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586B1 -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586B1
KR100402586B1 KR10-2000-0087411A KR20000087411A KR100402586B1 KR 100402586 B1 KR100402586 B1 KR 100402586B1 KR 20000087411 A KR20000087411 A KR 20000087411A KR 100402586 B1 KR100402586 B1 KR 10040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icrowave oven
cavity
stopp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148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8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5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로드와 스토퍼를 이용해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상하 방향 단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캐비티(102)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티(102)의 상하방으로 개폐되는 도어(112)와, 상기 도어(112)와 상기 캐비티(102)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도어(112)의 열린 상태를 지지하는 링크기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어(112)가 횡으로 길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일반 소비자들이 상기 도어(112)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112)는 이용자의 눈높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일반소비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상기 도어(112)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The structure of opening and shutting the door of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로드와 스토퍼를 이용해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상하 방향 단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란 가스오븐렌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드기능을 겸하게 되는 전자레인지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전자레인지 도어의 열림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내측에는 조리공간인 캐비티(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2)의 전면은 상기 전자레인지의 전면 부품인 도어(12), 벤트그릴(3) 등이 부착되는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 중 상기 캐비티(2)의 전면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외장제(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의 좌측 상단부에는 돌기(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4)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 상에 돌출된 후 다시 좌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기(4)와 마주보는 하방에는 통공(6a)이 구비된 브라켓(6)이 상기 전자레인지의 저면(5)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의 우측에는 상하로 한쌍의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4')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 상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14')에는 이하 설명될 도어(112)의 후크(14)가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의 전방에는 상기 돌기(4)와 대응되는 홈(4')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6)의 통공(6a)에 대응되는 핀(12b)이 구비된 도어(12)가 장착되어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12)의 상부에 형성된 홈(4')에 상기 돌기(4)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12)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되며, 상기 핀(12b)이 상기 브라켓(6)의 통공(6a)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12)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상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전면부 일측에는 핸들(16)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12)의 내측 가장자리 일측에는 후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크(14)는 상기한 바대로 상기 걸림부(14')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하, 도면상의 개방된 전자레인지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도어(12)의 전면에 장착된 핸들(16)을 잡고 상기 도어(12)를 밀게 되면 상기 도어(12)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의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6)의 통공(6a)에 삽입된 핀(12b)을 축으로 하며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된 돌기(4)는 상기 도어(12)의 홈(4')을 감싸며 상기 도어(12)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가 캐비티(2)의 전면을 완전히 닫을 즈음에 상기 도어(12)의 후크(14)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미도시)의 걸림부(14')와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6)을 상기 도어(12)의 진행 방향으로 강제로 밀게되면 상기 후크(14)는 상기 걸림부(14')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서 상기 도어(12)가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열림과정은 상기 도어(12)의 닫힘 과정과 역순으로 행함으로 가능하게 된다. 즉, 닫혀있는 도어(12)의 핸들(16)을 잡고 잡아 당기면상기 도어(12)의 후크(14)가 상기 도어(12)의 걸림부(14')로부터 탈거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6)을 잡고 당기면 상기 도어(12)는 상기 핀(12b)을 축으로 상기 돌기(4)에 안내되어 회전을 하며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종래 전자레인지 도어(12)의 개폐과정에 의하면 상기 도어(12)가 회전되는 궤적이 횡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전자레인지를 이용하는 일반 소비자에게는 불편한 점이 있어 왔다. 특히 최근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12)의 높이가 일반 소비자의 눈높이 부분에 해당됨으로 상기 도어(12)의 횡방향 회전은 일반 소비자에게 특히 심한 불편을 겪게 한다는 점이다.
더욱이, 상기 전자레인지의 캐비티(2)가 횡으로 넓어지는 상기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12)가 횡으로 길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12)의 회전되는 궤적도 보다 넓게 형성되어 소비자가 겪는 불편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과정에 따른 일반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레인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 작용을 보여주는 전자레인지의 동작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에 관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6.........힌지브라켓 112b.........힌지핀
202,204.....제 1,2 로드 202',204'....고정핀
300.........스토퍼 302..........멈춤돌기
302'........멈춤홈 302a..........탄성홈
따라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캐비티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티의 상하방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티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열린 상태를 지지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로드와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로드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제 1,2 로드의 연결각도를 결정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캐비티의 상하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됨으로서 전자레인지의 위치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의 길이가 횡으로 길어진다고 하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불편없이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호 일치되는 멈춤돌기와 멈춤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멈춤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멈춤돌기와 인접하게 탄성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멈춤돌기가 탄성적으로 상기 멈춤홈에 삽입 탈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어가 열려 고정되는 각도가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서 일반 소비자가 도어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에 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어(112)의 전면 하부에는 핸들(11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핸들(116)은 양단부(116b)가 상기 도어(112)의 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112)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들(116)의 몸체(116a)는 상기 도어(112)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티(102)의 상부에는 한쌍의 힌지브라켓(106)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2)의 전면에는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106)에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힌지핀(112b) 을 구비한 도어(11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2)는 상기 힌지브라켓(106)과 힌지핀(112b) 으로 구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티(102)의 상하방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힌지축은 반드시 상기 도어(112)에 형성된 힌지핀(112b) 과 상기 힌지브라켓(106)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힌지축은 상기 도어(112)를 상기 캐비티(102)의 상하방으로 개폐가능하게 하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12)의 단부에는 후크(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후크(114)는 상기 걸림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112)가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114)는 상기 걸림부(미도시)에 걸리게 되고 상기 도어(112)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112)의 측면과 상기 캐비티(102)의 측면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도어(112)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게 될 때 상기 도어(112)의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제 1 로드(202)와 제 2 로드(204)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를 연결시키는 스토퍼(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로드(202)는 그 일측이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112)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통공(미도시)과 상기 제 1 로드(202)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202')에 의해 상기 제 1 로드(202)가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상기 고정핀(202')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로드(204)의 일측은 상기 캐비티(1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캐비티(102)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미도시)과 상기 제 2 로드(204)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204')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204)가 상기 캐비티(102)의 측면에 상기 고정핀(204')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202)와 상기 제 2 로드(204)는 스토퍼(3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토퍼(300)는 상기 제 1,2로드(202,204)의 단부에 형성된 멈춤홈(302')과 멈춤돌기(302)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202,204)의 단부(202a,204a)에 각각 형성된 통공(202a',204a')을 통해 상기 제 1,2 로드(202,204)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핀(30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의 단부(202a,204a)는 각각 상기 연결핀(304)을 중심으로 상호 슬라이딩되며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 로드의 단부(202a,204a)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멈춤홈(302')과 상기 멈춤돌기(302)는 상기 제 1,2 로드(202,204)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일치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로드(202)와 상기 제 2 로드(204)가 어느 특정한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멈춤홈(302')에 상기 멈춤돌기(302)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로드(202)와 상기 제 2 로드(204)는 상호 고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제 1 로드(202)에 상기 멈춤돌기(30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로드(204)에 상기 멈춤홈(30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2 로드(202,204)의 단부(202a,204a)의 형상도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로드의 단부(202a,204a) 형상이 반드시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으며, 또한 상기 제 1,2 로드(202,204)의 연결부분도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304)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 스토퍼(300)의 구성은 상기 도어(112)를 열린 상태에서 고정시킬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이든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로드(204)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멈춤돌기(302)의 내측에 상기 단부(204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의 탄성홈(30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홈(302a)은 상기 멈춤홈(302')에 상기 멈춤돌기(302)가 탄력적으로 삽입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즉, 상기 탄성홈(302a)의 형성으로 상기 탄성홈(302a)의 외곽 부분은 강도가 약해져서 탄력성이 생기게 되고, 상기 탄력성으로 인해 상기 멈춤홈(302')에 상기 멈춤돌기(302)가 탄력적으로 삽입 탈거된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의 작용에 관해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어(112)가 열리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로부터 (c)까지의 동작과정이다. 우선, (a)상태에서 상기 도어(112)는 자체하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즉, 상기 도어(112)의 회전 방향이 상기 캐비티(102)의 상하방이므로 특별한 제동장치가 없는 한 상기 도어(112)는 자연히 하방으로 자체하중에 의한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112)의 후크(114)는 상기 걸림부(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려 있으므로 상기 도어(112)의 유동을 방지하고 캐비티(102)의 전면을 보다 긴밀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태 (b)는 도어(112)가 일정한 각도로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a)상태에 있는 도어(112)를 핸들(116)을 이용해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112)의 후크(114)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탈거되면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상기 도어(112)가 상방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12)와 상기 캐비티(102)를 연결하는 링크기구의 스토퍼(300) 위치는 상기 도어(112)의 열림 각도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로드(204)의 일측은 상기 캐비티(1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로드(202)의 일측은 상기 도어(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112)의 열림 각도가 커지면 상기 제 2 로드(204)의 일측의 위치가 상기 캐비티(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202)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202)의 상승으로 상기 스토퍼(300)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00)가 상방으로 상승한다는 것은 상기 제 1,2 로드의 단부(202a,204a)가 상호 슬라이딩되며 상기 연결핀(304)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의 단부(202a,204a)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멈춤돌기(302)와 상기 멈춤홈(302')도 상기 제 1,2 로드(202,204)와 동일한 각도로 상호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2)의 열림 각도가 어느 특정한 각도에 이르게 되면 상기 멈춤홈(302')에 상기 멈춤돌기(302)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2)가 열리는 과정에 따라 상승되는 위치에너지로 인해 상기 도어(112)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향하려는 힘을 상기 멈춤돌기(302)와 멈춤홈(302')의 결합으로 상쇄시킬 수 있게 됨으로 상기 도어(112)의 핸들(116)을 놓더라도 상기 도어(112)가 자체하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전되는 일은 없게 된다.
더욱이, 상기 멈춤홈(302')과 멈춤돌기(302)가 상기 스토퍼(300)에 다수 형성된 경우라면 상기 멈춤홈(302')과 멈춤돌기(302)가 결합되는 빈도도 증가하게 됨으로 상기 도어(112)가 열려서 고정될 수 있는 각도를 다양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2)가 상기 멈춤홈(302')과 멈춤돌기(3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다시 상기 고정된 도어(11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112)의 핸들(116)을 잡고 회전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된다. 이는 상기 스토퍼(300)에는 탄성홈(30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멈춤돌기(302)가 상기 멈춤홈(302')에 탄성적으로 삽입 탈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열려진 도어(112)의 닫는 과정은 상기 스토퍼(300)에 의해 고정된 도어(112)를 하방으로 힘을 가해 회전시키기만 하면 상기 도어(112)는 자체하중에 의해 상기 캐비티(102)의 하방으로 향해 닫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도어의 개폐를 상기 캐비티의 상하방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의 위치가 일반 소비자의 눈높이 부분에 해당하고 그 횡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하방 개폐는 일반 소비자가 보다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시키는 링크기구에 스토퍼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핸들을 놓는다 하더라고 상기 도어의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가 상기 전자레인지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탄성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멈춤돌기가 탄력적으로 상기 멈춤홈에 삽입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캐비티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티의 상하방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티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열린 상태를 지지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로드와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로드 그리고, 상기 제 1,2 로드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제 1,2 로드의 연결각도를 결정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호 일치되는 멈춤돌기와 멈춤홈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와 인접하게 탄성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멈춤돌기가 탄성적으로 상기 멈춤홈에 삽입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멈춤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KR10-2000-0087411A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40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11A KR100402586B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411A KR100402586B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48A KR20020057148A (ko) 2002-07-11
KR100402586B1 true KR100402586B1 (ko) 2003-10-17

Family

ID=2769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411A KR100402586B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323B1 (ko) * 2002-09-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669U (ko) * 1974-02-27 1975-09-17
JPS5228240U (ko) * 1975-08-20 1977-02-26
JPH08303795A (ja) * 1995-05-01 1996-11-22 San Beiku Kogyo Kk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669U (ko) * 1974-02-27 1975-09-17
JPS5228240U (ko) * 1975-08-20 1977-02-26
JPH08303795A (ja) * 1995-05-01 1996-11-22 San Beiku Kogyo Kk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48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1348C (en) Hinge for furniture and the like, with movable arm arranged inside the fixed arm
EP1041345B1 (en) Improved hinge for furniture and the like, with movable arm arranged inside the fixed arm
KR0118819Y1 (ko)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JP2002220969A (ja) 窓開閉装置
KR10040258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476411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힌지 장착장치
KR20038928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0134131Y1 (ko) 세탁기 도어용 스프링 지지구조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100747529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72034Y1 (ko) 가구용 힌지 스프링
KR101073905B1 (ko) 건조기의 도어구조
KR100305054B1 (ko) 세탁기의도어개폐장치
JPS582315Y2 (ja) 蓋体の軸支装置
KR200235380Y1 (ko) 냉장고핸들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148512Y1 (ko) 전자렌지의 전자파 누설방지구조
JPS6041444Y2 (ja) オ−ブン等の扉取付装置
KR20010027573A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KR200265578Y1 (ko) 자동차용 콘솔 리드 박스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272360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브로일도어 지지구조
KR950005204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 도어 수납장치
KR200160294Y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출입장치
KR200463705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JP3650518B2 (ja) 蓋体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