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240Y1 -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240Y1
KR0118240Y1 KR2019940030087U KR19940030087U KR0118240Y1 KR 0118240 Y1 KR0118240 Y1 KR 0118240Y1 KR 2019940030087 U KR2019940030087 U KR 2019940030087U KR 19940030087 U KR19940030087 U KR 19940030087U KR 0118240 Y1 KR0118240 Y1 KR 0118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oking
steaming
inner cylind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03U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주식회사 이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주식회사 이멕스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2019940030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240Y1/ko
Publication of KR960016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9Frying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을 찜 또는 튀김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얹혀서 내통에 재치수용되는 조리판이 외통저면에 수용되는 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가열됨과 동시에 조리판 하부로는 국물받이판을 재치하여 조리시 음식물로 부터 발생되는 국물을 수용 저장할 수 있으며 국물받이판의 중앙으로 증리분출구를 증설하여 끓는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집약적으로 조리판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부에서 중단부가 내향되게 수직으로 절곡되어 외통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단부도 중단부에서 수직으로 내향되게 절곡되어 걸림턱을 갖으며, 개구부로 뚜껑을 안착할 수 있는 커링부가 구비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내부 걸림턱에 안착되어 수용되며 중앙으로 증기 분출구가 증설된 국물 받이판과, 상기 국물받이판의 커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증기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조리판과, 상기 국물받이판과 조리판이 결합되는 내통의 걸림부가 안착되어 내부에 내삽되며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외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의 저면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회전각도가이드의 상세도 로써,
(가)도는 내통손잡이의 손잡이위치걸림구가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 중앙에 형성된 회전안착홈에 안착되어 수직상태로 위치한 상태도이며,
(나)도는 손잡이위치걸림구가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 끝단에 형성된 회전안착홈에 안착되어 수평상태로 위치한 상태도이다.
제5도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에 내통손잡이의 손잡이위치걸림구가 안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레버의 상세도로써,
(가)도는 손잡이 형성된 걸림레버안착부에 안착되어진 상태도이며,
(나)도는 걸림레버안착부에서 인출되어 외통의 상단주연부에 위치되어 내통을 걸리게한 상태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레버에 의해 내통이 걸리게 되어 물 또는 식용유가 외통으로 배출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외통 210 : 손잡이
211 : 걸림레버 212 : 걸림레버안착부
30 : 내통 310 : 커링부
320 : 외통걸림부 330 : 걸림턱
340 : 내통손잡이 342 : 손잡이위치걸림구
350 :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 351,352,353 : 회전안착홈
354 : 손잡이이송안내홈 40 : 조리판
430 : 증기안내부 440 : 인출손잡이
50 : 국물받이판 520 : 증기분출구
530 : 저장부
본 고안은 음식을 찜 또는 튀김 할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이 얹혀서 내통에 안착결합되는 조리판이 외통저면에 담기는 물과 직접 닿지 않고 끓음과 동시에조리판 하부로는 국물받이판을 안착하여 조리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국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국물받이판의 중앙으로 증기분출구를 증설하여 끓는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집약적으로 조리판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이라는 것은 요리의 일종으로 음식물을 양념해서 바특하게 흠씬 삶아 만든 음식이며 튀김이라는 것은 음식물을 기름(식용유)에 띄워 튀긴 음식을 말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찜 또는 튀김을 할 수 있는 조리용기가 여러가지 개발상용되고 있는데, 이례를 들어 설명하면 찜기구는 물이담기는 원형의들통내에 다수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조리판을 내삽하여 음식물을 이에 올려 놓고 가열하여 물을 끓으므로서 발생되는 증기열로 조리판상의 음식물을 흠씬 삶아 익히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찜기구는 조리판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국물이 떨어지게되어 끓는 물과 혼합되고 더욱이 끓는 물이 조리판의 구멍을 통해 음식물에 접촉하게 되어 바특하게 흠씬 삶아야 할 음식의 형태를 변화시키며 맛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튀김기구는 식용유와 음식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음식물이 익으면 젓가락 또는 뜰채를 사용하여 건저내어 음식물에 남아있는 식용유가 제거되기를 기다렸다가 다른용기에 옮겨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통과 내통을 각기 형성하고 음식물이 얹혀지는 조리판이 외통하부에 담기는 물과 닿지 않게 내통내에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하며 끓는물의 청결한 증기열로만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음식물이 원형을 유지하며 바둑하게 흠씬 삶아 지도록 한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얹혀지는 조리판의 저면으로 중앙에 증기분축구가 증설된 국물받이판을 함께 내통에 안착되도록 하여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국물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끓는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열을 집약적으로 조리판에 분출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통에 결합된 손잡이내로 회동가능한 걸림레버를 설치하고 외통개구부에 걸리게하여 튀김요리시 내통을 인출하여 재치되게 함으로써 튀김시 사용된 식용유가 쉽게 외통내부로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도록 할수 있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단부에서 중단부가 내향되게 수직으로 절곡되어 외통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단부도 중단부에서 수직으로 내향되게 절곡되어 걸림턱을 갖으며, 개구부로 뚜껑을 안착할 수 있는 커링부가 구비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내부 걸림턱에 안착되어 수용되며 중앙으로 증기 분출구가 증설된 국물받이판과, 상기 국물받이판의 커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증기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조리판과, 상기 국물받이판과 조리판이 수용되는 내통의 외통걸림부가 걸리게 되어 내부에 내삽되며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외통으로 이루어 진석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조리용기는 뚜껑(10)을 안착할 수 있는 내통(30)과 이 내통(30)에 결합되는 조리판(40) 및 국물받이판(50)과 손잡이(21)가 구비된 외통(20)으로 구성된다.
내통(30)은 개구부가 뚜껑(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커링되어 커링부(32)가 구비되고 외통(20)의내경과 같은 돌출부(301)를 갖는다.
이 돌출부(301)에서 중단부가 내향되게 수직으로 절곡되어 외통걸림부(320가 구비되고 하단부도 중단부에서 수직으로 내향되게 절곡되어 걸림턱(330)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끼움공(302)이 형성된다.
대향되는 끼움공(302)의 어느한 곳으로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동심원을 갖으며 형성된 손잡이 회전각도가이드(350)가 형성되는데,이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350)는 반원호상으로 손잡이이송안내홈(354)이 구비되고 양단과 중앙에 회전안착흠(351)(352)35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350)로는 끼움공(302)에 양단이 삽입된 내통손잡이(340)의 일단을 구부려서 형성한 손잡이 위치걸림구(341)가 슬라이드되며 선택저으로 회전안착홈(351)(352)(353)에 안착되어 조리용기의 중심선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위치하며 유지하게 된다.
상기 내통(30)은 걸림턱(33)을 중심으로 상단부 수직벽부에 상부통공(30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도 하부통공(304)이 형성되며 하부가 외통의(0)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내통(30)의 걸림턱(330)내측에 재치되는 국물받이판(50)은 외주연부가 커링되어 커링부(510)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중기분출구(520)가 증설 형성된다.
이 국물받이판(50)의 높이는 수평면에서 약 20±5mm정도로 하고 증기분출구(520)의 높이는 약 16mm 정도로 하여 커링부(510)가 형성되는 내주벽과 증기분출구(520)의 외주벽 상이에 저장부(530)가 구비된다.
저장부(530)를 이루는 수평면저면은 가열시 발생되는 증기열에 대항하며 증기열이 반드시 중앙에 형성된 증기분출구(520)로만 분출되도록 한다.
국물받이판(50)의 커링부(510)상단에 재치되는 조리판(40)은 외주연부가 커링되어 커링부(410)가 구비되고 이 커링부(410)가 국물받이판(50)의 커링부(510)상단에안착되며 수평면에 동심원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리브(42)가 형성된다.
이 보강리브(420)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방사상배열되는 안내공(401)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하향되게 움푹패인 형상을 갖는 증기안내부(430)가 형성된다.
이 증기안내부(430)는 십자형상또는 일자형상으로 중앙이 넓은 원형으로 측면에서 볼때 구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인출손잡이(440)가 결합된다.
상기 조리판(40)의 증기안내부(43) 최하정점과 국물받이판(50)에서 증설된 증기분출구(520)최상단의 간결은 약 4-6mm 정도 공간을 갖고 증기분출구(520)로 집약되어 분출되는 증기열에 일차저항하여 방사상으로 분산시켜 증기가 안내공(401)마다 고르게 배급되도록 한다.
또한 안내공(401)은 증기안내부(430)에 의해 분산되는 증기가 음식물에 고르게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국물을 국물받이판(50)으로 떨어지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내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01)의 외측에 안착되는 외통(20)은 상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손잡이(210)가 설치되고 이 손잡이(210)의 내측으로는 제6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ㄷ자형으로 걸림레버안착부(212)가 형성되고 걸림레버(211)가 설치되며 걸림레버(211)는 회동이 가능하게 양단이 걸림레버끼움공(213)에 결합된다.
그러면 제3도 및 제7도을 찹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첫번째 찜을 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20)에 적당량(국물받이판(50)저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정도)의 물을 붓고 내통(30)을 내삽하며 국물받이판(50)과 조리판(40)을 순차적으로 결하한다.
그리고 조리판(40)의 수평면으로 요리할 음식물을 고르게 배치하여 얹혀(음식물은 보강리브(420)에 의해 안내공(401)과 일정한 간격을 갖게 된다) 놓고 뚜껑(10)을 닫은후 가열을 시작하면 수용된 물이 끓으면서 증기열이 발생된다.
이 증기열은 상승하여 국물받이판(50)의 저면에 부딪히며 중앙에 형성된 증기분출구(520)로 집약되어 분출되고 조리판(40)의 중앙에 형성된 증기안내부(430)에의해 사방으로 분산되며 조리판(40)의 안내공(401)에 배분되면서 통과되어 조리할 음식물에 고루게 접촉하여 음빅물을 바특하게 흠씬 삶아 주게 된다.
그리고 지속적인 가열로 조피란(40)에 얹혀진 음식물(예: 육류, 어류등)이 익게되면서 발생되는 국물이 안내공(401)을 통해 국물받이판(50)의 저장부(530)에 떨어지게 되어 끓는 물과의 혼합이 방지되며 음식물의조리시 양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판(40)은 인출손잡이(440)를 잡고 내통(30)에서 분리하고 국물받이판(50)은 증기분출구(520)내로 손을 넣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내통(30)에서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최우선적으로는 내통(30)을 외통(20)에서 먼저 분리하는 것이다.
두번째 튀김을 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20)에적당량의 식용유를 부은후 내통(30)만을 내삽하고 조리할 음식물을 식용유에 띄워서 가열를 하면 되는 것으로, 튀김요리가 익거나 끝나면 내통손잡이(340)를 수직으로 세워서 잡고 내통(30)을 외통(20)에서 벗어나지 않게 들어 올려서(이때 식용유는 배출되어 외통(20)내로 떨어진다) 손잡이(210)에 안착된 걸림레버(211)를 외통(20)의 상단주연부에 위치시켜 내통(30)을 내려놓으면 내통(30)하단의 걸림턱(330)외측이 걸림레버(211)에 걸리게 되어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통(30)내에 일부 잔류하는 식용유나 음식물에 잔류하는 식용유가 외통(20)내로 자연스럽게 흘러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찜을 할 때에도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조리시 가열되어 발생되는 청결한증기열이 효과적으로 음식물에 가열됨과 동시에 열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고 조리할 청결한 음식물이 원형을 유지하며 바특하게 흠씬 삶아 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물로 부터 발생되는 국물을 얀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 고안이다.

Claims (9)

  1. 상단부에서 중단부가 내향되게 수직으로 절곡되어 외통걸림부(320)가 구비되고, 하단부도 중단부에서 수직으로 내향되게 절곡되어 걸림턱(33)을 갖으며, 개구부로 뚜껑을 안착할 수 있는 커링부(320)가 구비되는 내통(30)과; 내통(30)의 내부 걸림턱(330)에 걸리게 형성되어 중앙으로 증기 분출구(520)가 증설된 국물받이판(50)과; 국물받이판(50)의 커링부(510)에 안착되고 다수의 안내공(401)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증기안내부(430)가 일체로 형성된 조리판(40)과; 국물받이판(150)과 조리판(40)이 수용되는 내통의 외통걸림부(320)가 안착되어 내부에 내삽되며 서로대향되게; 한쌍의 손잡이(210)가 구비되는 외통(20)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조리판(40)은 외주연에 커링부(410)와 판상으로 간결을 갖는 리브가 돌설되고, 중앙부에 수평면보다 낮게 만곡진 증기안내부(430)가 구비되며 인출손잡이 (4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40)의 증기안내부(430)는 일자형상으로 중앙이 저면에서 구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증기안내부(430)가 십자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받이판(50)은 증기분출구(520)와 커링부(510) 사이에 저장부(5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0)의 내측별으로 반원호상의 손잡이이송안내홈(354)과 이 손잡이이송안내홈(354)의 양단 및 중앙에 회전안착홈(351,352,353)이 형성되는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350)를 형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회전각도가이드(350)의 손잡이이송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회전안착홈(351,352,353)에 삽입되는 손잡이 위치 걸림구(341)가 구비되는 내통손집이(340)를 내통의 돌출부에 형성된 끼움공(302)에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걸림레버(2110를 결합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211)를 외통의 상단주연부에 걸리게 하여 내통(30)의 외부걸림턱이 걸리도록 하여 외통(20)과 내통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KR2019940030087U 1994-11-15 1994-11-15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KR0118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087U KR0118240Y1 (ko) 1994-11-15 1994-11-15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087U KR0118240Y1 (ko) 1994-11-15 1994-11-15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03U KR960016303U (ko) 1996-06-17
KR0118240Y1 true KR0118240Y1 (ko) 1998-04-23

Family

ID=1939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087U KR0118240Y1 (ko) 1994-11-15 1994-11-15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71B1 (ko) * 2006-12-29 2008-06-24 이동희 전자유도 가열기용 가열부재를 채용한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71B1 (ko) * 2006-12-29 2008-06-24 이동희 전자유도 가열기용 가열부재를 채용한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0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737B1 (en) Food cooking apparatus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CA1217353A (en) Steam cooking rack and method
JP6668158B2 (ja) 家庭用器具のミキシングボウル上に載せられるように設計される凝縮液を集めるための受け器を含む蒸気調理アクセサリ
GB2097230A (en) Microwave cooking utensil
US20030167932A1 (en) Stackable and configurable colander apparatus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US8973490B2 (en) Cook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suppor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0118240Y1 (ko) 찜 및 튀김용 조리용기
TWI584765B (zh) 可翻掀式蒸盤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CN214905913U (zh) 锅具和烹饪器具
EP0427945A2 (en) Cooking utensil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KR200455209Y1 (ko) 찌기와 끓이기용 조리 포트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US659145A (en) Cooking utensil.
CN209789505U (zh) 蒸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3155316U (ja) かき揚げ用調理器具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KR200283338Y1 (ko) 뚝배기
KR200339705Y1 (ko) 찜용기
KR200320853Y1 (ko) 조리용 용기
KR200278429Y1 (ko) 다목적 육류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