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333Y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333Y1
KR200391333Y1 KR20-2005-0011523U KR20050011523U KR200391333Y1 KR 200391333 Y1 KR200391333 Y1 KR 200391333Y1 KR 20050011523 U KR20050011523 U KR 20050011523U KR 200391333 Y1 KR200391333 Y1 KR 200391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ring
cam plate
housing
lif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웅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탄력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단인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스프링에 좌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도어에 설치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캠판과,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한 스프링을 상기 캠판과 서로 연결 구성하는 승강암으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 하단부에는 제 1, 2협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협소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1단턱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 2협소부에는 상기 승강암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2단턱부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door hinge}
본 고안은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탄력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단인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스프링에 좌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힌지는 도어가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이러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후자에 해당하는 상, 하 여닫이방식의 도어 힌지는 가전제품인 가스오븐렌지나 전자렌지의 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힌지의 종래 일반적인 구성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도어 힌지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도어에 삽입되어 회동동작하며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캠판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캠판을 연결 구성하는 승강암으로 구성한다. 즉, 도어 개폐시 상기 캠판이 회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캠판은 스프링의 텐션력을 받아 도어를 탄력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 스프링과 승강암의 체결방식이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연결고리를 연장 형성하고, 이 연결고리를 승강암의 체결구멍에 끼워넣은 단순방식을 채택함으로서 승강암의 작동으로 스프링에 압축 및 인장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스프링에 압력이 편중되게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스프링의 좌굴현상(휘어짐)을 가져와 하우징내 다른 부속품과의 간섭현상을 유발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스프링과 하우징 내면과의 접촉으로 사용과정에서 잦은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스프링에 좌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캠판의 상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가이드롤러가 걸려지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적정각도에서 일차 정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도어에 설치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캠판과,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한 스프링을 상기 캠판과 서로 연결 구성하는 승강암으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 하단부에는 제 1, 2협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협소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1단턱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 2협소부에는 상기 승강암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2단턱부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상기 제 1, 2단턱부에는 이탈방지핀을 각각 수평으로 관통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판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암의 하단에는 스프링의 텐션으로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가이드롤러가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술될 도어 힌지는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어 힌지의 구성을 각각 측면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2를 참조하면 도어 힌지(100)는 하우징(30)과, 캠판(36), 승강암 (40)및 스프링(46)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은 " ㄷ"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어 도어 힌지(100)의 구성품들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하우징(30)의 상단 양측에는 제 1단턱부(32)가 각각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단턱부(32)는 후술하는 스프링(46)의 제 1협소부(46a)에 끼워져 스프링(46)의 상단을 하우징(3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캠판(36)은 도어(20)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0)과 힌지핀(38)으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20)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암(40)은 상기 캠판(36)과 스프링(46)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하단에는 상기 캠판(36)과 리벳(42)으로 체결되어 상기 캠판(36)의 회동에 따라 상, 하 수직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암(40)의 상단 양측에는 제 2단턱부(42)가 각각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단턱부(42)는 후술하는 스프링(46)의 제 2협소부(46b)에 끼워져 스프링(46)의 하단을 승강암(4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승강암(4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캠판(36)의 회동동작에 따라 도어(20)가 탄력적으로 개폐되도록 캠판(36)에 텐션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6)의 상, 하 둘레면에는 제 1, 2협소부(46a, 46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협소부(46a)에는 하우징(3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단턱부(32)가 끼워지고, 상기 제 2협소부(46b)에는 승강암(4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단턱부(42)가 끼워지게 됨으로서 상기 스프링(46)은 승강암(40)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30)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6)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2협소부(46a, 46b)를 형성하여 하우징(30)과 승강암(40)의 제 1, 2단턱부(32, 42)가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은 사용과정에서 스프링(46)으로 압축 및 인장력이 편중되게 작용하여 스프링(46)에 좌굴현상(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 1, 2협소부(46a, 46b)에 끼워지는 제 1, 2단턱부(32, 42)는 상기 제 1, 2협소부(36a, 36b) 둘레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며, 이 상태에서 승강암(40)이 캠판(36)의 회동으로 상, 하 이동하며 스프링(46)을 당겨주게 되면 스프링(46)은 어느 한면만 당겨지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46) 상단부는 하우징(30)의 제 1단턱부(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6) 하단부 전체가 균일하게 당겨지게 됨으로서 편중된 압력으로 인한 스프링(46)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2단턱부(32, 42)에는 이탈방지편(34, 44)들이 각각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탈방지편(34, 44)들은 스프링(46)의 제 1, 2협소부(46a, 46b) 전, 후방 또는 전방에 위치하여 사용과정에서 스프링(46)이 제 1, 2단턱부(32, 4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힌지(100)를 통해 개폐되는 도어(20)는 개폐과정에서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12°~15°사이에서 일차 정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어(20)의 개폐동작이 너무 급격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되지 않도록 하여 작동의 안정성을 기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도어 힌지(100), 바람직하게는 캠판(36)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턱(48)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암(40)의 하단에는 보조스프링(52)과, 상기 보조스프링(52)의 텐션으로 상기 걸림턱(48)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가이드롤러(50)를 설치 구성한다. 즉,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36)의 회동으로 도어(30)가 일정각도 개방되면 상기 캠판(36)의 걸림턱(48)에 가이드롤러(50)가 안치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50)는 보조스프링(52)의 텐션력으로 걸림턱을 눌러주며 걸려지게 됨으로서 도어(20)를 일정각도에서 일차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어 힌지(100)의 작동상태란에서 보다 더 상세히 기술토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 힌지(100)의 구성인 하우징(30)은 도어프레임(10)에 설치하고, 캠판(36)은 도어(2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도면에 미 도시 함)를 잡고 도어(20)를 앞쪽방향(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캠판(36)은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캠판(36)과 리벳(42) 체결되어 있는 승강암(40)은 아래로 하강하며 스프링(46)을 당겨주게 됨으로서 도어(20)는 상기 스프링(46)의 텐션으로 탄력적으로 개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승강암(40)은 스프링(46)의 제 2협소부(46b)와 면접촉을 이루며 끼워져 있는 제 2단턱부(42)에 의해 상기 스프링(46) 하단 전체면을 균일하게 당겨주게 되고, 하우징(30)의 제 1단턱부(32)는 스프링(46)의 제 1협소부(46a)에 끼워져 스프링(46) 상단 전체를 균일하게 잡아주게 됨으로서 스프링(46)에 좌굴현상 발생을 방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각도 개방된 상태에서 일차 정지하게 되는 데, 즉 회동중인 캠판(36)의 걸림턱(48)에 승강암(40)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롤러(5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가이드롤러(50)는 보조스프링(52)의 텐션으로 압력을 받아 상기 걸림턱(48)을 눌러주게 됨으로서 도어(20)는 걸림턱(48)에 걸려진 가이드롤러(50)에 의해 일차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20)는 폐쇄동작시에도 상기한 구성들을 통해 일정각도에서 일차 정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도어(20)의 손잡이를 잡고 재차 당겨주게 되면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36)의 회동으로 가이드롤러(50)는 걸림턱(48)에서 벗어나게 되며, 따라서 도어(2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도어를 탄력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단인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스프링에 좌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캠판의 상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가이드롤러가 걸려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도어는 개방 혹은 폐쇄동작중 일정각도에서 일차 정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를 통해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프레임 20: 도어
30: 하우징 32: 제 1단턱부
34, 44: 이탈방지편 36: 캠판
40: 승강암 42: 제 2단턱부
46: 스프링 46a: 제 1협소부
46b: 제 2협소부 48: 걸림턱
50: 가이드롤러 52: 보조스프링

Claims (3)

  1.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하우징(30)과, 도어(20)에 설치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도어(20)를 개폐시키는 캠판(36)과, 상기 하우징(30)내에 위치한 스프링(46)을 상기 캠판(36)과 서로 연결 구성하는 승강암(40)으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6)의 상, 하단부에는 제 1, 2협소부(46a, 46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협소부(46a)에는 상기 하우징(3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1단턱부(32)가 끼워지며,
    상기 제 2협소부(46b)에는 상기 승강암(4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제 2단턱부(42)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단턱부(32, 42)에는 이탈방지핀(34, 44)들이 각각 수평으로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판(36)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턱(48)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암(40)의 하단에는 보조스프링(52)의 텐션으로 상기 걸림턱(48)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가이드롤러(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KR20-2005-0011523U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KR200391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23U KR200391333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23U KR200391333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333Y1 true KR200391333Y1 (ko) 2005-08-02

Family

ID=4369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523U KR200391333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33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968B1 (ko) 2006-05-25 2007-08-0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0785129B1 (ko) * 2006-01-25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0828274B1 (ko) 2005-11-04 2008-05-07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0863824B1 (ko) * 2007-01-10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
KR100989206B1 (ko) 2008-10-08 2010-10-20 풍원공업 주식회사 탑 로드 타입용 도어 힌지
KR101017558B1 (ko) * 2008-11-17 2011-02-2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104644B1 (ko) 2009-03-19 2012-02-0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안전 잠금장치
KR200463705Y1 (ko) 2010-06-11 2012-11-20 주식회사 파세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US8624815B2 (en) 2007-12-20 2014-01-0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74B1 (ko) 2005-11-04 2008-05-07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0785129B1 (ko) * 2006-01-25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0744968B1 (ko) 2006-05-25 2007-08-0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0863824B1 (ko) * 2007-01-10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
US8624815B2 (en) 2007-12-20 2014-01-0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89206B1 (ko) 2008-10-08 2010-10-20 풍원공업 주식회사 탑 로드 타입용 도어 힌지
KR101017558B1 (ko) * 2008-11-17 2011-02-2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104644B1 (ko) 2009-03-19 2012-02-0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안전 잠금장치
KR200463705Y1 (ko) 2010-06-11 2012-11-20 주식회사 파세코 가전제품용 도어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333Y1 (ko) 도어 힌지
KR100828274B1 (ko) 도어 힌지
CN102449255B (zh) 用于滑动窗的锁定装置
US20130291337A1 (en) Hinge for doors of domestic appliances such as ovens, dishwashers or the like
IL259503A (en) Another closed door or panel with a lock-operated link
KR101397122B1 (ko) 압력밥솥용 클램프
KR100744968B1 (ko) 도어 힌지
KR200465812Y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20180112955A (ko) 도어 힌지
KR200446948Y1 (ko) 도어용 고정장치
CN219299038U (zh) 可快速拆装的美式阻尼铰链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KR101493143B1 (ko) 도어 힌지
KR100866997B1 (ko) 건물용 현관문
CN212773991U (zh) 一种便捷式门锁结构
JP4129960B2 (ja) ステー
JP3987996B2 (ja) 引き戸のローラーラッチ機構
KR200457002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CN211115343U (zh) 改良型承重烤箱铰链
JP2002250522A (ja) 加熱調理器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US20100139339A1 (en) Car door lock
KR100448201B1 (ko) 자동차의 어퍼트레이 커버 잠금구조
CN218581409U (zh) 一种入户门铰链端的防撬结构
KR101845152B1 (ko) 세탁기용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