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43B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43B1
KR101493143B1 KR20130024849A KR20130024849A KR101493143B1 KR 101493143 B1 KR101493143 B1 KR 101493143B1 KR 20130024849 A KR20130024849 A KR 20130024849A KR 20130024849 A KR20130024849 A KR 20130024849A KR 101493143 B1 KR101493143 B1 KR 10149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on
slider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467A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14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05B6/763Microwave radiation seal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90°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도어만 자체적으로 대략 120°이상으로 더 눕혀지며 외력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이 외력에 의해 앞쪽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 힌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도어만 자체적으로 더 큰 각도로 눕혀지도록 하여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이 앞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힌지는 도어가 도어프레임상에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이러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후자에 해당하는 도어 힌지는 가전제품인 가스오븐렌지나 전자렌지의 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어러한 도어 힌지의 종래 구성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힌지(150)는 도어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고정대(110)와, 도어(300)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110)와 힌지(126) 체결되어 상기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300)를 개폐시키는 작동대(112)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대(110)와 작동대(112)의 사이에는 도어(300)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114)은 고정대(110)에 설치되는 연결판(116)과, 상기 연결판(116)과 핀(118) 체결되어 상기 핀(11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120)과, 상기 회동판(12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대(112)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22)을 타고 상, 하 이동하는 안내핀(124)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수단(114)은 작동대(112)를 회동시키면 안내핀(124)이 가이드홀(122)을 타고 하향으로 수직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안내핀(124)에 체결되어 있는 회동판(118)은 상기 안내핀(124)의 이동에 따라 핀(11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작동대(112)의 회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따라서 도어(300)는 안정적으로 개방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도어 힌지가 장착된 가전제품은 도어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는 앞쪽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힌지를 기점으로 90°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자칫 상기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이 앞쪽으로 넘어질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선행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 10-1157801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도어만 자체적으로 더 큰 각도로 눕혀지도록 하여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으로 외력이 전해지지 않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개방 동작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힌지의 작동프레임이 앞쪽으로 일정거리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도어프레임간의 간섭 방지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원활히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 동작시키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를 앞쪽으로 눕혀가며 개방 동작시키는 작동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프레임과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앞쪽으로 당겨지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링크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당겨지는 동작에 따라 텐션력을 발휘하여 도어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조텐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프레임의 끝단 상면에는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공간 상단에 걸려지는 단턱부가 더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당김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회동 안내판과, 상기 회동 안내판의 안내 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안내판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텐션수단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텐션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과,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작동핀이 걸려지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핀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캠과, 상기 회동캠과 접촉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캠의 회전에 따라 눌려지며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 동작시키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를 앞쪽으로 눕혀가며 개방 동작시키는 작동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프레임과 상기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앞쪽으로 당겨지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에 선단이 핀 결합되며 그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동작하는 회동안내판과, 상기 회동안내판과 연결링크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회동안내판의 회동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텐션력을 발휘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조텐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프레임의 끝단 상면에는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공간 상단에 걸려지는 단턱부가 더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상기 회동안내판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안내판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텐션수단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텐션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과,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작동핀이 걸려지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핀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캠과, 상기 회동캠과 접촉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캠의 회전에 따라 눌려지며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90°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도어만 자체적으로 대략 120°이상으로 더 눕혀지며 외력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이 외력에 의해 앞쪽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프레임이 앞쪽으로 일정거리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도어프레임간의 간섭 방지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원활히 개폐 동작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에서 도어가 90°이상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의 도어 힌지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작동프레임의 단턱부가 슬라이더의 삽입공간 상단에 걸려진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에서 도어가 90°이상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의 도어 힌지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a와 도 14b는 작동프레임의 단턱부가 슬라이더의 삽입공간 상단에 걸려진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90°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도어만 자체적으로 대략 120°이상으로 더 눕혀지도록 외력을 흡수하도록 구성하고, 이때의 도어의 하중은 제 2텐션수단과 보조텐션수단이 지탱하도록 함으로서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은 외력에 의해 앞쪽으로 넘어지지 않고 도어 자체만 큰 각도로 눕혀지도록 구성한 도어 힌지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는 도어(300)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각종 가전제품(오븐렌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도어프레임(40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10)과, 도어(300)에 장착되는 작동프레임(12)으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어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0)에는 작동프레임(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들인 슬라이더(14), 연결프레임(18), 회동안내판(22) 및 제 1, 2텐션수단(30, 50)이 설치되어 진다.
상기 작동프레임(12)은 상기 도어(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0)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더(14) 및 연결프레임(18)과 각각 핀(16)과 힌지축(20)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20)을 기점으로 회전하며 도어(300)가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0)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프레임(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14), 연결프레임(18), 회동안내판(22) 및 제 1, 2텐션수단(30, 50) 및 보조텐션수단(7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일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2)에 핀(16)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그 단면이 도 5에서와 같이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에는 삽입공간(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15)에 상기 작동프레임(12)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16)으로 연결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에 끼워지는 작동프레임(12)의 끝단 상면에는 단턱부(13)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3)는 90°로 회전 동작한 작동프레임(12)이 더 큰 각도로 회전 동작하고 난 뒤(즉, 도 6a와 도 6b 참조)에 작동프레임(12)이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 상단에 걸려지도록 하여 작동프레임(1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동안내판(22)은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10)에 힌지(25) 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슬라이더(14)에 핀(24)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4)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25)를 중심으로 회동 동작하게 된다.
상기 회동안내판(22)의 외측면에는 제 2텐션수단(50)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며 90°각도로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텐션수단(50)이 설치되는 바, 상기 제 2텐션수단(50)의 구조는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8)은 상기 슬라이더(14)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와 링크(21)로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2)에 힌지축(20)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14)와 함께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8)에는 연결링크(32)를 통해 도어(300)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30)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 1텐션수단(30)은 상기 연결프레임(18)과 연결링크(32)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가이드장공(34)에 핀(36)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안내판(2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상기 제 1가이드장공(34)을 타고 앞쪽으로 당겨지며 이동 동작하는 로드(38)와, 상기 로드(38)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38)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며 텐션력을 발휘하는 스프링(40)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제 1텐션수단(30)은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른 연결프레임(18)의 당김 동작에 발생하면 상기 연결프레임(18)과 연결링크(32)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로드(38)가 당겨지며 스프링(40)의 텐션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도어(300)가 개방 동작하는 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텐션수단(30)에서 발생하는 텐션력은 90°로 회전 동작하며 앞쪽으로 눕혀지는 도어(300)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 2텐션수단(50)은 상기 제 1텐션수단(30)의 아래에 위치하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상태에서 90°로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더불어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도어(300)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 구조를 통해 90°이상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도어(300)가 정확히 90°만큼 개방동작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이때의 개방된 도어(300)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탱할 필요가 있는 데, 만일 도어(300)의 하중을 따로 지탱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작동프레임(12)의 단턱부(13)가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 상단에 걸려지지 못한 관계로 도어(300)는 자중에 의해 90°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바, 이때의 도어(300) 하중을 제 2텐션수단(30)이 탄력적으로 지탱하며 도어(300)의 90°각도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텐션수단(50)은 로드(56)와, 스프링(58)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56)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가이드장공(52)에 핀(54)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선단은 전술한 회동안내판(2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곡면(26)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300)가 개방 동작한 후, 도어(300)가 더 큰 각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동안내판(22)이 슬라이더(14)의 당김력에 의해 힌지축(25)을 기점으로 회동 동작할 때, 상기 회동안내판(22)의 안내곡면(26)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되며 상기 제 2가이드장공(52)을 타고 후방으로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58)은 상기 로드(56)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로드(56)가 후방으로 밀려나는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제 2텐션수단(50)은 90°로 회전 동작하며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으로 외력이 전해져 가전제품이 앞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는 데, 이때에는 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제 2텐션수단(50)이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프레임(12)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4)가 더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안내판(22)은 힌지(25)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회동안내판(22)의 안내곡면(26)에는 제 2텐션부재(50)의 로드(56)가 접촉된 상태에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밀려나며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58)의 텐션력을 발휘시켜 회동안내판(2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외력에 의해 도어(300)만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에 삽입되어 있는 작동프레임(12)의 끝단 상면은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에 걸려 간섭받게 되는 데, 이때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프레임(12)의 끝단 상면에 단턱부(13)를 함몰 형성하여 90°이상의 각도로 작동프레임(12)이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에 상단에 작동프레임(12)의 끝단(13)이 걸려지지 않도록 하여 작동프레임(12)의 회전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힌지, 바람직하게는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고정부재(10)에는 보조텐션수단(70)이 더 장착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70)은 상기 제 2텐션수단(50)과 함께 90°로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더불어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70)은 작동핀(74)과, 회동캠(76), 프레임(82), 롤러(90), 로드(88) 및 스프링(92)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핀(74)은 전술한 슬라이더(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42)에 결합되어 도어(300)의 개방 동작으로 상기 슬라이더(14)가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캠(7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78)에 걸려지며 상기 회동캠(76)을 회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캠(76)은 고정부재(10)의 앞쪽 상단에 힌지축(80)으로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서 "ㄴ"형태로 하단 일측에는 걸림턱(78)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회동캠(76)은 도어(300)의 개방에 따른 슬라이더(14)의 이동으로 작동핀(74)이 걸림턱(78)에 걸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롤러(90)를 눌러 가압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82)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0)의 앞쪽 상단에 핀(84)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10) 뒤쪽에 핀(86)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0)상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82)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88) 및 스프링(92)이 설치된다.
상기 로드(88)는 상기 프레임(82)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선단에는 롤러(90)가 결합되며, 끝단은 상기 프레임(82)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83)에 관통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90)는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상기 회동캠(76)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 롤러(90)의 누름 압력을 통해 로드(88)는 상기 프레임(82)의 내부 공간에서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92)은 상기 로드(88)의 외경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그 끝단은 상기 홀더(83)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로드(88)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보조텐션수단(70)은 도어(300)가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하면 작동프레임(12)과 핀(16)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4)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14)에 브라켓(72)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누름핀(74)은 슬라이더(42)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회동캠(76)의 걸림턱(78)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캠(76)은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프레임(8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0)를 눌러줘 로드(88)를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로드(88)는 스프링(92)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롤러(90)의 누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회동캠(76)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90°각도로 회전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 역시 상기 보조텐션수단(70)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가 90°이상의 각도로 서서히 회전하도록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70) 및 제 2텐션수단(50)의 텐션력으로 90°이상의 각도로 탄력적으로 서서히 회전 동작한 도어(300)는 대략 120°정도의 각도가 되면 도어(300)의 단부가 지면에 닿게 되어 도어의 회전은 자연스럽게 정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의 동작 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도어 손잡이(미 도시 함)를 잡고 앞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300)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힌지의 작동프레임(12)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300)를 앞쪽으로 출몰시켜 가며 개방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4) 및 연결프레임(18)은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동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작동프레임(12)을 일정거리 인출시키게 되며, 따라서 도어(300)는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400) 사이에 별다른 틈새 공간이 없더라도 개방 동작시 상기 작동프레임(12)의 인출동작을 통해 앞쪽으로 일정거리 빠져나온 상태에서 개방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도어프레임(400)에 부딧치는 등의 간섭됨 없이 안정적으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4)와 핀(24) 결합되어 있는 회동안내판(22)은 상기 슬라이더(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힌지(25)를 기점으로 회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8)과 연결링크(32)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제 1텐션수단(30)인 로드(38)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당김 동작에 따라 고정부재(10)의 제 1가이드장공(34)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로드(38)의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40)의 텐션력이 발휘되며 도어(300)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해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친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도어(300)가 정확히 90°각도만큼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에는 제 2텐션수단(50)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도어(300)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한편, 90°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자칫 가전제품으로 외력이 전해져 가전제품이 앞쪽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는 바, 이때에는 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즉, 90°의 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9에서와 같이 작동프레임(12)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4) 및 연결프레임(18)이 더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안내판(22)은 힌지를 중심으로 더 큰 각도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제 2텐션부재의 로드는 상기 회동안내판(22)의 안내곡면(26)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며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58)의 텐션력으로 회동안내판(22)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하는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프레임(12)은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그 끝단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13)를 통해 90°회전한 각도에서는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 상단에 걸리지 않고,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고 난 뒤에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 상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도어(30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를 통해 도어(300)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가전제품으로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며 외력을 흡수하게 됨으로서 가전제품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텐션수단(50)과 함께 보조텐션수단(70)의 텐션력이 동시에 작용하며 도어(300)가 정확히 90°각도만큼 회전 동작하고 나면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300)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도록 상기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어(300)가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동작을 진행하면 작동프레임(12)과 핀(16)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4)가 당겨지며, 상기 슬라이더(14)에 브라켓(72)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누름핀(74)이 상기 슬라이더(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회동캠(76)의 걸림턱(78)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캠(76)은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캠(76)은 프레임(8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90)를 눌러줘 로드(88)를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로드(88)는 스프링(92)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롤러(90)의 누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회동캠(76)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는 도어(300)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각종 가전제품(오븐렌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도어프레임(40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110)과, 도어(300)에 장착되는 작동프레임(112)으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도어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작동프레임(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들인 슬라이더(114), 연결프레임(118), 회동안내판(122) 및 제 1, 2텐션수단(130, 150)이 설치되어 진다.
상기 작동프레임(112)은 상기 도어(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10)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더(114) 및 연결프레임(118)과 각각 핀(116)과 힌지축(120)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120)을 기점으로 회전하며 도어(300)가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프레임(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114), 연결프레임(118), 회동안내판(122) 및 제 1, 2텐션수단(130, 150) 및 보조텐션수단(17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14)는 일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12)에 핀(116)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14)는 그 단면이 도 13에서와 같이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에는 삽입공간(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115)에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116)으로 연결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에 끼워지는 작동프레임(112)의 끝단 상면에는 단턱부(113)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13)는 90°로 회전 동작한 작동프레임(112)이 더 큰 각도로 회전 동작하고 난 뒤(즉, 도 14a와 도 14b 참조)에 작동프레임(112)이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 상단에 걸려지도록 하여 작동프레임(11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18)은 상기 슬라이더(114)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14)와 링크(121)로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12)에 힌지축(120)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114)와 함께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안내판(122)은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110)에 힌지(125) 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슬라이더(114)에 핀(124)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14)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125)를 중심으로 회동 동작하게 된다.
상기 회동안내판(122)에는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회전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130)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 1텐션수단(130)은 상기 회동안내판(122)과 연결링크(132)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가이드장공(134)에 핀(136)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상기 제 1가이드장공(134)을 타고 앞쪽으로 당겨지며 이동 동작하는 로드(138)와, 상기 로드(138)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138)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며 텐션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40)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제 1텐션수단(130)은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른 슬라이더(1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회동안내판(122)이 힌지(125)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면 상기 회동안내판(122)과 연결링크(132)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로드(138)가 당겨지며 스프링(140)의 텐션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회동안내판(122)이 회전 동작하는 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텐션수단(130)에서 발생하는 텐션력은 90°로 회전 동작하며 앞쪽으로 눕혀지는 도어(300)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 2텐션수단(150)은 상기 제 1텐션수단(130)의 아래에 위치하며 고정부재(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90°로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더불어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도어(300)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 구조를 통해 90°이상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도어(300)가 정확히 90°만큼 개방동작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이때의 개방된 도어(300)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탱할 필요가 있는 데, 만일 도어(300)의 하중을 따로 지탱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4a에서와 같이 작동프레임(112)의 단턱부(113)가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 상단에 걸려지지 못한 관계로 도어(300)는 자중에 의해 90°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바, 이때의 도어(300) 하중을 제 2텐션수단(130)이 탄력적으로 지탱하며 도어(300)의 90°각도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텐션수단(150)은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곡면(126)에 접촉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가이드장공(152)에 핀(154)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회전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156)와, 상기 로드(156)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156)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며 텐션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58)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제 2텐션수단(150)은 90°로 회전 동작하며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전제품으로 외력이 전해져 가전제품이 앞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는 데, 이때에는 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제 2텐션수단(150)이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는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프레임(112)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14)가 더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14)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안내판(122)은 힌지(125)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안내곡면(126)에는 제 2텐션부재(150)의 로드(156)가 접촉된 상태에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밀려나며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158)의 텐션력을 발휘시켜 회동안내판(12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외력에 의해 도어만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에 삽입되어 있는 작동프레임(112)의 끝단 상면은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에 걸려 간섭받게 되는 데, 이때 도 14a와 도 14b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끝단 상면에 단턱부(113)를 함몰 형성하여 90°이상의 각도로 작동프레임(112)이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에 상단에 작동프레임(112)의 끝단(113)이 걸려지지 않도록 하여 작동프레임(112)의 회전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힌지, 바람직하게는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고정부재(110)에는 보조텐션수단(170)이 더 장착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170)은 상기 제 2텐션수단(150)과 함께 90°로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더불어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170)은 작동핀(174)과, 회동캠(176), 프레임(182), 롤러(190), 로드(188) 및 스프링(192)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핀(174)은 전술한 슬라이더(1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42)에 결합되어 도어(300)의 개방 동작으로 상기 슬라이더(114)가 앞쪽으로 당겨지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캠(17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8)에 걸려지며 상기 회동캠(176)을 회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캠(176)은 고정부재(110)의 앞쪽 상단에 힌지축(180)으로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서 "ㄴ"형태로 하단 일측에는 걸림턱(178)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회동캠(176)은 도어(300)의 개방에 따른 슬라이더(114)의 이동으로 작동핀(174)이 걸림턱(178)에 걸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롤러(190)를 눌러 가압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82)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앞쪽 상단에 핀(184)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재(110) 뒤쪽에 핀(186)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상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182)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188) 및 스프링(192)이 설치된다.
상기 로드(188)는 상기 프레임(182)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선단에는 롤러(190)가 결합되며, 끝단은 상기 프레임(182)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183)에 관통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190)는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상기 회동캠(176)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 롤러(190)의 누름 압력을 통해 로드(188)는 상기 프레임(182)의 내부 공간에서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92)은 상기 로드(188)의 외경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그 끝단은 상기 홀더(183)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로드(188)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보조텐션수단(170)은 도어(300)가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하면 작동프레임(112)과 핀(116)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14)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114)에 브라켓(172)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누름핀(174)은 슬라이더(142)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회동캠(176)의 걸림턱(178)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캠(176)은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프레임(18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190)를 눌러줘 로드(188)를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로드(188)는 스프링(192)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롤러(190)의 누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회동캠(176)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90°각도로 회전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90°로 개방 동작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할 때, 이때의 도어(300)의 회전 역시 상기 보조텐션수단(170)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가 90°이상의 각도로 서서히 회전하도록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상기 보조텐션수단(170) 및 제 2텐션수단(150)의 텐션력으로 90°이상의 각도로 탄력적으로 서서히 회전 동작한 도어(300)는 대략 120°정도의 각도가 되면 도어(300)의 단부가 지면에 닿게 되어 도어의 회전은 자연스럽게 정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의 동작 과정을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15와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 손잡이(미 도시 함)를 잡고 앞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300)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힌지의 작동프레임(12)은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300)를 앞쪽으로 출몰시켜 가며 개방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14) 및 연결프레임(118)은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동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작동프레임(112)을 일정거리 인출시키게 되며, 따라서 도어(300)는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400) 사이에 별다른 틈새 공간이 없더라도 개방 동작시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인출동작을 통해 앞쪽으로 일정거리 빠져나온 상태에서 개방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도어프레임(400)에 부딧치는 등의 간섭됨 없이 안정적으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14)와 핀(124) 결합되어 있는 회동안내판(122)은 상기 슬라이더(1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힌지(125)를 기점으로 회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안내판(122)과 연결링크(132)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제 1텐션수단(130)인 로드(138)는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회동에 따라 당겨지며 고정부재(110)의 제 1가이드장공(134)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로드(138)의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140)의 텐션력이 발휘되며 회동안내판(122)의 회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해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친 다음,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300)가 정확히 90°각도만큼 회전 동작하며 개방된 도어(300)는 제 2텐션수단(130)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도어(300)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한편, 90°각도로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자칫 가전제품으로 외력이 전해져 가전제품이 앞쪽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는 바, 이때에는 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며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즉, 90°의 각도로 회전하며 개방 동작이 완료된 도어(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9에서와 같이 작동프레임(112)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14) 및 연결프레임(118)이 더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14)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안내판(122)은 힌지를 중심으로 더 큰 각도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제 2텐션부재(150)의 로드(156)는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안내곡면(126)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며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158)의 텐션력으로 회동안내판(122)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프레임(112)은 도 15a와 도 15b에서와 같이 그 끝단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113)를 통해 90°회전한 각도에서는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 상단에 걸리지 않고,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고 난 뒤에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 상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도어(30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를 통해 도어(300)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가전제품으로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며 외력을 흡수하게 됨으로서 가전제품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텐션수단(150)과 함께 보조텐션수단(170)의 텐션력이 동시에 작용하며 도어(300)가 정확히 90°각도만큼 회전 동작하고 나면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도어(300)가 자중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탱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도어(30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300)만 자체적으로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도록 상기 도어(300)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어(300)가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동작을 진행하면 작동프레임(112)과 핀(116)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14)가 당겨지며, 상기 슬라이더(114)에 브라켓(172)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누름핀(174)이 상기 슬라이더(1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회동캠(176)의 걸림턱(178)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캠(176)은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캠(176)은 프레임(18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19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190)를 눌러줘 로드(188)를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로드(188)는 스프링(192)의 텐션력이 작용하여 롤러(190)의 누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회동캠(176)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게 되며, 이를 통해 90°이상의 각도로 회전 동작한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고정부재 12: 작동프레임
13: 단턱부 14: 슬라이더
15: 삽입공간 16: 핀
18: 연결프레임 20: 힌지축
22: 회동안내판 26:안내곡면
30: 제 1텐션수단 32: 연결링크
34: 제 1가이드장공 36: 핀
38: 로드 40: 스프링
50: 제 2텐션수단 52: 제 2가이드장공
54: 핀 56: 로드
58: 스프링 70: 보조텐션수단
74: 누름핀 76: 회동캠
78: 걸림턱 80: 힌지축
82: 프레임 88: 로드
90: 롤러 92: 스프링
100: 도어 200: 도어프레임

Claims (6)

  1. 도어프레임(400)에 설치된 도어(300)를 개방 동작시키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4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도어(300)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300)를 앞쪽으로 눕혀가며 개방 동작시키는 작동프레임(12)과;
    상기 작동프레임(12)에 핀(16)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슬라이더(14)와;
    상기 슬라이더(14)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프레임(12)과 힌지축(20)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와 함께 앞쪽으로 당겨지는 연결프레임(18)과;
    상기 연결프레임(18)과 연결링크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당겨지는 동작에 따라 텐션력을 발휘하여 도어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과;
    상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상태에서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조텐션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프레임(12)의 끝단 상면에는 단턱부(13)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3)는 상기 작동프레임(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의 삽입공간(15) 상단에 걸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당김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회동 안내판과;
    상기 회동 안내판의 안내 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안내판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텐션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텐션수단(70)은;
    상기 슬라이더(14)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42)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74)과;
    상기 고정부재(10)에 힌지축(80)으로 결합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작동핀(74)이 걸려지기 위한 걸림턱(78)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핀(74)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캠(76)과;
    상기 회동캠(76)과 접촉하는 롤러(90)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캠(76)의 회전에 따라 눌려지며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90) 및 ;
    상기 로드(90)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90)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4. 도어프레임(400)에 설치된 도어(300)를 개방 동작시키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4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도어(300)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300)를 앞쪽으로 눕혀가며 개방 동작시키는 작동프레임(112)과;
    상기 작동프레임(112)에 핀(116)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슬라이더(114)와;
    상기 슬라이더(114)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프레임(112)과 상기 힌지축(120)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14)와 함께 앞쪽으로 당겨지는 연결프레임(118)과;
    상기 슬라이더(114)에 선단이 핀(124) 결합되며 그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110)에 힌지(125)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125)를 중심으로 회동 동작하는 회동안내판(122)과;
    상기 회동안내판(122)과 연결링크(132)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회동 동작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텐션력을 발휘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텐션수단(130)과;
    상기 고정부재(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조텐션수단(170)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끝단 상면에는 단턱부(113)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13)는 상기 작동프레임(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14)의 삽입공간(115) 상단에 걸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판(12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곡면(126)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안내판(122)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90°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된 상기 도어(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텐션수단(1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텐션수단(170)은;
    상기 슬라이더(114)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42)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114)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174)과;
    상기 고정부재(110)에 힌지축(180)으로 결합되며 하단 일측에는 상기 작동핀(174)이 걸려지기 위한 걸림턱(178)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핀(174)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캠(176)과;
    상기 회동캠(176)과 접촉하는 롤러(190)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캠(176)의 회전에 따라 눌려지며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190) 및 ;
    상기 로드(190)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로드(190)의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KR20130024849A 2013-03-08 2013-03-08 도어 힌지 KR10149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849A KR101493143B1 (ko) 2013-03-08 2013-03-08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849A KR101493143B1 (ko) 2013-03-08 2013-03-08 도어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67A KR20140110467A (ko) 2014-09-17
KR101493143B1 true KR101493143B1 (ko) 2015-02-13

Family

ID=5175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4849A KR101493143B1 (ko) 2013-03-08 2013-03-08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95B1 (ko) 2023-05-19 2023-11-09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19B1 (ko) * 2015-03-25 2016-09-21 주식회사 바비씨앤씨 영업용 밥솥의 열감지부 작동장치
CN110239317A (zh) * 2019-06-11 2019-09-17 苏州江南航天机电工业有限公司 一种裙边箱下翻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23A (ko) * 2007-01-10 2008-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
KR20100055110A (ko) * 2008-11-17 2010-05-2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20027750A (ko) * 2010-09-13 2012-03-2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23A (ko) * 2007-01-10 2008-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
KR20100055110A (ko) * 2008-11-17 2010-05-2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20027750A (ko) * 2010-09-13 2012-03-2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157801B1 (ko) 2010-09-13 2012-06-25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595B1 (ko) 2023-05-19 2023-11-09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67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801B1 (ko) 도어 힌지
US10041685B2 (en) Hinge apparatus and oven with the same
KR101104640B1 (ko) 도어 힌지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70020B1 (ko) 도어 힌지
KR101493143B1 (ko) 도어 힌지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391333Y1 (ko) 도어 힌지
US20100257698A1 (en) Hinge for wings or doors
JP2017511848A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KR102013025B1 (ko) 도어 힌지
KR101329159B1 (ko) 도어 힌지
KR101765456B1 (ko) 도어 핸들
KR101525446B1 (ko) 도어 힌지
KR101493165B1 (ko) 도어 힌지
US20190301220A1 (en) Door hinge
KR101480240B1 (ko) 도어 힌지
KR20150115984A (ko) 도어 스토퍼
KR2015010981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4245B1 (ko) 도어 힌지
KR20120086853A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WO2019015694A1 (zh) 联动开盖组件和顶开式滚筒洗衣机
KR101526802B1 (ko) 도어 힌지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KR101601858B1 (ko)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