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202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202B1
KR101821202B1 KR1020110053385A KR20110053385A KR101821202B1 KR 101821202 B1 KR101821202 B1 KR 101821202B1 KR 1020110053385 A KR1020110053385 A KR 1020110053385A KR 20110053385 A KR20110053385 A KR 20110053385A KR 101821202 B1 KR101821202 B1 KR 10182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opening
closing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304A (ko
Inventor
김기혁
송승현
지은영
배상훈
유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34,568 priority Critical patent/US8820861B2/en
Priority to US13/334,481 priority patent/US8936330B2/en
Priority to EP11851691.3A priority patent/EP2657394B1/en
Priority to AU2011345515A priority patent/AU2011345515B2/en
Priority to BR112013015343A priority patent/BR112013015343A2/pt
Priority to BR112013015344A priority patent/BR112013015344A2/pt
Priority to RU2013134350/12A priority patent/RU2534056C1/ru
Priority to JP2013546026A priority patent/JP5616537B2/ja
Priority to PCT/KR2011/010021 priority patent/WO2012087057A2/ko
Priority to AU2011345513A priority patent/AU2011345513B2/en
Priority to CN201180064636.7A priority patent/CN103314151B/zh
Priority to PCT/KR2011/010017 priority patent/WO2012087055A2/ko
Priority to EP11850598.1A priority patent/EP2657393B1/en
Priority to CN201180064615.5A priority patent/CN103328712B/zh
Priority to JP2013546025A priority patent/JP5671156B2/ja
Priority to RU2013134352/12A priority patent/RU2534874C1/ru
Publication of KR2012007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304A/ko
Priority to US14/330,492 priority patent/US9458565B2/en
Priority to JP2014185311A priority patent/JP201500643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ae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 및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을 고온의 건조 환경에서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와, 상기 건조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 드럼과, 상기 건조 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되도록 건조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건조기의 투입구는 건조기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 역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의 측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축을 갖는다.
통상, 이와 같은 건조기는 세탁기의 측부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사 세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세탁기 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통하여 세탁기 본체 상부에서 세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 공간으로 투입도니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는 상기 투입된 세탁물을 설정된 세탁 및 탈수 조건으로 세탁 및 탈수를 실시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세탁기에서 피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탈수가 종료되면, 피 세탁물은 피 건조물로서 세탁물 투입구를 통하여 세탁기 본체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피 건조물은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세탁기 본체의 상부로 인출된 피 건조물은 건조기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건조기 본체의 건조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도어는 상기 투입구를 좌우 방향만을 따라 회전 개폐하기 때문에, 피 건조물을 투입구를 통하여 건조 공간으로 투입하는 경우 피 건조물이 투입구 근방의 건조기가 설치된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피 건조물을 건조기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건조 공간에 투입하는 경우, 피 건조물을 건조 공간으로 안내하는 별도의 기구물이 없기 때문에, 피 건조물이 투입구 근방으로 떨어지고 건조 공간으로 쉽게 투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측방으로 피 건조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피 건조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기 내부로 투입됨을 안내함과 아울러 건조 후 건조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투입구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측면부에 피 건조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및 상기 개폐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와 상기 개폐 도어를 다중으로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측방으로 피 건조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피 건조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기 내부로 투입됨을 안내함과 아울러 건조 후 건조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투입구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기 및 이를 갖는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조기에서 개폐 도어가 상하로 개폐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제 2걸림 부재와 개폐 도어 측의 제 2힌지 부재의 제 2회전축과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의 제 2걸림 부재의 상하로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고정홀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 돌기 부재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회전 부재와 개폐 도어 측의 회전 부재와의 힌지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회전 부재의 상하로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기 본체 측의 제 1걸림 부재와 개폐 도어 측의 제 1힌지 부재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개폐 도어가 좌우 방향을 따라 개폐된 건조기 및 이를 갖는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건조기에서 개폐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폐 도어가 좌우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2걸림 부재와 제 2힌지 부재와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개폐 도어가 좌우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1걸림 부재와 제 1힌지 부재와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회전 부재와 개폐 도어 측의 회전 부재와의 힌지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와 힌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힌지부를 구성하는 2축힌지 및 제3힌지의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2축힌지 및 제3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 경사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고정부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조기(2)는 내부에 피 건조물(미도시)이 건조될 수 있는 건조 공간(20a)이 마련되는 건조기 본체(2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건조 공간(20a)은 기설정된 건조 조건에서 설정되는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드럼이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이의 개구는 본체(21)의 측면에 형성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개폐 도어(20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200)의 중앙부에는 상기 건조 공간(20a)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window)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도어(200)는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에 의하여 본체(21)와 다중으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도어(200)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개폐 도어(2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개폐시키는 힌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는 개폐 도어(200)를 좌우로 개폐시키는 좌우 힌지부와, 상기 개폐 도어(200)를 상하로 개폐시키는 상하 힌지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21)에 형성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은 본체(21)의 외주와 단턱을 이루고 개폐 도어(200)의 외곽측 내면이 밀착되는 가이드 판(22)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상하 힌지부는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로 회전 접철 가능하며 하기에 기술되는 개폐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삽입 및 이탈되는 제 2걸림 고리(122)가 형성되는 제 2걸림 부재(120)와,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 타측 하단에 설치되며 구 형상의 회전홀(132)이 형성되는 회전홀 부재 몸체(131)을 갖는 회전홀 부재(130)와, 상기 개폐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홀(132)에 끼워져 자유 회전되는 구 형상의 회전볼(232)이 형성되며 개폐 도어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 부재 몸체(231)를 갖는 회전 부재(23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도어(20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250)가 형성되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의 본체(21)의 일부인 가이드 판(22)에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250)가 끼워져 걸리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홈(23)이 형성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개폐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각은 직각 이내의 회전 개폐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는 기 설정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개폐각을 이루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 하면, 상기 제 2걸림 부재(120)는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들(120b)이 형성되는 회전 중심축(120a)과, 상기 회전 중심축(120a)에 힌지 연결되며 일면부가 상기 가이드 판(2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몸체(121)와, 상기 회전 중심축(120a)에 힌지 연결되며 그 단부에 상기 고정홀(120b)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 돌기 부재(124)를 갖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2걸림 고리(123)가 형성되는 회전 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b 및 도 3c를 참조 하면, 상기 고정 돌기 부재(124)는 상기 회전 중심축(12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들(120b)과, 상기 회전 몸체(120)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120a)이 끼워지는 끼움 몸체(122a)의 내주부 측에 형성되는 홀(124c)과, 상기 홀(124c)에 설치되는 스프링(124b)과, 상기 스프링(124b)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홀들(120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볼(124a)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 몸체(122)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볼(124a)은 상기 고정홀들(120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개폐 도어(200)의 가이드 판(22)과의 개폐각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좌우 힌지부는 피 건조물 투입구(20) 근방의 상기 가이드 판(22)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제 1걸림 고리(112)가 형성되는 제 1걸림 고리 몸체(111)를 갖는 제 1걸림 부재(110)와, 상기 개폐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걸림 고리(112)에 삽입 및 이탈되는 제 1회전축(211)을 갖는 제 1힌지 부재(210)와, 상기 개폐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며 제 2회전축(221)을 갖는 제 2힌지 부재(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회전축(221)은 상기에 기술된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걸려 회전되는 부재이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여, 개폐 도어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 개폐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개폐 도어의 상하 개폐 동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개폐 도어(200)의 상하 개폐의 경우, 개폐 도어(200)의 회전 중심축선은 개폐 도어(200)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개폐된다. 즉, 개폐 도어(200)의 양측 하단이 회전됨을 이룬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4a, 도 4b를 참조 하면, 개폐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200)의 타측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230)의 회전 볼(232)이 가이드 판(22)의 타측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홀(132)에 끼워져 자유 회전을 이루고, 도 3a 및 도 3b를 참조 하면, 개폐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있어서, 개폐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하단에 접철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끼워짐으로서 상하로의 회전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개폐 도어(200)는 개폐 도어(200)의 하단을 잇는 회전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200)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하는 경우, 개폐 도어(200)는 밀폐되는 상태(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 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 하면,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들(250)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들(23)에 걸림으로써 개폐 도어(20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폐 도어의 좌우 개폐 동작]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 하면, 개폐 도어(200)의 좌우 개폐의 경우, 개폐 도어의 회전 중심축선은 개폐 도어(200)의 일측단을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개폐된다.
상세하게는, 개폐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있어서, 도 3a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도어(200)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힌지 부재(220)의 제 2회전축(22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하단에 마련되는 제 2걸림 부재(120)의 제 2걸림 고리(123)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됨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회전축(211,221)은 동일 회전 중심축 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폐 도어(200)는 개폐 도어(200)의 일측단을 잇는 회전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200)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하는 경우, 개폐 도어(200)는 밀폐되는 상태(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2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 1힌지 부재(210)의 제 1회전축(211)이 가이드 판(2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 1걸림 부재(110)의 제 1걸림 고리(11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들(250)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들(23)에 걸림으로써 개폐 도어(20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기(2)가 세탁기(1)와 연결되어 구성된 작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일반적으로 세탁기(1)는 내부에 세탁 공간이 마련되는 세탁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세탁 공간을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피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커버(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측부에는 본 발명의 건조기(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 본체(10)와 건조기 본체(21)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피 세탁물은 세탁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통하여 세탁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즉, 피 세탁물은 상 하방을 따라 투입되는 경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피 세탁물은 세탁 및 탈수와 같은 세탁 과정을 마친 이후에, 상기 상하 경로를 따라 피 세탁물 투입구(1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세탁된 피 세탁물은 피 건조물로서, 건조기(2) 투입되어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피 건조물은 본 발명의 건조기 본체(21)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개폐 도어(200)의 개방으로 인하여 노출되는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건조 공간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개폐 도어(200)는 그 하단이 회전 중심축 선을 이루어 상하로 개폐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피 건조물이 건조 공간(20a)으로 투입되는 경우,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질 수 있도록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도어(200)의 상하로의 개폐 구조 및 방식은 상기에 언급된 이유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 도어(200)가 하방으로 일정 각도 개폐각을 이루어 회전되면, 상기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1)에서 세탁된 피 건조물은 상기 경사지어 개방된 개폐 도어(200)의 상부에서 낙하시킬 수 있고, 상기 낙하되는 피 건조물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을 타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건조 공간(20a)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하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20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비슴듬한 경사를 이루는 것은, 피 건조물을 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을 통하여 피 건조물 투입구(20)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 양측부에는 피 건조물이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외측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격벽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200)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개폐 도어(200)의 내측면 양측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격벽이 삽입 대기할 수 있는 삽입홀이 가이드 판(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방에서 하방을 따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피 건조물이 건조 공간(20a)으로 투입된 이후, 개폐 도어(200)는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밀폐할 수 있도록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2)는 상기 건조 공간(20a)에 투입된 피 건조물을 설정된 건조 조건으로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된 이후에, 건조물은 피 건조물 투입구(2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2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건조물을 인출하는 경우 좌우 방향을 따라 개방된다.
따라서, 건조물을 인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건조 공간(20a) 내부에 있는 건조물을 피 건조물 투입구(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수용공간(R)과 의류수용공간으로 의류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37)가 구비된 캐비닛(3),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돌 회전시키되 상기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부(5, 6, 7)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37)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아우터패널(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공간(R)에 연통한다.
상기 아우터패널(33)에는 도어(4)에 구비된 잠금돌기(47)가 수용되는 잠금돌기 수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는 잠금돌기(47)가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돌기 수용부(39)에 수용됨으로써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3)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 6, 7)는 투입구(3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A)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축은 제1힌지(5)와 2축힌지(6)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2축힌지(6)와 제3힌지(7)를 통해 형성된다.
도 11은 제1회전축(A)이 캐비닛(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세로축),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가로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회전축의 위치 및 제2회전축의 위치를 도 11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한(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한) 캐비닛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1 (b)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이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투입구(37)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틸팅, Tilting)하면 도어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의류 투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도어(4)는 아우터패널(33) 방향에 구비되는 인너프레임(43), 상기 인너프레임에 결합하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투입구(37)에 삽입되는 투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투과부(45)는 의류수용공간(R) 내부에 위치한 의류가 투입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사용자가 의류수용공간(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힌지부 및 도어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도어는 힌지부와 도어의 결합 구조의 설명을 위해 인너프레임(43), 투과부(45)가 생략된 형태이다.
상기 힌지부는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1축(51)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1힌지(5), 상기 제1축과 더불어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이 구비된 2축힌지(6), 상기 제3축과 더불어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3힌지(7)를 포함한다.
즉,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에 고정된 형태이나 상기 제1힌지(5)와 제3힌지(7)는 도어(4)를 캐비닛(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폐(도 11 (a))하거나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폐(도 11 (b)) 가능하다.
상기 제1힌지(5)는 캐비닛(3) 또는 도어(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축(51),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한 제1축 착탈부(53)를 포함한다.
도 12는 캐비닛의 아우터패널(33)에 제1축(51)이 구비되고 도어에 상기 제1축 착탈부(5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축(51)은 아우터패널(33)의 우상단에 위치하여 제1회전축(A)을 구성한다.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제1축(51)이 수용되는 축수용홈(531), 축수용홈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홈개폐부(533), 상기 홈개폐부를 탄성지지하는 개폐부 탄성지지부(535)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한 경우(도 11 (b)상태)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면 도어에 구비된 제1축 착탈부(53)가 제1축(5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축은 제1축 착탈부의 축수용홈(531)에 삽입된다.
축수용홈(531)에 삽입된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51)은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의 의미는 제1축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단 또는 외주면 일단에 절삭면이 구비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축수용홈(531)은 제1축이 삽입되는 유입구가 상기 제1축(5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축은(51)은 축수용홈(531) 내부로 유입되나 제1축이 축수용홈에 삽입된 뒤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축 착탈부(53)에는 개폐부 탄성지지부(53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홈개폐부(5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한 경우 축수용홈(531)에 삽입된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제1힌지(5)의 제1축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제1회전축(A)을 형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이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는데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61), 상기 도어(4)에 고정되되 제3축(63)을 통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축(651)은 상기 도어고정부(65)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축(51)과 제2축(6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어고정부(65)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에 의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연결된다.
상기 2축힌지(6)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고정부(65)에 연결된 힌지서포터(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할 경우 상기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도어경사조절부(8, 도 13참고)에 결합된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한편,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힌지서포터(653)가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서포터 플랜지(6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힌지(7)는 아우터패널(33) 또는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축형성부(71), 아우터패널 또는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축형성부가 착탈 가능한 축착탈부(73)를 포함한다.
도 12는 아우터패널(33)에 축형성부가 구비되고 도어(4)에 축착탈부(7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3힌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축형성부(71)는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바디(711), 상기 바디(711)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3축(63)과 더불어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포함한다.
상기 축착탈부(73)는 아우터프레임(41)과 인너프레임(43)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홈(731),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제4축(713)을 지지하는 제4축 지지돌기(7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4축(713)은 상기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뒤 제4축 지지돌기(733)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도어(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힌지의 제1축(51)은 제1축 착탈부에 구비된 축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3힌지의 제4축(713)은 축착탈부의 제4축 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를 측면(S)을 당기면 제4축(713)이 축착탈부(73)에서 분리되어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사용자가 도어(4)의 상부면(T)을 당기면 제1축(51)이 제1축 착탈부(53)에서 분리되어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4)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도어서포터(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서포터(75)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어서포터의 일단에는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서포터(75)가 상기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754)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도어서포터에는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되는 착탈축(75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축착탈부(73)에는 상기 착탈축(751)이 수용되는 착탈축 수용홈(735), 상기 착탈축 수용홈에 수용된 착탈축(751)을 지지하는 착탈축 지지돌기(73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축착탈부(73)는 상기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 도 13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은 캐비닛(3)의 내부에 구비된 도어경사 조절부(8)에 의해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도어 개방각)을 조절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의 경우 의류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세탁이 완료된 의류의 건조를 위해 사용자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로 의류를 이동시킬 경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 개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수용공간(R)에 투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것이다.
특히,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캐비닛의 상부에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탑로딩(top loading)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술한 효과는 극대화된다.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에 결합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에는 도어경사 조절부(8)에 착탈 가능한 서포터돌기(753) 및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3은 도어서포터(75)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 힌지서포터(653)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가 모두 구비된 경우(도어경사 조절부가 2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어경사 조절부(8)는 하나만 구비되어 도어서포터(75)와 힌지서포터(653)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어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와 힌지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의 구조는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서포터(653)이 착탈되는 도어경사 조절부(8)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경사 조절부(8)는 캐비닛(3) 내부에 위치하는데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구비된 인너패널(3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경사 조절부(8)는 인너패널(35)에 고정되는 고정바디(81), 상기 고정바디(81)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바디(83), 상기 착탈바디에 구비되어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85a, 8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홈(85a, 85b)은 상기 착탈바디(83)에 구비되되 소정거리 이격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돌기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돌기수용홈은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때 미리 설정된 열림각을 실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3 (a)는 도어가 닫힌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위치하는 돌기수용홈(85a), 도어의 열림각이 30도 또는 60도가 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돌기수용홈(85b)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착탈바디(83)는 고정바디(81)에 바디 탄성지지부(87)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착탈바디(83)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어경사 조절부(8)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4)를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때 도어서포터(75), 힌지서포터(653),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3 (a)와 도 14 (a)를 참고하여 제3힌지(7)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제3힌지의 제4축(713)과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은 축착탈부(73)의 제4축 수용홈(731)과 착탈축 수용홈(735)에 각각 수용된 상태이고,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제4축과 착탈축을 각각 지지한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도어서포터(75)의 서포터돌기(753)은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상태가 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면(T, 도 12참고)을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축착탈부(73)에 고정된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은 캐비닛(3)의 외부로 인출될 것이다.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이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면 서포터돌기(753)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착탈바디를 따라 이동하며 착탈바디에 구비된 돌기수용홈에 수용되어 도어의 열림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서포터(75)가 도어경사 조절부(8)로부터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플랜지(754)가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4)를 지지하게 된다.
도 13 (b)와 도 14 (b)를 참고하여 2축힌지(6)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85a)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T)를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가 회전하면 힌지서포터(653)도 돌기수용홈(85a)로부터 이탈하여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서포터 돌기의 이동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85b)이 더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도어(4)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서포터(653)가 도어경사 조절부(8)에서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힌지서포터(653)에 구비된 힌지서포터 플랜지(657)이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도어(4)가 완전히 개방된 때 각 서포터(653, 75)에 구비된 플랜지(657, 754)의 도어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모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771, 77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75)가 아우터패널(33)의 외부로 인출된 때 캐비닛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서포터(75)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부(773)가 결합하는 리브(77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도어서포터(75)에 탄성부(773)가 직접 결합될 경우 도어 내부에 위치한 장치들과 탄성부(773)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어경사 조절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데 도 16은 도어경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경사 조절부는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부(82), 상기 고정부(82)의 수용이 가능하되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고정부 수용홈(8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82)는 소정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제1고정돌기(821), 상기 제1고정돌기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고정돌기(8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821)는 캐비닛(1)의 아우터패널(13)과 인너패널(15)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825)를 통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수용홈(84)은 상기 제1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841), 상기 제2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8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 수용홈(843)은 제2고정돌기(823)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제1고정돌기(821)의 외주면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적어도 12개 이상 구비되되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개시된 고정부 수용홈(84)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2돌기 수용홈(843),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3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1돌기 수용홈(841a), 도어(4)가 제2회전축(A)을 기준으로 9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1돌기 수용홈(841b)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돌기(823)의 직경이 제1돌기(821)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한 것은 제1돌기(821)만을 통해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경우 제2돌기 수용홈(843)과 제1돌기 수용홈(841a) 사이의 간격이 제1돌기를 수용하되 도어의 무게를 지탱 가능한 홈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6은 고정부 수용홈(84)이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도어경사 조절부는 고정부 수용홈(84)이 힌지서포터(653)에 구비되고 고정부(82)가 힌지서포터에 구비된 고정부 수용홈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각각 구비된 플랜지(754, 657)을 통해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도어(4)를 지지할 수 있지만 도어의 무게에 따라 축착탈부(73)에서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고하여 도어고정부(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고정부(9)는 상기 도어(4)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때 상기 도어서포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서포터(75)에는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가 수용되는 결합돌기 수용부(7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이동은 제3힌지의 축형성부(71)에 구비되는 캠(91), 상기 도어(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탄성지지하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축착탈부(73)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지지되고(도 12참고), 상기 캠(91)은 축착탈부(73)에 구비된 제4축 수용홈(731)의 외측에 위치하되 도어(4)가 닫힌 경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91)은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가 도어서포터(75)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고정부(9)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할 경우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91)의 외주면을 따라 도어(4) 내부에서 이동하여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결합돌기 수용부(755)에 결합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에 구비된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3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캠(91)의 외주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도어 내부에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수용부(755)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3 도어: 4
제1힌지:5 제1축: 51 제1축 착탈부: 53
2축힌지: 6 캐비닛고정부: 61 제3축: 63
도어고정부: 65 제2축: 651 힌지서포터:653
힌지서포터 돌기: 655 힌지서포터 플랜지: 657 제3힌지: 7
축형성부: 71 제4축: 713 축착탈부: 73
도어서포터: 75 착탈축: 751 서포터 탄성지지부: 77
도어경사 조절부: 8 고정바디: 81 착탈바디: 83
돌기수용홈: 85 도어고정부: 9 캠: 91
서포터 결합돌기: 93 결합돌기 탄성지지부: 95

Claims (21)

  1. 건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측면부에 피 건조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및
    상기 개폐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와 상기 개폐 도어를 다중으로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수직축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건조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걸림고리가 구비된 제1걸림부재;
    상기 건조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수평축을 형성하는 회전중심축을 통해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된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상기 수직축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이 구비된 제2걸림부재;
    상기 개폐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구 형상의 회전볼, 상기 건조기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홀 몸체, 및 상기 회전홀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볼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홈이 구비된 회전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고리는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홈은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회전볼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상하 또는 좌우로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되며,
    상기 개폐 도어의 상하로의 개폐각은 직각 이내의 회전 개폐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의 상하로의 개폐는 기 설정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개폐각을 이루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 건조물 투입구 근방의 본체에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 돌기가 끼워져 걸리는 하나 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의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고정홀;
    상기 회전몸체에 형성된 홀;
    상기 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홀들에 삽입되는 고정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건조기.
  7. 세탁 공간과 연통하는 피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된 세탁기 본체;
    상기 피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및
    상기 개폐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하도록 상기 세탁기 본체와 상기 개폐 도어를 다중으로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수직축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세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걸림고리가 구비된 제1걸림부재;
    상기 세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몸체, 상기 세탁기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수평축을 형성하는 회전중심축을 통해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된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상기 수직축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이 구비된 제2걸림부재;
    상기 개폐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상기 수평축을 형성하는 구 형상의 회전볼, 상기 세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홀 몸체, 상기 회전홀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볼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홈이 구비된 회전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고리는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 세탁물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홈은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 세탁물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회전볼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도어를 갖는 세탁기.
  8. 외관을 형성하되 의류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 착탈부, 상기 제1축 착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수용홈, 상기 축수용홈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홈개폐부, 및 상기 홈개폐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힌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축이 구비된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를 상기 캐비닛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2축힌지; 및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4축,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축착탈부, 상기 축착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축 수용홈, 상기 제4축 수용홈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제4축 지지돌기, 및 상기 제4축 지지돌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제3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축수용홈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1축에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4축 수용홈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4축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세로축이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너비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로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되 상기 제4축이 구비되는 축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되 상기 축착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한 때 상기 도어를 상기 도어서포터에 고정시키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는
    상기 도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서포터 결합돌기;
    상기 제4축이 상기 제4축 수용홈에 수용된 때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와 접촉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가 상기 도어서포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형성부에 구비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서포터는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가 착탈되는 결합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서포터는 상기 축착탈부에 착탈되는 착탈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착탈부는 상기 착탈축을 수용하는 착탈축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착탈부는
    상기 착탈축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착탈축을 지지하는 착탈축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돌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4축 지지돌기 및 상기 착탈축 지지돌기를 탄성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서포터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된 때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상기 도어서포터에 제공하는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10053385A 2010-12-23 2011-06-02 의류처리장치 KR10182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34,481 US8936330B2 (en) 2010-12-23 2011-12-22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3/334,568 US8820861B2 (en) 2010-12-23 2011-12-22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1/010017 WO2012087055A2 (ko) 2010-12-23 2011-12-23 의류처리장치
BR112013015343A BR112013015343A2 (pt) 2010-12-23 2011-12-23 aparato para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BR112013015344A BR112013015344A2 (pt) 2010-12-23 2011-12-23 aparato para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RU2013134350/12A RU2534056C1 (ru) 2010-12-23 2011-12-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2013546026A JP5616537B2 (ja) 2010-12-23 2011-12-23 衣類処理装置
PCT/KR2011/010021 WO2012087057A2 (ko) 2010-12-23 2011-12-23 의류처리장치
EP11851691.3A EP2657394B1 (en) 2010-12-23 2011-1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180064636.7A CN103314151B (zh) 2010-12-23 2011-12-23 衣物处理装置
AU2011345515A AU2011345515B2 (en) 2010-12-23 2011-12-23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EP11850598.1A EP2657393B1 (en) 2010-12-23 2011-12-23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CN201180064615.5A CN103328712B (zh) 2010-12-23 2011-12-23 衣物处理装置
JP2013546025A JP5671156B2 (ja) 2010-12-23 2011-12-23 衣類処理装置
RU2013134352/12A RU2534874C1 (ru) 2010-12-23 2011-12-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AU2011345513A AU2011345513B2 (en) 2010-12-23 2011-12-23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US14/330,492 US9458565B2 (en) 2010-12-23 2014-07-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4185311A JP2015006436A (ja) 2010-12-23 2014-09-11 衣類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74 2010-12-23
KR20100133674 201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04A KR20120072304A (ko) 2012-07-03
KR101821202B1 true KR101821202B1 (ko) 2018-03-08

Family

ID=4670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85A KR101821202B1 (ko) 2010-12-23 2011-06-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3511B (zh) * 2015-05-22 2022-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盖体开合结构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04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739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JP5671156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EP3272926B1 (en) Washing machine
KR101643633B1 (ko) 세탁장치
EP2796608A2 (en)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296444B1 (en) Washing device
KR101422571B1 (ko)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WO2011014018A2 (en) Washing machine
RU26600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276852B1 (ko) 2축힌지
EP3296443B1 (en) Washing apparatus
US9556552B2 (en) Door hinge apparatus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82120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84627B1 (ko) 의류처리장치
US7937974B2 (en) Drum door locking device for laundry apparatus
KR201700028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12646A (ko) 세탁장치
KR101821209B1 (ko) 세탁장치
KR2013007184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