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97Y1 - 조리용 이중 삶음통 - Google Patents

조리용 이중 삶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97Y1
KR200394197Y1 KR20-2005-0015834U KR20050015834U KR200394197Y1 KR 200394197 Y1 KR200394197 Y1 KR 200394197Y1 KR 20050015834 U KR20050015834 U KR 20050015834U KR 200394197 Y1 KR200394197 Y1 KR 200394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ontents
outer cylinder
b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향순
Original Assignee
최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향순 filed Critical 최향순
Priority to KR20-2005-0015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5Bails, e.g. for pails, for ke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삶기 위한 조리용 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통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로 물을 끓여 이를 우려내거나 삶은 후 상기 내통을 들어 내용물을 간편하게 건져내도록 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끓인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류를 삶기 위한 삶음통에 있어서, 상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받침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하부 받침턱이 형성되는 외통; 및 내용물은 걸러지면서 물은 원활하게 통할 수 있도록 뜰채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상부 주연에는 상기 외통의 상부 받침턱에 안착되도록 상부 걸림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바닥은 상기 외통의 하부 받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내통; 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조리용 이중 삶음통{DOUBLE BUCKET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이중 삶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통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로 물을 끓여 이를 우려내거나 삶은 후 상기 내통을 들어 내용물을 간편하게 건져내도록 한 조리용 이중 삶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통은 큰 들손이 달린 둥그스름한 그릇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물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끓인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류를 삶을 때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리용 통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을 삶은 후에는 뜰채를 사용하여 내용물이나 면을 건져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이 보통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그물망에 담은 상태로 삶음통 내부에 넣어 끓이기도 하나, 이 경우 상기 그물망을 삶음통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끓는 삶음통 내부에서 상기 내용물을 담고 있는 그물망의 입구가 풀어지면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그물망에 담긴 내용물을 꺼내는 일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면을 삶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그물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통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로 물을 끓여 이를 우려내거나 삶은 후 상기 내통을 들어 내용물을 간편하게 건져내도록 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하나의 뚜껑을 이용하여 내통을 커버하거나 내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외통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끓인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류를 삶기 위한 조리용 통에 있어서,
상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받침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하부 받침턱이 형성되는 외통; 및 내용물은 걸러지면서 물은 원활하게 통할 수 있도록 뜰채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상부 주연에는 상기 외통의 상부 받침턱에 안착되도록 상부 걸림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바닥은 상기 외통의 하부 받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내통;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통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외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등 간격으로 펀칭 형성되거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 및 외통의 상단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내통 또는 외통의 상단에 안착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이 더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 이중 삶음통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통(100)과 상기 외통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건져낼 수 있도록 뜰채 형태로 형성된 내통(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1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여 끓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100)의 상부 주연에는 상기 내통(200)의 상부 걸림턱(240)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받침턱(120)이 형성되며, 외통(100)의 하부 주연에는 상기 내통(200)의 하부 바닥이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 받침턱(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100)의 하부 받침턱(140)과 바닥 사이에는 물이 끓어오를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받침턱(120)이 형성된 외통(100)의 상부 외측에는 외통(100)은 물론이고 그 내부에 안착된 내통을 포함한 상태로 간편하게 들어 옮기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160)가 축 결합된다.
상기 내통(200)은 외통(100) 내부로 수용되어 안착되어지되, 그 내부에 내용물이 걸러짐과 아울러, 물이 간편하게 들어가고 나갈 수 있도록 뜰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내통(200)의 측면에 대하여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20)이 관통된 상태로서 제공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통(200)의 상부 주연에는 상기 외통(100)의 상부 받침턱(120)에 안착되도록 상부 걸림턱(24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내통(200)의 바닥은 상기 외통(100)의 하부 받침턱(14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걸림턱(240) 하부에 형성되는 내통(200)의 외면은 외통(100)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로 끓는 물이 순환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통(200)의 상부에는 외통(100)으로부터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내측에 회전 손잡이(260)가 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통(100)과 내통(200)의 상단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그 위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나의 뚜껑(3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나의 뚜껑(300)으로서 내통(200)의 상단을 개폐하거나, 내통(200)을 제거한 상태에서 외통(100)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통(200)과 외통(100)의 상단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뜰채 형태의 내통(200)은 그 상부에 통공(22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서 제공된다. 즉, 상기 내통(200)의 상부 걸림턱(240)이 외통(100)의 상부 받침턱(12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뚜껑(300)을 덮은 후 물을 끓일 경우 상기 외통(100)이나 내통(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나 열기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먼저 내통(200)에 약초 등을 담거나 소뼈 등을 담은 상태에서 상기 내통(200)을 외통(100) 내부에 안착시킨 후 적당히 물을 부은 다음 외통(100)의 물을 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을 끓여 내통(200)에 담긴 대상물을 우려낸 다음에 상기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300)을 열은 상태에서 그 상부에 축 결합된 회전 손잡이(260)를 이용하여 내통(200)을 들어 올림으로서 내용물의 간편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통(200)과 외통(100) 사이의 공간에서는 가열에 의해 물이 신속하게 뜨거워지면서 뜰채 형태의 외면을 통해 내통으로 순환된다.
한편, 국수와 같은 면류를 조리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내통(200)을 외통(100)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물을 적당히 부은 후 끓인다. 물이 적당하게 끓으면 상기 내통(200) 내부로 국수와 같은 면류를 집어넣은 후 익힌다. 이와 같이 국수가 뜨거운 국물에 의해 익으면 상기 내통(200)의 회전 손잡이(260)를 잡고 들어 올린 후에 상기 면류를 건져낸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리용 이중 삶음통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내통을 외통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통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로 물을 끓여 이를 우려내거나 삶은 후 상기 내통을 들어 외통으로부터 내용물을 간편하게 건져낼 수 있음으로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내통과 외통의 상단 주연을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내통과 외통의 상단을 커버할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하나의 뚜껑으로 내통을 커버함은 물론이고, 내통을 제거한 상태의 외통을 커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이중 삶음통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외통 120: 상부 받침턱
140: 하부 받침턱 160: 회전 손잡이
200: 내통 240: 상부 걸림턱
260: 회전 손잡이 300: 뚜껑

Claims (4)

  1. 물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끓인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류를 삶기 위한 조리용 통에 있어서,
    상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받침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주연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하부 받침턱이 형성되는 외통; 및
    내용물은 걸러지면서 물은 원활하게 통할 수 있도록 뜰채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상부 주연에는 상기 외통의 상부 받침턱에 안착되도록 상부 걸림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회전손잡이가 축 결합되고, 하부 바닥은 상기 외통의 하부 받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내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이중 삶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외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등 간격으로 펀칭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이중 삶음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이중 삶음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및 외통의 상단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내통 또는 외통의 상단에 안착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이중 삶음통.
KR20-2005-0015834U 2005-06-02 2005-06-02 조리용 이중 삶음통 KR200394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34U KR200394197Y1 (ko) 2005-06-02 2005-06-02 조리용 이중 삶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34U KR200394197Y1 (ko) 2005-06-02 2005-06-02 조리용 이중 삶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97Y1 true KR200394197Y1 (ko) 2005-08-30

Family

ID=4369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834U KR200394197Y1 (ko) 2005-06-02 2005-06-02 조리용 이중 삶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1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595Y1 (ko) 2011-06-29 2011-12-28 이영우 스팀 쿡
KR20220036207A (ko) * 2020-09-15 2022-03-2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20220045390A (ko) * 2020-10-05 2022-04-1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CN118020980A (zh) * 2024-04-15 2024-05-14 寿光市飞龙食品有限公司 一种鹌鹑蛋卤煮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595Y1 (ko) 2011-06-29 2011-12-28 이영우 스팀 쿡
KR20220036207A (ko) * 2020-09-15 2022-03-2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102406872B1 (ko) 2020-09-15 2022-06-08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20220045390A (ko) * 2020-10-05 2022-04-1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102453965B1 (ko) 2020-10-05 2022-10-11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CN118020980A (zh) * 2024-04-15 2024-05-14 寿光市飞龙食品有限公司 一种鹌鹑蛋卤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109B1 (ko) 조리 기구
CA2299114A1 (e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20040112372A1 (en) Steam cooker having a reduced size
KR200394197Y1 (ko) 조리용 이중 삶음통
EP1152679B1 (en) Pot having a lid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CN212326110U (zh) 一种组合锅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JP3046000U (ja)
KR20170105835A (ko) 뜰채가 구비된 냄비
WO2008155115A1 (en) Cooking utensil
JP3650768B2 (ja) 調理容器
GB2554533B (en) A teapot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0235488Y1 (ko) 조리용 용기
KR200404662Y1 (ko) 국수 삶는 사각냄비
JP3059391U (ja) 蒸気加熱調理用蒸し皿
CA2244943C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KR20230000889U (ko) 타공 분리 용기
KR0118240Y1 (ko)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KR200283338Y1 (ko) 뚝배기
US325188A (en) Cooking utensil
JP2024053515A (ja) 湯水切り兼備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