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31B1 -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31B1
KR950004431B1 KR1019900702282A KR900702282A KR950004431B1 KR 950004431 B1 KR950004431 B1 KR 950004431B1 KR 1019900702282 A KR1019900702282 A KR 1019900702282A KR 900702282 A KR900702282 A KR 900702282A KR 950004431 B1 KR950004431 B1 KR 95000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handle
vessel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16A (ko
Inventor
아놀드 텔렌
토마스 겔라하
Original Assignee
피슬러 게엠베하
롤프 세이츠 오스카 로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슬러 게엠베하, 롤프 세이츠 오스카 로렌츠 filed Critical 피슬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1070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리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용기 손잡이는 윤곽만 도시됨)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II-II선 단면도(손잡이의 도시는 생략됨).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뚜껑의 평면도.
제3a도는 제3도의 화살표 방향 "A"에서 본 만곡부의 발췌 확대도.
제3b도는 제3도의 화살표 방향 "B"에서 본 배기 아치부의 발췌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용기 손잡이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l-VI선 단면도.
제7도는 뚜껑 손잡이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뚜껑 손잡이의 저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부분 "X"와 제9도 X-X선 절단부에 의한 고정 단부의 발췌 확대 단면도.
제11a도는 제9도 XI-XI선에 따라 절단한 제8도의 "XI" 부분에 의한 뚜껑 테두리와 뚜껑 손잡이의 삽입 고정식 부착 장치의 발췌 확대 단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경우와 또 다른 예의 삽입 고정식 부착 장치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조리 용기 3 : 용기 바닥
4 : 용기 테두리 5 : 바닥판
6 : 용기 벽부 8 : 용기 손잡이
10 : 용기 몸체 12 : 용기뚜껑
13 : 뚜껑 테두리 14 : 뚜껑 손잡이
15 : 배출구부 16 : 테두리부
l7,18,19 : 원주부 구역 20,21 : 경사부
22,23 : 원호구역 24 : 배출 아치부
26 : 배기구부 27 : 배기 아치부
28 : 만곡부 30 : 손잡이부
32 : 삽임 고정식 부착장치 34 : 스프링 요소
36 : 결합 공간부 38 : 걸림턱
39 : 고정 단부 40 : 측면 공간부
42 : 표면구조 44 : 손잡이 본체부
46 : 저면 48,50 : 설치면
52 : 가스켓 54 : 홈
55 : 구멍 56 : 측단부
58 : 외연부 60 : 중공부
G : 용기의 중심축 M,W : 중앙선
본 발명은 조리대상물을 담아 조리를 행하기 위한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상부 둘레에 바깥쪽으로 거의 편평하게 연장형성된, 조리액 배출을 위한 테두리를 가진 용기 몸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벽부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열재로된 용기 손잡이가 부착된다. 이 용기 몸체에 대한 뚜껑은 용기 테두리상에 용기가 닫혀지도록 놓여질 수 있는 본질적으로 편평한 뚜껑 테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뚜껑 손잡이를 가진다. 이 용기 몸체 및 뚜껑은 조리액의 배출이나 배기를 위한 장치를 구비한다.
요리 재료를 삶거나 조리할때 사용되는 종래의 조리 용기의 경우, 조리물의 끓어 넘침방지를 위한 용기내의 증기배출은 예를 들면 뚜껑을 정상적인 닫힘 상태로 되게 용기 몸체상에 올려 놓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용기 테두리에 뚜껑 테두리를 일부분만 불안정하게 경사진 상태로 올러 놓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하였다. 이러한 배기방법은 용기 몸체상에 덮히는 뚜껑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서 재료가 더이상 충분히 조리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너무 지나치게 조리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조리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거나 또는 높은 온도 때문에 조리액이 용기밖으로 끓어 넘쳐 유실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음식물의 조리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예컨대 감자나 채소를 조리한 후에는 그 조리액을 용기 밖으로 따르어 내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게 되는데, 그럴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용기 뚜껑을 용기 구부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 쪽으로 비스듬히 열려 있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조리액을 따르어 낼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였는 바, 이와 같은 경우는 요리 재료에 비해 배출구가 너무 크게 열릴 경우 배출시 요리 재료까지도 밖으로 배출되어 버리게 되고, 반대로 배출구멍이 너무 작게 열리도록 하면 조리액이 너무 느리게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이 용기 구부를 둘러싸는 용기 테두리에서 미끄러져 나가서 뜨거운 요리 재료가 갑자기 용기 내부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조리 용기의 또다른 결점은 조리액을 따르어 내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 뚜껑을 용기 테두리에 대해 단단히 눌러 고정시켜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조리진행중에는 대개 조리 용기 및 그 뚜껑이 뜨거운 상태로 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조리액을 따르어 낼 때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그뿐 아니라 남비잡는 헝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조리액을 따르어내는 작업을 아주 빠른 시간내에 행하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열기가 형겁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뜨거운 증기가 방출되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 제33 09 534 A1에는 음식물의 조리, 취급 및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한 조리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이 기구는 개방된 구부를 가진 용기와, 이 용기상에 착탈가능하게 얹혀질 수 있고 용기 구부를 닫아 주는 역할을 하며 그에 한 구멍이 형성제공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한다 또, 뚜껑이 용기 구부상에서 정해진 폐쇄위치에 있을때 상기 뚜껑상의 구멍을 페쇄시켜주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뚜껑 손잡이는 뚜껑과 일체를 이루고 있고 용기 손잡이는 그로부터 상당한 간격을 두고서 용기 구부를 둘러싼 테두리의 확장부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들은 해당 기구를 조리용으로 사용할 경우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높은 온도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뚜껑의 테두리부에는 수저나 조리용 온도계와 같은 조리용구의 자루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은 그 구멍이 닫히도록 용기상에 씌워지거나, 그 구멍이 열려있도록 용기상에 씌워져 이 구멍을 통해 뚜껑이 씌워진 상태에서도 용기내부에 조리용구를 넣거나 용기내부에서 밖으로 증기가 빠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구멍은 조리액을 따르어 내기 위한 용도가 아니며 조리액을 따르어 내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지도 않다.
독일 특허 제1 734 787 U1에는 뚜껑달린 한 스튜남비가 소개되어 있다. 이 남비에 있어서 뚜껑은 하향절곡된 테두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 뚜껑 테두리는 남비의 상부 구부와 정확히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하향절곡된 뚜껑 테두리에는 한 면에서 나란히 배열된 구멍들이 뚫려 있는 바. 이 구멍들은 남비로부터 조리액을 제어된 양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남비의 바깥쪽에 형성된 테두리에는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조리액을 남비의 바깥면을 더럽히지 아니하고서 옆쪽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배출주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배출구는 뚜껑의 돌려 닫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뚜껑은 중앙에 손잡이꼭지를 가지고 있고, 남비에는 서로 대칭되는 두개의 자루형 손잡이가 달려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하면 남비의 가장자리를 통해 조리액을 배출시킬 경우 손잡이로 뚜껑을 잡아야 하는데, 이때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이 용기는 뚜껑 테두리와 남비 테두리 사이의 접촉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어 나오는 증기가 뚜껑을 잡고 있는 손에 직접 닿게 된다, 이를 피하고자 하향절곡된뚜껑 테두리와 상향절곡된 남비 테두리의 형태를 변형시킬 경우에는 뚜껑을 남비위에 올려놓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러한 용기는, 뚜컹 테두리에 형성되는 배출 구멍을 내용물을 배출시키기에 걱당한 구멍 크기로 형성하려면 수직하향으로 절곡형성된 뚜껑 테두리의 상하 폭이 비교적 넓어져야 하는 바, 이 점은 뚜껑 테두리의 형태가 필연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는 구조적인 결점을 나타낸다. 종래의 이와 같은 스튜 남비의 경우는 뚜껑 테두리의 폭을 넓히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나타난다.
스위스국 특허 제309 501 C1에는 가정용의 뚜껑달린 한 조리 용기가 공개되어 있다. 이 용기의 경우는 조리시 증기를 배출시킴과 함께 뚜껑이 닫힌 채로 국물과 같은 것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과 그 접촉면 사이에 틈새를 두도록 하였다, 상기의 틈새는 가압가공법에 의해 뚜껑 접촉면이나 뚜껑 테두리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비를 완전히 닫는 일은 불가능하다. 이 용기의 경우에도 국물을 부어 내기 위해서는 손가락으로 뚜껑을 직접 잡아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을 용기 몸체상에 닫은 상태로 조리를 행할 수 있으면서 조리도중 필요할 경우 이와 같이 용기 몸체상에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용기내부의 조리액을 용기밖으로 간편하고 신뢰성 있게 그리고 제어된 양태로 따르어 내는 것이 가능한, 그러한 조리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된 조리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용기 벽부가 그 상부 테두리부가 있는 원주부 구역중 적어도 한 구역에서 그 테두리의 폭을 축소시켜 줌으로써 다른 원주부 구역들에서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를 가지고 뚜껑 테두리가 그 원호구역중 적어도 한 구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한 아치부를 가지고 그 아치부가 뚜껑을 용기상에서 특정 위치로 돌려주었을 때 상기 용기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와 함께 배출구를 형성토록 하여 조리 용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용기벽부에 있어서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부 구역의 테두리 부분은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과 적어도 같은 원주길이를 가진다. 적어도 한개 이상의 용기 손잡이가 더 큰 경사각의 경사부를 가지는 용기 벽부의 원주부 구역의 중앙선에 대하여 약 90℃ 틀어진 위치의 용기벽부에 부착된다. 뚜껑 손잡이는 뚜껑을 횡단하도록 막대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횡단부착 방향은 뚜껑 테두리의 배출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의 중앙선에 대하여 약 90°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용기 몸체상에서 뚜껑을 돌려서 배출구개방 위치로 놓았을 때 뚜껑 손잡이와 용기 손잡이는 동일직선상에놓이게 되고, 뚜껑을 돌려서 배출구폐쇄 위치로 놓았을 때에는 뚜껑 손잡이가 용기 손잡이와 약 90°각도로 틀어진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몸체상에서 뚜껑을 간단히 회전 조작해주는 것만으로 다른 번거로운 조작없이 배출 또는 배기구를 개폐조절할 수 있는 그러한 조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 또는 배기는 그 개폐정도를 원하는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리대상물과 그 조리액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용기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와 뚜껑상의 아치부를 서로 일치시켰을 때에는 필요한 배출구부가 형성되어져서 이를 통해 쉽게 내부로부터 조리액을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뚜껑상의 아치부는 일정한 채널(CHANNEL)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바, 이 아치부는 조리액이 배출될 때 고체성분의 재료들을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됨으로써 여타의 재료가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름기능을 나타낸다. 조리액 배출은 사용자가 그 배출 조리액에 데일 염려가 없이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막대상으로 길게 형성된 뚜껑 손잡이는 뚜껑의 배출 아치부의 중앙선에 대하여 약 90° 각도로 틀어진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놓여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뚜껑을 회전시킬 때 어떠한 배출 또는 배기위치도 쉽게 식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기 몸체상에서 뚜껑을 그 배출구의 개방위치로 돌려 놓았을 때에는 뚜껑 손잡이와 용기 손잡이가 서로 일식선상으로 정렬되어져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없이 뚜껑과 용기 몸체를 함께 간편 안전하게 잡아 쥐고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의 폐쇄위치에서는 용기 손잡이와 뚜껑 손잡이의 위치가 서로 약 90° 각도로 틀어져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의 폐쇄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가 있고, 이로써 이러한 조리 용기의 신뢰성을 더욱 높힐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벽부의 원주부 구역중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있는 구역은 뚜껑상의 적어도 한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보다 더 긴 원주길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함에 있어서, 용기 벽부의 보다 큰 경사부가 있는 원주부 구역이 약 120°의 원주길이를 가지도록 하고, 뚜껑상의 적어도 한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은 약 60°의 원주길이를 가지도록 할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뚜껑을 그 배출구 개방위치로 돌려 놓았을 때에 충분한 크기의 배출구 및 배기구가 확보되게 하고 또한 뚜껑이 없는 상태에서도 조리액을 원하는 대로 간편히 따르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용기 벽부에 형성되는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20°내지 40°사이, 특히 약 30° 정도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취급상의 이유로, 용기 벽부가 그 상부 테두리부의 서로 대향한 두 원주부 구역에서 나머지 원주부 구역에서보다 더 큰 경사각의 경사부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 용기는 그 용기상의 한군데 뿐 아니라 두군데에서 배출 및 배기를 할 수 있으며, 이 점은 한개짜리 손잡이 자루가 말려 있는 용기의 경우 좌우측 어느 손을 사용하더라도 배출 및 배기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용기 뚜껑에는 또한 그 뚜껑 테두리상의 배출 아치부와 같은 방식으로 테두리상의 또다른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또다른 배기 아치부를 형성해 주는 것이 유리한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리액을 배출시킬 때 이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 또는 흡기작용이 이루어져 배출 또는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기 아치부는 바람직하게는 조리액 배출작업중에 그 배기구가 막히지 않도록 이를 뚜껑테두리상의 배출 아치부와 대향되는 위치상의 원호구역에 형성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 테두리에 있어서 배기 아치부와 배출 아치부의 반경방향 확장크기는, 용기벽부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부 구역에 있어서의 용기 테두리의 폭보다 작게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 및 배기작용은 뚜껑에 있어서의 아치부가 형성된 원호구역과 용기 벽부에 있어서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제공되어 있는 원주부 구역이 겹쳐지는 부분에서만 이루어지고, 뚜껑을 돌려서 상기 뚜껑상의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이 상기 용기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있는 원주부 구역으로부터 어긋났을 때에는 용기가 완전히 닫혀지게 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뚜껑상의 배기 아치부의 반경방향 확장크기는 뚜껑 테두리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씨 배출 또는 부분적인 배기를 행할 때에만 상기 뚜껑상의 배기 아치부가 용기 벽부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있는 원주부 구역상에 위치하게 되어 배기 아치부를 통한 배기작용이 일어나게되고, 뚜껑의 배출구 폐쇄위치에서는 용기 벽부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없는 테두리 부분에 의해 완전한 닫힘이 보장된다.
또, 상기 뚜껑에 있어서 배기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의 원주방향 길이는 배출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의 그것보다 현저히 작게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이 작은 원주방향 길이의 배기 아치부가 배출작업중의 배기작용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끓이기 또는 조리도중의 배기작용은 거의 용기 벽부의 원주부와 뚜껑 테두리의 배기 아치부가 있는 원호구역 및 보다 큰 경사부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상의 배출 아치부가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볼록하게 돌출한 만곡부들로 분할형성된다. 이와 같이 분할형성된 만곡부들은 일종의 걸름삭용을 제공하여 조리액을 따르어 낼 때 조그만 재료까지 용기내에 머물러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서 나타나는 한정된 배출구역은, 용기 몸체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가 있는 용기 벽부의 원주부 구역이 거의 초승달모양이 되게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용기의 배출 테두리 직하방에 부착고정시킨 저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와, 뚜껑의 직경을 거의 횡단하는 뚜껑 손잡이의 조합에 의해, 용기 및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로서 사용자가 뚜껑이나 배출 조리액에 데이지 않고 조리액을 용기로부터 간편히 따르어 낼 수 있는, 보다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 손잡이를 용기의 배출 테두리 직하방에 부착설치하고 뚜껑손잡이를 막대상으로 현저히 길게 형성해줌으로써 용기 손잡이와 뚜껑 손잡이 사이의 거리가 얼마되지 않게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 손잡이를 움켜 쥘 때 엄지 손가락으로 뚜껑 손잡이를 용기쪽으로 눌러서 함께 간단히 싸잡아 쥘 수가 있게 되어 뜨거운 뚜껑의 표면을 만지지 아니하고서도 뚜껑을 용기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예를 들면 기다란 자루형태로 된 하나의 용기 손잡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뚜껑을 단지 한손으로 용기에 대해 간편안전하게 고정시켜줄 수가 있다.
뚜껑 손잡이는 그 양단부에 고정 단부가 형성되고 뚜껑의 표면과 필요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양단부로부터 약간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 손잡이의 만곡정도는 사용자가 손잡이 저면부를 잡을 때 뜨거운 뚜껑 표면에 닿아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정도로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만곡정도는 손잡이가 뚜껑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적절한 간격을 보장하여 준다.
특히 간단하고 유리한 디자인으로 할때, 뚜껑 손잡이는 뚜껑에 대해 삽입 고정식 부착장치를 통해 부착된다. 이 삽입 고정식 부착장치는 스프링 클립형태로 된 스프링 요소와, 뚜껑 손잡이의 양측 고정 단부내에 제공된 결합 공간부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 등의 수단에 의해 간단히 구성된다. 그러한 스프링 클립형태의 스프링 요소는 뚜껑 손잡이의 열팽창과 제작공차를 보상해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스프링 요소는 뚜껑에 간단히 리베트로 붙이거나 용접부착시킬 수 있는 바, 이때 스폿 용접을 이용하면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뚜껑의 안쪽에서도 손잡이 부착부위가 보이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식 부착장치에는 또한 뚜껑 손잡이의 고정 단부에 부가적인 측면 공간부들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이들부가의 공간부들은 뚜껑으로부터의 열이 유일하게 직접 전도될 수 있는 뚜껑 손잡이의 고정 단부의 냉각작용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 손잡이가 뚜껑에 대해 접합 고정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는 그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가 용기 테두리의 직하방에 부착됨으로써 용기 손잡이가 용기 벽부외면과 용기 테두리 저면에 잘 부합되는 설치면을 가지게 되고 이 설치면에 의하여 용기 손잡이의 부착설치가 용이하고 비틀리지 아니하는 고정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용기 손잡이의 설치면과 용기 벽부외면 및/또는 용기 테두리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조리물이 끓어 넘칠때 그 끓어 넘친 조리액이 용기 테두리의 저면이나 용기 벽부 외면 및 용기 손잡이 사이로 흘러들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삽입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스켓은 용기 손잡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디자인에 있어서 용기 손잡이는 한 부착 나사에 의하여 용기 외벽에 대해 약 45°방향으로 조여져 부착된다. 이와 같은 나사조임에 의해 손잡이가 용기 테두리와 용기 벽부로 구성되는 모서리 부분에 긴밀히 조여져 부착된다. 또 용기 손잡이에는 나사를 박을 수 있는 구멍이 손잡이 중앙부에 설치제공되는 바, 이와 같이 손잡이 중앙부에 나사를 고정하면 자체적으로 중심이 잡혀져 손잡이와 용기의 평행성이 보장되고 조리 용기와 용기 손잡이 결합부위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용기 손잡이의 외연부가 용기 벽부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게 하고, 용기 손잡이의 양쪽 측단부는 용기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절취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미적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뚜껑 손잡이를 뚜껑의 외연부측까지 연장되는 고정 단부에 의하여 부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를 뚜껑 손잡이의 고정 단부와 인접한 부위에 부착조립함으로써 손잡이들을 쉽게 함께 싸잡아쥘 수 있게 되어 있는 바, 상기의 뚜껑 손잡이의 고정 단부 표면과 용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쉽게 잡을 수 있는 표면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구조는 립이나 장흠 또는 소형 돌기나 요흠과 같은 형태의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뚜껑 손잡이의 손잡이부는 중앙부 측면에 손잡이 본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뜨거운 뚜껑 표면에 손을 대지 아니하고서도 사용자가 아주 간단하게 아래에서 위로 손잡이를 거머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뿐 아니라, 뚜껑 손잡이는 그 중앙부의 손잡이 본체로부터 그 양측 고정 단부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져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게 되고 용기 몸체와 뚜껑을 한꺼번에 싸잡아 움켜쥘 때 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넓은 손잡이면이 그 양측 고정 단부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를 첨부도면들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 용기(2)는 그 상단 구부둘레에 바깥쪽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끝부분이 아래쪽으로 절곡된 거의 편평한 배출 테두리(4)를 가진 용기 몸체(10)를 포함한다. 이 조리 용기(2)의 용기 벽부(6)에는 합성수지로 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8)(제1도의 상부에 점선으로 도시됨)가 부착 제공된다. 대개의 경우 이 손잡이(8)는 용기 벽부(6)양측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꼭지형 손잠이로 구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긴 자루형 손잡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조리 용기(2)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진 바닥판(5)을 부착하여서 되는 이중 용기바닥(3)을 가지고 있다.
용기 벽부(6)는 그 상부 테두리에 인접한 부위에 다른 곳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를 가진 서로 대향한 두 원주부 구역(18)(19)을 가진다. 이들 원주부 구역(18)(19)에서 용기 테두리(4)는 그 내측으로부터의 반경방향 폭이 축소되어 다른 곳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0)(21)의 형성은 단지 2개의 원주부 구역(18)(19)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의 이러한 원주부 구역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원주부 구역(18)(19)에서 용기 테두리(4)의 폭을 축소시키는 것이 외주연부의 원형 형태나 용기 몸체(10) 및 용기 테두리(4)의 기본적인 원형 형태에 변화를 주는 것은 전혀 아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l)는 용기의 중심축(G)에 대하여 약 30°의 경사도로 형성되고, 그외의 원주부 구역(17)에 있어서의 용기 벽부(6)의 상부 테두리부(16)는 그 보다 작은 약 10°의 경사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도가 상기한 예의 10° 또는 3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에 의하여, 배출구부 구역쪽으로 열린 그리고 특정방향으로의 조리액 배출을 가능케 하여 주는 일종의 배출안내통로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원주부 구역(l8)(19)은 약 120° 범위의 원주길이를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두 원주부 구역(18)(19)사이에 놓여 있는, 보다 넓은 폭의 테두리 부분을 구성하는 원주부 구역(17)은 약 60°범위의 원주 길이를 가진다. 상기 원주부(18)(19)의 형성각도. 또한 상기한 예의 수치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다. 제1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가 있는 원주부 구역(18)(19)은 용기축(G) 방향에서 볼때 거의 초승달 모양의 형태를 가진다.
용기 뚜껑(12)은 외향 절곡된 거의 편평한 뚜껑 테두리(13)와 한 뚜껑 손잡이(14)를 가지고 있다. 이 뚜껑(12)은 한 원호구역(22)에서 뚜껑 테두리(13)의 반경방향 폭보다 작은 반경방향 크기를 가진 배출 아치부(24)를 가진다. 뚜껑(12)의 상기 원호구역(22)은 약 60°범위의 원주길이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아치부(24)는 다시 각각 약 20°범위의 원주길이를 가지는 3개의 돌출아치형태의 만곡부(28)들로 분할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만곡부(28)는 도면 제3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갈이 그 내측에 조리액 배출을 위한 배출구부(15)를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용기 뚜껑(12)의 테두리부는 뚜껑 테두리(13) 와 연결되는 부본이 하향절곡되어 있고 뚜껑(12)의 내면 중앙부는 외향만곡되어 있다(제4도 참조).
뚜껑 테두리(13)에는 또한 뚜껑(12)의 조리액 배출을 위한 개방위치에서 열리는 배기구부(26)를 가진 배기 아치부(27)가 형성되는 바, 이 배기 아치부(27)는 뚜껑 테두리(13)에 있어서 배출 아치부(24)를 가지는 원호구역(22)과 대향되는 위치의 원호구역(23)에 형성된다. 도면 제3B도에 확대도시한 이 배기 아치부(27)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의 반대측에 있는 원호구역(22)보다 훨씬 작은 약 6° 범위내의 원주방향 형성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 아치부(24)의 반경방향 형성크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아치부의 반경방향 형성크기는 뚜껑 테두리(13)의 반경방향 폭보다 작도록 된다. 뚜껑(12)을 용기상에 닫을 때 이 뚜껑(12)은 그 뚜껑 테두리(13)의 상기 배출 아치부(24)와 배기 아치부(27)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용기 테두리(4)상에 꼭맞게 그러나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얹혀지게 되어 있다.
용기 뚜껑(12)의 원호구역(22)이 용기의 원주부 구역(18) 또는 원주부 구역(19)과 일치할 때 뚜껑(12)상의 배출 아치부(24) 및 배기 아치부(27)가 용기(2)상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l) 구역내에 있게 되어 이들 아치부(24)(27) 및 경사부(20)(21) 사이에 용기내외로 상통하는 통로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뚜껑(12)의 원호구역(22)이 용기(2)의 원주부 구역(18) 또는 원주부 구역(19)과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조리도중이나 조리완료후의 조리액 배출시 목적하는 바의 배출 또는 배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출 또는 배기 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뚜껑(l2)을 조리 용기상에 닫을 수 있게 하려면, 용기 벽부(6)의 경사부(20)(21)가 없는 원주부 구역(17)의 원주방향 길이가 배출 아치부(24)를 가지는 뚜껑(12)의 윈호구역(22)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커야 한다.
배출 아치부(24)를 가지는 뚜껑(12)의 원호구역(22)이 용기(2)의 경사부(20)(2l)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부 구역(17)상에 덮히도록 뚜껑(12)을 회전조작하면 용기(12)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는 한개 또는 두개의 용기 손잡이(8)가 경사부(20)(21)를 가지는 용기 벽부(6)의 양측 원주부 구역(18)(19)들의 중심을 있는 중앙선(M)에 대하여 약 90° 틀어진 위치에서 용기 외벽에 부착설치된다. 뚜껑 손잡이(14)는 길다랗게 연장형성된다. 이 뚜껑 손잡이(14)는 상기 뚜껑(12)상의 원호구역(22)의 중앙선(W)과 약 90°틀어진 각도로 뚜껑(12)상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용기 몸체(10)상에 상술한 배출, 배기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로 닫아 놓았던 뚜껑(12)을 그러한 배출, 배기 작용이 일어나는 열림위치로 회전조작하여 놓으면, 뚜껑 손잡이(14)와 용기 손잡이(8)가 서로 일직선 상으로 놓이게 되고, 반대로 뚜껑(12)을 용기 몸체(10)에 상술한 배출, 배기작용이 일어나는 닫힘위치로 다시 돌려 닫으면 뚜껑 손잡이(14)가 용기 손잡이(8)와 90°로 틀어져 위치하게 된다.
뚜껑 손잡이(14)는 완만한 아치형태로 만곡형성되는데, 이는 그 양측 고정 단부(39)를 제외한 부분이 뚜껑(l2)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뚜껑의 전직경에 걸쳐지도록 뚜껑(12)상에 설치 제공된다. 이 뚜껑손잡이(14)는 그 양측 고정 단부(39)를 통해 뚜껑(12)의 테두리(13)에 부착 고정된다. 또한 이 뚜껑 손잡이(14)는 그 손잡이부(30)의 중앙부에, 그 양측이 파지를 위해 다른 곳보다 들어가 있게 형성된 손잡이 본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는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잡기에 편리하도록 고정 단부(39)에 이르기까지 점차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뚜껑 손잡이(14)는 상향 만곡된 뚜껑 표면과 연관시켜 상향 만곡되게 형성함으르써 뚜껑(12)과 뚜껑 손잡이(14)사이에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공간부가 확보되어 화상을 당할 위험을 배제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뚜껑 손잡이(14)를 뚜껑(l2)에 부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일례로서 뚜껑 손잡이(14)의 고정 단부(39)에 강철판을 삽입 고정시켜 이 강철판을 뚜껑(12)에 부착 고정시킬수도 있고, 또는 첨부 도면 제11a도 및 제11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보이지 아니하는 삽입 고정식 부착장치(plug-snap connection)(3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1a도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 손잡이(14)는 그 양쪽 고정 단부(39)에 결합 공간부(36)가 요입 형성되고 이 공간부(36)를 둘러싼 내주벽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가 착설되는 뚜껑 테두리(13)의 상면에는 스프링 요소(34)가 부착 고정되는 바,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스프링 요소가 양방향 스프링 클립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클립형태로 된 스프링 요소(34)는 걸림턱(38)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이를 통해 뚜껑 손잡이(14)가 용기 뚜껑(12)상에 결합되어진다. 뚜껑 테두리(13)는 자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외측 연부를 상향 절곡시켰는 바, 이와 같은 절곡 연부는 또한 호감이 가는 외관제공에 일조를 한다. 이와 같은 절곡연부에 의한 뚜껑 테두리의 외연부측 두께증가분은 뚜껑 손잡이(14)의 고정 단부(39) 부착면에 형성된 적절한 요입부에 의해 보상되어진다. 제11b도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는 굴곡진 스프링 클립의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 요소(34)가 손잡이(12)의 고정 단부(39) 내측에 형성된 걸릭턱(38)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경우이다.
삽입 고정식 부착장치(32)의 제공구역에 있어서 뚜껑 손잡이(14)의 고정 단부(39)에는 또한 측면 공간부(40)를 추가형성토록 하였는데(제10도 참조), 이러한 측면 공간부(40)는 뚜껑 손잡이(14)가 뚜껑(12)에 직접 접한 그 고정 단부로부터 쉽게 뜨거워져 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효과를 가져온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용기 손잡이(8)는 용기(2)의 배출 테두리(4)의 직하방에서 조리 용기(2)의 벽부(6)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 이 용기 손잡이(8)는 용기 벽부(6)의 외주면과 용기 테두리(4)의 저면(46)에 밀착되는 설치면(48)(50)을 가지고 있다. 이 설치면(48)(50)과 용기 벽부(6) 또는 용기 테두리(4)의 저면(4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켓(52)이 설치되는 바, 이 가스켓(52)은 용기 손잡이(8)에 형성된 홈(54)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용기 손잡이(8)의 중간 부분에는 한개의 고정나사(도시되지 않음)를 박을 수 있는구멍(55)이 형성되어 있는데, 용기 손잡이(8)는 이 구멍(55)을 통하여 용기 벽부(6)에 대하여 약 45°방향으로 박히는 고정나사에 의하여 용기 벽부(6)에 부착 고정된다.
또 이 용기 손잡이(8)에는 열전도를 최소화하고 냉각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몸체 내부에 여러개의 중공부(60)가 형성제공되어 있으며, 이 중공부(60)에는 또한 예컨대 용기 세척시 침투유입되는 물이 그 중공부 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를 뚫어 놓았다.
위에서 보았을 때 넓고 편평한 표면을 가진 용기 손잡이(8)의 만곡진 외연부(58)는 용기 벽부(6)와 거의평행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이 용기 손잡이(8)의 양쪽측단부(56)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 한편, 용기 손잡이(8)와 뚜껑 손잡이(14)는 그 표면에 안전한 파지를 위한 요철 표면구조(4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제7도에 예시된 뚜껑 손잡이(14)의 고정단부(39)에 형성된 표면구조(42)는 소형 돌기들로 표현되었지만 립의 형태나 장홈 또는 요홈등과 같은 형태의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 손잡이(8)와 뚜껑 손잡이(14)는 합성수지 또는 그 밖의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Claims (21)

  1. 용기 몸체(10)의 상부둘레에 바같쪽으로 거의 편평하게 연장형성된 조리액 배출을 위한 테두리(4)를 가지고, 용기 벽부(6)에는 용기 손잡이(8)가 부착되고, 손잡이(14)를 갖는 뚜껑(12)을 그 뚜껑 테두리(l3)가 용기 테두리(4)에 얹혀지게 하여 용기 몸체(10)에 닫았을 때 용기 몸체(10)와 뚜껑(12) 사이에 배출 또는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조리 용기(2)에 있어서, 용기 벽부(6)의 상부 테두리부(16)의 원주부 구역중 적어도 한 원주부 구역( 18)(19)에 그 구역범위내의 용기 테두리(4) 부분의 폭을 좁혀 다른 원주부 구역(17)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20)(21)를 형성하고, 뚜껑 테두리(13)의 적어도 한 원호구역(22)에는 상기 용기 벽부(6)상의 경사부(20)(21)와 함께 배출구부(15)를 형성하는 배출 아치부(24)를 형성하며, 경사부(20)(21)가 형성되지 아니한 용기 벽부(6)의 원주부 구역(17)의 원주길이가 적어도 상기 뚜껑(12)의 배출 아치부(24)가 형성된 원호구역(22)과 동일한 원주길이로 되게하고, 용기 벽부(6)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부(20)(21)가 형성된 원주부 구역(18)(19)들의 중앙선(M)에 대하여 약 9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용기 손잡이(8)를 부착하고, 뚜껑(12)에는 배출 아치부(24)가 형성된 뚜껑 테두리(13)의 원호구역(22)의 중앙선(W)에 대하여 약 90°각도를 이루면서 뚜껑(12)를 가로지르는 뚜껑 손잡이(l4)를 부착하되 상기배출구부(15)가 개방되도록 뚜껑(12)을 용기 몸체(10)상에서 돌렸을 때 상기 뚜껑 손잡이(14) 및 용기 손잡이(8)가 상호 일직선상에 놓이고 배출구부(15)가 폐쇄되도록 뚜껑(12)을 용기 몸체(10)상에서 돌렸을 때에는 상기 뚜껑 손잡이(l4) 및 용기 손잡이(8)가 서로 약 90°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가 형성된 용기 벽부(6)의 원주부 구역(18)(]9)이 상기 뚜껑(l2)의 적어도 한 배출 아치부(24)를 가지고 있는 원호구역(22)보다 더 긴 원주길이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가 형성된 용기 벽부(6) 원주부 구역(18)(19)이 약 120°범위의 원주길이를 차지하고 뚜껑(12)의 적어도 한 배출 아치부(24)를 가지는 원호구역(22)은 약 60°범위의 원주길이를 차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다 큰 경사각의 상기 경사부(20)(21)기 용기의 중심축(G)에 대하여 약 20°내지 40°사이, 특히 약 30°의 각도로 경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벽부(6)의 상부 테두리부(6)의 서로 대향하는 두 원주부 구역(18)(19)이 다른 원주부 구역(17)보다 더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이 뚜껑 테두리(13)상의 배기 아치부(27)에 의하여 형성된 적어도 한 배기구부(2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아치부(27)가 뚜껑 테두리(13)의 배출 아치부(24)가 있는 원호구역(22)과 대향한 위치의 원호구역(2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아치부(24) 및 배기 아치부(27)의 반경방향 형성크기가 용기 벽부(6)의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가 없는 원주부 구역(17)내의 뚜껑 테두리(13)의 반경방향 형성폭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아치부(27)가 있는 원호구역(23)의 원주길이가 배출 아치부(24)가 있는 원호구역(22)의 원주길이 보다 훨씬 짧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아치부(24)가 여러개, 특히 3개의 만곡부(28)들로 분할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다 큰 경사각의 경사부(20)(21)를 가지는 용기 벽부(6)의 원주부 구역(18)(19)이 용기의 중심축(G) 방향에서 볼때 초승달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2.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가 용기 테두리(4)의 직하방에 부착 제공되는 용기 손잡이(8)와 뚜껑(12) 직경의 대부분을 횡단하도록 뚜껑(12)상에 부착제공되는 뚜껑 손잡이(14)를 조합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14)가 그 양측 고정 단부(39)를 제외하고는 뚜껑의 표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뚜껑(l2)에 결합설치되도록 길고 완만하게 만곡형성된 막대상 손잡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14)가 스프링 클립형태로 된 스프링 요소(34)와 뚜껑 손잡이(14)의 고정 단부에 요입 형성된 결합 공간부(36)와 이 공간부 일측에 위치한 적어도 한 걸림턱(38)을 포함하는 삽입 고정식 부착장치(32)에 의하여 뚜껑(12)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14)가 뚜껑(12)에 접합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8)가 용기 벽부(6) 외주면과 용기 테두리(4)의 저면(46)에 부합하는 설치면(48,50)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8)의 설치면(48,50)과 용기 벽부(6)의 외주면 또는 용기 테두리(4)의 저면(46) 사이에 가스켓(5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8)가 이 용기 손잡이(8)에 구비된 구멍(55)을 통하여 용기 벽부(6)에 대해 약 45°방향에서 하방으로부터 나사로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8)의 외연부(58)가 용기 벽부(6)와 평행을 이루어 연장형성되어있고, 이 용기 손잡이(8)의 양쪽 측단부(56)는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0. 제13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14)의 고정단부(39)와 적어도 한 용기손잡이(8)의 표면이 립이나 장홈 또는 소형 돌기나 요홈 등과 겉은 것이 있는 표면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21. 제13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14)가 그 손잡이부(30)의 중앙부에 좁은 폭의 손잡이 본체(44)를 가지고 있고 그 양측 고정 단부(39)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KR1019900702282A 1989-02-18 1990-02-03 조리 용기 KR950004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05002A DE3905002A1 (de) 1989-02-18 1989-02-18 Kochgefaess
DEP3905002.5 1989-02-18
PCT/EP1990/000187 WO1990009133A1 (de) 1989-02-18 1990-02-03 Kochgefä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16A KR910700016A (ko) 1991-03-13
KR950004431B1 true KR950004431B1 (ko) 1995-05-01

Family

ID=637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282A KR950004431B1 (ko) 1989-02-18 1990-02-03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201264A (ko)
EP (1) EP0458805B1 (ko)
JP (1) JP2587324B2 (ko)
KR (1) KR950004431B1 (ko)
AT (1) ATE121917T1 (ko)
BR (1) BR9007130A (ko)
DE (2) DE3905002A1 (ko)
DK (1) DK0458805T3 (ko)
ES (1) ES2073018T3 (ko)
FI (1) FI90722C (ko)
NO (1) NO177524C (ko)
TR (1) TR25315A (ko)
WO (1) WO1990009133A1 (ko)
YU (1) YU47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7974D1 (de) * 1991-04-30 1997-03-13 Kuhn Heinrich Metall Metallgeschirr
DE4216803A1 (de) * 1992-05-21 1992-12-24 Max Kraemer Bratpfanne mit deckel
DE9211465U1 (ko) * 1992-06-12 1992-11-26 Fissler Gmbh, 6580 Idar-Oberstein, De
DE9401119U1 (de) * 1994-01-24 1994-04-14 Kreck Edelstahl Gmbh Kochgefäß
US5419454A (en) * 1994-03-21 1995-05-30 General Housewares Corp. Mixing bowl
DE9408536U1 (de) * 1994-05-25 1994-09-08 Sbs Besteckvertriebsgesellscha Kochtopf
US6105810A (en) * 1998-11-06 2000-08-22 Dart Industries Inc.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US6419107B1 (en) 2000-05-05 2002-07-16 Meyer Manufacturing Co. Ltd. Cookware
NL1015294C2 (nl) * 2000-05-24 2001-11-27 Konink Van Kempen & Begeer B V Deksel en pan voorzien van een dergelijk deksel.
ATE297679T1 (de) * 2000-08-03 2005-07-15 Termoplastic Fbm Srl Zweiteiliger handgriff für ein koch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deckel
US6745660B2 (en) * 2001-09-18 2004-06-08 Mary L. Caputo Apparatus for cutting baked goods and method of use
US8353243B2 (en) * 2006-04-18 2013-01-15 Chefel Co., Ltd. Frying pan
DE102006028980A1 (de) * 2006-06-23 2007-12-27 Metallwarenfabrik Marktoberdorf Gmbh & Co. Kg Gefäß, insbesondere Schüssel für Koch-, Anricht-, Aufbewahrungs- oder/und Servierzwecke und Deckel für ein solches Gefäß
DE102009006817A1 (de) * 2009-01-30 2010-08-05 Hans Heidolph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US9550305B2 (en) * 2010-03-16 2017-01-24 Mary L. Caputo Bakery cutting guide
US10092140B2 (en) 2014-10-31 2018-10-09 Richard Arnold Dasen, JR. Fanning plate for a baked potato
CN106724591A (zh) * 2017-01-19 2017-05-31 合肥协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杯盖不易丢失且可以折叠的杯子
USD859917S1 (en) 2017-09-23 2019-09-17 Richard Arnold Dasen, JR. Cooking device
DE102020213686B4 (de) 2020-10-30 2022-01-27 Metallwarenfabrik Marktoberdorf Gmbh & Co. Kg Kochgefäß
KR102380450B1 (ko) * 2021-03-18 2022-03-29 최혁 채반이 구비된 냄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16A (en) * 1886-01-19 Kettle-cover
BE552908A (ko) *
US1160934A (en) * 1914-11-24 1915-11-16 Emma R Meyer Cooking utensil.
US1260794A (en) * 1916-09-11 1918-03-26 Olson John W Cooking utensil.
US1354085A (en) * 1919-02-20 1920-09-28 Zisk Anthony Cooking utensil
GB248953A (en) * 1925-04-22 1926-03-18 David Hya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iling pans
US1944576A (en) * 1930-05-28 1934-01-23 Roepke William John Combination road lighting and reflecting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s
US1994576A (en) * 1933-09-16 1935-03-19 Fed Enameling & Stamping Co Cooking utensil
US2247230A (en) * 1940-10-02 1941-06-24 S W Farber Inc Cooking utensil
US2622591A (en) * 1947-10-14 1952-12-23 Jr Harry M Bramberry Low-pressure steam cooker
CH309501A (de) * 1952-02-23 1955-09-15 Rhenania Stanz Und Emaillierwe Kochtopf mit Deckel.
US2924369A (en) * 1955-08-17 1960-02-09 Kaiser Aluminium Chem Corp Metallic receptacles
DE1734787U (de) * 1956-09-18 1956-11-29 Otto Lahme Aluminiumwerk Kochtopf.
DE1753111A1 (de) * 1968-01-02 1971-07-01 Baumgarten Eisen Blechwarenfab Geschirrgriff
GB1241345A (en) * 1969-06-13 1971-08-04 Metal Spinners Ireland Ltd Improvements in lids for kettles and domestic cooking vessels
DE2001195A1 (de) * 1970-01-13 1971-07-22 Kurt Ziemke Kochtopf mit durch Verdrehen des Deckels bildbaren Deckeloeffnungen
FR2410165A1 (fr) * 1977-11-25 1979-06-22 Berrod & Fils Ets Systeme d'accrochage de deux pieces l'une contre l'autre, notamment un bouton de prehension sur un couvercle d'ustensile menager
US4373511A (en) * 1980-05-27 1983-02-15 Miles Derek A Cooking vessel
IE53998B1 (en) * 1982-06-08 1989-05-10 Dart In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ooking,serving and/or storing food and the like
US4401017A (en) * 1982-07-14 1983-08-30 Trend Products Company Steamer pot assembly
JPS60161936U (ja) * 1984-02-21 1985-10-28 ホクセイ日軽家庭用品株式会社 調理用ゆで鍋
US4558198A (en) * 1984-12-03 1985-12-10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al container system for use in microwave ovens
FR2590468B3 (fr) * 1985-11-28 1988-04-08 Physique Meca Materi Lab Dispositif de fermeture automatique de tout appareil mis sous pression par augmentation de temperature d'un liquide. exemple : autocuiseur
SU1482641A1 (ru) * 1987-02-17 1989-05-30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алво"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бульона из рыбы
US4759342A (en) * 1987-06-08 1988-07-26 Lee Kendal A Cooking utens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5315A (tr) 1993-01-01
YU47103B (sh) 1994-12-28
EP0458805A1 (de) 1991-12-04
DE59009024D1 (de) 1995-06-08
YU30990A (sh) 1993-11-16
FI90722B (fi) 1993-12-15
KR910700016A (ko) 1991-03-13
ATE121917T1 (de) 1995-05-15
ES2073018T3 (es) 1995-08-01
NO177524C (no) 1995-10-04
DE3905002C2 (ko) 1992-04-23
NO177524B (no) 1995-06-26
DE3905002A1 (de) 1990-08-23
JPH04503316A (ja) 1992-06-18
WO1990009133A1 (de) 1990-08-23
NO900629D0 (no) 1990-02-09
EP0458805B1 (de) 1995-05-03
FI900617A0 (fi) 1990-02-08
US5201264A (en) 1993-04-13
JP2587324B2 (ja) 1997-03-05
BR9007130A (pt) 1991-11-05
DK0458805T3 (da) 1995-09-04
NO900629L (no) 1990-08-20
FI90722C (fi)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431B1 (ko) 조리 용기
US4494274A (en) Cookware with covers having metal handles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US11666178B2 (en)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US6536603B1 (en) Pot having a lid
EP1919337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JP3498699B2 (ja) 炊飯器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150940Y1 (ko) 음식물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222407Y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200390009Y1 (ko) 냄비뚜껑
KR20130002319U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100413354B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20070114087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206781Y1 (ko) 남비
KR200429602Y1 (ko) 회전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0127265Y1 (ko) 음식물 조리용기
KR200226480Y1 (ko) 남비용 뚜껑
KR0125774Y1 (ko) 진공 보온 솥용 뚜껑
KR20110089233A (ko) 부분개폐 냄비뚜껑
KR200231311Y1 (ko) 뚜껑걸이수단을구비한남비
US1310981A (en) Planooraph 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