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354B1 - 조리용 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 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354B1
KR100413354B1 KR10-2000-0069900A KR20000069900A KR100413354B1 KR 100413354 B1 KR100413354 B1 KR 100413354B1 KR 20000069900 A KR20000069900 A KR 20000069900A KR 100413354 B1 KR100413354 B1 KR 10041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container
clos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319A (ko
Inventor
안병석
Original Assignee
안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석 filed Critical 안병석
Priority to KR10-2000-006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3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시 용기로부터 뚜껑의 개방 없이 뚜껑을 완전히 열지 않고 음식물의 조리상태 확인을 용이하게 하거나 조리하는 음식의 맛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고, 국수 등과 같은 면류를 삶은 상태에서 뚜껑의 개방 없이 조리용 체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을 간편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의 상면 일부분에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천공한 개폐구; 개폐구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구와 동일 축 선상으로 천공된 안내장공; 뚜껑의 하부 중심에 회전중심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개폐구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개폐판; 안내장공과 대응하는 위치의 개폐판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장공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바; 뚜껑의 하부에 안내장공과 같은 원호로 형성되어 개폐판의 외주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뚜껑의 외주연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되는 고정홈; 고정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용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지되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개폐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 용기로부터 뚜껑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리용 용기의 뚜껑{A lid of vessel for cooking}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음식점등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조리시 용기로부터 뚜껑의 개방 없이 뚜껑을 완전히 열지 않고 음식물의 조리상태 확인을 용이하게 하거나 조리하는 음식의 맛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고, 국수 등과 같은 면류를 삶은 상태에서 뚜껑의 개방 없이 조리용 체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을 간편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찌개 등을 끓이거나 또는 냉면, 국수와 같은 면류 등을 삶기 위해서는 냄비 또는 솥 등과 같은 용기와 용기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한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용 용기를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은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면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된 뚜껑이나, 내부의 압력만을 유지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부만을 불투명상태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한 뚜껑을 사용하여 왔는바, 이와 같은 조리용 용기의 뚜껑은 전자와 같이 유리재질로 된 뚜껑의 경우에는 용기에 내용물을 넣고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끓이거나 삶을 시내용물의 조리여부를 확인하는 상태로 조리할 수 있긴 하나, 뚜껑 전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하면서 음식물의 간을 보려면 뚜껑 전체를 열어 일측에 놓은 상태에서 맛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뚜껑의 열고 닫음에 따른 불편함이 있고, 완전히 개방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등이 들어가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뚜껑을 일측에 열어 놓은 상태로 음식물의 맛을 볼시 어린아이들이 뚜껑을 만질 경우 화상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국수나 냉면과 같은 면류를 삶은 후 국물을 따라내기 위하여는 별도의 체를 구비한 다음 면류와 국물을 동시에 따라 국물을 빼야 하므로 면류와 국물을 동시에 따를 경우 면류가 쏟아지면서 국물이 튀게되어 조리자에게 화상을 입히게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있고, 후자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뚜껑의 경우에는 불투명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내용물의 조리상태의 확인이 전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조리자의 추측에 의하거나 뚜껑을 수시로 열어 확인함에 따라 음식물의 고유 향이 모두 발산되어 음식 맛이 떨어지거나 내부의 수증기 압을 수시로 배출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이 또한 전자와 같이 뚜껑을 일측에 열어 놓은 상태로 음식물의 맛을 볼시 어린아이들이 뚜껑을 만질 경우 화상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국수나 냉면과 같은 면류를 삶은 후 국물을 따라 내기 위하여는 별도의 체를 구비한 다음 면류와 국물을 동시에 따라 국물을 빼야 하므로 면류와 국물을 동시에 따를 경우 면류가 쏟아지면서 국물이 튀게되어 조리자에게 화상을 입히게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뚜껑구조에 있어서 조리 중에 냄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증기 압력이 발생하여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개 내지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였으나, 찌개 등을 조리하다 보면 상기 통공만으로 배출 능력이 부족하여 국물이 넘쳐나거나 튀게 되어 외부가 지저분하게 되어 뚜껑을 용기로부터 많은 틈이 생기도록 비스듬하게 덮어 조리하게 됨으로서, 작은 충격에도 뚜껑이 용기로부터 이탈되어 화상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 결점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 주된 목적으론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한 음식의 맛을 보거나 양념 등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며, 음식을 조리하는 동안 뚜껑의 개방 없이 조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등의 침투됨 없이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고, 뚜껑의 열고 닫음에 따른 번거러움 및 뜨거운 뚜껑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개폐판의 일측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음식물 조리시 용기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증기 압력을 뚜껑의 개폐 없이 간편히 조절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주위를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국수 또는 면류를 삶은 후 조리용 용기에 삶은 그대로를 별도의 체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용이하게 국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5a, 5b, 5c는 개폐판의 개폐정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음식물 초기 조리시 일정한 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 완전히 닫은 상태로 조리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음식물의 일정시간 조리 후 내용물의 조리상태 확인 및 맛을 보기 위해 개폐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5c는 음식물의 조리 후 국물을 따르기 위해 통공이 나올 수 있도록 회전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용기 2 : 뚜껑
3 : 개폐구 4 : 안내장공
5, 7 : 고정공 6 : 개폐판
8 : 가이드바 9 : 통공
10 : 뚜껑손잡이 11 : 개폐판손잡이
12 : 고정볼트 13 : 가이드레일
14 : 고정돌기 15 : 고정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뚜껑은 음식을 조리하는 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용기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뚜껑의 상면 일부분에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천공한 개폐구; 개폐구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구와 동일 축 선상으로 천공된 안내장공; 뚜껑의 하부 중심에 회전중심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개폐구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개폐판; 안내장공과 대응하는 위치의 개폐판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장공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바; 뚜껑의 하부에 안내장공과 같은 원호로 형성되어 개폐판의 외주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뚜껑의 외주연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되는 고정홈; 고정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용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지되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개폐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 용기로부터 뚜껑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 일측면에 음식물의 조리시 수증기의 압력 배출량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면류를 삶은 후 내부의 국물을 조리용 용기 그대로 간편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을 천공하여 이루어진 것이 그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측 일지점과 뚜껑 외주연 일지점에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형성하여 개폐판을 열고 닫을 시 용기로부터 뚜껑의 회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결합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 용기(1)와 용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 뚜껑(2)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상면 일부분에 용기(1)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개폐구(3)를 천공하고, 상기 개폐구(3)의 외측에는 개폐구(3)와 동일 축 선상에 안내장공(4)을 천공하며, 중앙에는 고정공(5)을 천공하였다.
이때 상기 개폐구(3)는 외관의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원형, 다각형 또는 횡으로 긴 타원형의 형태로 내부의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천공하는 것이고, 안내장공(4)은 상기 개폐구(3)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횡으로 길게 천공하되, 개폐구(3)의 내, 외측 어느 곳에 위치되게 천공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3)의 하측면으론 개폐구(3)를 차단하면서 상기 개폐구(3)의 고정공(5)과 일치되어 축설될 수 있도록 일측에 고정공(7)이 천공되고, 타측의 일지점에는 안내장공(4)에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바(8)가 돌출 형성된 판상의 개폐판(6)을 긴밀히 면 접촉될 수 있도록 결합한 후, 상기 고정공(5)(7)으론 고정볼트(12)를 끼워 상측에서 뚜껑손잡이(10)를 나사식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8)에는 상측에서 개폐판손잡이(11)를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6)은 뚜껑손잡이(10)를 나사식 결합한 고정볼트(12)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개폐구(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 무방하나, 장기간 사용하거나 개폐판(6)의 상부에서 압력을 가할 시 개폐판(6)의 타측이 하측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3)에 가이드 설치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판(6)은 불투명인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투명한 재질인 유리 또는 아크릴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개폐판(6)은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평판으로 형성하거나 내부의 압력조절을 용이하게 하면서 면류를 삶은 후 국물을 간편용이하게 따라 버릴 수 있도록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9)을 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6)의 상면은 개폐로 인한 슬라이딩시 상부표면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이 새지 않는 상태로 개폐판(6)의 외주연을 말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1)의 구부 내주연의 일지점에는 개폐판(6)의 슬라이딩시 용기(1)로부터 뚜껑(2)의 회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4)를 돌출형성하고, 뚜껑(2)의 외주면 일지점에는 상기 용기(1)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4)와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홈(15)을 요입형성하여 용기(1)와 뚜껑(2)의 결합 후 뚜껑(2)의 회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뚜껑(2)은 용기(1)의 상측을 덮어 사용하는 것으로서, 용기(1)의 내부에 조리할 음식을 넣은 후 뚜껑(2)을 덮어 가열 조리하되, 초기의 조리시에는 도5a에서와 같이 조리하기 위한 음식물을 용기(2)에 담고 일정양의 물을 부은 다음 적당히 간을 맞추기 위하여 양념을 추가한 후, 뚜껑(2)과 용기에(1) 형성된 고정돌기(14)와 고정홈(15)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덮고 가이드바(8)에 결합된 개폐판손잡이(11)를 잡고 개폐판(6)을 가이드 시켜 개폐구(3)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조리한다.
이때 개폐판손잡이(11)의 위치는 도면상 안내장공(4)의 중앙에 위치되어 개폐판(6)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개폐판(6)이 불투명한 상태일 경우에는조리자의 추측에 의해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투명한 개폐판(6)일 경우에는 조리 처음부터 조리되는 상황을 투명한 개폐판(6)을 통하여 용이하게 식별하면서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 조리한 후 조리도중에 음식물의 조리상태 및 음식물의 간을 보려면 도 5b에서와 같이 가이드바(8)에 결합된 개폐판손잡이(11)를 도면상 우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폐구(4)를 간편히 열면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간편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개폐구(4)를 통하여 음식물의 맛을 보면서 간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6)의 개방시 개폐판손잡이(11)만을 파지한 상태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뚜껑(2)은 용기(1)에 돌출된 고정돌기(14)와 뚜껑(2)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15)과 맞물려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국수나 냉면과 같은 면류를 삶을 때에는 도 5a와 같이 가열하여 면을 익히고, 익히는 도중 면류의 익힘상태를 도 5b와 같이 개폐판(6)을 열어 확인하면서 삶다가 완전히 삶은 후에 국물을 따라 버릴시에는 용기(1)에 뚜껑(2)을 닫은 상태에서 개폐판(6)을 도면상 좌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공(9)이 노출된 상태로 용기(1)와 뚜껑(2)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기울이게 되면 면류는 내부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고, 국물은 통공(9)을 통하여 외부로 쏟아지게 되어 면류와 국물을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판손잡이(11)는 안내장공(4)의 내측단에 의해 정지되어 개폐판(6)의 완전 회동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뚜껑(2)은 조리하거나 조리된 음식물의 확인 및 맛을 보고자 할 때 개폐판손잡이(11)를 이송시킴에 따라 개폐판(6)을 개폐 용이토록 하는 것이고, 국수나 냉면과 같은 면류를 삶은 후 국물을 따를 때 개폐판(6)의 통공(9)이 있는 부분으로 선택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의 뚜껑은 용기로부터 뚜껑을 열지 않고 개폐판의 간편한 개폐만으로 음식의 조리상태 확인 및 조리한 음식의 맛을 보거나 양념 등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며, 음식을 조리하는 동안 뚜껑의 개방 없이 조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등의 침투됨 없이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고, 뚜껑의 열고 닫음에 따른 번거러움 및 뜨거운 뚜껑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판의 일측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음식물 조리시 용기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증기 압력을 뚜껑의 개폐 없이 간편히 조절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주위를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국수 또는 면류를 삶은 후 조리용 용기에 삶은 그대로를 별도의 체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용이하게 국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4)

  1. (정정)음식을 조리하는 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용기(1)와 뚜껑(2)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상면 일부분에 용기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천공한 개폐구(3);
    상기 개폐구(3)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구(3)와 동일 축 선상으로 천공된 안내장공(4);
    상기 뚜껑(2)의 하부 중심에 회전중심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개폐구(3)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다수의 통공(21)이 천공된 개폐판(6);
    상기 안내장공(4)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개폐판(6)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장공(4)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바(8);
    상기 뚜껑(2)의 하부에 상기 안내장공(4)과 같은 원호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6)의 외주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
    상기 뚜껑(2)의 외주연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되는 고정홈(15);
    상기 고정홈(15)에 안착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1)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뚜껑(2)이 상기 용기(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6)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용기(1)로부터 상기 뚜껑(2)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돌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의 뚜껑.
  2. (삭제)
  3. (삭제)
  4.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6)은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10-2000-0069900A 2000-11-23 2000-11-23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10041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00A KR100413354B1 (ko) 2000-11-23 2000-11-23 조리용 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00A KR100413354B1 (ko) 2000-11-23 2000-11-23 조리용 용기의 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16U Division KR200222407Y1 (ko) 2000-11-23 2000-11-23 조리용 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319A KR20010008319A (ko) 2001-02-05
KR100413354B1 true KR100413354B1 (ko) 2003-12-31

Family

ID=1970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900A KR100413354B1 (ko) 2000-11-23 2000-11-23 조리용 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44B1 (ko) * 2001-10-31 2004-07-30 박주환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DE102011006958A1 (de) * 2011-04-07 2012-10-11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Deck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151U (ko) * 1974-07-04 1976-06-02
JPS54110451U (ko) * 1978-01-23 1979-08-03
JPS59162823U (ja) * 1983-04-15 1984-10-31 松山 委久子 笊兼用鍋蓋
JPS59211416A (ja) * 1983-05-18 1984-11-30 河合 美和 シヤツタ−式鍋蓋
KR200222407Y1 (ko) * 2000-11-23 2001-05-02 안병석 조리용 용기의 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151U (ko) * 1974-07-04 1976-06-02
JPS54110451U (ko) * 1978-01-23 1979-08-03
JPS59162823U (ja) * 1983-04-15 1984-10-31 松山 委久子 笊兼用鍋蓋
JPS59211416A (ja) * 1983-05-18 1984-11-30 河合 美和 シヤツタ−式鍋蓋
KR200222407Y1 (ko) * 2000-11-23 2001-05-02 안병석 조리용 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31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431B1 (ko) 조리 용기
KR100766464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KR200222407Y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100413354B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20180113721A (ko) 슬라이드식 물빠짐 냄비뚜껑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90056973A (ko) 조리 기구
KR101006911B1 (ko) 이중 조리 용기
KR100441544B1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357106Y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장치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180031597A (ko) 보조 개폐뚜껑을 갖는 업소용 대형 국솥의 뚜껑
KR20180033613A (ko) 보조 개폐뚜껑을 갖는 업소용 대형 국솥의 뚜껑
KR200375308Y1 (ko) 고기구이기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KR102503380B1 (ko) 조리기능을 갖는 난로
KR200472341Y1 (ko) 기름 또는 이물질 배출 구조를 구비한 구이판
KR200206781Y1 (ko) 남비
KR200260883Y1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349018Y1 (ko) 연소공이 형성된 회전식 국솥
KR200175076Y1 (ko) 조리기
KR960014616B1 (ko) 기름 튀김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