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530B1 -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530B1
KR100914530B1 KR1020070096638A KR20070096638A KR100914530B1 KR 100914530 B1 KR100914530 B1 KR 100914530B1 KR 1020070096638 A KR1020070096638 A KR 1020070096638A KR 20070096638 A KR20070096638 A KR 20070096638A KR 100914530 B1 KR100914530 B1 KR 10091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inner case
communication 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933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5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기 수납용 소통구가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소통구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소통구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부 도어와, 상기 소통구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소통구의 전방을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으로 개방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서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부 도어와 전단이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도어와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하부 링크의 후단과 힌지로 연결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로부터 상부로 분기된 서버 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주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을 가지고 상기 서버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보조축을 따라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을 가지는 상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in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식기 세척기(1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도어가 열리고 수납함이 배출된 상태의 식기 세척기(1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기(10')는 수납함(11')이 설치된 내측 케이스(12')와, 상기 내측 케이스(12')의 전방 상부에 손잡이(13')가 형성되고, 하단은 회전축(14')으로 상기 내측 케이스(12')에 결합된 하나의 도어(1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10')는 도어(15')가 한 개이기 때문에 내측 케이스(12')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고, 따라서 통상은 내부 깊이를 깊게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내측 케이스(12')의 내부 깊이가 깊으면, 식기 수납함(11')의 먼곳에까지 식기를 배치하여야 함으로써, 식기 수납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15')가 한 개이기 때문에, 그 길이가 길고 따라서 도어(15')의 개폐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더불어, 내측 케이스(12')의 내부 깊이가 깊음으로써, 식기 수납함(11')의 길이도 길게 되고, 이에 따라 식기를 넣기 위해 도어(15')를 열었을 때 앞으로 돌출되는 수납함(11')의 길이도 커지는 문제도 있다. 즉, 일부 설치 조건에서는 상기 도어(15') 또는 식기 수납함(11') 등이 주방의 수도꼭지 등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1-0107640호와 같이 도어가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개폐가 상호 연동하는 것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링크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부품의 개수는 자연스럽게 증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제조원가 및 공정이 증가하게 되고 고장발생의 빈도도 상당히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링크구조에는 별도의 댐퍼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개폐할 시 상부 도어, 하부 도어, 및 링크 조립체 각각에 큰 충격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충격으로 인해 상부 도어, 하부 도어, 및 링크 조립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서로 연동하여 상하로 개폐되게 하므로, 종래에 비해 도어 개폐를 위한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링크로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원가 및 공정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고장발생의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충격없이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한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식기 수납용 소통구가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소통구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소통구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부 도어와, 상기 소통구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소통구의 전방을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으로 개방되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서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부 도어와 전단이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도어와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하부 링크의 후단과 힌지로 연결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로부터 상부로 분기된 서버 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주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을 가지고 상기 서버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보조축을 따라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을 가지는 상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상기 소통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되 상기 메인 가이드 홈은 상기 주축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서버 가이드 홈은 상기 보조축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작하며,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상기 소통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가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하되 상기 메인 가이드 홈은 상기 주축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서버 가이드 홈은 상기 보조축을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는 내부 케이스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전부 또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충격방지용 댐퍼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부재와,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에 구비된 스토퍼와 각각 접촉하거나 이격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로드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댐퍼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부재와,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제1 스프링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로드부재를 탄력 지지하며, 상기 로드부재가 설치된 측과 대향하는 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스프링부재는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소통구를 향해 "┛"자 형태를 가진다.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소통구를 향해 "┻"자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 도어와 전단이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도어와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하부 링크의 후단과 힌지로 연결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로부터 상부로 분기된 서버 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주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을 가지고 상기 서버 로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보조축을 따라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을 가지는 상부 링크를 포함하므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서로 연동하여 상하로 개폐되게 하므로, 종래에 비해 도어 개폐를 위한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링크로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원가 및 공정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고장발생의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상부 링크는 주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 및 보조축을 따라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마찰없이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부 링크와 상부 링크 전부 또는 하부 링크와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충격방지용 댐퍼가 더 구비되므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충격없이 부드럽게 개폐, 구체적으로,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폐쇄할 시 댐퍼가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끌어당기는 기능을 수행하여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유연하게 폐쇄되고,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개방할 시 댐퍼가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진행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기능을 수행하여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의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용 도어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용 도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폐쇄된 개방된 상태로 동작할 때 댐퍼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기 세척기 2: 내부 케이스
3: 소통구 10: 하부 도어
20: 상부 도어 30: 하부 링크
31: 제1 스토퍼 32: 제2 스토퍼
40: 상부 링크 41: 메인 로드
42: 서버 로드 43: 메인 가이드 홈
44: 서버 가이드 홈 50: 제1 댐퍼
51: 제1 댐퍼의 로드부재 52: 제1 스프링부재
53: 회동축 60: 제2 댐퍼
60': 댐퍼 61: 제2 댐퍼의 로드부재
61': 댐퍼의 로드부재 62: 제2 스프링부재
62': 스프링부재 63': 회동축
63: 회동축 70,71: 힌지
72: 주축 73: 보조축
74, 74': 고정구 80: 고정후크
90: 마이크로 스위치 100: 도어 개폐장치
110: 보조 스프링부재 111: 고정구
120: 회동 링크 130: 브라켓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폐쇄된 개방된 상태로 동작할 때 댐퍼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식기 세척기(1)는 식기 수납용 소통구(3)가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2)와, 이 내부 케이스(2)의 외주면을 감싸고 식기 세척기(1)의 외관의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미도시)와, 소통구(3)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소통구(3)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부 도어(10)와, 소통구(3)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소통구(3)의 전방을 따라 내부 케이스(2)의 상면으로 개방되는 상부 도어(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도어(10)의 내측에는 고정후크(80)가 구비되고, 내부 케이스(2)에는 상기 고정후크(80)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레치 및 마이크로 스위치(90)가 구비된다. 이 고정후크(80)와 레치 및 마이크로 스위치(90)의 동작관계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도어 개폐장치(100)는, 상기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 링크(30)는 하부 도어(10)와 전단이 힌지(70)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링크(30)의 전단은 하부 도어(10)의 내면과 힌지(70)를 통해 90°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120)의 일측과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 링크(120)의 타측은 내부 케이스(2)에 고정된 브라켓(130)과 힌지(70)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링크(30)는 회동 링크(120)와 힌지(70)로 결합하며, 하부 링크(30)는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향해 "┛"자 형태를 가진다.
이 하부 링크(30)는 내부 케이스(2)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하부 링크(30)는 내부 케이스(2)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트림(Trim)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링크(30)에는 복수의 스토퍼(31,32)가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스토퍼(31,32)는 제1 스토퍼(31) 및 제2 스토퍼(32)로 이루어지며, 이 스토퍼(31,32)들의 기능 및 작용은 하기한 댐퍼(50,60)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부 링크(40)는 상부 도어(20)와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하부 링크(30)의 후단과 힌지(71)로 연결된다.
이 상부 링크(40)는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향해 "┻"자 형태를 가진다.
이 상부 링크(40) 역시 하부 링크(30)와 마찬가지로 내부 케이스(2)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부 링크(40)는 내부 케이스(2)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트림(Trim)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부 링크(40)는 메인 로드(41)와 서버 로드(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로드(41)의 전단은 상부 도어(20)와 일체로 고정되고 후단은 하부 링크(30)의 후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71)로 연결된다.
이 메인 로드(41)는 내부 케이스(2)에 고정된 주축(72)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43)을 가진다.
이 메인 가이드 홈(43)은 메인 로드(41)와 서버 로드(42)의 결합지점과 메인 로드(41)의 후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로드(42)는 메인 로드(41)로부터 상부로 분기된다.
이 서버 로드(42)는 내부 케이스(2)에 고정된 보조축(73)을 따라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44)을 가진다.
이 서버 가이드 홈(44)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하부 링크(10) 및 상부 링크(40)의 연계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개방할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메인 로드(41)의 메인 가이드 홈(43)은 내부 케이스(2)의 주축(72)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동작하고, 서버 로드(42)의 서버 가이드 홈(44)은 내부 케이스(2)의 보조축(73)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작한다.
반면,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폐쇄할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메인 로드(41)의 메인 가이드 홈(43)은 내부 케이스(2)의 주축(72)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동작하고, 서버 로드(42)의 서버 가이드 홈(44)은 내부 케이스(2)의 보조축(73)을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하부 링크(30)와 상부 링크(40) 전부 또는 하부 링크(30)와 상부 링크(40)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충격방지용 댐퍼(50,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댐퍼(50,60)는 내부 케이스(2)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2개씩 즉, 제1 댐퍼(50) 및 제2 댐퍼(6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댐퍼(50,60)는 내부 케이스(2)의 좌우에 각각 1개만 형성되거나 좌우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 내지 도 8에서, 제1 댐퍼(50)와 제2 댐퍼(60)는 각각 로드부재(51,61) 및 스프링부재(52,62)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재(51,61)는 내부 케이스(2)에 구비된 회동축(53,63)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로드부재(51,61)는 하부 링크(30)와 상부 링크(40) 전부 또는 하부 링크(30)와 상부 링크(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31,32)와 접촉하거나 이격된다.
도면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링크(30)에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 및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와 각각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31,3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52,62)는 내부 케이스(2)에 고정되고 타측이 로드부재(51,61)와 연결되어 로드부재(51,61)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한다.
여기서, 스프링부재(52,62)는 스토퍼(31,32)와 접촉된 로드부재(51,61)가 소통구(3)를 향해 이동하거나 소통구(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로드부재(51,61)를 탄력 지지한다.
도면에서, 스프링부재(52,62)는 제1 스프링부재(52)와 제2 스프링부재(62)로 이루어진다.
제1 스프링부재(52)는 일측이 내부 케이스(2)에 고정구(74)로서 고정되고 타측이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 측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스프링부재(62)는 일측이 내부 케이스에 고정구(74)로서 고정되고 타측이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댐퍼(50,60)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개방할 경우에,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는 하부 링크(30)의 제1 스토퍼(31)에 걸림되면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하고,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는 하부 링크(30)의 제2 스토퍼(32)를 밀면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한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52)는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를 탄력 지지하면서 이완되며, 제2 스프링부재(62)는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를 탄력 지지하면서 수축된다(도면을 참조하면, 도 6, 도 7, 도 8 순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댐퍼(50)는 하부 도어(10)의 개방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댐퍼(60)는 하부 도어(10)의 개방시 하부 도어(10)의 개방동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력한다.
한편,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폐쇄할 경우에,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는 하부 링크(30)의 제1 스토퍼(31)를 밀면서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하고,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는 하부 링크(30)의 제2 스토퍼(32)에 걸림되면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한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52)는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를 탄력 지지하면서 수축되며, 제2 스프링부재(62)는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를 탄력 지지하면서 이완된다(도면을 참조하면, 도 8, 도 7, 도 6 순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댐퍼(50)는 하부 도어(10)의 폐쇄시 하부 도어(10)의 폐쇄동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력하며, 제2 댐퍼(60)는 하부 도어(10)의 폐쇄시 하부 도어(10)의 폐쇄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댐퍼(60')는 내부 케이스(2)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1개씩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댐퍼(60')는 내부 케이스(2)의 좌우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및 도 10에서, 댐퍼(60')는 로드부재(61') 및 스프링부재(62')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재(61')는 내부 케이스(2)에 구비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로드부재(61')는 하부 링크(30)와 상부 링크(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31)와 접촉하거나 이격된다.
도면에서는, 하부 링크(30)에 댐퍼(60')의 로드부재(61')와 각각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스토퍼(31)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2')는 내부 케이스(2)에 고정되고 타측이 로드부재(61')와 연결되어 로드부재(61')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한다.
여기서, 스프링부재(62')는 스토퍼(31)와 접촉된 로드부재(61')가 소통구(3)를 향해 이동하거나 소통구(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로드부재(61')를 탄력 지지한다.
도면에서, 스프링부재(62')는 일측이 내부 케이스(2)에 고정구(74')로서 고정되고 타측이 댐퍼(60')의 로드부재(61') 측면에 연결된다.
이와 더불어, 로드부재(61')가 설치된 측과 대향하는 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프링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 스프링부재(110)는 일측이 내부 케이스(2)에 고정구(111)로서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 링크(10)와 상부 링크(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하부 링크(10)와 상부 링크(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한다.
도면에서는, 보조 스프링부재(110)의 타측이 상부 링크(20)에 연결된다.
상기 댐퍼(60') 및 보조 스프링부재(110)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댐퍼(6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제2 댐퍼(60)의 동작과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보조 스프링부재(110)는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개방할 경우에, 이완되면서 개방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의 개방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도어 개폐장치(100)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개방할 경우에,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향해 이동하고, 여기서, 메인 로드(41)의 메인 가이드 홈(43)은 내부 케이스(2)의 주축(72)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동작하고, 서버 로드(42)의 서버 가이드 홈(44)은 내부 케이스(2)의 보조축(73)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작한다.
이때,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는 하부 링크(30)의 제1 스토퍼(31)에 걸림되면서 회동축(53)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하고,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는 하부 링크(30)의 제2 스토퍼(32)를 밀면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한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52)는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를 탄력 지지하면서 이완되며, 제2 스프링부재(62)는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를 탄력 지지하면서 수축된다.
반면, 하부 도어(10) 및 상부 도어(2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를 폐쇄할 경우에, 하부 링크(30) 및 상부 링크(40)가 내부 케이스(2)의 소통구(3)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여기서 메인 로드(41)의 메인 가이드 홈(43)은 내부 케이스(2)의 주축(72)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동작하고, 서버 로드(42)의 서버 가이드 홈(44)은 내부 케이스(2)의 보조축(73)을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동작한다.
이때,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는 하부 링크(30)의 제1 스토퍼(31)를 밀면서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하고,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는 하부 링크(30)의 제2 스토퍼(32)에 걸림되면서 회동축(63)을 중심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회동한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52)는 제1 댐퍼(50)의 로드부재(51)를 탄력 지지하면서 수축되며, 제2 스프링부재(62)는 제2 댐퍼(60)의 로드부재(61)를 탄력 지지하면서 이완된다.

Claims (8)

  1. 식기 수납용 소통구가 마련된 내부 케이스;
    상기 소통구의 하부에서 상기 소통구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부 도어;
    상기 소통구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와 전단이 힌지로 연결된 하부 링크; 및
    상기 상부 도어와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하부 링크의 후단과 힌지로 연결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분기된 서버 로드가 마련된 상부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로드의 일부분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주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메인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서버 로드의 일부분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보조축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서버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상기 소통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되 상기 메인 가이드 홈은 상기 주축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서버 가이드 홈은 상기 보조축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작하며,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상기 소통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가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하되 상기 메인 가이드 홈은 상기 주축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서버 가이드 홈은 상기 보조축을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 및 상부 링크는 내부 케이스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전부 또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충격방지용 댐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부재와,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에 구비된 스토퍼와 각각 접촉하거나 이격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로드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내부 케이스에 구비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구간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부재와,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재의 회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스토퍼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소통구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소통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로드부재를 탄력 지지하며,
    상기 로드부재가 설치된 측과 대향하는 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스프링부재는 일측이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는 상기 소통구를 향해 ┛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소통구를 향해 ┻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070096638A 2007-09-21 2007-09-21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91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638A KR100914530B1 (ko) 2007-09-21 2007-09-21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638A KR100914530B1 (ko) 2007-09-21 2007-09-21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33A KR20090030933A (ko) 2009-03-25
KR100914530B1 true KR100914530B1 (ko) 2009-09-02

Family

ID=4069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638A KR100914530B1 (ko) 2007-09-21 2007-09-21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06A (ja) * 2002-05-28 2003-12-0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2005131090A (ja) * 2003-10-30 2005-05-2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7044550A (ja) * 2006-10-17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2007135990A (ja) * 2005-11-21 2007-06-07 Zojirushi Corp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06A (ja) * 2002-05-28 2003-12-0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2005131090A (ja) * 2003-10-30 2005-05-2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7135990A (ja) * 2005-11-21 2007-06-07 Zojirushi Corp 食器洗い機
JP2007044550A (ja) * 2006-10-17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33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81B2 (en) Articulated hinges using non-circular gears
US9157262B2 (en) Door hinge
US7243396B2 (en) Door hinge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EP3960976A1 (en) A hinge mechanism
KR101343915B1 (ko)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US7062817B2 (en) Hinge assembly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of storage facility
CN112218998B (zh) 多重铰接合页装置
US20060255045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ases and storage case having the same
US20060090521A1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and linearly movable door
RU267418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или морозильный шкаф
US10390681B2 (en) Dishwasher door with movable decorative cover
EP2712995B1 (en) A hing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AU2016385300B2 (en)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KR101252099B1 (ko) 내마모성이 개선된 회전 캠이 구비되는 도어용 힌지 장치
KR100914530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90095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2180678B1 (ko)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2739881B (zh) 具有终端速度衰减的家电和陈设的铰链装置
RU2674608C2 (ru) Петля для мебели или бытовых приборов
KR20150000102U (ko)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KR100940368B1 (ko) 가구용 힌지의 완충장치
KR102311406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272414B1 (ko) 냉장고용 홈바
KR20110045741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