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252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252B1
KR102491252B1 KR1020160112016A KR20160112016A KR102491252B1 KR 102491252 B1 KR102491252 B1 KR 102491252B1 KR 1020160112016 A KR1020160112016 A KR 1020160112016A KR 20160112016 A KR20160112016 A KR 20160112016A KR 102491252 B1 KR102491252 B1 KR 10249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ice cooker
jog dial
electric ric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502A (ko
Inventor
김준우
이의환
정준호
임경민
박철우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1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2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조그 다이얼을 향해 내려오는 오주수가 조그 다이얼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그 다이얼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조그 다이얼을 향해 내려오는 오주수가 조그 다이얼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조그 다이얼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535605호)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는 특허문헌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솥 본체의 하측에는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50)가,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영역(62)으로 나뉘어 있다.
사용자가 취사를 실행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다양한 조리 메뉴가 다채로운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미밥, 잡곡밥, 삼계탕, 영양죽, 찜요리, 이유식, 슬로우 쿡 등이 조작부(50)의 조그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으로 보여 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백미밥을 조리하고자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선택한 백미밥에서 제공하는 세부 밥맛을 안내한다.
즉, 찰진밥, 진밥, 된밥, 누룽지 등의 세부 밥맛이, 관련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찰진밥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 찰진밥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로서 쌀과 물의 혼합 비율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전기밥솥은 일반적으로 물기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은 손 등으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50)를 조작할 경우, 조그 다이얼의 틈을 통해 조작부(50)로 물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물이 침투할 경우, 조작부(50) 내부의 회로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535,60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그다이얼 채택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밥솥 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이 조그다이얼을 통해 밥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통공에 삽입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주름부는 복수 개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주름은 인접하는 다른 주름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하나의 주름과 인접하는 다른 주름 사이에는 골짜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그 다이얼을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 커버부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조그 다이얼과 브라켓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 내부로의 수분 유입 가능성을 크게 감소, 수분에 따른 내부 기판의 고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밥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밥솥에서 브라켓과 조그 다이얼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밥솥에서 브라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밥솥에서 브라켓의 후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뚜껑(20)과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0)는 하부 본체(40)와 상부 본체(50)로 분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분할하여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분할한 경우의 실시례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 본체(50)의 상부에는 뚜껑(20)이 결합하며, 힌지에 의해 뚜껑(20)은 회동 개폐된다.
본체(30)의 일측에는 브라켓(100)이 결합된다.
여기서 본체(3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커버(55)가 결합되는 본체(30)의 전면을 의미한다.
브라켓(100)에는 통공(110)이 형성되며, 후술할 조그 다이얼(60)이 삽입 고정된다.
브라켓의 상부(105)에는 디스플레이 커버(55)가 결합되며, 브라켓(100)에는 조그 다이얼(60)이 결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브라켓(100)과 이에 결합하는 조그 다이얼(60)을 위주로 설명한다.
조그 다이얼(60)은 본체(30)의 전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그 다이얼(60)은 다이얼 노브(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얼 노브(63)는 본체(30)의 전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브라켓의 전면(10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설치된 환형의 부재이다.
사용자는 다이얼 노브(63), 구체적으로 다이얼 노브(63)의 외주를 파지하며 회전함으로써, 전기밥솥(10)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0)은 브라켓의 통공(110)에 삽입되며, 조그 다이얼(60)은 브라켓(100)에 의해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그 다이얼(60)이 삽입 지지되는 브라켓(1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브라켓(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오목한 접시와 유사하다.
따라서, 브라켓의 전면(101)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가운데에는 통공(110)이 형성된다.
브라켓의 하부(105)에는 본체의 브라켓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되는 리브(120)가 형성된다.
리브(120)는 브라켓의 외측면(107)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돌출되는 제1리브(121)를 포함한다.
브라켓(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제1리브(121)의 양측에 제2리브(122)와 제3리브(123)가 형성된다.
이때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2) 사이에는 제1절개부(131)가 형성되며, 제1절개부(131)에 의해 틈이 제1리브(121)와 제2리브(122)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제1리브(121)와 제3리브(123) 사이에는 제2절개부(132)가 형성되며, 제2절개부(132)에 의해 제1리브(121)와 제3리브(123)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리브(120)가 본체의 브라켓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되며, 브라켓의 하부(105)가 본체(30)에 고정된다.
브라켓의 후면(106)에는 후크(115)가 형성된다.
후크(115)는 브라켓의 후면(106)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형성된다.
후크(115)는 브라켓의 후면(106), 특히 브라켓의 후면(106)의 상부에 2개가 위치하되, 하나의 후크(115)는 다른 후크(115)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브라켓의 후면(106)에 형성된 후크(115)는 후크(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커버(55)의 결합홈(미도시)에 후크(115)의 일단이 끼워지고, 브라켓의 상부(102)가 디스플레이 커버(55)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의 경우, 브라켓의 전면(101)에 주름부(140)가 형성된다.
주름부(140)는 브라켓의 통공(110)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제1주름(141)은 인접하는 제2주름(142)과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브라켓의 전면(101)에 형성된 주름부(140)는 복수 개의 주름(141~1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공(110)에 제일 가까운 곳에 제1주름(141)이 위치하며, 통공(11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곳, 즉 브라켓의 외측면(107)과 인접한 곳에 제8주름(148)이 위치한다.
제1주름(14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곳에 제2주름(142)이 위치한다.
브라켓(100)의 단면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제1주름(141)과 인접하는 제2주름(142) 사이에는 골짜기(150)가 형성된다.
브라켓(100)에는 복수 개의 주름(141~14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골짜기(150)도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에서 브라켓의 전면(101)에 형성된 주름부(14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브라켓의 통공(110)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주름(141~148)이 형성되며, 주름과 주름 사이에 형성된 골짜기(150)도 역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취사를 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커버(55)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오목한 접시 형상을 갖는 브라켓의 전면(101)으로 유입될 경우, 물은 중력에 의해 브라켓의 전면에 형성된 주름부(140)를 따라 아래로 유도된다.
즉, 브라켓의 전면(101)으로 유입된 물이 브라켓의 전면(101)으로부터 조그 다이얼(60)로 하향으로 향하지 않는다.
대신 브라켓의 전면(101)에 형성된 주름부(140), 예를 들어 제1주름(141)과 인접하는 제2주름(142) 사이에 형성된 골짜기(150)를 타고 원을 그리며 브라켓의 하부(105)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에서 채택한 브라켓(100)은 조그 다이얼(60)을 향해 아래로 흐르는 오주수를 브라켓의 주름부(140)를 통해 브라켓의 전면(101)을 따라 자연스럽게 브라켓의 하부(105)로 유도한다.
따라서, 브라켓의 통공(110)에 삽입되는 조그 다이얼(60)과 브라켓의 통공(110) 사이의 유격 내지는 틈을 통한 물(수분)의 유입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그 다이얼을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 커버부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조그 다이얼과 브라켓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 내부로의 수분 유입 가능성을 크게 감소, 수분에 따른 내부 기판의 고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10:전기밥솥 20:뚜껑
30:본체 40:하부 본체
50:상부 본체 55:디스플레이 커버
60:조그 다이얼 63:다이얼 노브
100:브라켓 101:브라켓의 전면
102:브라켓의 상부 105:브라켓의 하부
106:브라켓의 후면 107:브라켓의 외주면
110:브라켓의 통공 115:브라켓의 후크
120:브라켓의 리브 121:제1리브
122:제2리브 123:제3리브
131:제1절개부 132:제2절개부
140:주름부 150:골짜기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통공에 삽입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복수 개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주름은 인접하는 다른 주름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주름과 인접하는 다른 주름 사이에는 골짜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60112016A 2016-08-31 2016-08-31 전기밥솥 KR10249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16A KR102491252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16A KR102491252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02A KR20180025502A (ko) 2018-03-09
KR102491252B1 true KR102491252B1 (ko) 2023-01-26

Family

ID=6172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016A KR102491252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2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605B1 (ko) 2014-01-21 2015-07-09 주식회사 리홈쿠첸 애니메이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WO2015174092A1 (ja) 2014-05-15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つま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925A (ko) * 2002-10-12 2004-04-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기기용 노브 결합구조
KR20140083138A (ko) * 2012-12-24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전기 밥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605B1 (ko) 2014-01-21 2015-07-09 주식회사 리홈쿠첸 애니메이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WO2015174092A1 (ja) 2014-05-15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つま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02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906B2 (en) Multifunctional cookware
KR101912932B1 (ko)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04764952U (zh) 一种炒菜机
CN205729038U (zh) 烹饪器具
KR102491252B1 (ko) 전기밥솥
US20230200584A1 (en) Combined air fryer and pressure cooker lid
KR102491253B1 (ko) 전기밥솥
JP2002125849A (ja) 電気炊飯調理器
JP4285498B2 (ja) 誘導加熱式調理器
CN110139585A (zh) 电饭锅
KR102557564B1 (ko) 전기밥솥
JP2006329510A (ja) ビルトイン式の3口こんろ
JP2002089854A (ja) ビルトインコンロ
JP6750924B2 (ja) 調理器具
CN108697258A (zh) 电饭锅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CN216202046U (zh) 一种具有可翻转显示屏的空气炸锅
KR200178596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용 내솥구조
CN216439031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180007139A (ko)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
JP2006288904A (ja) 電気加熱調理器
CN217696114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20546154U (zh) 一种煲体外壳、煲体和烹饪器具
KR200327542Y1 (ko) 양면 프라이팬
KR100413354B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