해 결합부 바디(5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3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지지부(531)는 회전판(533b)에 고정되는 지지부 바디(531a), 지지부 바디(531a)에서 돌출되어 제2축(531c)을 지지하는 제2축 지지부(531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531c)은 제2축 커버(531d, 도 5 참고)를 통해 상기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51)의 제1축(511b)과 나란하게 구비(동일 직성 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X)은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3힌지는 도어바디(31)와 프론트 패널(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축(551a), 도어바디(31)와 프론트 패널(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축 착탈부(55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구비되고,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는 착탈부 바디(552a), 착탈부 바디(552a)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축 수용부(552b), 상기 착탈부 바디(552a)에 구비되어 후술할 제2전환부(65)의 자유단(651e)가 삽입되는 전환부 수용부(5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축 수용부(552b)는 착탈부 바디(552a)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축 수용부(552b)는 제2힌지(53)의 제3축(533c)과 나란하게 구비(동일 직선 상에 구비)되므로, 제4축 수용부(552b)에 삽입된 제4축(551a)은 제3축(533c)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환부 수용부(557)는 착탈부 바디(552a)에서 돌출되어 제4축 수용부(552b)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557a), 상기 수용바디(557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바디 관통홀(557b)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고정된 제3힌지 바디(55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힌지 바디(551)에는 상기 제4축(551a)을 상기 제3힌지 바디(551)와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제4축 지지부(551d)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4축 지지부(551d)에 고정된 제4축(551a)은 인너 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3힌지 바디(551)에는 후술할 제2전환부(65)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더(551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551c)는 상기 제3힌지 바디(55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6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된 제2전환부(65)가 홈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53)는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된 축 커버 체결부(311c)를 통해 상기 도어(3)에 고정되고, 상기 제3힌지(55)는 아우터 프레임(311)에 구비된 바디 체결부(311d)를 통해 상기 도어(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힌지(53)는 제2축 커버(531d)를 관통하여 상기 축 커버 체결부(311c)에 고정되는 체결수단(볼트 등)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3힌지(55)는 상기 제3힌지 바디(551)나 가이더(551c)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 체결부(311d)에 고정되는 체결수단(볼트 등)에 의해 도어에 고절될 것이다.
상기 제2힌지(53)의 위치와 상기 제3힌지(55)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축 커버 체결부(311c)와 바디 체결부(311d)는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선대칭(axial symmetry)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 내부에는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X, Y)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전환부(61, 63, 6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제1축 제어부(514)의 위치를 제어하여 제1축 수용부(513b)를 개폐하는 제1전환부(61, 63), 상기 제1축 수용부(513b)가 개방되면 상기 제4축 수용부(552b)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전환부에 의해 작동하는 제2전환부(6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핸들(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주동부(61) 및 제2주동부(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주동부(61)와 상기 제2주동부(63)는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핸들(4)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핸들(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전자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주동부(61)는 상기 핸들(4)과 제1축 제어부(514) 사이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의 제1주동바디(61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주동바디(611)의 일단에는 제1이송부(617) 및 상기 제1축 제어부(514)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착탈부(613, 도 4 참고)가 구비되고, 상기 제1주동바디(611)의 타단에는 핸들에 구비된 제1입력부(45)에 의해 가압되는 제1접촉부(6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착탈부(613)는 상기 제1축 제어부에 구비된 주동바디 결합부(514b)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617)는 상기 제1주동바디(611)에서 상기 제2힌지(53)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부(617)는 제1회전축(X)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제2전환부(63)가 도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제2전환부(65)에 접촉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이송부(637)가 제1연결바(618)를 통해 제1주동바디(61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1주동바디(611)의 작동 시 상기 제1이송부(617)가 제1축 착탈부(51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접촉부(615)는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입력부(45)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에 입력되는 외력을 상기 제1주동바디(611)에 전달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접촉부(615)는 상기 제1주동바디(611)에서 상기 제1입력부(45)를 향해 돌출된 접촉바디(615a), 상기 접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입력부(45)에 접촉하는 경사면(615b)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615b)은 상기 주동바디 제1착탈부(613)에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615)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주동바디(611)에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6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접촉부(615)는 상기 제1절곡부(619)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동부(63)는 제1주동부(6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주동부(63)는 상기 제1주동바디(611)와 동일한 직선 상에서 왕복 가능한 바 형상의 제2주동바디(6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동바디(631)는 상기 핸들(4)과 제2체결부(311b) 사이를 왕복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동바디(631)의 일단에는 제2이송부(637) 및 상기 제1축 제어부(514)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착탈부(6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주동바디(631)의 타단에는 핸들에 구비된 제2입력부(46)에 의해 가압되는 제2접촉부(6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주동바디(631)에도 제1축 제어부(514)가 결합 가능한 제2착탈부(633)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축 제어부(514)는 제1주동부(6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2주동부(6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이송부(637)는 상기 제2주동바디(631)에서 상기 제2전환부(65)가 위치된 방향(상기 제4축(551a)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된다. 도 5는 상기 제2이송부(637)가 제2연결바(638)를 통해 제2주동바디(63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이는 상기 제2주동바디(631)의 작동 시 상기 제2이송부(637)가 제2체결부(311b)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이송부(637)는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1)을 중심으로 상기 제1이송부(617)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회전축(X1)의 위치변경을 위해 후술할 제2전환부(65)의 위치를 도어(3)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경할 때, 상기 제2전환부(65)가 제1이송부(617)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접촉부(635)는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2입력부(46)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에 입력되는 외력을 상기 제2주동바디(631)에 전달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접촉부(635)는 상기 제2주동바디(631)에서 상기 제2입력부(46)를 향해 돌출된 접촉바디(635a), 상기 접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입력부(46)에 접촉하는 경사면(635b)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635b)은 상기 제2착탈부(633)에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635)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주동바디(631)에는 아우터 프레임(311)을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63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635)는 상기 제2절곡부(639)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환부(65)는 상기 제2체결부(311b)와 상기 제4축(551a)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바 형상의 종동바디(651), 상기 종동바디(6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부(637)에 접촉하는 주동바디 접촉부(6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바디(651)의 자유단(651e)은 제4축 지지부(551d)에 의해 형성된 제4축(551a)과 제3힌지 바디(55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주동바디(63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상기 제4축 수용부(552b)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동바디 접촉부(653)는 핸들에 구비된 상기 제2입력부(46)를 통해 상기 제2주동바디(631)로 전달된 외력을 상기 종동바디(651)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주동바디 접촉부(653)는 상기 제2이송부(637)에 접촉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동바디 접촉부(653)는 상기 제2주동바디(631)가 상기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종동바디(651)를 상기 전환부 수용부(557)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촉부 제1경사면(653a)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 제1경사면(653a)는 상기 종동바디의 자유단(651e)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전환부(65)의 형상이 상기 종동바디(65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면, 상기 주동바디 접촉부(653)에는 접촉부 제2경사면(653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65)를 도어(3)의 왼쪽으로 이동시켜 제1회전축(X)의 위치를 변경하면, 상기 제1이송부(617)는 상기 접촉부 제2경사면(653b)에 접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주동바디 접촉부(653)는 복원력 제공부(655)를 통해 상기 제2이송부(637)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655)는 상기 종동바디(651)를 상기 제2주동바디(631)가 위치된 방향(종동바디 자유단이 제4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원력 제공부(655)는 상기 도어(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655a),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종동바디(651)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655b) 및 제2관통홀(655c), 일단은 상기 케이스(655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종동바디(651)에 고정되어 상기 제2주동바디(631)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종동바디(651)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655f)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655)를 상술한 형태로 구비하면, 제1회전축(X)의 위치 변경을 위해 하우징(513a), 제2힌지(53) 및 제3힌지 바디(551)의 위치를 변경할 때 제2전환부(65)와 함께 복원력 제공부(655)가 이동될 수 있어 제1회전축(X) 위치변경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종동바디(651)가 도어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복원력 제공부(655)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3관통홀(655g), 상기 종동바디(651)에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홀(655b)과 상기 제3관통홀(655g)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655d), 상기 제3관통홀(655g)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655d)에서 연장되는 가이더(655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655e) 및 제3관통홀(655g)은 상기 종동바디(6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 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7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전환부(61, 63) 및 제2전환부(65)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입력부(45)는 제1접촉부(615)에 구비된 경사면(615b)을 가압하고, 상기 제2입력부(46)는 제2접촉부(635)에 구비된 경사면(635b)를 가압한다.
상기 제1접촉부의 경사면(615b)과 제2접촉부의 경사면(635b)이 가압되면, 상기 제1주동바디(611) 및 제2주동바디(631)는 상기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1주동바디(611)는 제1힌지(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주동바디(631)는 제2체결부(311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주동바디(611)가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축 제어부에 구비된 제1바(514a)는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제1바(514a)가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514e)은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할 것이다. 따라서,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주동바디(631)가 핸들(4)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이송부(637)도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접촉부 제1경사면(653a)를 통해 제2이송부(637)에 접촉된 종동바디(651)는 제4축(551a)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종동바디(651)가 제4축(551a)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종동바디의 자유단(651e)은 전환부 수용부(557)에 구비된 수용바디 관통홀(557b)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종동바디 자유단(651e)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면, 상기 제4축 수용부(552b)는 종동바디(65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2b)에서 인출되지 못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3)는 제2회전축(Y)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4)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1전환부(61, 63) 및 제2전환부(65)는 제1축 제어부에 구비된 탄성체(514c) 및 제2전환부에 구비된 복원력 제공부(655)에 의해 도 5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4)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1축 제어부의 제1바(514a) 및 제1주동바디(611)는 탄성체(514c)에 의해 상기 핸들(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바(514a)가 상기 핸들(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축 수용부(513b)는 상기 제1바 자유단(514e)에 의해 폐쇄될 것이므로, 상기 제1축 수용부(513b)에 삽입된 제1축(511b)은 상기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핸들(4)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복원력 제공부(655)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종동바디(651)는 상기 제4축(55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주동바디(631)는 상기 접촉부 제1경사면(653a) 및 제2이송부(637)에 의해 상기 핸들(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종동바디(651)가 제4축(55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종동바디의 자유단(651e)는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므로, 상기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2b)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4)을 누르지 않고 상기 도어(3)를 당기면, 상기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의 좌측이나 우측 중 일측에 위치된 제1회전축(X)의 위치를 도어(3)의 좌측과 우측 중 나머지 일측으로 변경하는 것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와 오른손잡이인 경우로 구분되므로, 의류처리장치를 생산하는 생산자나 의류처리장치를 설치하는 설치자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X)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힌지(51)의 위치를 도어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도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경하는 작업, 제2힌지(53)는 제3힌지(55)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및 제3힌지(55)는 제2힌지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산자나 설치자가 제1회전축(X)을 변경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51)에는 제1축 제어부(5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축 제어부(514)는 제1주동바디(611)와 제2주동바디(631)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311a)와 제2체결부(311b)는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51)의 위치를 변경할 때 생산자나 작업자는 제1주동바디(611)와 제2주동바디(631)는 그대로 두고 제1힌지(51)만 제1체결부(311a)에서 제2체결부(311b)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축 커버 체결부(311c)와 바디 체결부(311d)는 수직선(H1)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므로, 제2힌지(53)와 제3힌지(55)의 위치를 변경할 때 작업자는 제2힌지(53)는 바디 체결부(311d)를 통해 도어에 고정시키고, 제3힌지(55)는 축 커버 체결부(311c)를 통해 도어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접촉부 제1경사면(653a)이 제1이송부(617)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전환부(65)를 이동시켜야 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하나의 핸들(4)을 통해 서로 분리된 제1주동바디(611) 및 제2주동바디(631)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핸들(4)의 작동시 사용자가 큰 힘을 핸들 제1바디(41)에 입력해야 한다.
상기 제1주동바디(611)와 제2주동바디(631)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4)에 입력되는 외력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동력전달부(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62)는 상기 제1접촉부(615)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접촉부(675)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랙(671), 상기 제2접촉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제1접촉부(615)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랙(673), 상기 제1랙(671)과 상기 제2랙(673)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6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75)는 축(679)를 통해 상기 도어(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랙(671)과 상기 제2랙(673)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랙(671)과 제2랙(673) 중 어느 하나의 랙에 입력된 외력을 나머지 하나의 랙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의해 회전할 때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누르면(핸들에 외력을 입력하면), 상기 제1축(511b)이 제1축 착탈부(513)에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또한, 도어(3)가 제2회전축(Y)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바디(4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제2전환부의 자유단(651e)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제4축이 제4축 수용부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도어바디가 프론트 패널에서 분리되면) 제1전환부(61, 63) 및 제2전환부(65)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7, 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전환부(61, 63)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락(7, Lock) 및 상기 제2전환부(65)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락(8)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락(7)은 상기 핸들(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락 바디(71), 상기 제1락 바디(71)가 상기 도어바디(31)의 내부에서 도어(3)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락 이송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바디(71)는 바 형상(bar)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락 지지부(713)에 의해 핸들 제2바디(4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 제1락 지지부(713)는 상기 제1락 바디(71)의 자유단을 상기 핸들 제2바디(42)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바디(71)에는 상기 제1락 이송부(73)에 의해 가압되는 제1락 경사면(711)이 구비된다. 상기 제1락 경사면(711)은 상기 핸들(4)에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핸들 제2바디(4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핸들 제2바디(4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731),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접촉되면 상기 제1락 바디(71)를 상기 핸들 제2바디(42)에서 분리시키는 가압부(733, 7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바디(7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도어에는 제1가이더(315, 도 7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이송바디(731)에 고정되어 상기 인너 프레임(312)을 관통하는 제1가압부(733), 이송바디(73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락 경사면(711)에 접촉하는 제2가압부(73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너 프레임(312)에는 상기 제1가압부(733)가 삽입되는 프레임 제1관통홀(313)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락 이송부(73)는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를 폐쇄한 때 상기 프레임 제1관통홀(3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락 경사면(711)을 가압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1락 체결부(75)를 통해 핸들 제2바디(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락 체결부(75)는 상기 핸들 제2바디(42)에 구비되어 상기 제1락 바디(71)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제1고정부(751) 및 제2고정부(7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51)는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가압하지 않고 도어(3)를 회전시키는 경우(도어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락 바디(71)가 결합되는 수단이고, 상기 제2고정부(753)는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가압한 뒤 도어(3)를 회전시키는 경우(도어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락 바디(71)가 결합되는 수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락(8)은 도어(3)의 두께방향(T)을 따라 도어(3)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제2락 바디(81), 상기 제2락 바디(8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락 지지부(87),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프론트 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락 이송부(85), 상기 도어(3)가 상기 투입구(11)를 폐쇄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제2전환부(65)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를 개방하면 상기 제2락 바디(81)를 제2전환부(65)에 결합시키는 제2락 체결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락 바디(81)는 도어(3)에 구비된 제2가이더(317)의 안내를 받아 도어(3) 내부에서 왕복하고, 상기 제2락 지지부(87)는 상기 제2락 바디(81)와 상기 도어바디(31)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락 지지부(87)는 상기 제2락 바디(81)를 상기 인너 프레임(312) 방향(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상기 인너 프레임(3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락 바디(8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너 프레임(312)에는 상기 제2락 이송부(85)가 관통하는 프레임 제2관통홀(314)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락 이송부(85)는 상기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프레임 제2관통홀(314)에 삽입되어 상기 제2락 바디(81)를 가압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락 체결부(89)는 상기 제2전환부(65)에 구비되는 제2락 제1고정부(891), 상기 제2락 바디(8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락 제1고정부(89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락 제2고정부(8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락 체결부(89)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0은 상기 제2락 제1고정부(891)는 종동바디(6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락 제2고정부(893)는 상기 제2락 바디(8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치고정부(7, 8)가 구비된 도어(3)의 작동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락 바디(71)는 핸들(4)과 분리된 상태(도 9)를 유지하고, 제2락 바디(81)의 제2락 제2고정부(893)는 제2락 제1고정부(891)와 분리된 상태(도 10 (a))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누르지 않고, 상기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하면(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도어바디를 회전시키면), 프론트 패널(11)에 의해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1고정부(751)에 결합되어 핸들 제1바디(4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락 바디(81)는 제2락 제2고정부(893)가 제2락 제1고정부(891)의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2전환부(65)가 제4축(551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도 10 (b))하게 된다.
상기 제1락 바디(71)가 제1고정부(751)에 삽입되면,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핸들 제1바디(41)에 외력이 입력되어도 핸들 제2바디(42)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전환부(61, 63)는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더라도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나 기타의 물체에 의해 제1락 이송부(73)가 가압되어 상기 제1바디(41)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제2락(8)이 제2전환부(65)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2주동부(63)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누른 뒤 도어바디(31)를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하면(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면), 제2전환부의 자유단(651e)은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락 이송부(73) 및 제2락 이송부(85)는 프론트 패널(11)에서 분리되므로, 상기 제1락 바디(71)는 제2고정부(751)에 결합되어 핸들 제1바디(4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락 바디(81)는 제2락 제2고정부(893)가 제2락 제1고정부(891)의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2전환부의 자유단(651e)이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락 바디(71)가 제2고정부(751)에 삽입되면, 상기 핸들 제1바디(41)는 회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회전축(Y)을 통해 도어바디(31)가 회전할 때 사용자가 핸들 제1바디(41)를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도어(3)의 회전 중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락(7)만이 구비된 도어(3)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락 이송부(73)가 눌러질 경우,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제2락(8)을 통해 상술한 문제가 방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환부(61, 63) 및 제2전환부(65)의 형상은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상기 제1주동부(61)에 구비된 제1연결바(618) 및 제2주동부(63)에 구비된 제2연결바(638)가 생략된 대신 상기 제2전환부(65)에 연결바(657)가 구비된다는 점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연결바(657)에는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된 제1이송부(617)나 제2주동부에 구비된 제2이송부(637)에 의해 가압되는 연결바 경사면(657a)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바 경사면(657a)은 상기 핸들(4)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514)가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한 때 상기 종동바디의 자유단(651e)이 수용바디 관통홀(557b)에 삽입되도록 상기 종동바디(651)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1: 투입구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15: 격벽 317: 제1수용부 318: 제2수용부
4: 핸들 41: 핸들 제1바디 42: 핸들 제2바디
45: 제1입력부 46: 제2입력부 51: 제1힌지
511b: 제1축 513b: 제1축 수용부 514: 제1축 제어부
53: 제2힌지 531c: 제2축 533c: 제3축
55: 제3힌지 551a: 제4축 552: 제4축 착탈부
61: 제1주동부 63: 제2주동부 65: 제2전환부
655: 복원력 제공부 7: 제1락 8: 제2락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15: 격벽 317: 제1수용부 318: 제2수용부
4: 핸들 41: 핸들 제1바디 42: 핸들 제2바디
45: 제1입력부 46: 제2입력부 51: 제1힌지
511b: 제1축 513b: 제1축 수용부 514: 제1축 제어부
53: 제2힌지 531c: 제2축 533c: 제3축
55: 제3힌지 551a: 제4축 552: 제4축 착탈부
61: 제1주동부 63: 제2주동부 65: 제2전환부
655: 복원력 제공부 7: 제1락 8: 제2락
Claims (12)
-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및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
상기 도어에 구비된 핸들;
상기 핸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핸들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거나 상기 핸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하는 제1주동부 및 제2주동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주동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축 제어부;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주동부가 상기 제1축 제어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주동부에 의해 상기 제3힌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종동부;
상기 제1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제1착탈부;
상기 제2주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가 착탈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착탈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상기 제1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상기 제2주동부의 자유단이 위치된 방향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을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축 커버;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축 커버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축 커버 체결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축 커버 체결부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제어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어부 가이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 제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축 제어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는
상기 제2주동부와 상기 제3힌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에 외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2주동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하는 종동바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바디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종동바디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종동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바디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종동바디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3관통홀;
상기 종동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종동바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핸들바디; 및 상기 핸들바디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주동부는 상기 핸들바디의 회전 시 상기 제1입력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주동부를 상기 핸들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주동부는 상기 핸들바디의 회전 시 상기 제2입력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주동부를 상기 핸들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랙;
상기 제2접촉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제1접촉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랙;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중 어느 하나의 랙에 입력된 외력을 나머지 하나의 랙으로 전달하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동부는 상기 핸들과 상기 제1힌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착탈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주동바디; 및 상기 제1주동바디에 구비되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주동부는 상기 제2착탈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주동바디와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주동바디; 및 상기 제2주동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부에 접촉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선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주동부 및 상기 제2주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락(lock);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종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락(lock);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2186A KR102594899B1 (ko) | 2016-09-23 | 2016-09-23 | 의류처리장치 |
PCT/KR2017/010452 WO2018056741A1 (ko) | 2016-09-23 | 2017-09-22 | 의류처리장치 |
AU2017330128A AU2017330128B2 (en) | 2016-09-23 | 2017-09-22 | Garment processing device |
US16/336,025 US10934660B2 (en) | 2016-09-23 | 2017-09-22 | Garment processing device |
CN201780058899.4A CN109804114B (zh) | 2016-09-23 | 2017-09-22 | 衣物处理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2186A KR102594899B1 (ko) | 2016-09-23 | 2016-09-23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904A KR20180032904A (ko) | 2018-04-02 |
KR102594899B1 true KR102594899B1 (ko) | 2023-10-27 |
Family
ID=6169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2186A KR102594899B1 (ko) | 2016-09-23 | 2016-09-23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34660B2 (ko) |
KR (1) | KR102594899B1 (ko) |
CN (1) | CN109804114B (ko) |
AU (1) | AU2017330128B2 (ko) |
WO (1) | WO20180567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31288B2 (en) * | 2017-10-16 | 2020-08-04 | Whirlpool Corporation | Drying rack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
JP7177153B2 (ja) * | 2018-05-24 | 2022-11-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洗濯機 |
KR102505418B1 (ko) * | 2020-02-21 | 2023-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14B1 (ko) * | 2014-09-17 | 2016-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18508A (en) | 1959-05-27 | 1962-01-30 | Gen Electric |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
US3698781A (en) | 1971-01-27 | 1972-10-17 | Gen Motors Corp | Cabinet door mounting |
KR950000950U (ko) | 1993-06-30 | 1995-01-03 |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의 필기구 보관장치 | |
KR950005949U (ko) | 1993-08-18 | 1995-03-20 | 레이저빔 프린터의 현상기 리프트 장치 | |
KR0138847Y1 (ko) | 1994-09-08 | 1999-04-01 | 전성원 |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
KR19990029441U (ko) | 1997-12-29 | 1999-07-26 | 윤홍구 |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 |
KR100640751B1 (ko) | 2005-06-10 | 2006-10-3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가변구조 |
KR101821208B1 (ko) | 2011-12-21 | 201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8820861B2 (en) * | 2010-12-23 | 2014-09-02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8936330B2 (en) | 2010-12-23 | 2015-01-2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2678469B1 (en) | 2011-02-24 | 2019-10-1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KR101772971B1 (ko) * | 2011-09-26 | 2017-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장치 |
KR101861676B1 (ko) | 2012-01-26 | 2018-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1370923B1 (ko) | 2012-08-02 | 2014-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6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5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119219B2 (en) | 2014-03-21 | 2018-11-0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201741B1 (ko) * | 2014-03-21 | 2021-0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09292B1 (ko) | 2015-01-05 | 2021-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
KR20160084327A (ko) | 2016-04-01 | 2016-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2186A patent/KR102594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9-22 AU AU2017330128A patent/AU2017330128B2/en active Active
- 2017-09-22 US US16/336,025 patent/US10934660B2/en active Active
- 2017-09-22 CN CN201780058899.4A patent/CN109804114B/zh active Active
- 2017-09-22 WO PCT/KR2017/010452 patent/WO201805674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14B1 (ko) * | 2014-09-17 | 2016-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7330128A1 (en) | 2019-04-11 |
US10934660B2 (en) | 2021-03-02 |
US20190368114A1 (en) | 2019-12-05 |
WO2018056741A1 (ko) | 2018-03-29 |
AU2017330128B2 (en) | 2020-04-02 |
KR20180032904A (ko) | 2018-04-02 |
CN109804114B (zh) | 2021-03-19 |
CN109804114A (zh) | 2019-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82070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14573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6995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6995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94899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69956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6082071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585491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8549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10981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9489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203551B1 (ko) |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