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08B1 -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08B1
KR102176008B1 KR1020180047327A KR20180047327A KR102176008B1 KR 102176008 B1 KR102176008 B1 KR 102176008B1 KR 1020180047327 A KR1020180047327 A KR 1020180047327A KR 20180047327 A KR20180047327 A KR 20180047327A KR 102176008 B1 KR102176008 B1 KR 10217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 dial
body case
microphone
lam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519A (ko
Inventor
강승재
노익준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4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이 탑재된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본체 케이스;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편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의 조립체의 배면에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신호에 기반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COOKING DEVICE WITH MICROPHON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밥솥은 취사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전기밥솥은 본체 베이스의 하단부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지탱된다. 본체 베이스는 일반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고, 형성 후 인위적인 변화가 불가능하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음성인식 기능이 채용될 수 있다. 음성인식 기능의 수행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조리기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편의 조립체의 배면에 마이크로폰을 장착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에 따른 조리 기기는,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본체 케이스;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편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의 조립체의 배면에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기반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편의 조립체는,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회전하는 조그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내측부를 포함하는 조그 다이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조그 다이얼 내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조그 다이얼이 조립되어 노출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그 다이얼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유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유극과의 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조그 다이얼 내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편의 조립체는, 상기 본체 케이스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부 및 상기 램프 커버부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표시부를 구비하는 램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램프 조립체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램프 조립체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가 일 측면에 형성된 장착부가 마련된 램프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폰이 조그 다이얼 내측부에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개구부가 마련되지 않고도 마이크로폰이 조그 다이얼 조립체와 일체화되어 내부 디자인 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유극을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마이크로폰이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조립체의 배면을, 도 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조립체의 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음성인식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들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한 투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b는 도 1a의 Ⅱ-Ⅱ'선에 따른 투시도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각 도면들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되고,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본체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예를 들어 전기밥솥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조리기기(1)의 뚜껑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20)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 케이스, 워킹코일 베이스, 유도가열 코일 또는 내솥 등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0)는 하부 본체 케이스(110), 중간 본체 케이스(120) 및 상부 본체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중간 본체 케이스(120) 및 상부 본체 케이스(13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 케이스(10)는 하부 본체 케이스(110), 중간 본체 케이스(120) 및 상부 본체 케이스(130)가 일체로 구성된 케이스일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조리기기(1)에는 하나 이상의 편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다. 편의 조립체는 조리기기(1)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마련되는 조립체로서, 예를 들어 회전을 통해 각종 기능이 선택되도록 구현되는 조그 다이얼(141)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또는, 편의 조립체는 조리기기(1)의 동작에 기반하여 광을 본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하는 램프 커버부(152)를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도 1b를 더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는, 편의 조립체의 일 예로서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가 장착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는 조그 다이얼(141), 인쇄 배선판(PWB, Printed Wiring Board)(142) 및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10)는 조그 다이얼(141)이 조립되어 노출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조그 다이얼(141)이 노출되는 안착부는 중간 본체 케이스(12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착부는 상부 본체 케이스(130)의 적어도 일부 또는 하부 본체 케이스(110)의 적어도 일부에 더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조그 다이얼(141)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조그 다이얼(141)의 회전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조리기기(1)에 구비된 각종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는 조그 다이얼(141)의 회전을 인식하고 이에 기반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 스위치(encorder switch)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 스위치는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인쇄 배선판(142)에는 인코더 스위치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 등 각종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에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은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기반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인쇄 배선판(142)에 실장된 음성인식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리기기(1)는 마이크로폰에 기반하여 음성인식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는, 편의 조립체의 다른 예로서 램프 조립체(150)가 장착될 수 있다. 램프 조립체(150)는 램프 커버부(152) 및 램프 표시부(154)를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 내부 케이스(미도시)에 체결되는 조립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커버부(152)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램프 표시부(154)는, 램프 커버부(152)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표시부(154)에는 사용자에게 조리기기(1)의 기능을 암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료의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램프 커버부(152) 및 램프 표시부(154)의 노출부는 상부 본체 케이스(13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램프 커버부(152) 및 램프 표시부(154)의 노출부는 중간 본체 케이스(120)의 적어도 일부에 더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램프 조립체(150)는 램프 케이스(156) 및 인쇄 배선판(15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배선판(158)에는 램프 조립체(150)에 관한 각종 회로 및/또는 광원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기기(1)의 동작에 기반하여 인쇄 배선판(158)에 실장된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고, 상기 광은 램프 표시부(152)를 통해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램프 커버부(152) 및 램프 표시부(154)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램프 조립체(150)에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케이스(156)에는 소정의 개구가 마련되고, 마이크로폰은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인쇄 배선 판(158)에 실장된 음성인식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조립체의 배면을, 도 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조립체의 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의 배면에는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 및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를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된 개폐부(14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a는 개폐부(146)가 개방된 상태의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를 도시한다.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에는 디스플레이 케이블(14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블(145)은, 예를 들어 인쇄 배선판(142)에 연결되고, 인쇄 배선판(142)에 실장된 소정의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조그 다이얼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에는 장착부(MP1)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MP1)에는 마이크로폰(MIC)이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장착부(MP1)는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 장착부(MP1) 및 개폐부(146)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를 더 참조하면, 중간 본체 케이스(120)에는 안착부(122)가 구비되고, 안착부(122)를 통해 조그 다이얼(141)이 본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안착부(122)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조그 다이얼(141)과 안착부(122)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유극(148)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그 다이얼(141)이 안착부(122)에 빈틈 없이 장착되어 있지 않고, 조그 다이얼(141)과 안착부(122)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장착부(MP1)가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경우, 장착부(MP1)에 수용되는 마이크로폰(MIC)은 유극(148)과의 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MIC)이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신호는 유극(122)을 통해 마이크로폰(MIC)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은 수신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쇄 배선판(142)에 실장된 음성인식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폰(MIC)이 조그 다이얼 내측부(144)에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개구부가 마련되지 않고도 마이크로폰(MIC)이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와 일체화되어 내부 디자인 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유극(148)을 통해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마이크로폰(MIC)이 음성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 조립체(150)는 램프 커버부(152), 램프 표시부(154), 램프 케이스(156) 및 인쇄 배선판(158)을 구비할 수 있다. 램프 케이스(156)에는 램프 커버부(152) 및 램프 케이스(156)의 일부가 램프 케이스(156)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램프 케이스(156)에는 인쇄 배선판(158)이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램프 케이스(156)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램프 케이스(156)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OP)가 구비되고, 개구(OP)가 일 측면에 형성된 장착부(MP2)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OP)는 램프 케이스(156)의 전면 방향으로 장착부(MP2)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MP2)에는 마이크로폰(MIC)이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MIC)이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신호는 개구(OP)를 통해 마이크로폰(MIC)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은 수신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쇄 배선판(158)에 실장된 음성인식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음성인식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들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마이크로폰(MIC), 음성인식 회로(170) 및 제어회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MIC)은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MIC)은 수신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vsig)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마이크로폰(MIC)은 본체 케이스(10) 내측에 장착되는 편의 조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로폰(MIC)은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로폰(MIC)은 램프 조립체(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음성인식 회로(170)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vsig)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음성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 회로(170)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커맨드(cmd)를 출력할 수 있다. 커맨드(cmd)는, 조리기기(1)의 각종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행지시 또는 수행중지에 관한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 회로(17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로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인식 회로(170)는 조그 다이얼 조립체(140)의 인쇄 배선판(142)에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성인식 회로(170)는 램프 조립체(150)의 인쇄 배선판(158)에 실장될 수도 있다.
제어회로(180)는 커맨드(cmd)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제어신호(ctrl)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ctrl)는 조리기기(1)의 각종 취사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로서, 조리기기(1)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들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기기(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에 기반한 음성인식 동작을 통해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회전하는 조그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내측부를 포함하는 조그 다이얼 조립체; 및
    상기 조그 다이얼 내측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신호에 기반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조그 다이얼이 조립되어 노출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그 다이얼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유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유극과의 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조그 다이얼 내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부 및 상기 램프 커버부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표시부를 구비하는 램프 조립체; 및
    상기 램프 조립체 내에 장착되는 제2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립체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가 일 측면에 형성된 장착부가 마련된 램프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80047327A 2018-04-24 2018-04-24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KR10217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7A KR102176008B1 (ko) 2018-04-24 2018-04-24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7A KR102176008B1 (ko) 2018-04-24 2018-04-24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19A KR20190123519A (ko) 2019-11-01
KR102176008B1 true KR102176008B1 (ko) 2020-11-09

Family

ID=6853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27A KR102176008B1 (ko) 2018-04-24 2018-04-24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265B1 (ko) * 2020-12-30 2022-10-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시킨 자동 취사 밥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678A (ja) * 2000-02-10 2001-08-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JP2017526433A (ja) 2014-08-19 2017-09-14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127Y1 (ko) * 1999-02-27 200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KR101025958B1 (ko) * 2009-03-31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678A (ja) * 2000-02-10 2001-08-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JP2017526433A (ja) 2014-08-19 2017-09-14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19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797A (en) Kitchen, bar and restaurant appliance housing
KR102176008B1 (ko)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US20110261984A1 (en) Hearing aid with a casing
KR900010318A (ko) 가정용 설비 제어 수단 지지장치
JP2018033808A (ja) 炊飯器
ATE435064T1 (de) Mixerähnliches elektrisches kochgerät mit rührer
EP1503613B1 (en) Microwave oven
JP2008006048A (ja) 洗濯機
WO2020121696A1 (ja) 装置およびスイッチ装置
CN105826820A (zh) 住宅用配电板
JP492213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S59211B2 (ja) 電気調理器
JP7438669B2 (ja) 洗濯機
WO2017211380A1 (en) Oven with an improved user-interface
JP2008112685A5 (ko)
WO2020046150A1 (en) Oven with a touch door handle
EP1596642A3 (de) Elektronikgehäuse mit Steuerplatine für ein Haushaltgerät
KR102491253B1 (ko) 전기밥솥
KR102029936B1 (ko)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130038275A (ko) 취반기
JP2022111537A (ja) 加熱調理器
CN108968638B (zh) 分体式烹饪器具
KR20000004451U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02491252B1 (ko) 전기밥솥
KR101233245B1 (ko) 음성인식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