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628Y1 - 주방용 냄비 - Google Patents

주방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628Y1
KR200350628Y1 KR20-2004-0005650U KR20040005650U KR200350628Y1 KR 200350628 Y1 KR200350628 Y1 KR 200350628Y1 KR 20040005650 U KR20040005650 U KR 20040005650U KR 200350628 Y1 KR200350628 Y1 KR 200350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t
discharge
broth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길섭
Original Assignee
배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섭 filed Critical 배길섭
Priority to KR20-2004-0005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냄비 내부의 수증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냄비 내부의 국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방용 냄비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H1)가 결합된 상향 볼록한 원판상의 투명 덮개판(11A)과, 덮개판(11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림(11B1)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며 대향하는 두 곳에 수증기배출부(D1)(D2)가 형성된 리브(11B2)로 이루어진 프레임(11B)으로 구성된 뚜껑(11)과; 외주면 상부에 손잡이(H2)가 결합되고, 상단부 대향하는 두 곳에 외측으로 돌출된 국물배출부(D3)가 형성된 본체(1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 냄비는 수증기의 배출 조절이 자유로우며,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국물을 배출시 국물을 한 줄기로 가지런히 따르는 것이 가능하여 싱크대 오수구 외의 바닥면을 깨끗이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냄비{A cook-pot}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냄비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주방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냄비 뚜껑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하향 형성되어 냄비 본체에 뚜껑을 결합시 그 외주면이 본체의 내주면 상부에 접촉되는 원통형 리브의 서로 반대되는 대향 위치에 다수의 통공들로 구성된 수증기배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본체 상단부 대향되는 위치에는 국물을 따르기 편리하도록 상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국물배출부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음식 조리시 상기 수증기배출부와 국물배출부의 위치가 서로 일치 또는 불일치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증발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냄비 내부의 국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는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 재료를 끓이거나, 튀기거나, 삶거나, 볶는 등의 용도로 쓰이는 대표적인 주방용 조리 용구로서, 음식물을 담는 비교적 큰 용기 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상단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사용법에 따라 끓임용,밥짓기용, 찜용, 볶음용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나, 가정에서는 하나의 냄비를 다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뚜껑이 있는 냄비는 솥에 비하여 그 사용상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뚜껑을 덮는 경우 그 내부가 보이지 않아 음식물이 조리되고 있는 상태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뚜껑을 덮지 않거나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음식물이 타게 되거나 음식물의 국물이 끓어 냄비의 외부로 넘치게 된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보기 위하여 뚜껑을 덮지 않을 경우에는 조리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갈 수도 있으며, 삶는 음식물의 경우 음식물을 다 삶은 후 국물만을 따라 버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채를 이용하거나,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이 국물과 함께 버려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내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냄비 뚜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에 강한 강화유리 등으로 만든 투명 뚜껑이 만들어져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 뚜껑이 만들어졌으며, 국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정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국물을 따라 버릴 수 있고, 끓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수증기배출공을 구비한 뚜껑도 개발되었는 바, 수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종래의 냄비 뚜껑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222407호에는 조리용 용기의 뚜껑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 뚜껑은 불투명 뚜껑의 일측에 개폐구(3)와 안내장공(4)을 관통 형성시키고, 다수의 통공(9)이 형성된 투명한 개폐판(6)의 상면을 상기 뚜껑의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뚜껑과 개폐판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며, 개폐판손잡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바(9)를 상기 안내장공(4)에 관통 통과시켜 뚜껑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에 개폐판손잡이(11)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면서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수증기를 배출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통공을 통하여 국물을 따라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투명한 개폐판을 통하여 용기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조리용 용기의 뚜껑은 뚜껑의 일측부에 형성된 개폐구를 통하여 냄비의 내부를 보기 때문에 내부 전체가 보이지 않아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통공이 뚜껑과 용기의 테두리부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버리고자 하는 용기 내부의 국물이, 통공은 물론 용기와 뚜껑의 테두리 접촉부와 뚜껑의 안내장공을 통하여 동시에 흘러 나오게 되는 바, 용기와 뚜껑의 넓은 범위에 걸쳐 버리고자 하는 국물이 묻게 되고, 뚜껑과 개폐판의 결합부 내지는 접촉부 등에 음식물이 끼게 되어 그 세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세척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생이나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국내특허공개공보 특2003-0029076호에는 음식물 조리용 냄비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 냄비는, 내주면 상부에 뚜껑 결합용 리벳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리벳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인용된 등록실용신안과 같이, 뚜껑과 몸체부의 테두리로부터 떨어진 통공을 통하여 국물이 배출되어뚜껑의 상면이 더렵혀지기 때문에, 그 때 그 때 세척하지 않으면 조리하는 과정에서 뚜껑의 상면이 손을 더럽히게 되거나, 뚜껑에 잔류하는 국물이 다른 곳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인용 등록실용신안의 용기와 인용 공개발명의 몸체부 상단부에는 국물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는 바, 상기 각 통공과 함께 국물의 배출구가 되는 뚜껑과 몸체부(용기)의 테두리 접촉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은,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넓게 퍼진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뚜껑과 몸체부(용기)의 테두리 접촉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을 싱크대의 작은 오수구를 통하여 바로 버릴 수는 없으며, 싱크대의 바닥면을 더럽힐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뚜껑을 구비한 종래의 냄비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냄비의 내부를 확연히 살필 수 있고, 냄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배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열지 않고 국물을 배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되는 국물을 곧바로 싱크대의 오수구를 통하여 버릴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주방용 냄비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주방용 냄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주방용 냄비를 보인 것으로,
(가)는 수증기배출구와 국물배출구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나)는 수증기배출구와 국물배출구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일치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다)는 수증기배출구와 국물배출구의 위치가 완전히 어긋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뚜껑 12. 본체
11A. 투명 덮개판 11B. 프레임
11B1. 림 11B2. 리브
D1,D2. 수증기배출구 D3. 국물배출부
H1,H2. 손잡이 h1,h2. 통공
L1. 리브 길이 L2. 국물배출부 길이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뚜껑의 테두리부를 따라 하향 형성된 원통형 리브와,본체의 상단부 대향하는 두 곳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국물배출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 냄비는 음식물을 담는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는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 손잡이가 결합되며, 손잡이와 90°를 이루는 본체 상단부 대향되는 두 곳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서, 이 돌출부가 본체 내부의 국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국물배출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상향 볼록한 원판상의 투명한 덮개판과, 덮개판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림 및 림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리브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브의 대향하는 두 곳에 다수의 통공들로 구성된 수증기배출부가 각각 형성됨에 본 고안 냄비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뚜껑의 프레임을 이루는 림이 본체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상태에서 원통형 리브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외주면이 본체 내주면의 상부에 밀착 또는 접촉하는 방법으로 본 고안 냄비의 본체와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본체의 상단부와 뚜껑의 리브에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각기 한 쌍씩의 액체배출부와 수증기배출부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면 냄비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그 내부의 국물을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액체배출부를 통하여 한 줄기로 가지런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에 결합된 뚜껑을 회전시켜 수증기배출부와 액체배출부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일치시키거나 완전히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배출되는 양을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주방용 냄비의 분리 사시도를, 도 2에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냄비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H1)가 결합되며 상향 볼록한 원판상의 투명 덮개판(11A)과, 상기 투명 덮개판(11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림(11B1)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본체(12)에 삽입 결합시 그 외주면이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대향하는 두 곳에 다수의 통공(h1)(h2)이 각각 관통 형성된 수증기배출부(D1)(D2)가 구비된 원통형 리브(11B2)로 이루어진 프레임(11B)으로 구성된 뚜껑(11)과;
외주면 상부에 손잡이(H2)가 결합되고, 상기 뚜껑(1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상 상단부의 대향하는 두 곳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국물배출부(D3)가 형성되며, 상향 개방된 원통형 본체(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국물배출부(D3)의 위치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감안하여 손잡이(H2)가 결합된 상단부 위치와 평면도 상에서 90°를 이루는 상단부 두 곳에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냄비는, 뚜껑(11)을 본체(1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뚜껑의 수증기배출부(D1)(D2)와 본체의 국물배출부(D3)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거나(도 1의 (가)), 부분적으로 일치시키거나(도 1의 (나)) 또는 서로 완전히 어긋나게(도 1의 (다)) 함으로써, 요리시 본체 내부에서 생성 발생하는 수증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1B1)의 하향 길이(L1)는 국물배출부(D3) 내측의 상·하 방향 길이(L2)보다 길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렇지 못할 경우 림의 하단부가 국물배출부의 내측 하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수증기배출구와 국물배출부가 완전히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국물배출부를 통하여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뚜껑의 리브(11B2)에 구비된 수증기배출부의 경우 일측 수증기배출부(D1)의 통공(h1) 크기를 타측 수증기배출부(D2)의 통공(h2)보다 크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이는,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국물을 배출하는 경우 음식물에 따라 그 굵기가 다르기 때문에 음식물에 따라 통공이 막히거나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는 바, 음식물에 적합한 통공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국물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냄비는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관찰하면서 수증기의 배출 조절이 자유로우며,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국물을 배출시 뚜껑의 상면까지 국물이 묻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수증기배출부와 국물배출부를 통하여 국물을 한 줄기로 따르는 것이 가능하여 싱크대 오수구 외의 바닥면을 깨끗이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되는 국물을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용기에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손잡이가 각각 결합된 용기형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냄비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H1)가 결합된 상향 볼록한 원판상의 투명 덮개판(11A)과, 투명 덮개판(11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림(11B1)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며 대향하는 두 곳에 다수의 통공(h1)(h2)이 각각 관통 형성된 수증기배출부(D1)(D2)가 형성된 원통형 리브(11B2)로 이루어진 프레임(11B)으로 구성된 뚜껑(11)과;
    외주면 상부에 손잡이(H2)가 결합되고, 상단부의 대향하는 두 곳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국물배출부(D3)가 형성된 상향 개방의 원통형 본체(12)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곳의 국물배출부(D3)는 손잡이(H2)와 평면도 상에서 각각 90°되는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냄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1B2)의 하향 길이(L1)는 국물배출부(D3) 내측의 상·하 방향 길이(L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증기배출부(D1)의 통공(h1) 크기는 타측 수증기배출부(D2)의 통공(h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냄비.
KR20-2004-0005650U 2004-03-03 2004-03-03 주방용 냄비 KR200350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50U KR200350628Y1 (ko) 2004-03-03 2004-03-03 주방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50U KR200350628Y1 (ko) 2004-03-03 2004-03-03 주방용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628Y1 true KR200350628Y1 (ko) 2004-05-13

Family

ID=4943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650U KR200350628Y1 (ko) 2004-03-03 2004-03-03 주방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6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60A (ko) 2016-12-05 2018-06-14 이동주 두께 조절이 가능한 도마
CN113813182A (zh) * 2021-09-30 2021-12-21 亳州市中泰药业有限公司 一种具有密封防护的炒药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60A (ko) 2016-12-05 2018-06-14 이동주 두께 조절이 가능한 도마
CN113813182A (zh) * 2021-09-30 2021-12-21 亳州市中泰药业有限公司 一种具有密封防护的炒药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0418A (en) Cookware with drainage lid
US8016122B2 (en) Pot or pan lid with a draining function and a large area view
US6568314B1 (en) Cooking device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al top
EP3589177A1 (en) Cooking vessel having lid with integrated opening for pouring off cooking liquid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090056973A (ko) 조리 기구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350556Y1 (ko) 냄비 뚜껑 거치대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200394197Y1 (ko) 조리용 이중 삶음통
JPH09108114A (ja) 茹で物の水切り具
JP3046000U (ja)
KR200359499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KR200222407Y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CN213850049U (zh) 一种带蒸盘的锅
CN219782239U (zh) 一种防止锅盖盖合错位的炖锅
JP2012024321A (ja) フライパン
KR20120031719A (ko) 거름망을 갖는 용기
CN202234860U (zh) 家用盖子
JPS603770Y2 (ja) 調理用鍋
RU2209025C2 (ru) Картофелемойка
CN211022273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JP3032674U (ja) 調理容器用蓋体
CN209107029U (zh) 一种带漏水盖的烹饪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